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610Y1 - 자동차용 시트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610Y1
KR200295610Y1 KR2020020025276U KR20020025276U KR200295610Y1 KR 200295610 Y1 KR200295610 Y1 KR 200295610Y1 KR 2020020025276 U KR2020020025276 U KR 2020020025276U KR 20020025276 U KR20020025276 U KR 20020025276U KR 200295610 Y1 KR200295610 Y1 KR 200295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cover
head
cover mean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백
Original Assignee
이상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백 filed Critical 이상백
Priority to KR2020020025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6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610Y1/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지지부와 좌석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등지지부의 상단에는 삽입구가 형성된 시트와, 상기 시트의 삽입구에 계합되는 삽입봉이 구비되어 상기 시트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 시트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에 있어서; 상단부와 등받이부와 착좌부가 봉제선에 의해서 구획되고, 상기 상단부에는 자동차의 차종마다 간격이 상이한 상기 삽입봉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다수의 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착좌부에는 벨트수단이 고착된 시트커버수단과; 상기 시트커버수단과 분리되어서 다양한 사이즈의 상기 헤드레스트에 용이하게 설치 및 탈거시킬 수 있는 하부가 개방된 헤드커버수단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시트커버에 관한 것으로, 시트에 설치되는 시트커버수단과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헤드커버수단이 분리되므로서 자동차의 시트에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용이하게 시트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외피부재에는 망사직물에 다수의 털부재가 직모되어서 사용자의 촉감을 보다 좋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키고, 내피부재에 탄성부재가 가황접착되어 시트커버수단의 유동을 방지시켜서 보다 고품질의 자동차용 시트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커버 {Seat Cove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용이하게 시트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촉감을 보다 좋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킨 자동차용 시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에는 시트의 더러워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배가시키기 위해서 자동차용 시트커버를 설치하게 되며, 이와 같은 자동차용 시트커버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지동차용 시트커버의 일예로서는 대한민국에서 2002년 2월 22일자로 실용신안등록된 20-0267047호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20-0267047호의 자동차용 시트커버는 도 1 및 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차량의자(20')에 착석부(1')와, 등받이부(2'), 그리고 헤드부(3')로 구성된 차량용 간이시트 커버(30')를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간이시트 커버(30')의 등받이부(2') 양측에 결착홈(32')을 형성한 날개부(31')를 설치하되 등받이부(2')의 배면 테두리밴드에 결합하도록 하고, 상기 등받이부(2')에 형성된 양측 날개부(31')의 결착홈(32')이 차량의자(20')에 형성된 허리받침부(21')에 끼워지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실용신안등록 20-0267047호는 차량의자에 장착되는 간이시트 커버의 등받이부 양측에 날개부를 형성한 뒤 날개부에 결착홈을 통해서 차량의자에 형성된 허리받침부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차량의자에 간이시트 커버를 장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커버는 헤드부(3')와 등받이부(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므로서 시트커버를 설치한 후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가변시킬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사람이 움직일 경우 시트커버가 유동되어 장시간 사용할 경우 시트커버가 정위치에 위치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커버의 일예로서는 대한민국에서 2002년 3월 8일자로 실용신안등록된 20-0269133호가 제안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 20-0269133호는 도 2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같이, 통상적으로 알려진 형상을 갖는 자동차 시트커버의 표면은 왕골(1)로 구성하고 하면은 직물(2)로 구성하되 상기 왕골(1)과 직물(2)사이에 필요에 따라 쿠션재(3)를 충진한 자동차용 시트커버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에서 왕골(1)로 구성한 시트 커버상에 일정한 크기의 폭을 가진 대나무 껍질박편(4)으로 엮어 구성한 대나무 껍질판(5)으로 설치하되 상기 대나무 껍질판(5)의 하부에도 쿠션재(3)와 직물(2)을 고정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실용신안등록 20-0269133호는 대나무껍질박편을 서로 엮어 대나무 껍질판을 형성하므로서 대나무 시트커버가 가지는 딱딱한 질감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 20-02691133호 역시 헤드부와 등받이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므로서 시트커버를 