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326Y1 -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및 용액이 주입된 용액저장용기 - Google Patents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및 용액이 주입된 용액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326Y1
KR200299326Y1 KR20-2002-0022108U KR20020022108U KR200299326Y1 KR 200299326 Y1 KR200299326 Y1 KR 200299326Y1 KR 20020022108 U KR20020022108 U KR 20020022108U KR 200299326 Y1 KR200299326 Y1 KR 200299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solution
injection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우
Original Assignee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2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3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3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Abstract

본 고안은 반제품의 빈 저장용기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그 안에 용액을 주입하고 밀봉하는 과정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처리함으로써 위생적이면서도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및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반제품의 저장용기를 일단부 쪽에서 타단부 쪽으로 단계적으로 이송하여 주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반제품의 빈 저장용기를 상기 이송부로 공급하는 저장용기 공급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어 오는 빈 저장용기의 주입부 상부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된 빈 저장용기 안으로 용액을 주입하는 용액 주입부와,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의 주입부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된 용액 저장용기의 주입부를 접합하여 밀봉시키는 동시에, 주입부의 형상을 형성시키는 성형부와, 상기 이송부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성형된 용액 저장용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및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Liquid Injection Divice into Empty Ampules and Ampule Filled with Liquid by the Device}
본 고안은 반제품의 빈 저장용기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그 안에 용액을 주입하고 밀봉하는 과정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처리함으로써 위생적이면서도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및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주사액, 식염수, 기타 약액(이하 "용액"이라 함) 등은 작은 병(이하, 용액이 들어 있지 않은 것을 '빈 저장용기"라 하고, 용액이 들어있는 것을 "용액 저장용기"라 함)에 주입되어 판매 또는 사용된다. 이러한 의약품은 무엇보다 위생적으로 깨끗하여야 하며, 세균으로부터 철저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따라서, 용액 저장용기는 1회용으로 제조되며 밀봉처리가 잘 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제조하는 과정에서 설비가 간단하면서도 생산성이 높은 것이어야 한다.
종래에는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빈 저장용기(1)와 뚜껑(2)을 저장용기 제조공장에서 제조하고, 이를 제품 생산공장으로 운반하여 빈 저장용기(1) 안에 용액을 충전한 후 뚜껑(2)을 닫아 밀봉시킴으로써 완전한 제품(1a)을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기계장치로 어느 정도 대량생산은 가능하나, 빈 저장용기와 뚜껑의 제조공정과 용액의 주입공정이 별도의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빈 저장용기와 뚜껑을 제품생산공장으로 운반하여 용액을 주입한 후 밀봉하게 되므로, 그 과정에서 빈 저장용기 안으로 세균이 침투할 염려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저장용기를 제조함과 동시에 저장용기 안에 용액을 주입하고 열봉합하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즉, 상기 방식에 따라 저장용기를 제조하는 장치는, 도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수지를 투입하는 호퍼(10)와, 상기 호퍼(10)에 연결되고 플라스틱 수지를 배출구(21)로 밀어내는 스크류(20)와, 상기 스크류(20)에 설치되고 플라스틱 수지를 녹여주는 가열부(30)와, 상기 스크류의 배출구(21)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본체 몰드(40)와, 상기 본체 몰드(40)에 연결되는 블로어(50)와, 용액 주입부(60)와, 봉합몰드(70), 및 스크레이퍼(미도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장치로 빈 저장용기를 제조하고 용액을 주입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퍼(10)에 투입된 플라스틱 수지는 스크류(20)를 통과하면서 가열부(30)에 의해 용융되고 배출구(21)에서 튜브 형태로 압출된다. 튜브 형태로 압축된 플라스틱 수지(91)는 본체 몰드(40) 안으로 안내되고, 이 때 블로어(50)로 플라스틱 수지(91) 안에 압축공기를 불어 넣으면 일정한 형태의 저장용기(9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열된 본체 몰드(40)를 냉각시킨 후, 용액 주입부(60)로 저장용기(90) 안으로 용액을 주입함과 동시에 저장용기의 주입구를 봉합몰드(70)로 열봉합한다. 그 다음, 본체 몰드(40) 및 봉합몰드(70)를 벌리고 저장용기의 상하부에 형성된 스크랩(92)을 제거함으로써 완제품(90a)이 생산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용액 주입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장치가 크고 고가이어서 구입비 및 설치비가 증대되어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용액 저장용기를 형성한 후 가열된 몰드를 냉각시키는데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미리 공장에서 제조되고 밀봉처리된 반제품의 빈 저장용기 안으로 용액을 저장함으로써 위생적이면서도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및 용액이 주입된 용액저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용액 저장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2는, 종래의 용액 저장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의 평면도.
