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306B1 -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306B1
KR870001306B1 KR1019830002932A KR830002932A KR870001306B1 KR 870001306 B1 KR870001306 B1 KR 870001306B1 KR 1019830002932 A KR1019830002932 A KR 1019830002932A KR 830002932 A KR830002932 A KR 830002932A KR 870001306 B1 KR870001306 B1 KR 870001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mergency
circuit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239A (ko
Inventor
하루요시 우라베
하가쥬니찌
미유끼 구보
Original Assignee
니뽄 게이비 호쇼 가부시끼 가이샤
이이다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1442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359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7512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98296A/ja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게이비 호쇼 가부시끼 가이샤, 이이다 아끼라 filed Critical 니뽄 게이비 호쇼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 장치와 관련된 보안장치의 계통도.
제2도는 제1도의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 장치 일부의 세부 블럭선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 장치의 일부 변형 블럭선도.
제4도는 제1도의 휴대용 비상사태표시 장치의 전형적인 휴대용 케이스에 내장형태를 도시하는 투시도.
제5도는 제1도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상사태 감지기 2 : 보안장치
3,4 : 안테나 51 : 신호수신회로
52 : 신호복조회로 53 : 변별유니트
54 : 메모리 유니트 55 : 구동 유니트
56 : 표시유니트 57 : 제1전원유니트
58 : 제2전원유니트 RR,RD,RS : 릴레이
OSC : 펄스 발생기
본 발명은 정해진 영역에서 발생한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을 음향 및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휴대용 비상사태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휴대용 비상사태표시 장치는 사용자 주거지 또는 사무실과 같은 일정한 영역을 비인가자의 침입, 재산의 파괴 또는 제거, 화재, 장비 파손등으로부터 보호하기위한 경보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종래 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모니터실 또는 중앙경보 제어실은 경보시스템에 의해 보호되는 일정한 영역에 배치되어 화재, 비인가자의 침입 및 다른 형태의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 사태를 모니터한다. 말하자면, 중앙경보 제어실에서 모니터하는 사람이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 사태가 발생할때, 필요한 경보 작동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일정한 보호 영역 제어기와 같이,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 사태를 모니터하는데 특정한 사람이 필요한 경우 모니터장치는 제어실에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종래의 포켓벨은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에 대해 경보를 울리는데 자주 사용되지만, 그러나 그러한 포켓벨은 경보 신호에 대한 대응 신호를 전송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보호 영역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수단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고 신호를 자동적으로 전송하는 수단도 없다. 또한, 종래 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인가된 감시자가 모니터실에 항상 있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종래의 시스템에는, 인가된 감시자가 제어기실에 없을 경우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을 제어자에게 알리는 것이 불가능하며, 결과적으로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조치를 즉시 취할수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경보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결점을 없애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인이 그의 방에 없을 경우라도 경보 시스템에 의해 보호되는 일정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을 특정인, 예를들어, 제어자에게 즉각 알릴 수 있는 휴대용 비상사태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한 영역의 보안을 위해 경보시스템에서 고정배치 보안장치와 상호연락할 수 있는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휴대용 비상사태표시 장치는 보안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변조되고 코드화된 비상사태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 회로와, 신호 수신회로에 접속되어 비상사태 정보신호를 코드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복조 회로와, 변별 유니트에 접속된 메모리 유니트에 기억된 일정한 신호코드를 기초로하여 비상사태 정보 신호를 변별하기 위해 배치된 변별 유니트와, 변별 유니트로부터 전송된 출력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동작되도록 장치된 구동회로와,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특정인에게 비상사태를 표시하여 알리기 위한 표시 유니트와, 상술된 회로와 유니트에 전원을 제공하는 내장된 배터리를 구비한다. 또한 비상사태표시 장치는, 비상사태표시 장치가 특정인에 의해 동작됨에 따라 구동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위치 유니트와, 스위치 유니트에 접속되고 보안장치가 일정한 영역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 형태로 비상사태 정보 신호를 즉각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변조되고 코드화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 발생회로와, 신호발생 회로에 접속되고 변조 및 코드화된 신호를 보안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신호 송출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의 양호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있어서, 비상사태 감지기(1)는 경보시스템에 의해 보호되는 일정한 영역에 적당히 배치된다. 감지기(1)는 화재, 비인가자의 침입, 가스누출, 장비파손, 등과 같은 여러 형태의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 사태를 감지한다. 비상사태 감지기(1)는 경보제어실과 같은 보호 영역(G)내의 정해진 장소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보안장치(2)에 공통 접속된다. 보안장치(2)의 구조와 기능은 시로 시라이등의 이름으로 공동 계류중인 출원서에 기재되어 있다. 보안장치(2)는 신호 전송파 신호 수신을 위한 안테나(3)가 구비된다. 안테나(4)는 본 발명의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 장치(5)에 구비된다. 안테나(3,4)는 보안장치(2)와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5)사이에서 상호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한개 또는 그 이상의 비상사태 감지기(1)가 보호 영역(G)에서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 사태를 감지할 때, 보안 장치(2)는 수초동안 계속되는 파일롯트 신호를 포함하며 코드화되고 변조된 비상사태 정보신호를 발생시키고, 다음 비상사태 신호를 발생시킨다. 비상사태 정보 신호는 안테나(3)를 통해 전송된다.