설치한 후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가변시킬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사람이 움직일 경우 시트커버가 유동되어 장시간 사용할 경우 시트커버가 정위치에 위치되지 못하고, 대나무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소프트한 기분을 주지못해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커버는 헤드부와 등받이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므로서 시트커버를 설치한 후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가변시킬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사람이 움직일 경우 시트커버가 유동되어 장시간 사용할 경우 시트커버가 정위치에 위치되지 못하고, 대나무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시트에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용이하게 시트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촉감을 보다 좋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킨 자동차용 시트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예에 적용되는 실용신안등록 20-0267047호의 자동차용 시트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에 적용되는 실용신안등록 20-0269133호의 자동차용 시트커버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가 시트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가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시트 11...등지지부
12...좌석부 13...삽입구
20...헤드레스트 21...삽입봉
22...링부재 30...시트커버수단
31...외피부재 32...내피부재
33...쿠션부재 40...벨트수단
41...후방벨트부 42...숫클립
43...전방벨트부 44...암클립
50...헤드커버수단 51...헤드외피부재
53...헤드쿠션부재 54...조임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용 시트커버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지지부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등지지부의 상단에는 삽입구가 형성된 시트와, 상기 시트의 삽입구에 계합되는 삽입봉이 구비되어 상기 시트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 시트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상단을 덮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와 연속되어서 상기 시트의 등지지부를 덮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와 연속되어서 상기 시트의 좌석부를 덮는 착좌부로 이루어져, 상기 상단부와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착좌부가 봉제선에 의해서 구획되고, 상기 상단부에는 자동차의 차종마다 간격이 상이한 상기 삽입봉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다수의 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착좌부에는 벨트수단이 고착된 시트커버수단과; 상기 시트커버수단과 분리되어서 다양한 사이즈의 상기 헤드레스트에 용이하게 설치 및 탈거시킬 수 있는 하부가 개방된 헤드커버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커버에 의하면, 시트에 설치되는 시트커버수단과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헤드커버수단이 분리되므로서 자동차의 시트에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용이하게 시트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외피부재에는 망사직물에 다수의 털부재가 직모되어서 사용자의 촉감을 보다 좋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키고, 내피부재에 탄성부재가 가황접착되어 시트커버수단의 유동을 방지시켜서 보다 고품질의 자동차용 시트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가 시트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가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있어서, 부호 10은 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된 시트로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지지부(11)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부(12)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시트(10)에는 사용자가 머리를 지지하도록 헤드레스트(20)가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20)는 차종에 따라 상이한 사이즈를 갖는다.
즉, 상기 헤드레스트(20)에는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간격(l)을 갖는한쌍의 삽입봉(21)이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시트(10)의 등지지부(11)의 상단에는 상기 삽입봉(21)이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구(13)가 형성되어서 상기 헤드레스트(20)를 상기 시트(10)에 삽탈가능하게 한다.
또, 부호 30은 시트(10)에 설치되는 시트커버수단으로서, 상기 시트(10)의 상단을 덮는 상단부(A)와, 상기 상단부(A)와 연속되어서 상기 시트(10)의 등지지부(11)를 덮는 등받이부(B)와, 상기 등받이부(B)와 연속되어서 상기 시트(10)의 좌석부(12)를 덮는 착좌부(C)로 이루어져, 상기 상단부(A)와 상기 등받이부(B)와 상기 착좌부(C)가 봉제선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또,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의 상단부(A)에는 자동차의 차종마다 간격이 상이한 상기 삽입봉(21)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다수의 링부재(22)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의 착좌부(C)에는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이 상기 시트(10)에 설치될 경우 유동됨이 없도록 벨트수단(40)이 고착되어 있다.