도4a 및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용액 주입장치의 이송부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5a 및 도5b는, 본 고안에 따른 용액 주입장치의 저장용기 공급부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6a 및 도6b는, 본 고안에 따른 용액 주입장치의 절단부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7a 및 도7b는, 본 고안에 따른 용액 주입장치의 용액 주입부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8a 및 도8b는, 본 고안에 따른 용액 주입장치의 가열부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9a 및 도9b는, 본 고안에 따른 용액 주입장치의 성형부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10a 및 도10b는, 본 고안에 따른 용액 주입장치의 배출부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11a는 반제품으로 제조된 빈 저장용기 세트의 사시도.
도11b는 본 고안에 따른 용액 주입장치로 상부가 절단된 빈 저장용기 세트의 사시도.
도11c는 본 고안에 따른 용액 주입장치로 용액이 주입되어 상부가 접합된 용액 저장용기 세트의 사시도.
도11d는 본 고안에 따른 용액 저장용기의 사시도.
도11e는 본 고안에 따른 용액 저장용기의 단면도.
도11f는 본 고안에 따른 용액 저장용기의 개봉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a:저장용기, 110:용기부,
120:주입부, 121:개봉용 절취선,
130:접합부, 131:손잡이용 돌기,
132:접착점, 200:이송부,
210:이송 안내레일, 220:이송판,
221:플랜지, 222:저장용기 안내홈,
230:지지대, 300:저장용기 공급부,
310:공급 컨베이어, 320:정지판,
330,330′:픽업, 400:절단부,
410:절단 받침대, 411:주입부 안내홈,
420:절단칼, 430:스크레이퍼,
440:미끄럼판, 500:용액 주입부,
510:호스, 520:승강대,
530:주입노즐, 600:가열부,
610,610′:히팅몰드, 620,620′:히터블록,
630,630′:냉각판, 700:성형부,
710,710′:성형몰드, 800:배출부,
810:밀대, 820:배출 컨베이어.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는, 저장용기를 일단부 쪽에서 타단부 쪽으로 단계적으로 이송하여 주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반제품의 빈 저장용기를 상기 이송부로 공급하는 저장용기 공급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어 오는 빈 저장용기의 주입부 상부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된 빈 저장용기 안으로 용액을 주입하는 용액 주입부와,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의 주입부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된 용액 저장용기의 주입부를 접합하여 밀봉시키는 동시에, 주입부의 형상을 형성시키는 성형부와, 상기 이송부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성형된 용액 저장용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이송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이송 안내레일과, 상기 이송 안내레일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돌출 플랜지로 구분되는 저장용기 안내홈을 구비하고 있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 안내레일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이송판은, 상하 2개의 판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하판 사이에 상기 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공급부는, 상기 이송부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공급 컨베이어와, 상기 공급 컨베이어 끝부분에 설치되는 정지판과, 상기 공급 컨베이어 상부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픽업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절단부는, 전후방향으로 작동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부 안내홈을 구비하고 있는 절단 받침대와, 상기 절단 받침대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절단칼과, 상기 저장용기 주입부의 상부를 잡아주는 스크레이퍼와, 상기 스크레이퍼의 하부에 설치되는 미끄럼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용액 주입부는, 용액 공급원과 연결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의 끝부분과 연결되고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하로 작동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에 장착되는 주입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가열부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용액 저장용기의 주입부를 안내하는 안내홈을 갖는 히팅몰드와, 상기 히팅몰드의 배면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 열선이 내장된 히터블록과, 상기 히터블록의 배면에 각각 결합되는 냉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가열부는, 용액 주입부와 성형부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성형부를 향하여 제1가열부, 제2가열부, 제3가열부 및 제4가열부가 연이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성형부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표면에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성형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몰드의 표면에 저장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배출부는, 용액 저장용기를 밀어주는 밀대와, 상기 밀대의 하부 일단부에 