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571Y1 - 점멸형 화재 경보기 - Google Patents

점멸형 화재 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571Y1
KR200299571Y1 KR2020020029324U KR20020029324U KR200299571Y1 KR 200299571 Y1 KR200299571 Y1 KR 200299571Y1 KR 2020020029324 U KR2020020029324 U KR 2020020029324U KR 20020029324 U KR20020029324 U KR 20020029324U KR 200299571 Y1 KR200299571 Y1 KR 2002995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alarm
flashing
power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주
Original Assignee
김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주 filed Critical 김경주
Priority to KR2020020029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5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5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57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시에 대피자들이 안전하게 화재 장소로 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점멸형 화재 경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재시에 청각장애인들이 시각적인 공황상태에 빠지지 않고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기식 점멸형 시각 정보기 및 그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재 경보기는, 화재 감지기, 화재 수신기, 경종 및 점멸형 시각 경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멸형 화재 경보기 장치에서, 화재 수신기 및 24V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수신기에서 화재 신호를 감지할 때 이에 반응하여 24V의 전원이 인가되어서 경보음을 울리는 경종과, 상기 화재 수신기에 접속되어 화재 수신기에서 경종 신호를 보낼 때 동기 신호가 포함된 24V 전압을 점멸형 시각경보기에 공급하는 점멸형 시각 경보기 전원 장치와, 상기 전원 장치에 연결되어 화재 수신기에서 화재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전원 장치로 부터 동기 신호가 포함된 전압에 의해서 점멸되는 점멸형 시각 경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장치는 교류 전원(AC 220V)이 1차측에 인가되는 전원 트랜스(PT)와, 상기 전원 트랜스의 2차측에 유도된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D1,D2)와, 상기 다이오드 출력에 연결되어 맥류를 전달하는 계전기(RY1)와, 화재 수신기로 부터 경종 전압이 인가될 때 이를 전달하는 연동 계전기(RY2)와, 발진 회로 및 발진 IC(IC1)와, 발진 출력에 베이스가 연결되어 발진 출력의 하이 또는 로우 상태에 따라서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트랜지스터(TR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멸형 화재 경보기{FLIKERING FIRE ALARM APPARATUS}
본 고안은 화재시에 대피자들이 안전하게 화재 장소로 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기식 점멸형 시각 정보기 및 그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화재시에 청각장애인들이 시각적인 공황상태에 빠지지 않고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기식 점멸형 시각 정보기 및 그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법적인 규정을 준수하는 건물은 화재 수신기, 경종, 점멸형 시각 경보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화재시에는 동기 신호와 전원부가 내장된 전원공급장치에서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시에 점멸하는 동기식 점멸형 시각 경보기가 제공된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수신기의 전원부를 보호하고 시각적인 공황현상을 방지하여 화재 장소로 부터 안전하게 대피하게 하여 인명을 보호하게 된다.
종래의 점멸형 시각정보기는 전자부품의 오차로 인해서 점멸주기가 각각 달라지게 되므로 시각적인 공황현상이 야기되며 따라서 대피자가 착각을 일으켜서 탈출구의 위치를 찾지 못해서 인명피해가 발생되고 있으며, 점멸형 시각정보기의 동작 전류가 높아서 화재 수신기의 전원부가 파손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재 수신기의 결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드시, 화재 감시기(110)의 화재 신호가 화재 수신기(100)를 동작시켜서 경종 선로에 24V의 전원이 가해지게 된다. 그 후 각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경종(120)이 동작되어 화재 경보를 발하게 된다. 이 때 각 지역의 경종과 병렬로 연결된 점멸형 시각 경보기가 경종과 동시에 동작되어 시각적으로 화재 경보를 발하게 된다. 그러나, 화재 경보가 발하게 되면 수신기의 한정된 전원부에 무리를 주어서 전원부가 파손되어 화재 수신기의 기능이 마비되거나 또는 점멸형 시각 경보기가 제각기 점멸 점등되서 시각적인 공황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화재 장소로 부터 대피하려는 사람들이 대피로를 찾지 못하는 착각 현상이 발생되어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 수신기의 전원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화재시에만 동기 신호가 포함된 전원을 동기식 점멸형 시각 경보기에 공급하여 건물 전체에 설치되어 있는 점멸형 시각 경보기를 동시에 점멸하도록 하므로 시각적 공황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며, 동시에 화재장소에서 대피자들이 안전하게 탈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동시에 점멸형 시각 경보기가 구동되도록 하며, 전압 변동에도 점멸주기가 변동되지 않도록 정전압 회로로 일정한 전압이 발진회로에 가해지도록 하며, 동기 신호가 포함된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화재 수신기의 결선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재 수신기의 결선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점멸형 화재 경보기의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동기 신호가 포함된 전원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점멸형 시각 경보기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화재 수신기 210: 화재 감지기
220: 경종 230: 전원 장치
240: 동기식 점멸형 시각 경보기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재 감지기(210)가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 신호가 화재 수신기(200)를 동작시켜서 경종 선로에 24V 전원이 공급된다. 이 24V의 전원은 각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경종(220)이 동작되도록 하여 화재 경보를 발하게 한다.
