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044Y1 - 건축물의 보 시공용 판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보 시공용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044Y1
KR200296044Y1 KR2019990008733U KR19990008733U KR200296044Y1 KR 200296044 Y1 KR200296044 Y1 KR 200296044Y1 KR 2019990008733 U KR2019990008733 U KR 2019990008733U KR 19990008733 U KR19990008733 U KR 19990008733U KR 200296044 Y1 KR200296044 Y1 KR 2002960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tal plate
panel
attach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130U (ko
Inventor
박재수
Original Assignee
박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수 filed Critical 박재수
Priority to KR2019990008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044Y1/ko
Publication of KR20000021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1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0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044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출입문상부에 콘크리트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보를 시공하는데 사용하는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보의 좌측면을 시공하도록 전면에 금속판재가 부착되고 일측 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로 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대체로 ㄴ자형상을 이루는 지지판과 타측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로 부터 수직으로 배면측을 향해 설치되는 지지브래킷을 가진 제1 판넬과, 보의 우측면을 시공하도록 전면에 금속판재가 부착되고 외관형상이 역U자 형상을 이루는 제2판넬과, 상기 제1ㆍ제2판넬사이의 특정위치에 수평으로 위치하여 보의 하부면을 시공하도록 상부면에 금속판재질의 바닥판이 부착됨과 동시에,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보강대가 설치되며 이 보강대에 직교해서 배면에 보강타이가 고정설치되는 하부판넬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축물의 보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용 판넬을 수선할 필요도 없어 건축물의 공사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보를 평탄하게 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보 시공용 판넬 {A PANEL CARRYING OUT A CONCRETE BEAM OF A STRUCTURE}
본 고안은 건축물의 출입문상부에 콘크리트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보를 시공하는데 사용하는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건축물의 출입구용 도어의 상부 또는 슬라브(6) 하부면에 보를 시공할려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1)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부판넬(3,4)과 코너벽체(2)사이에 시공할려는 벽체(1)의 두께에 맞추어서 전면에 합판(7a,8a)이 각각 설치된 유로폼(7,8)을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판넬(3,4)과 코너벽체(2)형성용 상부판넬(13,14)사이에 다수의 웨지핀(10)을 사용하여 설치고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넬(3,4)과 코너벽체(2)형성용 상부판넬(13,14)사이에 설치된 유로폼(7,8)사이에 시공할려고 하는 보(5)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합판(7)을 수평으로 고정설치하고, 상기 합판(9)을 지지목(15)에 못(20a)으로 고정지지하고, 상기 지지목(15)을 못(20b)에 의해 유로폼(7,8)의 합판(7a,8a)에 고정지지하고 있었다. 상기 유로폼(7,8)사이 또는 상기 상부판넬(3,4)과 코너벽체(2)형성용 상부판넬(13,14)사이에는 보(5) 또는 벽체(1)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타이핀(17)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건축물의 출입구용 도어의 상부 또는 슬라브(6) 하부면에 보(5)를 시공할려면, 상기 유로폼(7,8)의 배면상부와 슬라브(6)용 판넬(17)사이에 각목(18)을 철사(도시하지 않음)로 묶어서 고정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콘크리트 슬라브(6)의 하부에 보(5)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벽체용 상부판넬(3,4)과 코너벽체(2)형성용 상부판넬(13,14)사이에 설치된 유로폼(7,8)을 웨지핀(10)으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에 상기 웨지핀(10)의 유격으로 인해 보(5)의 옆면이 평탄하지 못하고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를 할석작업(잘못 시공된 콘크리트를 깨내는 작업)을 필요로하여 많은 