위치되는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는, 용액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개봉용 절취선을 형성하고 있는 주입부, 상기 주입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접착점을 형성하고 있는 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접합부는, 손잡이용 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하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는,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용기(100)(100a)를 일단부 쪽에서 타단부 쪽으로 단계적으로 이송하여 주는 이송부(200)와, 상기 이송부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반제품의 빈 저장용기(100)를 상기 이송부(200)로 공급하는 빈 저장용기 공급부(300)와, 상기 이송부(200)에 의하여 이송되어 오는 빈 저장용기(100)의 주입부 상부를 절단하는 절단부(400)와, 절단된 빈 저장용기(100) 안으로 용액을 주입하는 용액 주입부(500)와,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100a)의 주입부(120)를 가열하는 가열부(600)와, 가열된 용액 저장용기(100a)의 주입부(120)를 접합하여 밀봉시키는 동시에, 주입부(120)의 형상을 형성시키는 성형부(700)와, 상기 이송부(200)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성형된 용액 저장용기(100a)를 배출하는 배출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반제품의 빈 저장용기(100)는, 도11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빈 저장용기(100) 5개가 1세트(100b)로서 제조공장에서 미리 제조된 것이다. 이 때, 빈 저장용기(100) 안으로 이물질이나 세균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주입부(120)가 밀봉처리 되어 있다. 또한, 저장용기의 주입부(120)에는 개봉시 용이하게 개봉되도록 개봉용 절취선(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장용기(100)와 저장용기(100) 사이에는 분리시에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분리용 절취선(1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저장용기(100)는 본 장치의 이송부((200) 구조에 따라 그 형태와 크기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이송부(200)는, 도3에서 볼 때,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저장용기(100)(100a)를 좌측 끝부분에 설치된 공급부(300)에서 우측 끝부분에 설치된 배출부(800)까지 단계적으로 이송하여 주는 것이다.
이송부(200)의 구조는, 도4a 및 도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이송 안내레일(210)과, 상기 이송 안내레일(210) 위에 좌우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돌출 플랜지(221)에 의해 구분되는 저장용기 안내홈(222)을 구비하고 있는 이송판(220)과, 상기 이송 안내레일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작동되는 지지대(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송 안내레일(210)은 프레임에 고정되고 저장용기를 안전하게 안내하는 것으로, 공급부에서 배출부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움직이지 않고 프레임에 고정되는 있는 것이다.
또한, 이송판(220)은 상·하 2개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상·하판 사이에 상기 지지대(230)가 설치된다. 이 때, 이송판(220)의 일측 변에는 저장용기를 안내하고 이송시킬 수 있도록 돌출 플랜지(221)로 구분되는 저장용기 안내홈(222)들이 일정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판(220)의 구동은 2개의 실린더에 의해 4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이송판(220)은 좌우 구동실린더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한편, 전후 구동실린더에 의하여 일정 폭만큼 전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움직인다. 다시 말하면, 이송판(220)은 평면상 사각 형태를 따라 움직이는데, 도4a에서 도시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우측으로 이동, 뒤로 이동, 좌측으로 이동 및 앞으로 이동(원래의 위치에 돌아옴)의 4동작을 반복적으로 하며, 이송판이 우로 이동할 때마다 저장용기 안내홈(222)에 있는 저장용기들이 한 단계씩 우측으로 이송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판(220)의 좌,우측 이동거리는 저장용기 안내홈(222)의 2개의 길이 만큼만 이동된다. 또한, 1사이클(저장용기가 공급부에서 배출부까지 이송되는 동작)은 모두 10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하나의 저장용기 안내홈(222)에는 5개로 된 저장용기(100)의 1세트(100b)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도11a참조).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송부(200)의 작동을 설명하면, 좌우 구동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이송판(220)은 설정된 거리(저장용기 안내홈(222)의 2개 길이)만큼 1회 작동시 우측으로 움직인다. 이 때, 이송판(220)의 저장용기 안내홈(222)에 안내된 저장용기 세트(100b)는 돌출 플랜지(221)에 의해 1단계씩 우측으로 이송된다. 그 다음, 전후 구동실린더에 의해 이송판(220)은 뒤로 이동되어 안내레일(210)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지지대(230)가 지지대 구동실린더에 의해 안내레일(210) 쪽으로 밀착되면서 저장용기들을 떨어지지 않게 지지한다. 그리고, 이송판(220)은 좌우 및 전후 구동실린더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저장용기를 단계적(10단계)으로 배출부까지 이송하게 된다.
