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135Y1 - 자동차용 도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135Y1
KR200299135Y1 KR2020020026920U KR20020026920U KR200299135Y1 KR 200299135 Y1 KR200299135 Y1 KR 200299135Y1 KR 2020020026920 U KR2020020026920 U KR 2020020026920U KR 20020026920 U KR20020026920 U KR 20020026920U KR 200299135 Y1 KR200299135 Y1 KR 200299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indow
auxiliary
do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덕
Original Assignee
임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덕 filed Critical 임재덕
Priority to KR2020020026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1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135Y1/ko
Priority to AU2003260987A priority patent/AU2003260987A1/en
Priority to PCT/KR2003/001853 priority patent/WO2004022367A2/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two cable connections to the window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한쌍의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한쌍의 가이드홈이 마주보도록 도어의 내측판에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과; 각 가이드홈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와; 상호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주창과; 주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상호 대향하는 가이드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보조창과; 주창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보조창을 승강시키는 보조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주창과 보조창이 설치되는 도어의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확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A DOOR FOR A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창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도어는 도어의 내측판에 단일의 창을 승강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모터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로 연결된 창이 승강하여 자동차의 창문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투명 유리로 이루어진 주창과, 햇빛을 차단하며 외부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일예로 선팅처리된 유리로 이루어진 보조창을 갖는, 즉 이중창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이중창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203863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이중창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는, 단일의 창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와는 달리, 주창 및 보조창을 각각 승강시키는 모터를 도어의 내측판 및 외측판에 각각 설치하고, 각 모터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와이어로 연결된 각 창이 승강하여 자동차의 창문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운전자 및 탑승자는 주위 환경 및 편의에 따라 주창 및 보조창을 구분하여 사용하거나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중창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에 있어서는, 주창 및 보조창의 상호 간섭을 피하기 위해 주창 및 보조창을 구동하는 각 모터를 도어의 내측판 및 외측판에 각각 설치하므로, 각 창 및 모터의 설치 높이 만큼 도어의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의 폭이 증대되며, 이에 도어의 사이즈가 커져 제조원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실내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창과 보조창이 설치되는 도어의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확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가이드 레일과 스톱퍼의 요부 결합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13a,13b : 가이드 레일
15 : 주가이드홈 17 : 보조가이드홈
19 : 이탈방지턱 21 : 스토퍼
31 : 가이드 41 : 주창
45 : 보조창 51 : 승강부
53,63 : 모터 55,65 : 풀리
57,67 : 와이어 61 : 보조승강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에 있어서, 한쌍의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가이드홈이 마주보도록 도어의 내측판에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각 가이드홈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와; 상호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주창과; 상기 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상호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보조창과; 상기 창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보조창을 승강시키는 보조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 및 상기 보조승강부는 각각, 모터와, 모터축에 연결된 풀리와, 상기 풀리에 권취되며 상기 가이드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단부에는 상기 가이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한쌍의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와 상기 가이드는 납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창은 투명 유리, 선팅처리된 유리, 통풍이 가능한 스크린, 아크릴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가이드 레일과 스톱퍼의 요부 결합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10)는, 한쌍의 가이드홈(15,17)이 마주보도록 도어(10)의 내측판(11)에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13a,13b)과, 각 가이드홈(15,17)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31)와, 상호 대향하는 가이드(31)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13a,13b)을 따라 승강하는 주창(41)과, 주창(4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가이드 레일(13a,13b)을 따라 승강하는 보조창(45)과, 주창(41)을 승강시키는 승강부(51)와, 보조창(45)을 승강시키는 보조승강부(61)를 갖는다.
가이드 레일(13a,13b)은 사각 단면형상을 갖는 바아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아의 일측은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13a,13b)의 개구영역은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되어, 가이드(31)가 각각 수용되는 한쌍의 가이드홈(15,17)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가이드홈(15,17)은, 설명의 편리상, 주창(41)의 양측 가장자리가 수용되며 승강하는 주가이드홈(15)과, 보조창(45)의 양측 가장자리가 수용되며 승강하는 보조가이드홈(17)으로 구별된다. 주가이드홈(15) 및 보조가이드홈(17)의 둘레에는 가이드(31)가 각 가이드홈(15,17)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9)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13a,13b)의 양단부에는 가이드(31)의 이동을 제한하고, 후술할 와이어(57,67)가 관통하는 관통공(21a)이 형성된 한쌍의 스토퍼(21)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한쌍의 가이드 레일(13a,13b)은 각 가이드 레일(13a,13b)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홈(15,17)이 마주보도록 도어(10)의 내측판(11)에 장착된 이격부재(14)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31)는 각 가이드홈(15,17)에 수용되는 본체(33)와, 본체(33)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주창(41) 또는 보조창(45)이 결합되는 창결합부(35)를 가진다.