즉,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은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삽입봉(21)이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의 상단부(A)에 설치된 상기 링부재(22)를 통해서 상기 삽입구(13)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벨트수단(40)이 상기 좌석부(12)를 감싸므로서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이 상기 시트(10)에 설치될 경우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설치되게 된다.
또, 상기 벨트수단(40)은,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을 상기 좌석부(12)에 견고하고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부(B)와 상기 착좌부(C)를 구획하는 재봉선의 대체로 중앙에 일단이 고정되며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후방벨트부(41)와, 상기 후방벨트부(41)의 단부에 설치된 숫클립(42)과, 상기 숫클립과 계합되는 암클립(44)과, 상기 암클립(44)이 일단에 고착되고 타단은 상기 착좌부(C)의 전방에 설치되며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전방벨트부(43)로 이루어져서,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이 상기 시트(10)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은, 사용자가 앉을 경우 사용자와 접하여 사용자에게 포근한 기분을 느낄 수 있도록 망사직물(311)에 다수의 털부재(312)가 직모된 외피부재(31)와, 상기 외피부재(31)와 대향되는 상기 시트(10)에 접하며 상기 시트(10)와 접하여서 상기 시트(10)로부터 유동됨이 없도록 직물(321)에 고무등과 같은 재질의 탄성부재(322)가 다수개 가황접착된 내피부재(32)와, 상기 내피부재(32)와 상기 외피부재(31)의 사이에 내재되어서 사용자에게 쿠션을 부여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스폰지등과 같은 재질의 쿠션부재(3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을 상기 시트(10)에 설치한 후 사용자가 상기 시트커버수단(30)에 앉을 경우, 사용자는 망사직물(311)에 털부재(312)가 직모된 상기 외피부재(31)와 접하게 되므로서 사용자는 포근한 기분을 느끼게 됨과 동시에 상기 쿠션부재(33)에 의해 소프트한 기분을 느끼는 것은 물론이고, 직물(312)에 탄성부재(323)가 가황접착된 상기 내피부재(32)가 상기 시트(10)에 끈끈하게 접촉되어서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은 유동됨이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호 50은 상기 시트커버수단(30)과 분리되어서 다양한 사이즈의 상기 헤드레스트(20)에 용이하게 설치 및 탈거시킬 수 있는 하부가 개방된 헤드커버수단이다.
즉, 상기 헤드커버수단(50)은 사용자가 머리를 기댈 경우 사용자의 머리와 접하여 사용자에게 포근한 기분을 느낄 수 있도록 망사직물(511)에 다수의 털부재(512)가 직모되어서 상기 헤드레스트(20)를 감싸는 헤드외피부재(51)와, 상기 헤드외피부재(51)의 내측에 재봉되어서 상기 헤드레스트(20)와 면접촉되는 헤드내피부재(52)와, 상기 헤드내피부재(52)와 상기 헤드외피부재(51)의 사이에 충진되어서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상기 헤드내피부재(52)가 상기 헤드레스트(20)에 면접촉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사용자가 머리를 기댈 경우 사용자에게 쿠션을 부여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스폰지등과 같은 헤드쿠션부재(53)와, 상기 헤드쿠션부재(53)를 수용하는 상기 헤드내피부재(52)와 상기 헤드외피부재(51)의 개방부에 재봉에 의해 내설되어서 상기 헤드레스트(20)에 상기 헤드커버수단(50)을 설치 및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조임부재(54)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커버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시트(10)와 상기 헤드레스트(20)에 설치되는 상기 시트커버수단(30)과 상기 헤드커버수단(50)이 분리되므로서 설치 및 탈거가 용이한 것은 물론이고, 상기 헤드레스트(20)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시트커버수단(30)과 상기 헤드커버수단(50)을 상기 시트(10)와 상기 헤드레스트(20)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헤드레스트(20)를 상기 시트(10)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의 상단부(A)에 설치된 상기 링부재(22)를 상기 시트(10)의 삽입구(13)에 일치시킨다.
