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556Y1 - 에어콤프레샤의 다이아프렘 복귀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콤프레샤의 다이아프렘 복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556Y1
KR200297556Y1 KR2020020027241U KR20020027241U KR200297556Y1 KR 200297556 Y1 KR200297556 Y1 KR 200297556Y1 KR 2020020027241 U KR2020020027241 U KR 2020020027241U KR 20020027241 U KR20020027241 U KR 20020027241U KR 200297556 Y1 KR200297556 Y1 KR 200297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aphragm
air compressor
side cover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중호
Original Assignee
전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중호 filed Critical 전중호
Priority to KR2020020027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556Y1/ko

Links

Landscapes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콤프레샤의 다이아프렘 복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측면커버가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측면커버 내측에는 에어발생장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다이아프렘이 구비된 에어컴프레샤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이아프렘의 후진시 복귀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이아프렘의 신속한 복귀와 함께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에 의하여 에어공급이 양호하게 되어 어족관이나 폭기형 정화조 등에 공기를 충분하게 공급함으로서 상품의 신뢰성과 제품 안정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에어콤프레샤의 다이아프렘 복귀장치{Return device for diaphragm of air compressor}
본 고안은 에어콤프레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발생장치의 양측에 설치된 다이아프렘이 신속하게 복귀하도록 하여 에어토출량을 증가시키며 다이아프렘의 연결상태 불량을 방지하게 되는 에어콤프레샤의 다이아프렘 복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족관이나 화장실의 오물 세척수 그리고 그 밖의 오염된 물을 정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폭기형 정화조 등은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에어콤프레샤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에어콤프레샤를 어족관에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어족관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여 어족관 내부의 오염을 지연시켜 생식하고 있는 어류에게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 주게 된다.
그리고, 폭기형 정화조에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여 정화조 내부에서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정화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에어콤프레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 에어콤프레샤(1)는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3)의 양측이 각각 절곡되어 좌측면부(5)와 우측면부(7)를 형성하며, 통공 형상을 이루는 좌측장착홀(9)과 우측장착홀(11)이 상기 좌측면부(5)와 우측면부(7) 상에 형성된다.
상기 좌측장착홀(9)과 우측장착홀(11) 상측에는 공기유입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3) 내측에는 제1고정자(15)와 제2고정자(17)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제1, 제2고정자(15,17)는 전기의 통전에 의하여 전자석이 되도록 철판(19)이 다수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철판(19) 내측에 전원이 공급되는 코일(21)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고정자(15)와 제2고정자(17)는 소정 간격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3)에 고정된다.
상기 제1고정자(15)와 제2고정자(17) 사이에 장착되는 에어발생장치(20)는 사각형 형상의 케이스(22) 내측에 영구자석(24)이 장착되며, 양단에는 치형이 형성된 돌출결합부재(2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돌출결합부재(26)에 플라스틱 사출 성형된 제1지지부재(28)와 수지 계통의 재질로 된 다이아프렘(30,31)과 플라스틱 재질의 제2지지부재(32), 그리고, 와셔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수단(34)이 순서대로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 장착홀(9,11)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좌측면부(5,7)와 우측면부의 외측에는 각각 측면커버(40)가 설치되며, 상기 측면커버(40)에는 흡입구(42)와 배출부(44)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42)는 공기유입공(13)과 연결된 흡입구(46)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44)는 공기가 나가는 통로인 배출관(48)이 일측에 연결된다.