본체(33)는 각 가이드홈(15,17)에 대응하여 사각 단면형상을 가진다. 본체(3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후술할 와이어(57,67)가 납땜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창결합부(35)는 주창(41) 또는 보조창(45)의 가장자리의 판면의 일부 영역이 수용되며, 체결수단(37)에 의해 주창(41) 또는 보조창(45)과 결합된다. 여기서, 체결수단(37)은 볼트, 리벳, 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창(41)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투명유리로 이루어지며, 도어(10)의 일 내측판(1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주창(41)은 한쌍의 주가이드홈(15) 사이에 마련되며, 주창(41)의 양측 하단 영역의 가장자리에는 주가이드홈(15)에 수용되어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가이드(31)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주창(41)에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31)는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창(45)은 햇빛을 차단하며 외부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선팅처리된 유리로 이루어진다. 보조창(45)은 주창(4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주창(41)과 달리 한쌍의 보조가이드홈(17) 사이에 마련된다. 보조창(45)의 양측 하단 영역의 가장자리에는 보조가이드홈(17)에 수용되어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가이드(31)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창(45)에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31)는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창(45)은 선팅처리된 유리 대신에 투명유리, 통풍이 가능한 스크린, 아크릴판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승강부(51) 및 보조승강부(61)는 각각, 모터(53,63)와, 모터축에 연결된 풀리(55,65)와, 풀리(55,65)에 권취되며 각 가이드(3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결합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와이어(57,67)를 갖는다.
승강부용 모터(53)와 보조승강부용 모터(63)는 도어(10)의 내측판(11)과 보조창(45) 사이에 마련되며, 도어(10)의 내측판(1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주창(41)과 보조창(45)을 승강구동하는 각 모터(53,63)의 설치 높이가 줄어들게 되어, 도어(10)의 내측판(11)과 외측판(12) 사이의 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승강부용 와이어(57)는 승강부용 풀리(55)로부터 일측 가이드 레일(13a)과 타측 가이드 레일(13b)로 각각 인출되며, 일측 가이드 레일(13a)을 향해 인출된 승강부용 와이어(57)는 일측 가이드 레일(13a)의 각 스토퍼(21)를 관통하여 주가이드홈(15)에 수용된 가이드(3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납땜에 의해 각각 결합되고, 타측 가이드 레일(13b)을 향해 인출된 승강부용 와이어(57)는 타측 가이드레일(13b)의 각 스토퍼(21)를 관통하여 주가이드홈(15)에 수용된 가이드(3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납땜에 의해 각각 결합된다. 이에, 승강부용 와이어(57)는 전반적으로 '∞'자의 형상을 가지며 폐루프를 형성하며, 후술할 보조승강부용 와이어(67)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보조승강부용 와이어(67)는 보조승강부용 풀리(65)로부터 일측 가이드 레일(13a)과 타측 가이드 레일(13b)로 각각 인출되며, 일측 가이드 레일(13a)을 향해 인출된 보조승강부용 와이어(67)는 일측 가이드 레일(13a)의 각 스토퍼(21)를 관통하여 보조가이드홈(17)에 수용된 가이드(3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납땜에 의해 각각 결합되고, 타측 가이드 레일(13b)을 향해 인출된 보조승강부용 와이어(67)는 타측 가이드 레일(13b)의 각 스토퍼(21)를 관통하여 보조가이드홈(17)에 수용된 가이드(3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납땜에 의해 각각 결합된다. 이에, 보조승강부용 와이어(67)는 승강부용 와이어(57)와 마찬가지로 '∞'자의 형상을 가지며 폐루프를 형성하며, 전술한 승강부용 와이어(57)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창(41)이 창문을 폐쇄하도록 도시 않은 제어부에 의해 승강부용 모터(5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부용 풀리(5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주창(41)에 결합되고 주가이드홈(15)에 수용된 한쌍의 가이드(31)는 주가이드홈(15)을 따라 상승하여, 이에 주창(41)은 주가이드홈(15)을 따라 상승하며 도어(10)의 창문을 폐쇄하게 된다.
반대로, 주창(41)이 창문을 개방하도록 승강부용 모터(53)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부용 풀리(65)가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주가이드홈(15)에 수용된 한쌍의 가이드(31)가 주가이드홈(15)을 따라 하강하여, 이에 주창(41)은 주가이드홈(15)을 따라 하강하며 도어(10)의 창문을 개방하게 된다.
