KR200299703Y1 - 자동차 도어 조립용 록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조립용 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9703Y1 KR200299703Y1 KR20-2002-0028496U KR20020028496U KR200299703Y1 KR 200299703 Y1 KR200299703 Y1 KR 200299703Y1 KR 20020028496 U KR20020028496 U KR 20020028496U KR 200299703 Y1 KR200299703 Y1 KR 20029970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door
- lock
- lock device
- hang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를 제작하는 생산라인에서 도어를 행거에 견고히 록킹시켜 이송조립시켜 주기 위한 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번에 2개의 도어를 동시에 록킹 시킬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1개의 도어를 선택적으로 록킹할수 있는 2종류의 록장치를 제공함에 있어 작동레버에 의한 도어의 록킹상태가 이송도중 흔들림이 없이 정확하고 안전하게 이송 조립되어 지도록 함으로서 조립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공장의 시설규모에따라 록장치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록장치를 적은 비용으로 간단히 구성하므로서 고부가 가치를 매우 높이하는 자동차도어 조립용 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를 제작하는 생산라인에 적용되는 록 장치(Lock Device)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도어를 행거(Hanger)로 이동.조립시켜 주기 위해 좌우의 작동레버와 고정레버로 도어를 행거에 간단한 조작으로 견고히 록킹하여 이송되도록 선후단의 걸림턱과 록킹홈을 가지는 자동차 도어 조립용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를 제작.생산하는 대부분의 생산라인에는 모노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반송차량(搬送車輛)(Hoist)에 매달려진 행거에 도어를 입설(立說)록킹하여 이송.조립시켜 주고 있는데 이와같은 록 장치는 자동레버의 걸림돌기가 록킹홈에 록킹된 상태에서도 랙크(Lack)에 지지된 작동레버의 접동편이 이송시 흔들리는 행거에 의해 유동될 때는 도어가 행거에 견고히 록킹되지 아니한 상태로 이송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이송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았다.
특히 상기와 같은 록 장치는 하나의 록킹홈만을 보유하고 있어서 여기에 록킹되는 도어의 크기가 다소 다른 도어 즉, 승용차의 도어나 트럭의 도어에 맞추어록킹시켜 주어야 할 경우 록킹홈의 조정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부득히 이에 맞는록 장치를 행거에 선택적으로 교체.고정시켜 사용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록 장치는 한개의 도어만을 고정레버 및 랙크로 이루어진 록 장치로 록킹하여 이송.조립시켜 주고 있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작업의 능률적인 향상을 기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반복.이송하는 행거의 수(數)를 다수히 하여 도어의 이송작업을 신속히 할 경우 모노레일상으로 설치된 반송차량도 행거와 같은 수의 차량을 필요로 하기때문에 모노레일에 무리한 하중력이 가해지면서 록 장치 전반에 걸친 시스템(System)에 예기치 못한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를 이송.조립시켜 주는 록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모노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반송차량에 매달려진 행거에 2개의 도어를 동시에 록킹시켜 흔들리지 아니하는 상태로 안전하게 이송.조립시켜 줄 수 있도록 고정레버와 작동레버 및 랙크를 각각 좌우로 구성하여 상기의 랙크상으로 이송하는 접동편의 접동력과 록킹부재의 걸림턱및 록킹홈으로 걸림돌기가 걸리는 록킹력을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 확실히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도어의 조립작업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목적이 있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형태나 크기의 대소에 따라 록킹작동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1개의 도어만을 록킹할 수 있도록 고정레버와 작동레버 및 랙크를 한쪽으로 만 구성한 록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게 하여 작업의 용이성을 기하고저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고 목적달성에 현저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생산공장 내부에 공중으로 설치된 모노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반송차량에 매달려진 행거에 자동차용 도어를 록킹하여 연속적으로 이송.