비상사태 표시 장치(5)는 안테나(4)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회로(51)와, 신호 수신회로(51)에 접속된 신호 복조회로(52)와, 변별 유니트(53)에 접속된 메모리 유니트(54)와, 변별 유니트(53)에 의해 동작될 때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을 시각적 또는 음향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유니트(56)를 구동하는 구동회로(55)와, 전기 배터리로 구성된 제1과 제2전원 유니트(57)(58)를 구비한다. 장치(5)는 제1전원 유니트(57)에 접속된 솔레노이드 릴레이(RR)와 펄스발 진기(OSC) 및 구동 회로(55)에 접속된 솔레노이드 릴레이(RD)를 구비한다. 릴레이 (RR)는 개방 접점(rr)을 작동시키며, 릴레이(RD)는 두개의 개방 접점(rd1) (rd2)을 작동시킨다. 펄스 발진기(OSC)는 항상 각각 수 msec 정도의 폭을 갖는 전기 펄스를 발생한다. 상기 펄스의 주파수는 상기 파일로트 신호가 계속되는 시간 주기보다 더 짧도록 설계된다. 펄스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전기 펄스는 솔레노이드 릴레이(RR)를 단속적으로 활성화 시킨다. 그 결과로서, 릴레이(RR)는 접점(rr)을 단속적으로 폐쇄시켜 제1전원 유니트(57)의 전원이 접점(rr)을 통해 신호 수신 회로(51)에 단속적으로 공급된다. 접점(rr)의 폐쇄 주파수는 전기 펄스의 주파수에 정확하게 일치된다. 신호 수신 회로(51)에 전원이 단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회로(51)는 안테나(3)(4)를 거쳐 보안 장치(2)로부터 전송된 비상사태 정보 신호의 파일로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코드화되고 변조된 무선 신호 형태로 수신된 파일로트 신호는 복조 회로(52)에 의해 복조된 다음 변별 유니트(53)로 전송된다. 복조된 파일로트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변별 유니트(53)는 메모리 유니트(54)에 기억된 소정의 파일로트 신호 코드를 기본으로 하여 복조된 파일로트 신호 코드를 기본으로 하여 복조된 파일로트 신호가 보안장치(2)로부터 전송된 실제 파일로트 신호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복조된 파일로트 신호가 실제 파일로트 신호로 판별되었을 때, 제1전원 유니트(57)에 접속된 솔레노이드 릴레이 (RR)와 전원 유니트(58)에 접속된 솔레노이드 릴레이(RS)는 소정의 시간 주기, 예를들어, 약 10초동안 동시에 즉각 활성화된다. 그러므로, 장치(5)는 파일로트 신호 다음에 보안 장치(2)로부터 전송된 수백 msec폭을 갖는 비상사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도는 상술된 변별 유니트(53)와 메모리 유니트(54)의 내부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다. 유니트(54)는 파일로트 신호가 실제 파일로트 신호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파일로트 신호 변별 회로(531)와, 비상사태 정보 신호의 비상사태 신호가 본 발명의 장치(5)와 그 사용자의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가를 판별하기 위한 코드 일치 변별회로(532)와, 비상사태 정보 신호중의 비상사태 신호로부터 비상사태의 형태를 변별하기 위한 비상사태 변별신호(533)와, 3개의 어드레스 지정회로(534)(535)(536)와, 파일로트 신호 변별 신호(531)에 접속된 타이머 회로(537)와 코드 일치 변별 회로(532)에 대한 신호 라인에 장치된 접점(rs)을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릴레이(RS)를 구동시키기 위한 릴레이 구동 회로(538)를 구비한다. 