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272Y1 - 연결 클램프 - Google Patents

연결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272Y1
KR200295272Y1 KR2020020012286U KR20020012286U KR200295272Y1 KR 200295272 Y1 KR200295272 Y1 KR 200295272Y1 KR 2020020012286 U KR2020020012286 U KR 2020020012286U KR 20020012286 U KR20020012286 U KR 20020012286U KR 200295272 Y1 KR200295272 Y1 KR 200295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plate
present
angl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김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수 filed Critical 김병수
Priority to KR2020020012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2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272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C형강 또는 앵글등의 강판재에 끼워져 다른 부재를 편리하게 연결시키도록 하기 위한 연결클램프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에는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의 일단부로 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몸체판과 틈을 형성하여 강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판;
상기 몸체판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걸림판의 연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되 절곡되는 각은 상기 걸림판이 절곡되는 각 보다 작고, 절곡 연장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들이 형성되는 나사체결판을 포함하는 연결 클램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연결 클램프{ connecting clamp }
본 고안은 강판재에 결합되어 타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형강 또는 앵글등의 강판재에 끼워져 다른 부재를 편리하게 연결시키도록 하기 위한 연결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 조립식 가옥이나 공장건물의 지붕은 H빔등의 기본 골조를 세운후 기본 골조들을 가로질러 C형강을 설치하여 지붕판을 그 위에 설치하고, 지붕판을 C형강에 결합시킨다. 또한, 천장판을 설치하기 위한 빔을 비롯하여 지붕판 밑에 설치되는 고정물은 C형강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C형강과 나사결합함으로써 설치한다.
도 1은 종래의 공장건물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지붕의 길이방향으로 세워진 종 기본골조(1)와, 종 기본골조(1)와 벽면 골조를 연결하는 횡 기본골조(2), (3)로 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기본 골조가 이루어진다. 횡 기본골조(2), (3)들의 상부로는 C형강이 가로질러 설치된다. 또한, C형강의 상면에는 지붕판(4), (5)이 덮혀져 C형강에 고정구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지붕과 천장 패널 사이의 빈공간내에는 여러 가지의 시설물이 설치되고, 천장 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빔이 설치되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지붕아래 설치되는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하여는 C형강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결합대상물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결합대상물과 C형강을 볼트와 나사로 결합함하여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시공시에 C형강에 나사결합하기 위하여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은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고, 작업의 피로도를 가중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C형강, 앵글등의 건축물의 강판에 용이하게 타 결합대상물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클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이외의 고정된 판상부재를 내부에 삽입하여 다른 물체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클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장건물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C형강과 다른 물체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시예를 이용하여 두 개의 C형강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앵글 구조물을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의 일단부로 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몸체판과 틈을 형성하여 강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판;
상기 몸체판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걸림판의 연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되 절곡되는 각은 상기 걸림판이 절곡되는 각 보다 작고, 절곡 연장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들이 형성되는 나사체결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나사체결판에 형성되는 체결공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결합공이 형성되고, 고정나사로 상기 걸림판에 삽입된 강판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판과 상기 나사체결판의 절곡부에는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눌려진 보강홈들이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연결 클램프(100)은 일정 폭과 두께를 갖는 강판으로 형성되는 몸체판(10)과, 몸체판(10)의 일단에서 U자 형상으로 절곡되되 몸체판(10)과 틈을 형성하도록 하여 내부에 강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판(11)과, 몸체판(10)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걸림판(11)의 연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나사체결판(12)으로 형성된다.
나사체결판(12)의 절곡되는 절곡각은 몸체판(10)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바람직하나 이는 설치목적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나, 걸림판(11)의 절곡각보다는 작아야 타 물체를 연결시키는데에 편리하다. 또한, 나사체결판(12)에는 관통되거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공(13)이 형성되어져 전산나사가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판(10)에는 두 개의 나사결합공(14), (15)이 형성되고, 고정나사(16), (17)로 몸체판(10)과 걸림판(11)에 끼워진 강판에 연결클램프(100)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나사체결공(13)이 한 개, 나사결합공(14), (15)이 두 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숫자는 연결클램프(100)의 길이와 연결클램프(100)의 설치용도에 의하여 다양한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몸체판(10)과 나사체결판(12)의 절곡부에는 프레스 작업에 의하여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눌려진 보강홈들(18), (19)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C형강과 다른 물체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C형강(21)의 일측 절곡판(21)은 연결클램프(100)의 몸체판(10)과 걸림판(11)에 의하여 형성되는 U자 형상의 홈에 삽입되어 걸려지게 된다. 나사 체결판(12)의 체결공에는 전산나사 볼트(22)의 끝이 통과되어 너트(23)에 의하여 상부에서 체결되게 되고, 전산나사 볼트(22)의 다른 끝은 연결시키고자 하는 물체(24)에 관통공을 통과하여 너트(25)에 의하여 체결된다. 또한, 몸체판(10)에 형성된 나사결합공(14), (15)에 고정나사(16), (17)를 제결하여 나사끝이 절곡판(21)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서 연결클램프(100)가 C형강에 고정되게 한다. 결국, 이와 같은 연결클램프와 전산나사를 이용하여 C형강(20)에 물체(24)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시예를 이용하여 두 개의 C형강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두 개의 C형강(41), (42)은 두 개의 연결클램프(31), (32)와 볼트(33), 너트(34), (35)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C형강(41)의 하부 절곡판은 연결클램프(31)의 U자형 홈에 삽입되게 되게 되고, C형강(42)의 상부 절곡판은 연결클램프(32)의 U자형 옴에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클램프(31)의 관통공과 연결클램프(32)의 관통공은 서로 마주 보게 되고, 전신에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단부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를 관통공에 삽입하여 그 끝에 너트(34), (35)를 체결함으로써 결국 두 개의 C형강(41), (42)를 결합시킨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앵글 구조물을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고정 구조물의 일부인 앵글(51)에 다른 앵글(52)을 본원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체결시키는 사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연결 클램프(53)의 U자형 홈에 앵글(51)의 상부로 절곡된 절곡판을 삽입하고, 체결대상의 앵글(52)의 하부로 절곡된 절곡판을 연결 클램프(54)의 U자형 홈에 삽입한 후 각각의 연결 클램프(53), (54)의 체결공에 볼트(55)의 양단을 통과시켜 그 끝에 너트(56), (57)을 체결함으로써 결국 앵글(52)을 앵글(51)에 체결시킨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연결클램프의 길이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보다 길게 형성하도록 하여 여러 개의 전산나사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가정에서 옷걸이나 인테리어의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C형강, 앵글등의 건축물 또는고정된 장치에 형성된 강판에 다른 물체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강판에 용접을 하거나 관통공을 형성하여 나사결합할 필요없이 본원의 연결클램프를 이용하여 편리하고 빠르게 결합대상물을 결합시킬 수 있어 결합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Claims (3)