인건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보(5)의 시공면이 외관상 거칠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유로폼(7,8)을 사용한 보(5)의 시공은 상기 유로폼(7,8)사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합판(9)과 합판(9)을 지지하는 지지목(15)을 못(20a,20b)에 의해 고정지지하고 있으므로, 슬라브(6) 및 보(5)를 콘크리트로 타설할 때, 발생되는 타설압에 의해 변형이 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유로폼(7,8) 및 지지목(15)을 한 번 사용한 후에는 보수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소요됨과 동시에, 자재비도 많이 소요되어 공사단가를 상승시킨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공사단가를 줄일 수 있는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보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보를 평탄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은 보의 좌측면을 시공하도록 전면에 금속판재가 부착되고 일측 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로 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대체로 ㄴ자형상을 이루는 지지판과 타측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로 부터 수직으로 배면측을 향해 설치되는 지지브래킷을 가진 제1 판넬과, 보의 우측면을 시공하도록 전면에 금속판재가 부착되고 외관형상이 역U자 형상을 이루는 제2 판넬과, 상기 제1ㆍ제2 판넬사이의 특정위치에 수평으로 위치하여 보의 하부면을 시공하도록 상부면에 금속판재질의 바닥판이 부착됨과 동시에,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보강대가 설치되며 이 보강대에 직교해서 배면에 보강타이가 고정설치되는 하부판넬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화살표(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보 우측판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의한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을 사용하여 보를 시공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실외측에서 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의한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을 사용하여 보를 시공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실내측에서 본 도면,
도 7은 유로폼을 사용하여 보를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편면도,
도 8은 도 7의 화살표(Ⅷ-Ⅷ)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7:제1 수평지지대 98:제2 수평지지대
100:제1 판넬 101:금속판재
103:지지판 104:지지브래킷
104a:결합공 105,115:각목
106,116:앵글 107:지지프레임
107a:결합공 108:세로 지지부재
108a:지지대 109:지지브래킷
109a:결합공 110:제2 판넬
111:금속판재 112:제1 지지브래킷
112a:결합공 113:제1 지지대
114:지지브래킷 114a:결합공
117:지지프레임 119:제2 지지부재
120:하부판넬 122:보강대
113:보강타이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화살표(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보 우측판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의한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을 사용하여 보를 시공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실외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의한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을 사용하여 보를 시공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실내측에서 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은 보(5)의 좌측면을 시공하도록 전면에 금속판재(101)가 부착되고 일측 단부(도 1 및 도 2에서 좌측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101)로 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대체로 ㄴ자형상을 이루는 지지판(103)과 타측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101)로 부터 수직으로 배면측을 향해 설치되는 지지브래킷(104)을 가진 제1 판넬(100)과, 보(5)의 우측면을 시공하도록 전면에 금속판재(111)가 부착되고 외관형상이 역U자 형상을 이루는 제2 판넬(110)과, 상기 제1ㆍ제2 판넬(100,110)사이의 특정위치에 수평으로 위치하여 보(5)의 하부면을 시공하도록 상부면에 금속판재질의 바닥판(121)이 부착됨과 동시에,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보강대(122)가 설치되며 이 보강대(122)에 직교해서 배면에 보강타이(123)가 고정설치되는 하부판넬(1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판넬(100)은 보(5)의 좌측면을 형성하도록 전면에 부착되는 금속판재(101)와, 상기 금속판재(101)를 단부 배면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판넬(120)의 