메모리 유니트(54)는 파일로트 신호 코드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 회로(541)와, 본 발명의 비상사태 표시 장치(5)와 그 사용자의 고유 코드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 회로(542)와, 비상사태 코드의 형태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 회로(534)를 구비한다. 메모리회로(541)는 판독 신호가 회로(531)로부터 어드레스 지정회로(534)를 거쳐 전송될 때, 파일로트 신호 코드를 파일로트 신호 변별 회로(531)에 공급하기 위해 장치되어 있다. 메모리 회로(543), 비상사태 변별 회로(533) 및 어드레스 지정회로(536)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메모리 회로(542), 코드 일치 변별 회로(532), 및 어드레스 지정회로(535)에 대해서도 유사한 장치가 제공된다.
제1도와 제2도에 있어서 신호 수신 회로(51)는 파일로트 신호 다음에 비상사태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복조 회로(52)를 통해 변별 유니트(53)로 보낸다. 그러므로, 유니트(53)의 접접(rS)이 타이머회로(537)에 의해 세트된 일정한 시간주기동안 폐쇄되며, 복조된 비상사태 신호를 코드 일치 변별회로(532)로 보낸다. 이 단계에서, 복조된 비상사태 신호는, 장치(5) 사용자를 변별하기 위한 사용자 코드와, 장치(5) 그 자체를 변별하기 위한 기계 코드 및 비상사태를 형태를 변별하기 위한 비상사태 코드를 포함한다. 그래서 복조된 비상사태 신호가 회로(532)로 전달되었을 때, 이 신호는 메모리 회로(542)로부터 판독된 일정한 코드를 기본으로 하여 비상사태 표시 장치(5)에 전달될 실제의 비상사태 신호인가에 대해 변별이 된다. 복조된 비상사태 신호가 실제 비상사태 신호인 것이 변별되었을 때, 상기 신호는 비상사태 변별 회로(533)로 전송되어 비상사태의 형태가 메모리 회로(543)에서 판독된 소정의 코드에 의거하여 변별된다. 다음 변별된 비상사태 신호는 구동회로(55)로 전송된다. 구동 회로(55)가 소정의 비상사태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회로(55)는 솔레노이드 릴레이(RD)를 동작시켜 접접(rd1)(rd2)을 폐쇄시킨다. 그 결과, 전원이 제2전원 유니트(58)로부터 폐쇄 접접(rd2)을 거쳐 표시 유니트(56)에 공급된다. 따라서 구동회로(55)와 폐쇄접접(rd1)을 거쳐 변별 유니트 (53)로부터 전송된 비상사태 신호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표시 유니트(56)에 표시된다. 즉, 표시 유니트(56)의 경보 램프 또는 버저가 작동되어 비상사태 발생 뿐만 아니라 비상사태 형태가 표시된다. 예를들어 화재를 나타내는 경보 램프가 발광된다. 제어하는 사람과 같은 특정인이 비상사태를 인식하였을 때, 제어자는 보호 영역 외부인 경찰서, 소방서 등에 전화를 하거나 보호 영역에서 발생된 비상사태에 대해 다른 전송 장치를 이용하여 도움을 요청하는 등과 같은 비상사태가 수습될 수 있는 필요한 조취를 취할 수 있다. 제어자는 물론 모니터 엔지니어에게 적당한 명령을 하기 위해 모니터실내의 엔지니어와 상호 연락할 수 있다.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 장치(5)의 표시 유니트(5)상의 비상사태 표시는 비상사태가 제어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는 다른 비상사태 정보 신호가 보안장치(2)로부터 장치(5)에 전송될 때 종료된다. 즉, 장치(2)로부터 전송된 비상사태 정보 신호는 사용자 코드, 기계코드, 비상사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비상사태 신호와 파일로트 신호로 구성된다.