상기 측면커버(40)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46)와 연결된 흡입밸브(49)와 상기 배출부(44)와 연결된 배출공(5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렘(30,31) 작동시 필요한 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측면커버(40) 내측 일부가 하향 절곡되어 내측홈(5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에어콤프레샤(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자(15)와 제2고정자(17)에 장착된 코일(21)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철판(19)이 자석성분을 교대로 띠게 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 제2고정자(15,17)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에어발생장치(20)에 고정된 영구자석(24)은 자력에 의하여 좌우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에어발생장치(20)의 좌우 운동에 의하여, 상기 에어발생장치(20)의 양단에 고정된 다이아프렘(30,31)은 하우징(3)의 좌측장착홀(9)과 우측장착홀(11)의 외측에서 각각 동작하게 되며, 상기 다이아프렘(30,31)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측면커버(40)에 장착된 흡입부(42)와 배출부(44)가 동작하면서 에어를 발생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에어발생장치(20)가 우측으로 동작하게 되면, 우측 일단에 연결된 다이아프렘(30)이 우측으로 동작하여 상기 우측에 장착된 측면커버(40)의 내측홈(52) 내에서 동작하게 되며, 상기 내측홈(52) 공간에 있는 공기를 상기 배출공(50)을 통하여 송출하여 상기 배출부(44)와 연결된 배출관(48)으로 내보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자(15)와 제2고정자(17)의 자성이 변할 경우, 상기 에어발생장치(20)는 반대로 동작하게 되며, 상기 다이아프렘도(30) 연동하여 좌측으로 동작하게 되면서, 상기 우측에 설치된 측면커버(40) 내측에 구비된 흡입밸브(49)가 열리면서 상기 공기유입공(13)으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부(42)를 통하여 상기 흡입밸브(49)에 의하여 개구된 흡입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내측홈(52)에 머무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발생장치(20)의 반복 동작에 의하여, 상기 다이아프렘(30)은 상기 내측홈(52) 하측 공간에서 좌우 방향으로 반복 운동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흡입부(42)를 통하여 외측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부(44)의 배출관(48)을 통하여 공기를 강제 송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에어콤프레샤(1)는 좌우측에 구비된 다이아프렘(30,31)의 동작이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흡입부(42)를 통한 공기의 흡입과 배출부(44)를 통한 공기의 배출이 좌우측 교대로 동작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에어콤프레샤(1)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으로 왕복이동하며 구부러지고 접혀지는 다이아프렘(30,31)에는 피로강도가 집중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렘(30,31)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하여 부품이 노후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에어발생장치(20)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다이아프렘(30,31)이장착홀(9,11) 외측에서 이동작업이 원할하게 이루어 지지 않게 되거나 기밀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배출관(48)을 통한 에어 토출량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렘(30,31)의 복귀 동작이 신속하게 되지 않는 것에 의하여, 에어컴프레샤(1)의 작동 속도가 늦어지는 것에 의하여 에어 토출량이 비교적 적게 된다.
상기 열거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이아프렘의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기밀작용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동작 신뢰성과 에어 토출량이 향상된 에어콤프레샤의 다이아프렘 복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에어콤프레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에어컴프레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다이아프렘 복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 : 에어콤프레샤 3 : 하우징
5 : 좌측면부 7 : 우측면부
9 : 좌측장착홀 11 : 우측장착홀
13 : 공기유입공 15 : 제1고정자
17 : 제2고정자 19 : 철판
20 : 에어발생장치 21 : 코일
22 : 케이스 24 : 영구자석
26 : 돌출결합부재 28 : 제1지지부재
30,31 : 다이아프렘 32 : 제2지지부재
34 : 체결수단 40 : 측면커버
42 : 흡입부 44 : 배출부
46 : 흡입구 48 : 배출관
49 : 흡입밸브 50 : 배출공
52 : 내측홈 60 : 장착부
70 : 코일스프링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흡입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측면커버가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측면커버 내측에는 에어발생장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다이아프렘이 구비된 에어컴프레샤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이아프렘의 후진시 복귀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이아프렘의 신속한 복귀와 함께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에 의하여 에어공급이 양호하게 되어 어족관이나 폭기형 정화조 등에 공기를 충분하게 공급함으로서 상품의 신뢰성과 제품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종래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명칭과 동일 기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에어콤프레샤(1)는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3)의 양측이 각각 절곡되어 좌측면부(5)와 우측면부(7)를 형성하며, 통공 형상을 이루는 좌측장착홀(9)과 우측장착홀(11)이 상기 좌측면부(5)와 우측면부(7) 상에 형성된다.
상기 좌측장착홀(9)과 우측장착홀(11) 상측에는 공기유입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3) 내측에는 제1고정자(15)와 제2고정자(17)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제1, 제2고정자(15,17)는 전기의 통전에 의하여 전자석이 되도록 철판(19)이 다수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철판(19) 내측에 전원이 공급되는 코일(21)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고정자(15)와 제2고정자(17)는 소정 간격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3)에 고정된다.
