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600Y1 -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600Y1
KR200297600Y1 KR2020020028987U KR20020028987U KR200297600Y1 KR 200297600 Y1 KR200297600 Y1 KR 200297600Y1 KR 2020020028987 U KR2020020028987 U KR 2020020028987U KR 20020028987 U KR20020028987 U KR 20020028987U KR 200297600 Y1 KR200297600 Y1 KR 200297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plate
case
c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원
Original Assignee
박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원 filed Critical 박세원
Priority to KR2020020028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6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600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를 정리할 수 있는 정리함에 관한 것으로서, 수납되는 내용물에 대하여 견고함을 유지할 뿐만아니라, 측면이 절첩되도록 이루어져 제품 출하시 포장이 용이하도록 된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1)은 자동차의 트렁크에 구비되어 사용되며 덮개(15)를 열어 각종 물건을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수납하도록 이루어진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앞면부(12)와 뒷면부(13)에는 접히지 않도록 하는 단단한 판부재(19)가 내장되고, 하판(22)의 양측에 절첩가능한 측판(24)이 결합된 지지판(20)이 상기 케이스(10)의 하면부(12)와 양 측면부(14)에 대응되는 넓이로 내장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Filling cabinet used in the trunk of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를 정리할 수 있는 정리함에 관한 것으로서, 수납되는 내용물에 대하여 견고함을 유지할 뿐만아니라, 측면이 절첩되도록 이루어져 제품 출하시 포장이 용이하도록 된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에 관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조립과정도이다. 도 1에서, 각 측면의 판(2)이 쟈크구조로 연결되어 조립되어지도록 이루어져 있고, 일 측면판에 공간분할판(3)이 절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각 면에는 내부에 단단한 판부재가 구비된다.
도 2에서의 종래 고안은 케이스 측면 모서리의 각 쟈크를 열어 각 판(2)을 접은 후 포장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며, 도 3은 완전히 접은 후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종래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5는 도 4의 절첩과정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앞면부(5a)와 뒷면부(5b)가 절첩가능하게 네 개의 분리된 판(5c)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덮개는 쟈크로 케이스를 마감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하면(6)은 절첩되어야 하기 때문에 단단한 판부재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구조이다.
첫번째의 종래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은 쟈크를 사용하는 구조로서 각 모서리를 쟈크로 올려 조립하게 되는데, 오래사용하게 되면 쟈크의 성능이 떨어지거나 손상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두번째의 것은 하면(6)이 단단한 판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날카로운 공구 등의 것이 수납되었을 시 찢어질 우려가 예상될 뿐만아니라 수납되는 물건을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케이스의 덮개를 제외한 모든 면에 단단한 판부재가 적용되어 수납되는 내용물에 대하여 견고함을 유지할 뿐만아니라 측면이 절첩되도록 이루어져 제품 출하시 포장이 용이하도록 된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첩과정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첩 후 완성된 사시도이다.
도 4은 종래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도 4의 절첩과정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앞면부와 뒷면부에서 판부재의 삽입형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절첩과정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절첩 후 완성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트렁크 정리함 10: 케이스
11: 하면부 12: 앞면부
13: 뒷면부 14: 측면부
15: 덮개 16: 손잡이
17: 보조 측면백 19: 판부재
20: 지지판 22: 하판
24: 측판 24a: 접착부
30: 마감덮개 30a: 접착부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은 자동차의 트렁크에 구비되어 사용되며 덮개를 열어 각종 물건을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수납하도록 이루어진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부와 뒷면부에는 접히지 않도록 하는 단단한 판부재가 내장되고, 하판의 양측에 절첩가능한 측판이 결합된 지지판이 상기 케이스의 하면부와 양 측면부에 대응되는 넓이로 내장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1)은 각종 자동차 용품 등이 수납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하면과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2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공간분할판(도 1 참조)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바닥면이 되는 하면부(11)와, 상기 하면부(11)의 모서리에 앞면부(12), 뒷면부(13) 및 마주하는 두 개의 측면부(14)가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앞면부(12)와 뒷면부(13)에는 손잡이(16)가 형성되며, 작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보조 측면백(17)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는 일반적으로 가방에 사용되는 천으로 이루어지며, 앞면부(12)와 뒷면부(13)에는 수납되는 물건을 앞뒤 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하는단단한 판부재(19)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의 내부에 내장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물건을 수납 후 덮을 수 있는 덮개(15)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15)를 덮을 시 덮개(15)와 앞면부(12)가 겹치지는 부분에 접착부(도면 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20)은 하판(22)과 두 개의 측판(2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판(24)은 하판(22)의 양측단 모서리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22)과 측판(24)은 상기 지지판(20)이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삽입될 시, 케이스(10)의 하면부(11)와 측면부(14)의 넓이에 대응되는 넓이로 제작된다. 또한, 지지판(20)은 케이스(10)의 앞면부(12) 및 뒷면부(13)와 마찬가지로 단단한 판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측판(24)이 기립되었을 시 측판(24)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의 양 측면부(14)의 상측단 모서리에는 측판(24)의 넓이 만큼의 크기로 마감덮개(3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측판(24)이 기립되었을 시, 상기 마감덮개(30)가 측면지지판(20)을 감싸면서 덮개된다. 이후, 상기 측판(24)과 마감덮개(30)가 포개지는 일측에 각각 형성된 접착부(24a,30a)의 결합으로, 상기 마감덮개(30)는 측판(24)을 파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과 마찬가지로 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공간분할판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에서 기술된 모든 접착부는 조립 및 분해시 탈부착이 용이한 벨크로테입이 사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1)의 조립 및 분해과정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10)의 앞면부(12)와 뒷면부(13)를 하면부(11)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우고, 상기 지지판(20)의 측판(24)을 하판(22)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운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완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 후, 상기 마감덮개(30)를 이용하여 측판(24)을 완전히 덮고 마감덮개(30)의 접착부(30a)를 측판(24)의 접착부(24a)에 부착시키므로서 마감덮개(30)가 측판(24)을 파지하여 케이스(20)는 견고하게 수납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10)와 분리구성되는 공간분할판은 종래의 것과 같은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1)의 조립이 완성된다.