신호 수신회로(51)에 의해 수신된 비상사태 정보 신호는 비상사태 발생을 표시하는 상기 비상사태 정보 신호가 동일한 방법으로 장치(5)에서 처리된다. 결과로서, 비상사태 정보 신호의 비상사태 제어신호가 실제 비상사태 제어 신호인 것이 판별되었을 때, 신호는 구동 호로(55)로 전송된다. 그래서 비상사태 제어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구동회로(55)는 솔레노이드 릴레이(RD)를 비활성화시켜 접접(rd0)(rd0)을 개방한다. 따라서, 제2전원 유니트로부터 표시 유니트(56)까지의 전원 공급이 정지되고, 표시 유니트(56)상의 비상사태 표시가 종료된다.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 장치(5)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표시유니트(56)는 액정 표시기 또는 음극선관(CRT)표시기와 확성기를 구비하여 비상사태의 발생 장소를 액정 표시기 또는 CRT 표시기의 지도상에 정확하게 표시한다. 비상사태의 형태는 부호, 숫자, 문자, 단어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비상사태가 화재인 경우 확성기로 방송이 될 수도 있다.
표시 유니트(56)가 액정 표시기 또는 CRT표시기를 구비하는 경우에, 변별 유니트(53)와 메모리 유니트(54)는 제3도에 표시된 유니트(53′)(54′)에 대응하도록 변형되어야 한다.
메모리 유니트(54′)는 장소 정보 변환 회로(539b), 표시 패턴 선택 회로(539c)와 어드레스 지정 회로(539c)가 부가적으로 장치된다. 장소 정보 변환 회로(539a)는 코드 일치 변별 회로(532)와 비상사태 변별회로(533)에 접속된다. 표시 패턴 선택회로(539 b)는 비상사태 변별 회로(533)와 장소 정보 변환 회로(539a)에 접속된다.
메모리 유니트(54′)는 부가적인 메모리 회로(544)가 서로 다른 형태의 비상사태에 따라 정해진 표시 패턴 코드를 기억하는 점에서 볼 때 유니트(54)와 서로 다르다. 판독 신호가 회로(539b)로부터 어드레스 지정회로(539c)를 통해 회로(544)로 전송될 때 메모리 회로(544)는 표시 패턴 코드를 표시 패턴 선택회로(539b)에 공급한다.
장소 정보 변환 회로(539a)는 코드 일치 변별 회로(532)와 비상사태 변별 회로(533)로 부터의 신호가 회로(539a)내로 입력될 때 일정한 보호 영역(G)내의 비상사태 발생 장소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한다. 다음, 장소 신호는 표시 패턴 선택 회로(539b)로 전송되며, 표시 유니트(56)상에 표시된 부호나 단어 형태는 메모리 회로(544)로부터 공급된 표시 패턴 코드에 의거하여 선택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 장치(5)는 상술한 무선 주파수 전송 방법 대신에 초음파 전송 또는 적외선 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보안 장치(2)와 상호 작용할 수도 있다.
화재, 비인가자의 침입등과 같은 비상사태 형태의 표시가 반드시 필수적이 아니라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표시 유니트(56)는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을때 발광되며, 비상사태가 제어되었을 때 발광이 종료되는 경보 램프만 구비될 수도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5)는 평저면을 가지며, 윗면(102)이 앞쪽으로 경사져 표시 패널로 형성된 케이스(100)에 내장된 탁상형 소형 전자 장치 형태로 조립된다. 즉, 경사진 윗면(102)에는 확성기(104)와 액경표시기(106)가 구비되며 버저정지 버튼(108)이 배치된다. 신호 수신안테나(4)는 케이스(100)의 측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케이스(100)에 내장된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 장치가 제어자의 책상에 설치될 때, 제어자는 표시 패널을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으며 버튼(108)을 쉽게 동작시킬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이 장치는 소형이고 경량이므로 제어자가 휴대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자는 일정한 보호 영역(G)에서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이 일어날 경우, 필요한 작용을 즉각 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보안장치(2)로부터 자동으로 송신된 비상사태 정보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장치(2)가 모니터 엔지니어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때 장치(2)로부터 전송된 다른 비상사태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도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 장치를 도시한다.