상기 제1고정자(15)와 제2고정자(17) 사이에 장착되는 에어발생장치(20)는 사각형 형상의 케이스(22) 내측에 영구자석(24)이 장착되며, 양단에는 치형이 형성된 돌출결합부재(2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돌출결합부재(26)에 플라스틱 사출 성형된 제1지지부재(28)와 수지 계통의 재질로 된 다이아프렘(30,31)과 플라스틱 재질의 제2지지부재(32), 그리고, 와셔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수단(34)이 순서대로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 장착홀(9,11)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좌측면부(5,7)와 우측면부의 외측에는 각각 측면커버(40)가 설치되며, 상기 측면커버(40)에는 흡입구(42)와 배출부(44)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42)는 공기유입공(13)과 연결된 흡입구(46)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44)는 공기가 나가는 통로인 배출관(48)이 일측에 연결된다.
상기 측면커버(40)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46)와 연결된 흡입밸브(49)와 상기 배출부(44)와 연결된 배출공(5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렘(30,31) 작동시 필요한 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측면커버(40) 내측 일부가 하향 절곡되어 내측홈(52)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홈(52)은 상기 다이아프렘(30,31)의 상측을 덮도록, 상기 다이아프렘(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게 되며, 상기 다이아프렘(30,31)의 동작이 용이하도록 일정 깊이를 갖게 된다.
상기 내측홈(52)의 저면 중앙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직경으로 홈이 형성된 장착부(60)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60)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70)이 장착된다.
상기 코일스프링(70)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재의 일실시예로서, 다른 탄성성질을 갖는 부재도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재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장착부(60)는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작용과 함께, 상기 코일스프링(70)이 일정한 방향으로 상기 다이아프렘(30,31)에 힘을 가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도 하게 되며, 상기 장착부(60)의 형상 역시 상기 탄성부재에 따라서 변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동작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에어콤프레샤(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자(15)와 제2고정자(17)에 장착된 코일(21)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철판(19)이 자석성분을 교대로 띠게 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 제2고정자(15,17)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에어발생장치(20)에 고정된 영구자석(24)은 자력에 의하여 좌우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에어발생장치(20)의 좌우 운동에 의하여, 상기 에어발생장치(20)의 양단에 고정된 다이아프렘(30,31)은 하우징(3)의 좌측장착홀(9)과 우측장착홀(11)의 외측에서 각각 동작하게 되며, 상기 다이아프렘(30,31)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측면커버(40)에 장착된 흡입부(42)와 배출부(44)가 동작하면서 에어를 발생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에어발생장치(20)가 우측으로 동작하게 되면, 우측 일단에 장착된 다이아프렘(30)이 우측으로 동작하여 상기 우측에 장착된 측면커버(40)의 내측홈(52) 내에서 동작하게 되며, 상기 내측홈(52) 공간에 있는 공기를 상기 배출공(50)을 통하여 송출하여 상기 배출부(44)와 연결된 배출관(48)으로 내보내게 된다.
