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977Y1 - 수도계량기 보호통 - Google Patents

수도계량기 보호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977Y1
KR200294977Y1 KR2020020023669U KR20020023669U KR200294977Y1 KR 200294977 Y1 KR200294977 Y1 KR 200294977Y1 KR 2020020023669 U KR2020020023669 U KR 2020020023669U KR 20020023669 U KR20020023669 U KR 20020023669U KR 200294977 Y1 KR200294977 Y1 KR 200294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ylinder
protective
water meter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진
Original Assignee
정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진 filed Critical 정수진
Priority to KR2020020023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9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977Y1/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통본체 내부의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각종 세균이나 벌레의 서식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발생된 폐열가스를 유입하여 겨울철 동파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상수도로부터 연결된 입수관을 통해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수돗물의 양을 계량하는 수도계량기를 내측에 장착시켜 보호하는 보호통본체와, 상기 보호통본체의 상부에서 개폐되도록 설치된 보호통덮개를 포함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본체는, 저면에 외부에서 발생된 폐열가스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가스유입구와, 상기 보호통덮개와 겹쳐지는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가스유입구를 통해 보호통본체 내부에 유입된 폐열가스가 배출되도록 일정 직경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본체환풍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보호통덮개는, 상기 보호통본체와 겹쳐지는 덮개부분에 상기 보호통본체의 본체환풍구와 대응되고 연통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덮개환풍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도계량기 보호통{A WATER GAUGE PROTECT BOX}
본 고안은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통본체 내부의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각종 세균이나 벌레의 서식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발생된 폐열가스를 유입하여 겨울철 동파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이다.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외부에 설치된 상수도로부터 연결된 입수관을 통해 수돗물을 공급받아 가정이나 건물내로 유출되는 수돗물의 양을 계량하는 수도계량기를 보호하고, 검침원이 용이하게 검침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도5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단면도로서, 보호통본체(20)의 내부에 수도계량기(72)가 장착되어 있고, 수도계량기(72)의 일측에 외부의 상수도로부터 연결된 입수관(70)과, 수도계량기(72)의 타측에 가정이나 건물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출수관(75)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호통본체(20)의 상부에는 검침원이 검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보호통덮개(10)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통본체(20)의 하부에는 상기 보호통본체(20)를 안전하게 받쳐주는 지지판(80)이 연결되어 설치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겨울철 수도계량기(72)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통본체(20)와 보호통덮개(10)의 내면에 스치로폼과 같은 단열재가 부착되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겨울철 동파방지를 위해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수도계량기 보호통 내부의 공기가 오염되어 각종 세균의 발생이 용이하고, 벌레가 서식하기 때문에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번 유입된 폐수는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수도계량기의 부식과 수명을 단축시키고, 겨울철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통풍을 원활히 하여 각종 세균이 벌레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도계량기 보호통 내부에 유입된 폐수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수도계량기의 부식을 방지하여 기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외부에서 발생된 폐열가스를 유입하여 겨울철 동파방지를 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사용상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횡단면도,
도3은 도2의 A-A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덮개단면도,
도5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호통덮개 12 : 단열재
14 : 힌지 15 : 덮개환풍구
16 : 손잡이 20 : 보호통본체
22, 92 : 방충망 25 : 본체환풍구
30 : 연결관 50 : 가스유입관
51 : 플랜지 52 : 엘보우
55 : 거름망 54 : 가스유입구
60 : 하수관 70 : 입수관
72 : 수도계량기 75 : 출수관
80 : 지지판 90 : 환풍관
95 : 환풍팬
본 고안에 의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상수도로부터 연결된 입수관을 통해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수돗물의 양을 계량하는 수도계량기를 내측에 장착시켜 보호하는 보호통본체와, 상기 보호통본체의 상부에서 개폐되도록 설치된 보호통덮개를 포함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본체는, 저면에 외부에서 발생된 폐열가스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가스유입구와, 상기 보호통덮개와 겹쳐지는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가스유입구를 통해 보호통본체 내부에 유입된 폐열가스가 배출되도록 일정 직경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본체환풍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보호통덮개는, 상기 보호통본체와 겹쳐지는 덮개부분에 상기 보호통본체의 본체환풍구와 대응되고 연통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덮개환풍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상기 본체환풍구는 내측면의 직경 중심점이 보호통본체 외측면의 중심점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환풍구는 내측면의 직경 중심점이 보호통덮개의 외측면의 중심점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상기 보호통본체의 가스유입구에는, 외부의 하수관과 연결된 가스유입관이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상기 보호통본체의 가스유입구는, 외부의 난방장치의 배기가스관과 연결된 가스유입관이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상기 보호통본체의 본체환풍구의 일측면에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망과, 상기 보호통본체의 가스유입구에 이물질의 이동을 차단하는 거름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상기 보호통본체의 일측에 상기 가스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상기 보호통덮개의 일측은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보호통본체와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도계량기 보호통 내부의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각종 세균이나 벌레의 서식을 방지한다.