제5도의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15)는 장치(5)와 유사한 신호 수신 기능에 대하여 신호 전송기능을 가지는 점에 있어서 제1도의 장치와는 다르다. 그러므로, 비상사태 표시 장치(15)는 안테나(3)를 통해 보안장치(2)로부터 전송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같이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보안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안테나(14)를 구비한다. 즉, 비상사태 표시 장치(15)는 본 장치(15)를 휴대하고 있는 제어자 또는 다른 특정인이 경보 시스템에 의해 보호되는 일정한 영역내의 현재 상태를 점검하고자 할 때, 제어자 또는 다른 특정인이 장치(15)를 동작시켜 장치(2)가 현재 비상사태 정보 신호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무선 신호를 보안장치(2)에 전송할 수 있다. 장치(2)로부터 전송된 현재 비상사태 정보 신호는 사용자코드,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코드, 정상코드와 비상사태 형태표시 코드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현재 비상사태 정보 신호는 일정한 영역의 어떤 부분이 비상사태인가를 표시하는 비상사태 장소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상태가 판단이 되는, 비상사태 표시장치(15)는 제어자 또는 다른 특정인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 유니트(61)와, 스위치 유니트(61)로부터 발생된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변조 및 코드화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스위치 유니트(61)에 접속된 신호 변조 회로(62)와, 안테나(14)를 사용하여 신호 변조 회로(62)에서 코드화되고 변조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신호 송출 회로(63)를 구비한다. 변조 및 코드화된 신호는 사용자코드, 본 장치의 기계 코드와 일정한 보호 영역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표시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송출된 신호가 안테나(3)를 거쳐 보안장치(2)에 의해 수신될 때, 장치(2)에 의해 변별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상기 신호가 본 비상사태 표시 장치(15)로부터 송출된 실제 신호일 때, 장치(2)는 상술된 현재의 비상사태 정보 신호를 즉각 전송한다. 현재의 비상사태 정보 신호는 안테나(14)를 통해 장치(15)의 신호 수신회로(151)에 의해 수신된다. 이 신호는 신호 복조 회로(152)를 거쳐 변별 유니트(153)로 전송된다. 변별 유니트(153)에서 현재 비상사태 정보 신호가 처리되며 메모리 유니트(154)에 미리 저장된 소정의 사용자 코드 및 기계코드와 비교하여 본 장치로 전송된 비상사태 정보가 실제 비상사태 정보인지 아닌가를 판단한다. 현재 비상사태 정보 신호는 또한 변별 유니트(153)에 의해 처리되어 메모리 유니트(154)에 저장된 소정의 비상사태 형태 코드와 비교하여 일정한 보호영역의 전체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또는 비상사태나 비정상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인 경우, 어떤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의 형태가 보호 영역에서 일어났는가에 대해 판별이 된다. 상기 처리후에, 현재 비상사태 정보 신호는 구동 회로(155)를 거쳐 표시유니트(156)로 전송되며, 표시 유니트는 비정상 및 비상사태의 장소를 표시하기 위한 경보 램프와 버저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어자는 일정한 보호 영역의 현재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어자는 전화 또는 다른 적당한 경보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여 비상사태를 소방서, 경찰서에 알리는 것과 같은 보안 조치를 즉각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 장치(15)에 의하면, 제어자 또는 특정인이 일정한 보호 영역의 모니터실내에 고정 배치된 보안장치(2)와 상호 연락을 할 수 있다.