보강대(122)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금속판재(101)의 일측(도 1 및 도 2에서 좌측)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101)로 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대체로 ㄴ자형상을 이루는 지지판(103)과, 상기 금속판재(101)의 타측단부(도 1 및 도 2에서 우측측)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101)로 부터 수직으로 배면측을 향해 설치되어 벽체(1)의 상부판넬(3)의 지지대에 형성된 결합공에 대응해서 결합공(104a)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브래킷(104)과, 상기 금속판재(101)의 상부 배면에 부착되어 그 내부에 지지용 각목(105)을 수용하는 ㄴ자형상의 앵글(106)과, 상기 앵글(106)과 평행하게 상기 금속판재(101)의 하단 배면에 부착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공(107a)이 형성된 지지프레임(107)과, 상기 지지브래킷(104)으로 부터 지지대(108a)를 사이에 두고 일정간격만큼 떨어져서 평행하게 설치되며 지지프레임(107)의 일측단부 및 앵글(106)의 하단부에 용접고착되는 세로 지지부재(108)와, 상기 지지판(103)의 배면단부에 수직으로 설치고정되어 코너벽체(2)형성용 상부판넬(14)의 지지브래킷(14a))에 형성된 결합공(도시하지 않음)과 대응해서 형성되는 결합공(109a)이 형성된 지지브래킷(109)과, 상기 지지판(103)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고정되어 상기 지지판(103)을 배면에서 지지하는 제1 수평지지대(97)와, 상기 앵글(106)과 지지브래킷(109)사이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 수평지지대(9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판넬(110)은 보(5)의 우측면을 시공하도록 전면에 부착되는 금속판재(111)와, 상기 금속판재(111)의 일측(도 1 및 도2에서 우측)단부로 부터 수직으로 배설되며 벽체(1)용 상부판넬(4)의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결합공(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해서 형성된 결합공(112a)을 가진 제1 지지브래킷(112)과, 상기 금속판재(111)의 상부 배면에 부착되어 그 내부에 지지용 각목(115)을 수용하는 ㄴ자형상의 앵글(116)과, 상기 금속판재(111)의 타측단부(도 1 및 도 2에서 좌측)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111)로 부터 수직으로 배면측을 향해 설치되어 있는 제1 지지대(113)와, 상기 제1 지지대(113)에 대해 수직으로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금속판재(111)에 설치고정되며 코너벽체(2)의 상부판넬(13)의 지지대에 형성된 결합공에 대응해서 결합공(114a)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브래킷(114)과, 상기 지지대(113)에 대해 지지대(113a)를 개재해서 평행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단부가 상기 금속판재(111)의 상부배면에 설치된 앵글(116)에 용접고착되며 중간부가 지지프레임(117)의 단부에 용접고착되는 제2 지지부재(119)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99는 지지판(103)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대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의 설치방법 및 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보(5)를 시공하기 위하여 제1 판넬(100)의 지지브래킷(109)에 형성된 결합공(109a)과 코너벽체(2)형성용 상부판넬(14)의 지지브래킷(14a)에 형성된 결합공(도시하지 않음)을 웨지핀(10)을 사용하여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2 판넬(110)의 제2 지지브래킷(114)에 형성된 결합공(114a)과 상기 코너벽체(2)형성용 상부판넬(13)의 지지브래킷(13a))에 형성된 결합공(도시하지 않음)을 웨지핀(10)을 사용하여 결합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1 판넬(100)의 지지브래킷(104)에 형성된 결합공(104a)과 벽체(1)형성용 상부판넬(3)의 지지브래킷(3a))에 형성된 결합공(도시하지 않음)을 웨지핀(10)을 사용하여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2 판넬(110)의 제1 지지브래킷(112)에 형성된 결합공(112a)과 상기 벽체(1)형성용 상부판넬(4)의 지지브래킷(4a))에 형성된 결합공(도시하지 않음)을 웨지핀(10)을 사용하여 결합시킨다.
다음에, 상기 제1 및 제2 판넬(100,110)사이에 하부판넬(120)을 끼워넣으면서 상기 하부판넬(120)의 보강대(122) 일측(도 5에서 좌측부)이 상기 제1 판넬(100)의 상부측 제1 수평지지대(108) 상에 재치시키면서 상기 하부판넬(120)의 보강대(122) 타측(도 5에서 우측부)이 상기 벽체(1)형성용 상부판넬(3,4)측으로 삽입(구체적으로는 상부판넬(3,4)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지지브래킷상부에 재치)시킨 다음, 제1 판넬(100)의 지지프레임(107)에 형성된 결합공(107a)과 하부판넬(120)의 보강타이(123)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123a)을 웨제핀(10)으로결합시킴과 동시에, 제2 판넬(110)의 지지프레임(117)에 형성된 결합공(117a)과 하부판넬(120)의 보강타이(123)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123b)을 웨제핀(10)으로 결합시킨다.