이때,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의 상기 링부재(22)는 다수개 구비되므로서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상기 삽입구(13)에 호환성있게 상기 링부재(22)를 일치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링부재(22)를 상기 삽입구(13)에 일치시킨 후에는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삽입봉(21)을 상기 링부재(22)를 통하여 상기 삽입구(13)에 삽입시킨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삽입봉(21)을 상기 링부재(22)를 통하여 상기 삽입구(13)에 삽입시키면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의 상단부(A)는 유동됨이 없이 고정된다.
또,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의 착좌부(C)에 구비된 상기 벨트수단(40)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시키면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의 착좌부(C)는 상기 시트(10)에 유동됨이 없이 고정된다.
즉, 상기 헤드레스트(20) 및 상기 벨트수단(40)에 의해서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은 유동됨이 없이 상기 시트(10)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이 상기 시트(10)에 설치되면,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의 내피부재(32)의 탄성부재(322)가 상기 시트(10)와 접촉되어서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은 더욱 견고하게 상기 시트(10)에 설치된다.
또,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을 상기 시트(10)에 설치한 후에는, 상기 헤드커버수단(50)의 개방부를 확개시켜서 상기 헤드레스트(20)에 설치하면, 상기 헤드커버수단(50)은 용이하게 상기 헤드레스트(2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헤드커버수단(50)의 내부에는 헤드쿠션부재(53)가 내재되어서, 상기 헤드커버수단(50)의 헤드내피부재(52)는 상기 헤드레스트(20)와 면접촉되므로서 상기 헤드커버수단(50)은 상기 헤드레스트(20)에 견고하게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커버수단(50)과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은 분리되어서 상기 헤드레스트(20)와 상기 시트(10)에 설치되므로서 설치 및 탈거가 용이한 것은 물론이고, 상기 헤드레스트(20)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높이로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헤드커버수단(50)과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의 외피부재(51, 31)는, 망사직물(511, 311)에 다수의 털부재(512, 312)가 직모되므로서 사용자가 상기 헤드커버수단(50)과 상기 시트커버수단(30)에 접촉될 경우 포근한 기분을 느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쿠션부재(53, 33)의 탄성력에 의해 소프트한 기분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의 내피부재(32)는 직물(321)에 탄성부재(322)가 가황접착되므로서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이 상기 시트(10)에 설치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322)가 상기 시트(10)의 표면과 면접촉되어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의 유동을 방지하여 보다 편리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의 상단부(A)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상기 시트(10)에 형성된 삽입구(13)와 일치되도록 다수의 링부재(22)가 구비되고, 상기헤드커수단(50)의 헤드내피부재(52)와 헤드외피부재(51)에는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사이즈에 항상 상기 헤드내피부재(52)가 면접촉되도록 헤드쿠션부재(53)가 내장되므로서 본 고안에 의한 시트커버는 다양한 차종에 모두 적용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커버에 의하면, 시트에 설치되는 시트커버수단과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헤드커버수단이 분리되므로서 자동차의 시트에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용이하게 시트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외피부재에는 망사직물에 다수의 털부재가 직모되어서 사용자의 촉감을 보다 좋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키고, 내피부재에 탄성부재가 가황접착되어 시트커버수단의 유동을 방지시켜서 보다 고품질의 자동차용 시트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지지부(11)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부(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등지지부(11)의 상단에는 삽입구(13)가 형성된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삽입구(13)에 계합되는 삽입봉(21)이 구비되어 상기 시트(10)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20)로 이루어진 시트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에 있어서;