조립시켜 주는 록 장치는 고정축에 의해 행거에 브라켓으로 고정.설치되는 록본체와 이의 좌우 양측으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고정레버와 작동레버가 록본체의 브라켓상에서 가이드바(Guide Bar)로 왕복작동을 하는 록뭉치의 내부를 각각의 랙크(Lack)와 접동작용을 하는 접동편과 작동암이 스프링과 같이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작동레버의 작동편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조작에 따라 작동편의 걸림돌기가 록본체상의 지지간으로 구성된 지지틀의 좌우 내측으로 취부한 록킹부재의 걸림턱과 록킹홈에 괘.해정되는 것에 의해 록뭉치의 측면으로 취부되어 방향조절이 가능한 홀더(Holder)로 록킹되어지는 도어가 흔들리지 아니하는 상태로 견고히 록킹하여 이송시켜 줌과 동시에 특히 하나의 행거(Hanger)에 2개의 도어를 같이 록킹시켜 이동할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1개의 도어를 본 고안에 의한 고정레버와 작동레버를 가지는 하나의 록뭉치가 가이드바를 따라 랙크와 록킹부재의 록킹홈과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구성의 록본체로 록킹 시킬수 있도록 록본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구성의 본 고안은 그 어느 것이나 이송시 흔들림을 해소한 걸림턱과 록킹홈을 가지는 록킹부재를 지지틀의 좌우 내측이나 일측으로 취부시켜 준 록킹부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록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구성을 절개하여 록킹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구성을 절개하여 록킹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시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 후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행거(Hanger)에 설치하여 보인 사용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록본체 20, 20' : "└─┘"자형 브라켓 30, 30' : 가이드바
40, 40' : 록뭉치 50, 50' : 지지간 51, 51' : 지지틀
60a, 60b, 60a', 60b' : 선후단 걸림턱 61, 61' : 록킹홈
62, 62' : 록킹부재 70, 70' : 스토퍼 71, 71' : 롤러
72, 72' : 랙크 73, 73' : 홀더 74, 74' : 장공
75, 75' : 고정브라켓 80, 80' : 고정레버 90, 90' : 작동레버
91, 91' : 걸림돌기 92, 92' : 작동편 93, 93', 95, 95' : 힌지
94, 94' : 작동암 96, 96' : 접동편 97, 97' : 스프링
P1, P2, P3, P4 : 연결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5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로서 록 본체(10)(10')는 "└─┘" 자형 브라켓(20)(20')상에 가이드바(30)(30')를 따라 왕복작동을 하는 록뭉치(40) (40')와 이 뭉치(40)(40') 록킹상태를 지지하여 주기 위한 지지간(50)(50')의 지지틀(51)(51')은 그 내측으로 좌우에 선후단 걸림턱(60a)(60b)(60a')(60b')과 록킹홈(61)(61')을 형성한 록킹부재(62)(62')를 가지며 또한 록뭉치(40)(40')의 저부와 측부에는 일단에 스토퍼(70)(70')를 형성한 랙크(72)(72')와 홀더(73)(73')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74)(74')이 뚫린 고정 브라켓(75)(75')이 취부되거나 또는 그 일측에만 설치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아니한 부호(S)(S')는 록 본체(10)(10')를 행거(H)에 브라켓(B)으로 고정시켜주는 고정축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의 록뭉치(40)(40')는 도 2a와 도 2b 및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하고 있는 일부 절개 사시도와 확대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레버(80) (80')와 작동레버(90)(90')를 가지며 상기의 작동레버(90)(90')는 걸림돌기(91) (91')을 돌출시킨 작동편(92)(92')이 힌지(93)(93')를 중심으로 그 단부에 작동암 (94)(94')과 또 다른 힌지(95)(95')를 중심으로하여 랙크(72)(72')상으로 접동작용을 하는 접동편(96)(96')을 각각의 연결핀 (P1)(P2)(P3)(P4)으로 연결시켜줌과 동시에 연결핀(P2)(P4)과 힌지(95)(95')를 이용하여 이에 스프링(97)(97')이 장착된다.