  1.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의 일단부로 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몸체판과 틈을 형성하여 강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판;
    상기 몸체판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걸림판의 연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되 절곡되는 각은 상기 걸림판이 절곡되는 각 보다 작고, 절곡 연장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들이 형성되는 나사체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결합공이 형성되고, 고정나사로 상기 걸림판에 삽입된 강판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클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판과 상기 나사체결판의 절곡부에는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눌려진 보강홈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클램프.
KR2020020012286U 2002-04-23 2002-04-23 연결 클램프 KR200295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286U KR200295272Y1 (ko) 2002-04-23 2002-04-23 연결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286U KR200295272Y1 (ko) 2002-04-23 2002-04-23 연결 클램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107A Division KR20030083434A (ko) 2002-04-23 2002-04-23 연결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272Y1 true KR200295272Y1 (ko) 2002-11-18

Family

ID=7312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286U KR200295272Y1 (ko) 2002-04-23 2002-04-23 연결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2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787B2 (en) Joint fitting between members and joint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of upper and lower floor vertical frame members
JP4795971B2 (ja) 金属構造物のための剛性ネジ止めユニット
KR200295272Y1 (ko) 연결 클램프
KR20030083434A (ko) 연결 클램프
JP3209111U (ja) たて枠材およびスチールハウス
JPH01322042A (ja) 閉鎖形断面柱と鉄骨梁との接合部構造
KR20040081683A (ko) 긴장력을 이용한 형강 부착용 클램프
JP6957817B2 (ja) 連結固定金具、連結固定装置、連結固定方法、壁下地構造及び壁下地構造の施工方法
JP2776476B2 (ja) 押出成形セメント板床の留付構造
JP7349677B2 (ja) 仮設手摺の支柱構造
JP4215125B2 (ja) 支柱固定構造
JP3553271B2 (ja) 外壁パネルおよびその施工構造
KR100373628B1 (ko) 고정바를 이용한 천정판넬의 시공구조
JP3122624B2 (ja) 壁パネル用補強部材
JP7334755B2 (ja) 外壁パネルの留金具と外壁構造
JP4202288B2 (ja) 押出成形セメント板床用金具及び押出成形セメント板床の留付構造
KR200163423Y1 (ko) 거푸집구조물
KR960008848Y1 (ko) 비계(footing)용 강관 고정구
JP4756927B2 (ja) 屋根パネル連結金物および屋根パネルの連結方法
KR960000701Y1 (ko) 벽판넬의 결합장치
KR200317108Y1 (ko) 긴장력을 이용한 형강 부착용 클램프
JP2542960Y2 (ja) 部品連結構造
JP2002115332A (ja) 複合梁の補強構造及び複合梁と木製柱との接続構造
JPH0243921Y2 (ko)
JP2561669Y2 (ja) 建築壁パネル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