이때, 동기식 점멸형 시각 경보기의 전원장치(230)에 경종 전압인 24V가 가해지게 되고, 이 전압을 연동신호로 하여 동기신호가 포함된 24V의 전압이 동기식 점멸형 시각 경보기 전원장치(230)에서 동기식 점멸형 시각경보기(240)로 공급된다. 그 후 같은 주기의 동기 신호에 의해서 동기식 점멸형 시각경보기가 점멸 점등되어 화재 장소에서 대피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시각적으로 안내해 주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동기식 점멸형 시각 경보기 및 그 전원장치의 동작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동기식 점멸형 시각경보기의 전원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드시, 교류 스위치(SW1)와 교류 휴즈(F1)를 통하여 교류 전원 AC 220V가 전원 트랜스(PT)의 1차측에 가해지면, 전원 트랜스의 2차측에 유도된 교류 전압은 다이오드(D1,D2)에서 정류되어 맥류가 전원 계전기(RY1)에 가해진다. 이때 전원 계전기의 접점(RY1-P)은 도 3과 같이 연결되어 교류 전원에 의한 전원이 공급된다. 동시에, 다이오드(D3)와 저항(R1)을 통하여 내장된 축전지(BA)를 충전시킨다.
즉, 교류 전원에 의한 전원은 다이오드(D1,D2)에 의해서 정전류원으로서 동작 스위치(SW2)와 출력 보호 휴즈(F3)를 통하여 공급되고, 정전 등으로 인해서 교류 전원이 차단되면 전원 계전기(RY1)의 전원 동작 스위치(SW2)와 출력 보호 휴즈(F3)에 가해진다.
한편, 연동 및 시험 스위치 동작에 대해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 수신기(200)로 부터 경종 전압인 24V가 가해지면, 이 전압은 다이오드(D5)를 통해서 연동 계전기(RY2)에 전달된다. 이때 연동 계전기의 접점(RY2-P)은 도 3과 반대가 되어 동기 신호 발생회로의 저항(R2)에 정류 다이오드(D1,D2)의 정류 전압을 전달한다. 그 외에도 정전으로 인하여 단선이 되었을 경우에도 내장된 축전지에 충전된 전원을 전원 계전기의 접점(RY1-P)을 통해서 전달한다.
자체 동작 시험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동작시험 스위치(SW2)를 동작시켜서 다이오드(D4)를 통해서 전원 계전기의 접점(RY1-P)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연동 계전기(RY2)를 동작시키고, 다이오드(D1,D2)의 정류 전압이나 축전지(BA)의 충전 전압을 동기신호 발생회로에 저항(R2)을 통해서 전원을 가함으로서 자체 시험을 할 수 있다.
또한, 동기 신호 발생 회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 수신기로부터 화재 신호(24V)나 동작 시험 스위치(SW2)로 자체 시험을 하고자 하면, 다이오드(D4,D5)를 통하여 공급되는 24V의 화재 신호나 또는 전원 계전기의 접점(RY1-P)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인해서 연동 계전기(RY2)가 동작된다. 또한 접점(RY2-P)에 의해서 다이오드(D1,D2)의 정류 전압이나 축전지(BA)의 충전 전압이 저항(R2)을 통해서 콘덴서(C1)에 충전되며, 정전압 다이오드(ZD1)에 의해서 일정한 전압이 발진회로와 발진 IC(IC1)에 가해지면 발진 IC의 6번 및 7번에 연결된 저항(R3,R4)과 콘덴서(C2)의 시정수에 의해서 발진이 수행되며 발진 출력 3번에서 결합 콘덴서(C4)를 통해서 저항(R5)에 가해진다. 저항(R5)의 양단에 유기된 전압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하이 및 로우 신호를 가한다.