상기에서, 좌측에 장착된 다아아프렘(31)도 우측으로 가게 되면서, 좌측 측면커버(40)의 내측 장착부에 장착된 코일스프링(70)에 의하여 우측을 향한 탄성력을 받게 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에어발생장치(20)는 종래 보다 신속하게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자(15)와 제2고정자(17)의 자성이 변할 경우, 상기 에어발생장치(20)는 반대로 동작하게 되며, 상기 다이아프렘도(30) 연동하여 좌측으로 동작하게 되면서, 상기 우측 측면커버(40) 내측홈(52)에 장착된 코일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다이아프렘(30)에 탄성적 복귀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다이아프렘(30)의 좌측 이동에 의하여, 상기 우측 측면커버(40) 내측에 구비된 흡입밸브(49)가 열리면서 상기 공기유입공(13)으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부(42)를 통하여 상기 흡입밸브(49)에 의하여 개구된 흡입공(도시생략)으로 유입되어, 상기 내측홈(52)에 머무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발생장치(20)의 반복 동작에 의하여, 상기 다이아프렘(30)은 상기 내측홈(52) 하측 공간에서 좌우 방향으로 반복 운동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흡입부(42)를 통하여 외측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부(44)의 배출관(48)을 통하여 공기를 강제 송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콤프레샤(1)는 좌우측에 구비된 다이아프렘(30)의 동작이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흡입부(42)를 통한 공기의 흡입과배출부(44)를 통한 공기의 배출이 좌우측 교대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동작을 갖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에어콤프레샤(1)의 다이아프렘(30,31) 복귀장치에 의하면, 상기 에어발생장치(20)에 의하여 좌우 이동되는 상기 다이아프렘(30,31)이 상기 하우징(3) 내측을 향한 동작시 탄성적인 복귀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에어발생장치(20)가 신속한 동작을 이루도록 하여 에어토출량이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발생장치(20)의 이동에 따른 상기 다이아프렘(30,31)이 장착홀(9,11)을 개폐하는 동작시 기밀성이 향상되어, 에어콤프레샤(1)의 동작에 있어서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에어콤프레샤의 다이아프렘 복귀장치에 의하면, 상기 에어발생장치를 따라서 좌우 이동되는 상기 다이아프렘의 신속한 복귀를 본 고안에 의한 복귀장치를 사용하여 돕게 되는 것에 의하여 에어토출량이 증가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렘이 장착홀의 외주면과 접할 경우 본 고안에 의한 복귀장치에 의하여 상기 다이아프렘에 일정 힘의 가압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하여 기밀성이 향상되며 이로 인한 기기 동작에 있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2)

  1. 흡입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측면커버가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측면커버 내측에는 에어발생장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다이아프렘이 구비된 에어컴프레샤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이아프렘의 후진시 복귀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컴프레샤의 다이아프렘 복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컴프레샤의 다이아프렘 복귀장치.
KR2020020027241U 2002-09-11 2002-09-11 에어콤프레샤의 다이아프렘 복귀장치 KR200297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41U KR200297556Y1 (ko) 2002-09-11 2002-09-11 에어콤프레샤의 다이아프렘 복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41U KR200297556Y1 (ko) 2002-09-11 2002-09-11 에어콤프레샤의 다이아프렘 복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556Y1 true KR200297556Y1 (ko) 2002-12-11

Family

ID=7308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241U KR200297556Y1 (ko) 2002-09-11 2002-09-11 에어콤프레샤의 다이아프렘 복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5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0564B2 (en) Diaphragm circulator
US6085556A (en) Dispenser for washing machine
KR200297556Y1 (ko) 에어콤프레샤의 다이아프렘 복귀장치
JP2006052731A (ja) 排気脈動減衰機構を有するリニアポンプ
EP0541945B1 (en) Vibrating column pump
KR940000808Y1 (ko) 전자식 다이어프램 펌프용 마그네트 홀더
KR200203110Y1 (ko) 기포발생용 에어펌프
KR0126711Y1 (ko) 세탁기의 공기방울 발생기
JP2004092588A (ja) ポンプ
KR200196593Y1 (ko) 솔레노이드식 다이아프램 펌프
JPH10318152A (ja) 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H1047254A (ja) 電磁ポンプ
KR200184961Y1 (ko) 에어콤프레샤의 다이아프렘 구조
JP3005780U (ja) 振動型ポンプ
KR19980023295U (ko) 세탁기의 공기방울발생기
JP2005220769A (ja) 電磁式ポンプ
KR20010086295A (ko) 에어콤프레샤의 다이아프렘
CN117364432A (zh) 一种洗涤设备的自动投放装置及洗涤设备
JP3004918U (ja) 振動型ポンプ
KR200288890Y1 (ko) 커피머신용 진동펌프
KR100528154B1 (ko) 전기기포공급장치의 가동자 구조 및 제조 방법
KR200375688Y1 (ko) 전기기포공급장치의 다이어프램의 결합구조
JP2514774Y2 (ja) 往復動ポンプ
KR200170764Y1 (ko) 공기방울 발생장치
KR0128849Y1 (ko) 세탁기의 공기방울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