그후, 상기 제1 판넬(100) 및 제2 판넬(110)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앵글(106,116)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내에 각목(105,115)을 각각 삽입하고 나서, 상기 앵글(106,116)의 배면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06a,116a)을 통해서 못 또는 나사(140) 등을 사용하여 각목(105,115)을 상기 앵글(106,116)내에 고정시키고, 이들 각목(105,115)을 지지대(도시하지 않음)로 체결하면, 상기 보(5)의 타설시에 상기 제1 및 제2 판넬(100,110)이 벌어지지 않으므로, 보(5)가 평탄하게 양생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은 보(5)를 시공할 때 제1 및 제2 판넬(100,110)과, 이들 제1 및 제2 판넬(100,110) 사이에 하부판넬(120)을 수평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하부판넬(120)의 양단부를 코너벽체(2)형성용 상부판넬(14)의 지지브래킷(14a) 및 벽체(1)형성용 상부판넬(3,4)상에 재치시킴으로, 상기 보(5)로 부터 콘크리트가 튀어 나와서 버어(burr)가 발생하지도 않아 할석작업도 불필요하여 시공비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판넬(100,110) 및 각목(105,115)을 보수하지 않고도 반복해서 재사용할 수 있어 자재비도 절감시킬 수 잇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에 의하면, 보의 좌측면을 시공하도록 전면에 금속판재가 부착되고 일측 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로 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대체로 ㄴ자형상을 이루는 지지판과 타측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로 부터 수직으로 배면측을 향해 설치되는 지지브래킷을 가진 제1 판넬과, 보의 우측면을 시공하도록 전면에 금속판재가 부착되고 외관형상이 역U자 형상을 이루는 제2 판넬과, 상기 제2ㆍ제2 판넬사이의 특정위치에 수평으로 위치하여 보의 하부면을 시공하도록 상부면에 금속판재질의 바닥판이 부착됨과 동시에,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보강대가 설치되며 이 보강대에 직교해서 배면에 보강타이가 고정설치되는 하부판넬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건축물의 보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용 판넬을 수선할 필요도 없어 건축물의 공사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보를 평탄하게 시공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보(5)의 좌측면을 시공하도록 전면에 금속판재(101)가 부착되고 일측 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101)로 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대체로 ㄴ자형상을 이루는 지지판(103)과 타측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101)로 부터 수직으로 배면측을 향해 설치되는 지지브래킷(104)을 가진 제1 판넬(100)과, 보(5)의 우측면을 시공하도록 전면에 금속판재(111)가 부착되고 외관형상이 역U자 형상을 이루는 제2 판넬(110)과, 상기 제1ㆍ제2 판넬(100,110)사이의 특정위치에 수평으로 위치하여 보(5)의 하부면을 시공하도록 상부면에 금속판재질의 바닥판(121)이 부착됨과 동시에,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보강대(122)가 설치되며 이 보강대(122)에 직교해서 배면에 보강타이(123)가 고정설치되는 하부판넬(12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넬(100)은 보(5)의 좌측면을 형성하도록 전면에 부착되는 금속판재(101)와, 상기 금속판재(101)를 단부 배면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판넬(120)의 보강대(122)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금속판재(101)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101)로 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대체로 ㄴ자형상을 이루는 지지판(103)과, 상기 금속판재(101)의 타측단부 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101)로 부터 수직으로 배면측을 향해 설치되어 벽체(1)의 상부판넬(3)의 지지대에 형성된 결합공에 대응해서 결합공(104a)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브래킷(104)과, 상기 금속판재(101)의 상부 배면에 부착되어 그 내부에 지지용 각목(105)을 수용하는 ㄴ자형상의 앵글(106)과, 상기 앵글(106)과 평행하게 상기 금속판재(101)의 하단 배면에 부착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공(107a)이 형성된 지지프레임(107)과, 상기 지지브래킷(104)으로 부터 지지대(108a)를 사이에 두고 일정간격 떨어져서 평행하게 설치되며 지지프레임(107)의 일측단부 및 앵글(106)의 하단부에 용접고착되는 세로 