하이 신호가 인가될 때에는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전류가 흘러서 순간적으로 출력 계전기(RY3)를 동작시켜서 출력 계전기의 접점(RY3-P)를 통해서 다이오드(D1,D2)의 정류 전압이나 축전지(BA)의 충전 전압이 순간적으로 단속되어 동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4는 상기 동기 신호 발생 회로에 의해서 발생된 동기 신호가 포함된 24V 전원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드시, 동기 신호은 24V 신호에 일정 주기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어서 동기식 점멸형 시각 경보기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동기식 점멸형 시각 경보기의 발진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릿지 정류 다이오드(BRD1)는 전원 장치에서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무극성으로 내부 회로에 공급한다. 이 전원이 다이오드(D7)을 통해서 필터 콘덴서(C6)에 가해지고 정전압 IC(IC2)의 입력에 가해져서 정전압 IC(IC2)의 출력은 필터 콘덴서(C7)에 의해서 정전압이 발진회로에 가해진다.
또한, 브리지 정류 다이오드(BRD1)를 통한 전원은 다이오드(D8)를 통해서 필터 콘덴서(C5)에 가해져서 동기 신호에 의한 동작 전원이 되며, 저항(R9)에 인가된 전원은 신호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 신호가 된다.
정전압 IC(IC2)의 정전압이 필터 코일(CH1)을 통하게 되며, 저항(R6)이 발진 트랜스(OSC)의 베이스 코일(L1)에 가해지며, 발진 트랜스(OSC)의 콜렉터 코일(L2)에 가해진다. 저항(R6)에 의하여 발진 트랜지스터(TR2, TR3)의 베이스테 가해지면, 푸시-풀 발진이 시작되며 출력 코일(L3)에 전압이 유도되고 다이오드(D9)에 의해서 정류된 전압이 콘덴서(C9)에 충전된다.
비동기식 점멸 동작, 즉 동기 신호가 없는 전원으로 동작될 경우에 대해서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덴서(C9)에 충전된 전압이 저항(R7)과 콘덴서(C10)의 시정수에 의해서 콘덴서(C10)에 충전되며, 이 충전된 전압에 의해서 저항(R8)과 콘덴서(C11)의 시정수로 콘덴서(C11)에 충전된다. 콘덴서(C11)에 충전된 전압이 다이액(DB)의 동작 전압 이상이 되면 다이액(DB)의 관통전압이 SCR의 게이트와 필터 콘덴서(C12)에 가해져서 SCR은 도통 상태가 된다. 이 때, 콘덴서(C10)에 충전된 전압이 트리거 코일(TL1)의 1차측을 통해서 SCR의 아노드와 캐소우드로 방전 전류가 흐르고 트리거 코일(TL1)의 2차측에 유도된 전압이 크세논 램프의 트리거 단자에 순간적으로 고압이 가해지고 콘덴서(C9)에 충전된 전압이 크세논 램프를 통하여 방전을 하므로 크세논 램프가 점등된다.
콘덴서(C9)가 방전되면 푸시-풀 발진 회로에 의해서 다시 충전이 되며 저항(R7)과 콘덴서(C10)의 시정수와 저항(R8)과 콘덴서(C11)의 시정수에 의해서 반복되어 크세논 램프가 점멸 점등된다.
이제, 동기식 점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4V가 인가되었을 때에는, 24V의 전압이 브릿지 정류 다이오드(BRD1)를 통해서 다이오드(D8)에 가해지며 콘덴서(C5)는 충전된다. 또한, 상기 +24V는 저항(R9)에 의해서 신호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와 저항(R10), 콘덴서(C13)에 인가된다. 이 때, 신호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 전류가 저항(R11)을 통해서 흘러서 트리거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에 로우 신호를 가하게 되며, 이어서 트리거 트랜지스터(TR5)는 동작하지 못하게 되어 SCR은 동작하지 못한다.
다음에, - 동기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원 장치에서24V의 단속 동기신호가 인가되면, 브리지 정류 다이오드(BRD1)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이 순간적으로 로우가 되고, 저항(R9)에 가해지는 전압이 로우가 되며 신호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 신호가 로우가 된다.
이때, 신호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되어 트리거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는 저항(R11)을 통해서 콘덴서(C5)에 충전된 전압이 가하여 져서 트리거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 하이가 된다. 또한 콘덴서(C5)에 충전된 전압이 저항(R12)을 통하여 트리거 트랜지스터(TR5)의 콜렉터 전류가 SCR의 게이트에 하이 신호를 가하여 SCR은 도통 상태가 되며 콘덴서(C10)에 충전된 전압이 트리거 코일(TL1)의 1차를 통하여 SCR의 아노드와 캐소우드로 방전 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한 트리거 코일(TL1)의 2차측에 유도된 전압으로 인해서 크세논 램프의 트리거 단자에 순간적으로 고압이 가하여 지고 콘덴서(C9)에 충전된 전압이 크세논 램프를 통하여 방전을 하게되므로 크세논 램프가 점등된다.