저장용기 공급부(300)는,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부(200)의 좌측 끝부분에 설치되고, 주입구가 밀봉된 반제품의 빈 저장용기(100)를 상기 이송부(200)로 공급하여 주는 것이다.
저장용기 공급부(300)의 구조는, 도5a 및 도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부(200)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근접되게 설치되는 공급 컨베이어(310)와, 상기 공급 컨베이어(310) 앞부분에 설치되고 저장용기를 정지시켜 주는 정지판(320)과, 상기 공급 컨베이어(310)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에 설치되고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픽업(330)(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공급 컨베이어(310)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반제품의 빈 저장용기(100)를 공급하여 준다. 정지판(320)은 공급 컨베이어(310)를 통하여 공급되는 빈 저장용기(100)의 이동을 정지시켜 준다. 픽업(330)(330′)은 정지판(320)에 의해 정지되어 있는 저장용기(100)를 집어 올려서 이송부(200)로 옮겨주는 것으로, 전후 구동실린더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작동되고, 상하 구동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구동된다.
이와 같이 저장용기 공급부(300)는, 공급 컨베이어(310)가 정지판(320)까지 저장용기(100)를 이송해 주면 픽업(330)(330′)이 저장용기를 집어 올려서 이송판(220)의 안내홈(222) 안으로 공급해 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저장용기 공급부(300)는 1회 동작시 좌우 2개의 픽업(330)(330′)에 의해 각각 5개로 된 저장용기(100)의 1세트(100b)를 이송판(220)의 저장용기 안내홈(222) 안으로 1세트씩 공급하는 것이다.
절단부(400)는, 상기 저장용기 공급부(300)에 연이어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200)에 의하여 이송되어 오는 빈 저장용기(100)의 주입부(120) 상부를 절단하는 것이다.
절단부(400)의 구조는, 도6a 및 도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작동되고, 상기 빈 저장용기(100)의 주입부 안내홈(411)을 구비하고 있는 절단 받침대(410)와, 상기 절단 받침대(410)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작동되는 절단칼(420)과, 상기 빈 저장용기 주입부(120)의 상부를 잡아주는 스크레이퍼(430)와, 상기 스크레이퍼(430)의 하부에 설치되는 미끄럼판(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절단 받침대(410) 및 절단칼(420)은 전후 구동실린더에 의해 각각 전후 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스크레이퍼(430)는 절단 받침대(410)의 구동실린더에 설치되어 있으며, 스크레이퍼 구동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구동된다.
이와 같이, 절단부(400)는 절단 받침대(410) 및 절단칼(420)이 전후 구동실린더에 의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작동된다. 이 때, 절단 받침대(410)의 주입구 안내홈(411) 안으로 빈 저장용기(100)의 주입부(120)가 안내되는 동시에 스크레이퍼(430)가 하부로 하강되면서 주입부(120)의 상부를 잡아준다. 이 상태에서 절단칼(420)이 진입하여 저장용기의 주입부(120)를 절단하게 된다(도11b참조). 주입부를 절단한 후, 받침대(410) 및 절단칼(420)은 저장용기로부터 서로 이격되는 동시에, 스크레이퍼(430)도 절단된 주입부(120)의 스크랩을 집은 상태로 후진 및 상승하여 스크랩을 밑으로 떨어뜨린다. 밑으로 떨어진 스크랩은 하부에 설치된 미끄럼판(44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용액 주입부(500)는, 절단부(400)에 연이어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200)에 의하여 이송되어 오고 주입부 상부가 절단된 빈 저장용기(100) 안으로 용액을 주입하여 주는 것이다.