또한 수도계량기 보호통 내부와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보호통 내부에 유입된 폐수를 즉시 방출하여 수도계량기의 부식을 방지하고 기기의 수명을 연장하게 된다.
또한 외부의 폐열가스를 효과적으로 유입하여 겨울철 동파방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사용상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횡단면도이며, 도3은 도2의 A-A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덮개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는, 수도계량기(72)를 보호하는 보호통본체(20)와, 상기 보호통본체(20)의 상부에서 개폐할 수 있는 보호통덮개(10)와, 상기 보호통본체(20)의 하부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입수관(70)과 유출되는 출수관(75)을 보호하는 연결관(30)과, 상기 연결관(30)에 연결되어 수도계량기 보호통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판(8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통본체(20)의 저면에는 외부에서 발생된 폐열가스를 유입하는가스유입구(54)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유입구(54)에는 가스유입관(50)이 하수관(60)에 플랜지(51)와 엘보우(52)로 각각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스유입구(54)에는 보호통본체(20) 내부에 적체된 이물질이 가스유입관(50)에 유입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망(55)이 부착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가스유입구(54)에 가정이나 건물에 설치된 난방장치의 배기가스관에 가스유입관(50)을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통본체(20)와 상기 보호통덮개(10)가 겹쳐지는 보호통본체(20)의 상단부에는 외부와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본체환풍구(25)가 일정직경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환풍구(25)와 대응되고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덮개환풍구(15)가 상기 보호통덮개(10)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호통본체(20)에 형성된 본체환풍구(25)의 내측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망(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환풍구(25)와 덮개환풍구(15) 각각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환풍구(25)는 내측면의 직경 중심점이 보호통본체(20) 외측면의 중심점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환풍구(15)는 내측면의 직경 중심점이 보호통덮개(10)의 외측면의 중심점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호통덮개(10)나 보호통본체(20)를 따라 빗물이나 각종 폐수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 때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보호통본체(20)의 일측에 상기 가스유입구(54)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수단은 보호통본체(20)의 일측에 연결된 환풍관(90)과, 상기 환풍관(90)의 선단부에 연결된 환풍팬(95)으로 구성되어, 보호통본체(20)의 내부에 유입된 폐열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통덮개(10)의 일측은 손잡이(16)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보호통본체(20)와 힌지(14) 연결되어 뚜껑의 분실을 방지하고 검침원이나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도면중의 미설명 부호 12는 단열재를 표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보호통본체(20)와, 보호통덮개(10)에 형성된 본체환풍구(25)와 덮개환풍구(15)를 통해 보호통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유통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본체환풍구(25)에 설치된 방충망(22)에 의해 외부에서 이물질은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본체환풍구(25)와 덮개환풍구(15)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통덮개(10)나 보호통본체(20)를 따라 유입하는 폐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수관(60)이나 외부의 난방장치에서 발생된 폐열가스는 가스유입관(50)과 가스유입구(54)를 통해 보호통본체(20) 내부로 공급되고, 방열된 폐열가스는 상기 환풍구(15, 25)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배출가스의 배출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배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단열재(12)로 해결하지 못하였던 겨울철 동파를 효과적으로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유입구(54)에 형성된 거름망(55)은 보호통본체(20) 내부에 축적된 이물질로 인해 가스유입관(5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기온차이나 습도 등으로 생성된 물은 용이하게 상기 가스유입관(50)을 통해 외부로 방출시켜 보호통본체(20) 내부의 수도계량기(72)나 수도관 등의 기기의 부식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수도계량기 보호통 내부의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각종 세균이나 벌레의 서식을 방지하고, 수도계량기 보호통 내부와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보호통 내부에 유입된 폐수를 즉시 방출하여 수도계량기의 부식을 방지하고 기기의 수명을 연장하게 된다.