또 다시, 24V의 전압이 브리지 정류 다이오드(BRD1)를 통하여 다이오드(D8)에 가해지면 저항(R9)에 의하여 신호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 하이 신호를 가하게 되며 트리거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에 로우 신호가 가해지며 SCR은 동작 정지가 된다.
다시 푸시-풀 발진회로에 의해서 콘덴서(C9)는 충전이 시작되며, 다시 (-) 동기 신호에 의하여 반복 동작을 한다.
본 고안을 실시함으로서, 화재가 발생할 때, 청각 장애인을 비롯하여 대피자들이 시각적인 공황상태에 빠지지 않고 안전하게 화재 장소로 부터 대피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화재 감지기, 화재 수신기, 경종 및 점멸형 시각 경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멸형 화재 경보기 장치에서,
    화재 수신기 및 24V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수신기에서 화재 신호를 감지할 때 이에 반응하여 24V의 전원이 인가되어서 경보음을 울리는 경종과,
    상기 화재 수신기에 접속되어 화재 수신기에서 경종 신호를 보낼 때 동기 신호가 포함된 24V 전압을 점멸형 시각경보기에 공급하는 점멸형 시각 경보기 전원 장치와,
    상기 전원 장치에 연결되어 화재 수신기에서 화재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전원 장치로 부터 동기 신호가 포함된 전압에 의해서 점멸되는 점멸형 시각 경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멸형 화재 경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장치는 교류 전원(AC 220V)이 1차측에 인가되는 전원 트랜스(PT)와,
    상기 전원 트랜스의 2차측에 유도된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D1,D2)와,
    상기 다이오드 출력에 연결되어 맥류를 전달하는 계전기(RY1)와,
    화재 수신기로 부터 경종 전압이 인가될 때 이를 전달하는 연동 계전기(RY2)와,
    발진 회로 및 발진 IC(IC1)와,
    발진 출력에 베이스가 연결되어 발진 출력의 하이 또는 로우 상태에 따라서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트랜지스터(TR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형 화재 경보기.
KR2020020029324U 2002-10-01 2002-10-01 점멸형 화재 경보기 KR2002995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324U KR200299571Y1 (ko) 2002-10-01 2002-10-01 점멸형 화재 경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324U KR200299571Y1 (ko) 2002-10-01 2002-10-01 점멸형 화재 경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571Y1 true KR200299571Y1 (ko) 2002-12-31

Family

ID=7307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324U KR200299571Y1 (ko) 2002-10-01 2002-10-01 점멸형 화재 경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5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36B1 (ko) * 2007-05-22 2009-05-25 올라이트라이프주식회사 동기식 시각경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36B1 (ko) * 2007-05-22 2009-05-25 올라이트라이프주식회사 동기식 시각경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3657A (en) Exit illuminating system
US4977351A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US20080001726A1 (en) Building alarm system with synchronized strobes
US5694118A (en) Gas detection and alarm system for monitoring gas such as carbon monoxide
JP2012506124A (ja) 寿命終了時の自動バッテリ放電を有した生活安全装置
JPH06333176A (ja) 可視報知手段を備えた雰囲気状態検出器
KR200299571Y1 (ko) 점멸형 화재 경보기
KR100560842B1 (ko) 배전반에 사용되는 경보 장치
WO1994023402A1 (en) Versatile fire alarm, evacuation and emergency lighting system
KR20080090871A (ko) 시청각 복합형 피난유도 시스템
KR870001306B1 (ko)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JPH0954885A (ja) 火災警報器
JP2004107013A (ja) エレベータ音声報知装置
KR200241333Y1 (ko) 음성 또는 점, 멸형 유도등회로
JP4001898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368801B1 (ko) 무정전 전원 안전공급장치
KR200223319Y1 (ko) 음성 또는 점, 멸형 유도등회로
JPH0615354Y2 (ja) 火災報知装置用電源装置
KR20050070655A (ko) 비상구 유도시스템
US6469456B2 (en) Sparkle suppression circuit to protect the contact terminals of operation light bulbs
JP3950039B2 (ja) 無停電電源装置を備えたcatvシステムにおける無停電電源装置の電源監視方法
KR100215677B1 (ko) 경보 및 고지 기능을 부가한 차단기
JPH06290352A (ja) 誘導灯装置
JPH07293981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00294025B1 (ko) 스트로보방전관을이용한비상구유도등구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