용액 주입부(500)의 구조는, 도7a 및 도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액 공급원과 연결되는 용액 공급용 호스(510)와, 상기 호스의 끝부분과 연결되고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하로 작동되는 승강대(520)와, 상기 승강대(520)의 하부에 장착되는 주입노즐(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용액 공급용 호스(510)에는 용액 조절용 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용액 조절용 밸브는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있어 용액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또한, 승강대(520)는 상하 구동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작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용액 주입부(500)는, 이송부(200)에 의해 주입부(120) 상부가 절단된 빈 저장용기(100)가 정위치, 즉 승강대(520)의 직하부로 안내되면 승강대(520)가 하강한다. 이와 동시에, 주입노즐(530)이 빈 저장용기(100) 안으로 들어가서 용액을 저장용기 안으로 충전하게 된다.
가열부(600)는, 용액 주입부(500)에 연이어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200)에 의하여 이송되어 오는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100a)의 주입부(120)를 가열하여 주는 것이다.
가열부(600)의 구조는, 도8a 및 도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작동되며, 상기 용액 저장용기(100a)의 주입부(120)를 안내하는 안내홈을 갖는 히팅몰드(610)(610′)와, 상기 히팅몰드(610)(610′)의 배면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 열선이 내장된 히터블록(620)(620′)과, 상기 히터블록(620)(620′)의 배면에 각각 결합되고 구동실린더에 결합되어 있는 냉각판(630)(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가열부(600)는 히팅몰드, 히터블록 및 냉각판이 하나의 세트로 결합되어 전후 구동실린더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서로 밀착·분리 동작을 반복함으로서,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100a)의 주입부(120)를 단계적으로 가열하게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가열부(600)는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용기의 주입부를 저온에서 고온으로 점진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여러 단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열부(600)는, 용액 주입부(500)와 성형부(70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성형부(700)를 향하여 제1가열부(600a), 제2가열부(600b), 제3가열부(600c) 및 제4가열부(600d)가 연이어 설치된다. 이는 플라스틱으로 된 저장용기의 주입부(120)를 점진적으로 서서히 가열하여 가열시간을 늘려 줌으로서, 저장용기의 주입부(120)가 단시간의 고온에 타서 불량품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성형부(700)는, 가열부(600)에 연이어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200)에 의하여 이송되어 오는 가열된 용액 저장용기(100a)의 주입부(120)를 압착하여 접합시키는 동시에, 일정한 형태의 형상을 형성시켜 주는 것이다.
성형부(700)의 구조는, 도9a 및 도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작동되며 표면에 주입부(120)의 밀봉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성형몰드(710)(7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 성형몰드(710)(710′) 표면에 형성된 주입부(120)의 밀봉 형상은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밀봉 형상 외에 원형의 손잡이용 돌기의 형상 및 4개의 접착용 형상 등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몰드(710)(710′) 표면에 형성된 반구형의 밀봉형상, 원형의 손잡이용 돌기의 형상 및 접착용 형상들은 그 형태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성형몰드(710)(710′)는 각각 전후 구동실린더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작동된다.
이와 같이, 성형부(700)는 전후 구동실린더에 의해 성형몰드(710)(710′)가전후방향으로 서로 밀착·분리 동작을 반복하면서 용액 저장용기(100a)의 주입부(120)를 접합한다. 이 때, 성형몰드의 표면에 형성된 반구형의 밀봉용 형상에 의해서 용액 저장용기(100a)의 주입부(120)가 둥근 구형으로 밀봉되거나, 원형의 손잡이용 돌기의 형상에 의해서 용액 저장용기(100a)의 접합부(130)에 원형의 손잡이용 돌기(131)가 형성되거나, 4개의 접착용 형상에 의해서 용액 저장용기(100a)의 접합부(130)에 4개의 접착점(132)이 형성된다(도11c 및 도11d참조).
배출부(800)는,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부(700)에 연이어서 상기 이송부(200)의 우측 끝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200)에 의하여 이송되어 오는 성형된 용액 저장용기(100a)를 배출하여 주는 것이다.