보조승강부(61)의 작동은 전술한 승강부(51)의 작동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는 주위 환경 및 편의에 따라 승강부(51) 및 보조승강부(61)를 작동시켜, 주창(41) 및 보조창(45)을 구분하여 사용하거나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10)는 주창(41)과 보조창(45)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있고, 승강부용 모터(53) 및 보조승강부용 모터(63)가 자동차용 도어(10)의 내측판(11)에 설치되므로, 각 모터(53,63) 및 각 창(41,45)이 설치되는 도어(10)의 내측판(11) 및 외측판(12) 사이의 폭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용 도어의 내측판에 주창 및 보조창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홈들을 갖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대향 배치하고, 승강부 및 보조승강부의 각 모터를 도어의 내측판에 설치함으로써, 주창과 보조창이 설치되는 도어의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의 폭을 줄일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주창 및 보조창의 승강작동은 모터의 작동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모터 대신에 풀리에 핸들을 직결하여 핸들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풀리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주창 및 보조창을 수동으로 승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조창이 도어의 내측판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주창을 도어의 내측판에 인접하게 설치하고 보조창을 도어의 외측판에 인접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주창과 보조창이 설치되는 도어의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자동차의 실내공간을 확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한다.

Claims (6)

  1. 자동차용 도어에 있어서,
    한쌍의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가이드홈이 마주보도록 도어의 내측판에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각 가이드홈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와;
    상호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주창과;
    상기 주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상호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보조창과;
    상기 주창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보조창을 승강시키는 보조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 및 상기 보조승강부는 각각,
    모터와;
    모터축에 연결된 풀리와;
    상기 풀리에 권취되며, 상기 가이드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단부에는 상기 가이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한쌍의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와 상기 가이드는 납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창은 투명 유리, 선팅처리된 유리, 통풍이 가능한 스크린, 아크릴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KR2020020026920U 2002-09-09 2002-09-09 자동차용 도어 KR200299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920U KR200299135Y1 (ko) 2002-09-09 2002-09-09 자동차용 도어
AU2003260987A AU2003260987A1 (en) 2002-09-09 2003-09-08 A door for a automobile
PCT/KR2003/001853 WO2004022367A2 (en) 2002-09-09 2003-09-08 A door for a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920U KR200299135Y1 (ko) 2002-09-09 2002-09-09 자동차용 도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051A Division KR20040004215A (ko) 2003-11-17 2003-11-17 자동차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135Y1 true KR200299135Y1 (ko) 2002-12-31

Family

ID=3197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920U KR200299135Y1 (ko) 2002-09-09 2002-09-09 자동차용 도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99135Y1 (ko)
AU (1) AU2003260987A1 (ko)
WO (1) WO20040223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8721B1 (fr) * 2009-07-28 2011-08-26 Sigma Composite Baie a vitre et volet coulissants motorises et vehicule incorporant la baie
FR2950101B1 (fr) * 2009-09-15 2011-11-25 S Notin Sa Bloc fenetre destine a etre fixe dans une ouverture d'une paroi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1359A (en) * 1979-12-12 1982-05-25 Skipura Enterprises, Inc. Window shield for vehicle body
KR0165800B1 (ko) * 1995-12-28 1999-02-18 김태구 이중창의 파워 윈도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22367A3 (en) 2004-06-24
WO2004022367A2 (en) 2004-03-18
AU2003260987A1 (en) 2004-03-29
AU2003260987A8 (en) 200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3511A (en) Retention shield window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O5021183A1 (es) Ventana de vidrio a prueba de balas para vehiculo de motor
JP2003200855A (ja) 自動車のaピラー及びルーフレール用ビーム
KR200299135Y1 (ko) 자동차용 도어
KR20040004215A (ko) 자동차용 도어
KR200477555Y1 (ko) 자동차의 이중창문 장치
KR102424929B1 (ko) 자동차
KR200261439Y1 (ko) 카고크레인및 집게차량의 장비운전석 덮게장치
KR0132361Y1 (ko) 자동차의 도어 유리 이중 구조
US6867562B2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ovement of window panes in convertibles
KR100405810B1 (ko) 승합차의 슬라이드형 사이드윈도우
KR200211117Y1 (ko) 차량용 차광장치
KR100534300B1 (ko) 자동차용 선루프레일의 장착구조
KR200203863Y1 (ko) 자동차 도어용 이중창 구조
JP4377147B2 (ja) 自動車の窓構造
KR200273964Y1 (ko) 자동차 이중문 틀
CN117127901A (zh) 车窗用自动纱窗装置和汽车
KR20140014756A (ko) 차량용 도어 커튼의 구조
JP3387793B2 (ja) ウィンドガラスの組付方法及び組付構造
KR20090083261A (ko) 자동차용 분할식 창문
JPH02220924A (ja) 着脱式自動車用換気口
JPS6124203B2 (ko)
JPS62225417A (ja) 自動車のドアガラス組込み方法
JPH11256926A (ja) 窓ガラス昇降装置
KR20050047833A (ko) 자동차의 도어글래스용 커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