보안 장치(1)가 비상사태 감지기(1)에 의해 비상사태 또는 비정상을 감지함에 따라 비상사태 정보신호를 전송할 때, 비상사태 정보 신호는 제1도의 비상사태 표시 장치(5)와 유사한 방식으로 비상사태 표시장치(15)에 의해 수신 처리된다. 그래서, 장치(15)에 의한 비상사태 정보 신호의 처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비상사태 표시 장치(15)는 설명된 무선 주파수 전송 방법 대신에 초음파 전송 및 적외선 전송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유니트(156)는 상술한 경보 램프와 버저 대신에 액정 표시기 또는 CRT 표시기 및 방송 시스템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장치(15)는 제4도의 케이스 (100)와 유사한 케이스에 내장이 될 수 있어 액정 표시기 또는 CRT 표시기와 방송 시스템의 확성기가 케이스의 전면 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부터 볼 때, 본 발명은 일정한 보호 영역의 보안을 위해 경보 시스템과 더불어 사용되는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장치는 소형이며 경량이고 특정인이 그의 방에 있지 않는 경우라도 일정한 영역에 비상사태가 일어난 것을 특정인에게 즉각 알려줄 수 있다.

Claims (11)

  1. 일정한 영역의 보안을 위해, 파일로트 신호 다음에 비상사태 신호가 나오는 형태의 코드화되고 변조된 비상사태 정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고정배치된 보안 장치(2)와 상호 연락 가능하며, 상기 보안장치(2)로부터 전송된 변조 및 코드화된 파일로트 신호와 비상사태 신호 형태의 비상사태 정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신호 수신회로(51)를 구비하며, 상기 비상사태 정보 신호의 파일로트 신호 및 비상사태 신호를 각각 코드화된 신호를 복조시키기 위해 상기신호 수신회로에 접속된 복조 회로(52)를 구비하며, 변별회로에 각각 접속된 메모리 회로로부터 기억된 소정의 신호 코드를 판독하고 이를 기본으로 하여 상기 파일로트 및 비상사태 신호의 변별을 수행하도록 장치된 변별회로(531 내지 533)를 갖는 변별 유니트(53)를 구비하며, 상기 변별 유니트(53)로부터 전송된 출력 신호의 수신과 동시에 작동이 되도록 장치된 구동회로(55)를 구비하며, 특정한 사람에게 비상사태를 표시하여 알리기 위해 상기 구동 회로(55)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표시 유니트(56)를 구비하며, 상술된 회로 및 유니트에 전기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내장된 배터리(57,58)를 구비하는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57,58)와 상술된 회로 및 유니트 사이에 장치되어 통상 개방된 접촉부(rr)를 갖는 단속적으로 활성화되는 릴레이(RR)와 :
    상기 단속적으로 활성화되는 릴레이(RR)로 펄스를 발생하기 위해 장치된 펄스 발진기 수단(OSC)을 구비하며, 상기 펄스는 상기 파일로트 신호의 폭보다 더 짧은 주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사태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인에 의해 작동됨에 따라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장치와, 스위치 장치에 접속되고, 보안 장치로부터 일정한 영역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 형태의 비상사태 정보 신호를 즉각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변조 및 코드화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신호 발생회로와,
    상기 신호 발생회로에 접속되어 있으며, 변조 및 코드화된 신호를 보안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신호 송출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비상사태 정보 신호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상기 신호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변조 및 코드화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비상사태 정보 신호 및 변조 코드화된 신호는 무선주파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유니트가 일정한 영역내의 비상사태 발생은 물론 비상사태의 발생장소를 표시하기 위해 발광될 수 있는 경보 램프와 비상사태 발생을 음향으로 표시할 수 있는 버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사태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유니트가 일정한 영역내의 비상사태 발생은 물론 비상사태 형태를 표시하기 위해 발광될 수 있는 경보 램프와 음향으로 표시할 수 있는 버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유니트는 가시표시기와 확성기를 갖춘 방송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사태 표시장치는 케이스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표시 유니트가 끼워지는 윗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비상사태 표시 장치를 탁자위에 놓아 둘 수 있도록 평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배터리와 상술된 회로 및 유니트 사이에 장치된 통상 개방 상태를 갖는 단속적으로 활성화되는 솔레노이드 릴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KR1019830002932A 1982-06-30 1983-06-28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KR870001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44282A JPS593598A (ja) 1982-06-30 1982-06-30 可搬式異常表示装置
JP57-111442 1982-06-30
JP111442 1982-06-30
JP207512 1982-11-29
JP20751282A JPS5998296A (ja) 1982-11-29 1982-11-29 可搬式警備情報表示装置
JP57-207512 1982-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239A KR840005239A (ko) 1984-11-05