상기 랙크(72)(72')의 양측부는 록뭉치(40)(40')의 작동을 유연히 하기위한 한쌍의 롤러(71)(71')가 그 저부로 구성되어진 것으로 미 설명부호(98)(98')는 고정레버(80)(80')의 고정볼트를 나타내고 (100)은 자동차도어를 표시하고 (100')는 도어 받침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공장에서는 대부분의 부품을 자동라인을 통한 시스템에 의해 단계적으로 이송공급시켜 조립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송공정은 공장내부에 철골구조물로 공중에 설치된 모노레일상으로 이송작동을 하는 반송차량에 매달려진 행거에 록킹된 상태로 이송조립된다.
따라서 본고안에 의한 도어(100)의 조립공정도 반송차량에 매달려진 행거(H)에 도어(100)를 안전하고 견고한 상태로 입설 록킹하여 이송.조립되어 지은바 그 작동과정을 도 2a와 도 2b 및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가이드바(30(30')를 따라 록뭉치(40)(40')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a는 이때 록뭉치(40)(40')에 의한 고정레버와 작동레버 (80)(90)(80')(90')의 작동레버(90)(90')가 고정레버(80)(80')의 방향으로 각각 힌지(93)(93')을 중심으로 작동레버(90)(90')가 화살표(↗↖)방향으로 작동을 함에따라 작동편(92)(92')의 걸림돌기(91)(91')가 지지간(50(50')으로 구성된 지지틀(51)(51')의 내측으로 취부되어 있는 록킹부재(62)(62')의 록킹홈(61)(61')이나 선단걸림턱(60)에 걸리지 않고 이동한다.
이때 힌지(93)(93')를 중심으로 작동하는 작동편(92)(92')에 또다른 힌지 (95)(95')로 구성된 접동편(96)(96')이 각각의 연결핀(P1)(P2)(P3)(P4)에 의해 작동암(94)(94')으로 연결되고 스프링(97)(97')을 상기의 연결핀(P2)(P4)과 힌지(95) (95')로 연결.장착시켜준 구성에 의해 상기의 접동편(96)(96')이 그 하방에 위치한 랙크(72)(72')상에서 격리됨에 따라 록뭉치(40)(4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이렇게 이동하는 록뭉치(40)(40')는 그 저부에 설치한 롤러(71)(71')에 의해 이동작용을 더욱 부드럽게하는 것이며 특히 상기 랙크(72)(72')의 후단측부로 형성한 스토퍼(70)(70')에 의해 록뭉치(40)(40')가 정확히 정지하면서 작동레버(90)(90')의 걸림돌기(91)(91')도 록킹부재(62)(62')의 후단걸림턱(60b)(60b')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접동편(96)(96')도 다시 랙크(72)(72')에 접동됨으로 록뭉치 (40)(40')가 도어(100)를 록킹하고 있지 아니한 정지상태 즉 도 3b에서와 같이 작동레버(90)(90')가 화살표(↙↘)방향으로 작동하여 록뭉치(40)(40')을 안전하게 정지시켜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록장치를 이용하여 도어(100)를 록킹 이송시켜주기 위해서는 하나의 행거(H)에 좌우양쪽으로 도어(100)을 록킹이송시켜 줄 수도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한 하나의 고정레버(80)와 작동레버(90)만으로 조작되는 록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고안에 의한 상기의 록장치는 그 어느 것이나 작동수단은 동일하고 다만 도어(100)를 하나의 행거(H)에 2개를 동시에 록킹하여 이송.조립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점을 더하고 있다.
