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297Y1 - 낚시용 봉돌 - Google Patents

낚시용 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297Y1
KR200295297Y1 KR2020020019355U KR20020019355U KR200295297Y1 KR 200295297 Y1 KR200295297 Y1 KR 200295297Y1 KR 2020020019355 U KR2020020019355 U KR 2020020019355U KR 20020019355 U KR20020019355 U KR 20020019355U KR 200295297 Y1 KR200295297 Y1 KR 200295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rimary coil
fishing
secondary coil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호
Original Assignee
배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영호 filed Critical 배영호
Priority to KR2020020019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2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29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 황동선을 이용하여 1, 2차 형태의 이중 코일형태로 제작하되, 직경이 작은 1차 코일 외부에 2차 코일을 나선형태로 결합하여 일정 중량을 가지는 봉돌을 제작하며, 표면을 에나멜로 코팅 처리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 되지 않고, 환경오염이 방지되는 특징이 있다.
결합 과정을 통해 그 구성을 살펴보면, 1차 코일부(11)의 외주면에 2차 코일부(12)를 나선형태로 결합하고, 1차 코일부(11)의 중공부(11a)에 목줄(21)을 관통시키되, 상단에 매듭을 지은 다음, 1차 코일부(11) 상단을 프레싱을 하여 봉돌(10)을 낚싯줄(20) 상에 고정시키며, 목줄(21)의 상단으로는 본줄(22)을 연결시키고, 하단으로는 낚싯바늘(30)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황동선을 이용하여 촘촘한 코일 형태로 제작하되, 직경이 작은 1차 코일 외부에 2차 코일을 나선형태로 결합하여 일정 중량을 가지는 봉돌을 제작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을 에나멜로 코팅 처리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 되지 않고, 찌의 부력 조절을 위해 일정 부분만큼의 봉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2차 코일을 회전시켜서 그 끝단부를 니퍼 등으로 절단함으로써 간단하고도 정확하게 찌의 부력을조절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봉돌 { a fishing sinker }
본 고안은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 황동선을 이용하여 1 ·2차 형태의 촘촘한 이중 코일형태로 제작하되, 직경이 작은 1차 코일 외부에 2차 코일을 나선형태로 결합하여 일정 중량을 가지는 봉돌을 용이하게 제작하며, 표면을 에나멜로 코팅 처리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 되지 않고, 환경오염이 방지되는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돌은 낚싯줄에 매단 납덩이나 돌덩이에 불과하지만, 찌의 부력에 상응하는 침력으로 무중량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기의 입질을 정확하고 빠르게 찌에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미끼를 원하는 바닥 포인트까지 운반하고, 미끼를 바닥에 가라앉힐 때는 무게구실을 하며, 물 속에 가라앉아 미끼가 움직이지 않게 닻의 역할을 한다. 또 미끼를 빨리 바닥에 닿게 하거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며 고기가 회유하는 층으로 자유롭게 미끼를 내려보낼 수 있으며, 물살이 빠르거나 파도가 거셀 때는 미끼를 고정시켜 주고, 목줄에 달린 미끼를 자연스럽게 흔들어 주는 역할을 하며, 낚시를 멀리 던지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한다.
종래의 봉돌은 사용 시 무게를 최대로 하고 부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쉽게 절단하거나 깎기 용이하며 수중마찰을 줄이기 위해 잘 연마된 납으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봉돌은 투척 후 어신을 예민하게 받기 위해서 낚싯줄을 팽팽히 긴장시키려고 할 때 적당한 걸림이 없어서 지속적으로 낚싯줄이 감기게 되어서 원하는 곳에 고정시키기 어렵고 마침내 수면의 돌이나 기타 지향적인 조건에 봉돌이 낚싯줄을 긴장시켜서 어신을 기다리는 대기상태에서는 어신을 받고 챔질을 하면 이러한 돌이나 지형적인 조건에 봉돌이 완전히 끼어서 빠져 나오지 못하여 결국에는 봉돌이 떨어지고 낚시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해왔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일부 조사들은 낚시의 본줄보다 가는 목줄에 봉돌을 연결시켜 바위 틈에 봉돌이 끼이도록 투척하여 고정시키고 어신이 받으면 강한 챔 질을 하여 인위적으로 '봉돌 떨어뜨리는 방식' 이라는 낚시 방법을 개발하여 즐기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의식적으로 납에 의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며 봉돌의 가격 역시 만만치 않는 경제적 손실을 주고 있다.
또한, 기존 납 봉돌로 찌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만큼의 납을 칼로 베어내어야 함으로 또 다른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되며, 작은 봉돌은 칼로 베어냄이 용이하지 않아서 손을 다칠 우려가 있는 또 다른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 종래 봉돌을 개량하여 본 고안은, 황동선을 이용하여 촘촘한 코일 형태로 제작하되, 직경이 작은 1차 코일 외부에 2차 코일을 나선형태로 결합하여 일정 중량을 가지는 봉돌을 제작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봉돌이 바다속에 떨어져 적체되어도 환경오염을 유발시키지 않음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면을 에나멜로 코팅 처리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 되지 않고, 정확한 찌의 부력 조절을 위해 일정 부분만큼의 봉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2차 코일을 회전시켜서 상측 혹은 하측으로 돌출된 그 끝단부를 니퍼 등으로 절단함으로써 간단하고도 정확하게 찌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음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제 2실시 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제 2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제 2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제 3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봉돌 11 : 1차 코일부
11a: 중공부 11b : 고리부
12 : 2차 코일부 20 : 낚싯줄
21 : 목줄 22 : 본줄
30 : 낚싯바늘 40 : 스프링
본 고안은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 황동선을 이용하여 1 ·2차 형태의 이중 코일형태로 제작하되, 직경이 작은 1차 코일 외부에 2차 코일을 나선형태로 결합하여 일정 중량을 가지는 봉돌을 제작하며, 표면을 에나멜로 코팅 처리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 되지 않고, 환경오염이 방지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굵기의 황동선을 촘촘하게 감아 코일형태로 형성하되, 1차 코일부(11)는 직경이 좁은 원통형태로, 중공부(11a)가 형성되어 낚싯줄이 관통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2차 코일부(12)는 상기 1차 코일부(11)의 외경과 부합되도록 원통형태로 감아 구성하여 1차 코일부(1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태로 회전하면서 결합이 가능하며, 찌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해 봉돌(10)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2차 코일부(12)를 1차 코일부(11) 외측으로 회전시켜 상측 혹은 하측으로 돌출 되도록 한 다음 니퍼(nipper)등의 절단기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절단하여 봉돌(10)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코일부(11)의 중공부(11a)에 목줄(21)을 관통시키되 상단에 매듭을 지은 다음, 1차 코일부(11) 상단을 프레싱 하여 봉돌(10)을 낚싯줄(20) 상에 고정시키며, 목줄(21)의 상단으로는 본줄(22)을 연결시키고, 하단으로는 낚싯바늘(30)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를 구성할 수 있는바, 1차 코일부(11)는 상기 제 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일정 굵기의 황동선을 촘촘하게 감아 코일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되, 원통형태의 상 ·하단에 고리부(11b)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2차 코일부(12)는 상기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어 1차 코일부(1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태로 회전하면서 결합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제 2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 단면도가 도 7에 잘 도시된 바, 결합 및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1차 코일부(11)의 상 ·하단에 구비된 고리부(11b)에 목줄(21)을 연결하되, 목줄(21)의 상단으로는 본줄(22)을 연결시키고, 하단으로는 낚싯바늘(30)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봉돌(10)과 목줄(21)의 연결이 더욱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실시 예를 구성할 수 있는 바, 상기 제 2실시 예에 설명한 1차 코일부(11)의 하단 고리부(11b)에 고강성 탄력 스프링(40)을 연결하고, 또 스프링(40)의 하단 고리로 낚싯줄(20)을 연결하여 낚싯바늘(30)과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2, 3실시 예에 사용되는 황동선의 표면에는 매끄러운 감촉과 광택이 나는 에나멜(enamel) 재질로 공히 코팅이 되어 있어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 없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황동선을 이용하여 촘촘한 코일 형태로 제작하되, 직경이 작은 1차 코일 외부에 2차 코일을 나선형태로 결합하여 일정 중량을 가지는 봉돌을 제작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을 에나멜로 코팅 처리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 되지 않고,찌의 부력 조절을 위해 일정 부분만큼의 봉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2차 코일을 회전시켜서 그 끝단부를 니퍼 등으로 절단함으로써 간단하고도 정확하게 찌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낚시용 봉돌에 있어서,
    일정 굵기의 황동선을 촘촘하게 감아 직경이 좁은 중공부(11a)를 가진 원통형 코일형태의 1차 코일부(11)와,
    상기 1차 코일부(11)의 외경과 부합되도록 원통형 코일형태로 감아서 제작한 2차 코일부(12)로 구성되어,
    1차 코일부(11)의 외주면을 따라 2차 코일부(12)가 나선형태로 회전하면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봉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부(11)의 상 ·하단으로 원형의 고리부(11b)가 형성되어 있어서 낚싯줄(20)과의 결합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봉돌.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1, 2차 코일부(11, 12)의 표면에는 에나멜 재질로 공히 코팅이 되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봉돌.
  4. 삭제
KR2020020019355U 2002-06-26 2002-06-26 낚시용 봉돌 KR200295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355U KR200295297Y1 (ko) 2002-06-26 2002-06-26 낚시용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355U KR200295297Y1 (ko) 2002-06-26 2002-06-26 낚시용 봉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297Y1 true KR200295297Y1 (ko) 2002-11-18