KR870001306B1 true KR870001306B1 (ko) 1987-07-11

Family

ID=2645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932A KR870001306B1 (ko) 1982-06-30 1983-06-28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870001306B1 (ko)
GB (1) GB2124002B (ko)
SE (1) SE4580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7699A (ja) * 1984-01-27 1985-08-17 ホーチキ株式会社 異常状態警報装置
GB2213333B (en) * 1987-12-02 1992-02-26 Morris Maram Detector units
FR2636458A1 (fr) * 1988-09-13 1990-03-16 Luminox Dispositif d'alarme sans fil par radio
US5052292A (en) * 1989-09-21 1991-10-01 Presstek, Inc. Method and means for controlling overburn in spark-imaged lithography plates
DE4141035C1 (ko) * 1991-12-12 1992-12-17 Schaaf, Norbert, 6200 Wiesbaden, D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4724A (en) * 1972-05-18 1976-03-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aging system with selectively actuable pocket printers
US4019142A (en) * 1974-08-16 1977-04-19 Wycoff Keith H Selectively callable receiver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one characteristics
CH586933A5 (ko) * 1974-11-01 1977-04-15 Int Home Systems
JPS5518084B2 (ko) * 1975-01-28 1980-05-16
JPS5551088Y2 (ko) * 1975-09-10 1980-11-28
IT1052933B (it) * 1976-01-13 1981-08-31 Voxson Spa Apparecchiatura di telesegnalazione particolarmente adatta per protezione antifurto ed antieffrazione
JPS584289Y2 (ja) * 1978-04-18 1983-01-25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を備える無線選択呼出し受信機
FR2460013A1 (fr) * 1979-06-26 1981-01-16 Agence Centrale De Services Systeme de transmission d'alarmes
JPS5665537A (en) * 1979-11-01 1981-06-03 Nec Corp Individual selection callout receiver with display
GB2071376B (en) * 1980-03-05 1983-12-07 Campbell A M Paging system
GB2108300B (en) * 1981-10-19 1985-01-30 Sunderland And South Shields W A combined communication, security and alarm radi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316709D0 (en) 1983-07-20
SE458074B (sv) 1989-02-20
GB2124002A (en) 1984-02-08
SE8303601D0 (sv) 1983-06-23
GB2124002B (en) 1986-04-16
KR840005239A (ko) 1984-11-05
SE8303601L (sv) 198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2535A (en) Add-on alert system
US4630035A (en) Alarm system having alarm transmitter indentification codes and acoustic ranging
US5365217A (en) Personal securit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4918717A (en) Alarm system hav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secured area
US5949332A (en) Fire alarm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set
US7391319B1 (en) Wireless fire alarm door unlocking interface
US6094140A (en) Portable alarm system
US5638046A (en) Security system
US5578989A (en) Personal security system with system wide testing
US4148019A (en) Security alarm transmission system
US4994787A (en) Remote intrusion alarm condition advisory system
US7227463B2 (en) Alarm systems, alarm system operating methods, and alarm extension devices
EP1991969B1 (en) Alarm system
JPH0239839B2 (ko)
WO1991014243A1 (en) Personnel monitoring man-down alarm and location system
US7057517B1 (en) Alarm network
US4631527A (en) Transmitter-receiver coded security alarm system
US6798342B2 (en) Security system with remote indication device
US5821855A (en) Recognition responsive security system
KR870001305B1 (ko) 경보시스템의 차량 유도장치
KR870001306B1 (ko) 휴대용 비상사태 표시장치
KR101158563B1 (ko) 긴급 상황을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경보 장치
KR870001469B1 (ko) 보안장치
KR200152279Y1 (ko) 경계 경보 장치
US20070182539A1 (en) Emergency area confinement and safety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6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