따라서 록본체(10)의 좌우측 방향으로 도어(100)를 행거(H)의 도어 받침대 (100')상에 각각 재치하고 그 일측을 록뭉치(40(40')의 좌우측부에 고정 브라켓 (75)(75')으로 취부되어 있는 홀더(73)(73')에 도어(100)의 대소크기에 맞추어 정확히 홀딩되도록 브라켓(75)(75')의 장공(74)(74')에서 홀도(73)(73')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도어(100)를 록킹시켜준 행거(H)에 위치시킨 다음 작동레버(90)(90')를 도 2a 및 도 3a의 화살표(↖)방향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도 2b의 화살표(→)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록본체(10)에서 가이드바(30)(30')를 따라 왕복작동을 하는 록뭉치(40)(40')가 서서 이동하여 도어(100)가 큰 것 예를 들면 트럭용 도어의 경우는 록킹부재(62)(62')의 록킹홈(61)(61')에 작동레버(90)(90')가 스프링(97) (97')의 수축력에 의해 작동하면서 걸림돌기(91)(91')가 여기에 걸리게 되고 또 승용차용 도어와 같이 다소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작동레버(90)(90')와 고정레버(80) (80')을 계속 움켜잡고 화살표(→)방향으로 작동시켜주면 작동레버(90)(90')의 걸림돌기(91)(91')는 록킹부재(62)(62')의 선단걸림턱(60a)(60a')에 걸려 도어(100)를 견고히 록킹하여 안전하게 이송시켜 주는 것이다.
상기의 작동에서 록뭉치(40(40')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할때 작동레버 (90)(90')를 고정레버(80)(80')와 같이 움켜잡고 있는 상태이므로 힌지(93)(93')를중심으로 한 작동편(92)(92')이 그 단부로 연결된 작동암(94)(94')과 또다른 힌지(95)(95')를 중심으로하여 랙크(72)(72')상에서 접동작동을 하는 접동편(96)(96')이 각각의 연결핀(P1)(P2)(P3)(P4)으로 연결된 작동암(94)(94')과 상기 연결핀 (P2)(P4)과 힌지(95)(95')로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97)(97')이 신장함과 동시에 접동편(96)(96')이 랙크(72)(72')에서 격리되므로 록뭉치(40)(40')의 왕복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록본체(10)에 록킹된 도어(100)는 행거(H)에 실려 이송되는 도중 간혹 행거(H)의 흔들림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도어(100)의 록킹상태를 견고히 하여줌에 따라 조립작업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기할 수 있고 또 지금까지 설명한 본 고안은 주로 하나의 록본체(10)에 의해 2개의 도어(100)를 동시에 록킹하여 이송시켜주는 복수기능의 록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조립공장의 규모나 시설이 소규모인 경우 본 고안 도 5에 도시한 단수기능 즉 도어(100)을 한쪽에만 록킹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작동레버(90)와 고정레버(80) 및 록뭉치(40),가이드 바(30), 랙크(72), 록킹부재(62), 스토퍼(70), 홀더(73), 브라켓(75)으로 이루어진 록본체(10)의 구성에 의한 록장치로도 자동차용 도어의 이송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록장치는 공장의 시설규모나 도어의 조립공정에 따라 복수개의 록본체나 또는 단수개의 록본체를 선택적으로 행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의 간편성과 능률의 향상을 기할 수 있고 특히 고정레버와 같이 작동되는 작동레버에 의해 랙크상에서 접동작동을 하는접동편과 록킹부재의 선후단걸림턱 및 록킹홈에 록킹되어지는 작동편의 걸림돌기로 하여금 행거에 지지된 도어가 홀더로 홀딩된 상태로 흔들리지 않고 행거에 의해 이송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의 정확성과 안전성은 물론 작동레버를 조작시켜주지 아니하는 이상 접동편이 랙크상에서 임으로 격리되지 아니함으로 종래와 같이 이송도중 록장치가 풀리는 일이 없을 뿐만아니라 록킹부재의 선후단걸림턱과 록킹홈에 의해 대/소도어의 록킹작업도 용이하기 때문에 행거에서 록본체를 필요에 따라 교체사용하는 등의 번거러움을 해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2)