분해시에는, 공간분할판을 케이스(10)로부터 분리한 후 접어서 케이스(10)의 하면부(11)에 내려놓고, 그 다음 마감덮개(30)의 접착부(30a)를 분리하고 측판(24)을 절첩하여 하면부(11)와 맞닿도록 한 후 마감덮개(30)를 측면부(14)와 맞닿도록내측으로 위치시키고, 이후 앞면부(11)와 뒷면부(13)를 내측방향으로 차례로 절첩하므로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1)은 완전히 납작한 형태가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제품 출하시 제품 포장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1)은 제품 출하시 포장을 용이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 후에 덮개(15)를 제외한 모든 면에 단단한 판부재(19)가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품질을 향상시키므로서 제품의 신뢰성을 높히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트렁크에 구비되어 사용되며 덮개(15)를 열어 각종 물건을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수납하도록 이루어진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앞면부(12)와 뒷면부(13)에는 접히지 않도록 하는 단단한 판부재(19)가 내장되고, 하판(22)의 양측에 절첩가능한 측판(24)이 결합된 지지판(20)이 상기 케이스(10)의 하면부(12)와 양 측면부(14)에 대응되는 넓이로 내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부(14)의 상측 모서리에는 상기 측판(24)이 기립되었을 시, 측판(24)을 파지하는 마감덮개(30)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
KR2020020028987U 2002-09-27 2002-09-27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 KR200297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987U KR200297600Y1 (ko) 2002-09-27 2002-09-27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987U KR200297600Y1 (ko) 2002-09-27 2002-09-27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600Y1 true KR200297600Y1 (ko) 2002-12-20

Family

ID=7307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987U KR200297600Y1 (ko) 2002-09-27 2002-09-27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6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026B1 (ko) 2012-10-31 2013-05-21 조현 픽업차량 적재함용 슬라이딩 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026B1 (ko) 2012-10-31 2013-05-21 조현 픽업차량 적재함용 슬라이딩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5852A2 (en) Two-piece shipping/display container
JPH11227866A (ja) 扇風機の梱包装置
JP2019167092A (ja) 折畳み可能な車両用荷物保持部
CZ296949B6 (cs) Kryt pro dno zavazadlového prostoru motorového vozidla a skládaný kontejner pro umístení do motorového vozidla
US5328033A (en) Insert for bicycle shipping container
KR200297600Y1 (ko)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
US4487311A (en) Dual compartment display carton
JP2000238779A (ja) 組立式紙製重箱
KR102354547B1 (ko) 차량 트렁크용 콘솔 박스
US5316211A (en) Hand carrying case
CN215476392U (zh) 一种折叠箱
JP2017226409A (ja) 折畳み可能な車両用荷物保持部
JP4724155B2 (ja) 梱包箱
KR200270869Y1 (ko) 자동차 트렁크 정리함
JP5440851B2 (ja) 車両の荷室構造
JP3107354U (ja) 包装箱におけるポケット構造
JPH0712251Y2 (ja) 仕切り付き紙箱
CN217496848U (zh) 一种新型结构的瓦楞箱
KR200406280Y1 (ko) 포장박스
KR200330484Y1 (ko) 자동차용 트렁크 정리함
JP3757257B2 (ja) バイアル起立台とアンプル収納部を具備した容器
KR200334298Y1 (ko) 자동차용 조립식 케이스
GB2295992A (en) Motor vehicle package tray convertible into a container
EP1272394A1 (en) Collapsible carton box, method and blank for making same
JP2021178647A (ja) 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