배출부(800)의 구조는, 도10a 및 도10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작동되는 밀대(810)와, 상기 이송부(200)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밀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출 컨베이어(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밀대(810)는 전후 구동실린더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용액 저장용기(100a)를 배출 컨베이어(820)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배출 컨베이어(820)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이하, 본 고안의 용액 주입장치로 빈 저장용기 안으로 용액을 주입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장치로 용액을 주입하는 방법은, 저장용기 공급부(300)를 통하여반제품의 빈 저장용기(100)를 상기 이송부(200)로 공급하고, 상기 빈 저장용기(100)의 주입부(120) 상부를 상기 절단부(400)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빈 저장용기(100) 안으로 상기 용액 주입부(500)를 통하여 용액을 주입하고,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100a)의 주입부(120)를 상기 가열부(600)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용액 저장용기의 주입부(120)를 상기 성형부(700)로 압착하여 접합부(130)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접합부에 일정한 형태의 형상을 형성시키고, 상기 접합부(130)가 형성된 용액 저장용기(100a)를 배출부(800)를 통하여 배출함으로써 완료된다.
상기한 방법으로 완료된 본 고안의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100a)는, 도11c 내지 도11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액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부(110)와, 상기 용기부(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개봉용 절취선(121)을 형성하고 있는 한편, 주입구가 반구형 형상(123)으로 밀봉되어 있는 주입부(120)와, 상기 주입부(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4개의 접착점(132)을 형성하고 있는 접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접합부(130)에는 용액 저장용기(100a)를 개봉할 때 손으로 잡기 쉽도록 손잡이용 돌기(131)를 형성하고 있다. 용액 저장용기(100a)를 개봉할 경우 손잡이용 돌기(131)를 잡고 비틀면 개봉용 절취선(121)을 따라 접합부(130)가 쉽게 분리된다.
참고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빈 저장용기(100)의 변형과정을 첨부도면을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1a는, 반제품의 빈 저장용기(100)로서, 저장용기(100) 5개가 1세트(100b)로서 제조공장에서 미리 제조된다. 이 같은 저장용기 세트(100b)는 본 용액 주입장치의 저장용기 공급부(300)에 의해 이송판(220)의 저장용기 안내홈(222) 안으로 하나씩 공급된다(도5a 및 도5b참조).
도11b는, 저장용기 세트(100b)가 본 고안의 절단부(400)에 의해 주입부(120) 상부가 절단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도6a 및 도6b참조).
도11c는, 저장용기 세트(100b)가 본 고안의 성형부(700)에 의해 주입부(120)의 상부에 접합부(130)가 형성됨으로서 완성된 제품을 나타낸 것이다(도9b참조). 이 때, 성형부에 의해 접합부(130) 사이에는 상기 분리용 절취선(122)과 동일한 선상으로 분리용 절취선(122)이 형성된다.
도11d는, 완성된 저장용기 세트로부터 하나의 저장용기(100a)를 분리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11e는, 저장용기(100a)의 상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11f는, 용액 저장용기(100a)의 접합부를 분리해 내어 개봉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미리 공장 제작되고 주입부가 열봉합된 반제품의 빈 저장용기를 절단하고 용액을 충전하고 가열하여 접합함으로써 위생적이면서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2)

  1. 저장용기(100)(100a)를 일단부 쪽에서 타단부 쪽으로 단계적으로 이송하여 주는 이송부(200)와;
    상기 이송부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반제품의 빈 저장용기(100)를 상기 이송부(200)로 공급하는 저장용기 공급부(300)와;
    상기 이송부(200)에 의하여 이송되어 오는 빈 저장용기(100)의 주입부 상부를 절단하는 절단부(400)와;
    절단된 빈 저장용기(100) 안으로 용액을 주입하는 용액 주입부(500)와;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100a)의 주입부(120)를 가열하는 가열부(600)와;
    가열된 용액 저장용기(100a)의 주입부(120)를 접합하여 밀봉시키는 동시에, 주입부(120)의 형상을 형성시키는 성형부(700)와;
    상기 이송부(200)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성형된 용액 저장용기(100a)를 배출하는 배출부(800)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0)는,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이송 안내레일(210)과, 상기 이송 안내레일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돌출 플랜지(221)로 구분되는 저장용기 안내홈(222)을 구비하고 있는 이송판(220)과, 상기 이송 안내레일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지지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220)은, 상하 2개의 판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하판 사이에 상기 지지대(2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300)는, 상기 이송부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공급 컨베이어(310)와, 상기 공급 컨베이어(310) 끝부분에 설치되는 정지판(320)과, 상기 공급 컨베이어 상부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픽업(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400)는, 