- "└─┘"자형의 브라켓(20)상에 좌우로 나란히 설치한 가이드 바(30)(30')와 상기 가이드 바(30)(30')로 왕복작동을 하는 록뭉치(40)(40')의 고정레버(80)(80')와 작동레버(90)(90')의 작동에 의해 힌지(93)(93')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작동편(92)(92')의 걸림돌기(91)(91')가 걸리는 선후단걸림턱(60a) (60b) (60a') (60b')과 ; 록킹홈(61)(61')에 걸리는 록킹부재(62)(62')을 좌우내측으로 취부시켜주 지지간(50)(50')에 의한 지지틀(51)(51')과; 상기 작동편(92)(92')의 연결핀(P2)(P4)과 힌지(95)(95')가 스프링(97)(97')으로 연결되고 일단측부로 스토퍼(70)(70')가 마련된 랙크(72)(72')상으로 접동작용을하는 접동편(96)(96')이 상기의 작동편(92)(92')과 작동암(94)(94')으로 각각의 연결핀 (P1)(P2)(P3)(P4)으로 연결되며 상기 록뭉치(40)(40')의 저부는 한쌍의 롤러(71)(71')가 랙크(72)(72')의 측부로 접동되어 록뭉치(40)(40')의 작동을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록 뭉치(40)(40')의 측부는 장공(74)(74')에 의해 조절가능한 홀더(73)(73')가 브라켓(75)(75')으로 취부되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조립용 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록 본체(10)는 하나의 도어만을 록킹시켜 이송조립할수 있도록 한 기능을 "└─┘"자형의 브라켓(20)상에 구비하여서 된 록본체(10')을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조립용 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8496U KR200299703Y1 (ko) | 2002-09-23 | 2002-09-23 | 자동차 도어 조립용 록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8496U KR200299703Y1 (ko) | 2002-09-23 | 2002-09-23 | 자동차 도어 조립용 록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9703Y1 true KR200299703Y1 (ko) | 2003-01-06 |
Family
ID=4939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8496U KR200299703Y1 (ko) | 2002-09-23 | 2002-09-23 | 자동차 도어 조립용 록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9703Y1 (ko) |
-
2002
- 2002-09-23 KR KR20-2002-0028496U patent/KR20029970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59801B2 (en) | Conveyance apparatus | |
WO2005077790A1 (ja) | 搬送装置 | |
KR200299703Y1 (ko) | 자동차 도어 조립용 록 장치 | |
FR2709295A1 (fr) | Appareil pour le chargement de pièces comprenant une navette et une monture pivotante support de pièces entraînées en harmonie. | |
JP2020011541A (ja) | ハーネスボード用台車、ハーネスボード収納ラックおよびハーネスボード運用支援システム | |
JP2004196541A (ja) | 搬送車 | |
KR101730257B1 (ko) | 트롤리 | |
KR101111193B1 (ko) | 트레이 자세변환장치 | |
KR101824720B1 (ko) | 경동(傾動)식 콘베이어 행거 | |
JPS6124679A (ja) | 自動車の組立てラインにおける車輪の取付装置 | |
JP4080660B2 (ja) | 搬送ハンガー | |
JP2765298B2 (ja) | 搬送設備 | |
CN107539713B (zh) | 一种尾门悬链运输装置 | |
JP2765297B2 (ja) | ドア搬送設備 | |
KR101153614B1 (ko) | 연속 주조기의 세그먼트 롤 운반장치용 받침장치 | |
JP4031955B2 (ja) | 自動車車体の組立方法 | |
KR100774750B1 (ko) | 차량용 도어 운반용 행거 | |
JP2002274455A (ja) | 車両用シートの搬入方法及びその搬入装置 | |
JPH10119848A (ja) | 自動車部品の組み付け装置 | |
KR102454183B1 (ko) | 카트 | |
JPH04201131A (ja) | ワークの搬送ラインにおけるワークの傾斜装置 | |
JP2571180Y2 (ja) | 自動車のドア搬送装置 | |
JP2004026056A (ja) | 自動車のテールゲート台車 | |
EP3724034B1 (en) | Device for transporting bicycles on motor vehicles | |
JP4055685B2 (ja) | 車体前部ユニットの搭載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