지지부재(108)와, 상기 지지판(103)의 배면단부에 수직으로 설치고정되어 코너벽체(2)형성용 상부판넬(14)의 지지브래킷(14a))에 형성된 결합공과 대응해서 형성되는 결합공(109a)이 형성된 지지브래킷(109)과, 상기 지지판(103)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고정되어 상기 지지판(103)을 배면에서 지지하는 제1 수평지지대(97)와, 상기 앵글(106)과 지지브래킷(109)사이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 수평지지대(98)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넬(110)은 보(5)의 우측면을 시공하도록 전면에 부착되는 금속판재(111)와, 상기 금속판재(111)의 일측 단부로 부터 수직으로 배설되며 벽체(1)용 상부판넬(4)의 지지브래킷에 형성된 결합공(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해서 형성된 결합공(112a)을 가진 제1 지지브래킷(112)과, 상기 금속판재(111)의 상부 배면에 부착되어 그 내부에 지지용 각목(115)을 수용하는 ㄴ자형상의 앵글(116)과, 상기 금속판재(111)의 타측단부 단부에서 상기 금속판재(111)로 부터 수직으로 배면측을 향해 설치되어 있는 제1 지지대(113)와, 상기 제1 지지대(113)에 대해 수직으로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금속판재(111)에 설치고정되며 코너벽체(2)의 상부판넬(13)의 지지대에 형성된 결합공에 대응해서 결합공(114a)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브래킷(114)과, 상기 지지대(113)에 대해 지지대(113a)를 개재해서 평행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단부가 상기 금속판재(111)의 상부배면에 설치된 앵글(116)에 용접고착되며 중간부가 지지프레임(117)의 단부에 용접고착되는 제2 지지부재(119)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보시공용 판넬.
KR2019990008733U 1999-05-20 1999-05-20 건축물의 보 시공용 판넬 KR2002960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733U KR200296044Y1 (ko) 1999-05-20 1999-05-20 건축물의 보 시공용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733U KR200296044Y1 (ko) 1999-05-20 1999-05-20 건축물의 보 시공용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130U KR20000021130U (ko) 2000-12-15
KR200296044Y1 true KR200296044Y1 (ko) 2002-11-22

Family

ID=5476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733U KR200296044Y1 (ko) 1999-05-20 1999-05-20 건축물의 보 시공용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0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130U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6044Y1 (ko) 건축물의 보 시공용 판넬
KR100788742B1 (ko) 협소한 공간을 마무리하기 위한 데크의 결합구조
KR102189982B1 (ko) 거푸집 간격유지용 타이바 고정구
JP3138112U (ja) 屋根ユニット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連結用金物
KR200189909Y1 (ko) 철근,철골콘크리트거푸집용 판넬
KR102150222B1 (ko) 트러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JP7244327B2 (ja) ピット蓋受け部材及びピット形成方法
JPH0754427A (ja) 壁体の構築工法及びその装置
JP3650508B2 (ja) 高倍率壁耐力付与用パネルに用いる筋かい材連結接手
KR200405440Y1 (ko) 콘크리트 천장공사용 패널 받침대
JP2000129692A (ja) 型枠支持構造
KR200203225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너부 시공용 거푸집 부재
JPH08184184A (ja) 庇部構築用型枠支持装置
JP3143624B2 (ja) パネル取付構法
JP3230917B2 (ja) 建物ユニットの天井
KR200375081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거푸집 설치 구조
JPH10280540A (ja) 木造建築軸組用、差し込み式継ぎ手金具
JP3455736B2 (ja) ペントハウスにおける外壁パネル取付け構造
KR19990064875A (ko) 옹벽 거푸집 브라켓 및 그것을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방법
JP3527027B2 (ja) ブラケット付き柱体の建築構造物への組付け構造
KR20060041384A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거푸집 설치 구조
JP3074657U (ja) 筋交い固定金物及び筋交いの取付構造
KR100276865B1 (ko) 벽체 거푸집용 지지바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 방법
JP2536928B2 (ja) 面取建物ユニット用の間仕切パネル
JP2709155B2 (ja) Alc床パネルの取付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