전후방향으로 작동되고 상기 저장용기(100)의 주입부 안내홈(411)을 구비하고 있는 절단 받침대(410)와, 상기 절단 받침대(410)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절단칼(420)과, 상기 저장용기 주입부(120)의 상부를 잡아주는 스크레이퍼(430)와, 상기 스크레이퍼의 하부에 설치되는 미끄럼판(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주입부(500)는, 용액 공급원과 연결되는 호스(510)와, 상기 호스의 끝부분과 연결되고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하로 작동되는 승강대(520)와, 상기 승강대(520)에 장착되는 주입노즐(5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60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용액 저장용기의 주입부(120)를 안내하는 안내홈을 갖는 히팅몰드(610)(610′)와, 상기 히팅몰드(610)(610′)의 배면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 열선이 내장된 히터블록(620)(620′)과, 상기 히터블록(620)(620′)의 배면에 각각 결합되는 냉각판(630)(6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600)는, 용액 주입부(500)와 성형부(70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성형부(700)를 향하여 제1가열부(600a), 제2가열부(600b), 제3가열부(600c) 및 제4가열부(600d)가 연이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70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표면에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성형몰드(710)(710′)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몰드(710)(710′)의 표면에 저장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는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800)는, 용액 저장용기를 밀어주는 밀대(810)와, 상기 밀대의 하부 일단부에 위치되는 배출 컨베이어(8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11. 용액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부(110)와;
    상기 용기부(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개봉용 절취선(121)을 형성하고 있는 주입부(120)와;
    상기 주입부(1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접착점(132)을 형성하고 있는 접합부(130)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130)는, 손잡이용 돌기(131)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
KR20-2002-0022108U 2002-07-24 2002-07-24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및 용액이 주입된 용액저장용기 KR200299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108U KR200299326Y1 (ko) 2002-07-24 2002-07-24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및 용액이 주입된 용액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108U KR200299326Y1 (ko) 2002-07-24 2002-07-24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및 용액이 주입된 용액저장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549A Division KR100460199B1 (ko) 2002-07-24 2002-07-24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그리고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326Y1 true KR200299326Y1 (ko) 2003-01-06

Family

ID=4939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108U KR200299326Y1 (ko) 2002-07-24 2002-07-24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및 용액이 주입된 용액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3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4995B (zh) 集制胚、吹瓶、清洗、灌装、封口为一体的灌装机
JP7149411B2 (ja) 成形装置および方法
KR100815071B1 (ko) 용기를 제조하고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GB2306382A (en) Encapsulating electronic parts using a sequence of operations
JPH0999477A (ja) 同時充填中空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460199B1 (ko)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그리고용액이 주입된 용액 저장용기
MX2007012845A (es) Aparato para transferir porciones y porcion.
CN107614239A (zh) 容器制造装置
CN209937587U (zh) 一种注塑机
KR101109621B1 (ko) 수지재 앰플의 제조장치
KR200299326Y1 (ko) 빈 저장용기에의 용액 주입장치 및 용액이 주입된 용액저장용기
JPS6353013B2 (ko)
CN203680788U (zh) 用于带口管输液塑料瓶的吹塑成型设备
CN219600204U (zh) 一种双物料注塑成型机
KR102225042B1 (ko) 사출 금형장치
CN103660252A (zh) 用于带口管输液塑料瓶的吹塑成型设备
CN206201341U (zh) 一种塑胶瓶成型机
CN1316367A (zh) 塑料卷材半硬瓶式成组液体包装工艺及其设备
JPS5916729A (ja) 射出成形型および射出成形方法
CN216423227U (zh) 多向在线群注成型自动化设备
US20070248713A1 (en) Vertical alternation type bottle blower
CN106493912B (zh) 一种塑胶瓶成型机
JPS60251633A (ja) トランスフア−モ−ルド成形方法及びその樹脂タブレツトの加圧装置
US3732055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ducing a molded sole
JPH0618882Y2 (ja) ゴム栓入りキャップ付プラスチック容器の成型充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