    상기 시트(10)의 상단을 덮는 상단부(A)와, 상기 상단부(A)와 연속되어서 상기 시트(10)의 등지지부(11)를 덮는 등받이부(B)와, 상기 등받이부(B)와 연속되어서 상기 시트(10)의 좌석부(12)를 덮는 착좌부(C)로 이루어져, 상기 상단부(A)와 상기 등받이부(B)와 상기 착좌부(C)가 봉제선에 의해서 구획되고, 상기 상단부(A)에는 자동차의 차종마다 간격이 상이한 상기 삽입봉(21)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다수의 링부재(22)가 설치되고, 상기 착좌부(C)에는 벨트수단(40)이 고착된 시트커버수단(30)과;
    상기 시트커버수단(30)과 분리되어서 다양한 사이즈의 상기 헤드레스트(20)에 용이하게 설치 및 탈거시킬 수 있는 하부가 개방된 헤드커버수단(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수단(40)은,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을 상기 좌석부(12)에 견고하고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부(B)와 상기 착좌부(C)를 구획하는 재봉선의 대체로 중앙에 일단이 고정되며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후방벨트부(41)와,
    상기 후방벨트부(41)의 단부에 설치된 숫클립(42)과,
    상기 숫클립과 계합되는 암클립(44)과,
    상기 암클립(44)이 일단에 고착되고 타단은 상기 착좌부(C)의 전방에 설치되며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전방벨트부(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수단(30)의 상단부(A)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상기 시트(10)에 형성된 삽입구(13)와 일치되도록 다수의 링부재(22)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커버수단(50)의 헤드내피부재(52)와 헤드외피부재(51)에는 상기 헤드레스트(20)의 사이즈에 항상 상기 헤드내피부재(52)가 면접촉되도록 헤드쿠션부재(53)가 내장되므로서 다양한 차종에 모두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커버.
KR2020020025276U 2002-08-24 2002-08-24 자동차용 시트커버 KR200295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276U KR200295610Y1 (ko) 2002-08-24 2002-08-24 자동차용 시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276U KR200295610Y1 (ko) 2002-08-24 2002-08-24 자동차용 시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610Y1 true KR200295610Y1 (ko) 2002-11-18

Family

ID=7307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276U KR200295610Y1 (ko) 2002-08-24 2002-08-24 자동차용 시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6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43Y1 (ko) * 2010-01-19 2013-10-01 남진웅 차량용 전차종 공용 간이 시트커버
KR200469244Y1 (ko) * 2012-10-31 2013-10-01 남진웅 전차종 공용 차량용 간이시트커버
KR102125642B1 (ko) * 2019-03-12 2020-06-22 박나라 애완동물용 차량 시트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43Y1 (ko) * 2010-01-19 2013-10-01 남진웅 차량용 전차종 공용 간이 시트커버
KR200469244Y1 (ko) * 2012-10-31 2013-10-01 남진웅 전차종 공용 차량용 간이시트커버
KR102125642B1 (ko) * 2019-03-12 2020-06-22 박나라 애완동물용 차량 시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8724A (en) Lumbar support for seat attachment
CN103958266B (zh) 紧密贴合的车座套
US1673433A (en) Auxiliary seat back
JPH06503237A (ja) 椅子または座席用バックサポート
US4609226A (en) Vehicle seat
CA2749402A1 (en) Anti-rotation arrow retainer and clip
JP2000070078A (ja) 車両用シート
CN108001314A (zh) 轻质模块化的靠背和缓冲垫组件
EP1380233A1 (en) Sheet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KR200295610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JP4497629B2 (ja) 座あるいは背凭れ等の椅子の構造物
JP2010240240A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
EP1616749A2 (en) Seat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416722Y1 (ko) 밴드형 탈부착 의자 등받이
KR200295611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JP3120097U (ja) 椅子の背もたれ
JP5050012B2 (ja) 座あるいは背凭れ等の椅子の構造物
JPH09266938A (ja) 座席シートの背当て
JP3771387B2 (ja) 座席の背当、座席の背当の交換方法、及び座席の背当の製造方法
JP3065125U (ja) 自動車用のシ―トカバ―
JP3782737B2 (ja) 椅子の張り構造
KR200223349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KR200253399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KR200206383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KR200317758Y1 (ko) 자동차용 시트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