Family

ID=73125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355U KR200295297Y1 (ko) 2002-06-26 2002-06-26 낚시용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2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322A (ko) * 2013-12-03 2015-06-11 김원근 친환경 낚시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322A (ko) * 2013-12-03 2015-06-11 김원근 친환경 낚시추
KR101638434B1 (ko) * 2013-12-03 2016-07-20 김원근 친환경 낚시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4368A1 (en) Snag-resistant and attractive fishing flies - design and method for construction
US2931124A (en) Fishing bobber
KR200476223Y1 (ko)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US20100313463A1 (en) Stinger Spinner Jig
KR200295297Y1 (ko) 낚시용 봉돌
US3255549A (en) Castable fishing float
KR101567021B1 (ko) 낚시추
US9049852B1 (en) Spoon fishing l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777759A (en) Artificial fishing fly
US20010023551A1 (en) Fishing artificial bait and fishing terminal tackle
KR200275437Y1 (ko) 분할 낚시 추
JP3160378U (ja) コマセ保持具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KR102511226B1 (ko) 원투 낚시채비
TWM602801U (zh) 用於垂釣的多功能浮標
JP2002112684A (ja) 浮 き
KR100479178B1 (ko) 낚시용 찌
JPH05123089A (ja) 釣用立ちテンビン
KR200204974Y1 (ko) 낚시찌
KR100814954B1 (ko) 낚싯대 채비
KR100626728B1 (ko) 낚시 채비
SU1200871A1 (ru) Блесна
US20150373960A1 (en) Fishing rod for enhancing casting power
KR200291310Y1 (ko) 낚시추 고정장치
KR200327142Y1 (ko) 낚시용 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