또한 외부의 폐열가스를 효과적으로 유입하여 겨울철 동파방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상수도로부터 연결된 입수관을 통해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수돗물의 양을 계량하는 수도계량기를 내측에 장착시켜 보호하는 보호통본체와, 상기 보호통본체의 상부에서 개폐되도록 설치된 보호통덮개를 포함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본체는, 저면에 외부에서 발생된 폐열가스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가스유입구와, 상기 보호통덮개와 겹쳐지는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가스유입구를 통해 보호통본체 내부에 유입된 폐열가스가 배출되도록 일정 직경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본체환풍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보호통덮개는, 상기 보호통본체와 겹쳐지는 덮개부분에 상기 보호통본체의 본체환풍구와 대응되고 연통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덮개환풍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환풍구는 내측면의 직경 중심점이 보호통본체 외측면의 중심점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환풍구는 내측면의 직경 중심점이 보호통덮개의 외측면의 중심점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본체의 가스유입구에는, 외부의 하수관과 연결된 가스유입관이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본체의 가스유입구는, 외부의 난방장치의 배기가스관과 연결된 가스유입관이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본체의 본체환풍구의 일측면에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망과, 상기 보호통본체의 가스유입구에 이물질의 이동을 차단하는 거름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본체의 일측에 상기 가스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덮개의 일측은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보호통본체와 힌지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20020023669U 2002-08-05 2002-08-05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294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669U KR200294977Y1 (ko) 2002-08-05 2002-08-05 수도계량기 보호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669U KR200294977Y1 (ko) 2002-08-05 2002-08-05 수도계량기 보호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977Y1 true KR200294977Y1 (ko) 2002-11-13

Family

ID=7308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669U KR200294977Y1 (ko) 2002-08-05 2002-08-05 수도계량기 보호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9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344B1 (ko) 2016-03-17 2016-07-05 주식회사 피에이엠홀딩스 열효율을 향상한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344B1 (ko) 2016-03-17 2016-07-05 주식회사 피에이엠홀딩스 열효율을 향상한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5770B1 (en) Condensate secondary pan for a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ES2896965T3 (es) Disposición para efectuar una descarga higiénica en una instalación de agua
KR200294977Y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KR100684174B1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CN216038834U (zh) 一种微孔曝气装置
CN213572290U (zh) 一种防异味封闭式地漏
CN209779827U (zh) 基于swmm模块的排水用阻尼地漏
CN209891364U (zh) 一种一体化密闭式地埋式格栅除污成套装置
CN209389527U (zh) 一种埋地预装式变电站的通风结构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CN208346955U (zh) 多功能洗衣机地漏
CN210713150U (zh) 一种渠盖结构
CN207892009U (zh) 排水盖板
CN207003611U (zh) 一种360度旋转干湿两用防臭芯排水地漏
CN206055920U (zh) 一种空调冷凝水净化收集箱
KR100623412B1 (ko) 하수관의 악취 제거구조
JP2002071203A (ja) 排気ガラリ構造体
CN211228822U (zh) 一种新型地漏排水芯
JPH1076252A (ja) 雨水濾過システム
KR20100106123A (ko) 맨홀용 에어 벤트의 결합구조
KR100588210B1 (ko) 밸브실용 에어 벤트
CN103541411A (zh) 一种防爆防毒防臭多功能地漏
JPH11210070A (ja) 排水ます用蓋
CN218445400U (zh) 下水道及化粪池用气体监测微站
CN211285893U (zh) 一种洁净区防倒灌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