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552Y1 -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 - Google Patents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552Y1
KR200294552Y1 KR2019990012642U KR19990012642U KR200294552Y1 KR 200294552 Y1 KR200294552 Y1 KR 200294552Y1 KR 2019990012642 U KR2019990012642 U KR 2019990012642U KR 19990012642 U KR19990012642 U KR 19990012642U KR 200294552 Y1 KR200294552 Y1 KR 200294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light
crankcase
hol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108U (ko
Inventor
김철우
Original Assignee
대림자동차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자동차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자동차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2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552Y1/ko
Publication of KR20010002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1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552Y1/ko

Links

Landscapes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강제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대단부의 베어링을 윤활하기 위한 오일 통로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 펌프에서 압송되는 오일의 압력을 대단부 베어링에까지 거의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오일의 누설이 없도록 하여 대단부 베어링의 윤활을 양호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레프트 크랭크 케이스 (미도시)와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1)에 베어링(3)으로 지지되는 크랭크 샤프트 (일부생략)(2)의 크랭크 핀(4)에 베어링(5)과 함께 커넥팅 로드(6)의 대단부(7)를 지지하고, 상기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1)의 외측에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8)를 결합함과 동시에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8)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크랭크 샤프트(2)에 제네레이터(9)와 팬(10)을 결합한 강제공냉식 엔진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8)에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1)의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8)의 결합좌면(1')에 형성한 오일 펌프 (미도시)에서 압송되는 오일의 오일 통로(11)와 연통되는 통공(30)을 수평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통공(30)에 연통되는 수직 오일 통공(31)을 크랭크 샤프트 지지부(31')까지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크랭크 샤프트(2)의 원주 및 축방향에 상기 수직 오일 통공(31)과 연통되는 오일 공급로(32)(33)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일 공급로(33)의 끝에 경사 오일 공급로(34)를 형성하며, 상기 크랭크 핀(4)에 일단이 플럭(35')으로 폐쇄된 오일 저장실(35)을 형성하여 상기 오일 저장실(35)과상기 경사 오일 공급로(34) 및 크랭크 핀(4)의 외주 사이에 연결통로(36)(37)를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 {CONNECTING ROD OIL PASSAGE-WAY OF AIR COOLED ENGINE}
본 고안은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강제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대단부의 베어링을 윤활하기 위한 오일 통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공냉식 엔진은 자연공냉식과 강제공냉식으로 구분되며, 전자는 크랭크 샤프트의 끝이 크랭크 케이스 커버의 내면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커넥팅 로드 대단부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하여 크랭크 케이스 및 크랭크 케이스 커버에 오일 통로를 형성하고, 크랭크 샤프트의 끝에서 바란싱 웨이트 부위까지 제 2 오일 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 2 오일 통로에서 크랭크 핀까지 제 3 오일 통로를 형성하여 오일 펌프에서 압송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 통로를 경유시켜 커넥팅 로드 대단부의 베어링에 공급하는 것이나, 후자는 크랭크 샤프트의 끝을 크랭크 케이스 커버 외측으로 돌출시켜 그 돌출부에 제네레이터와 팬 등이 설치되므로 즉 크랭크 케이스 커버와 크랭크 샤프트의 끝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자연공냉식과 같은 오일 통로의 형성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 강제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대단부의 베어링을 윤활하기 위한 오일 통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이 알려졌는 바, 상기한 오일 통로는 레프트 크랭크 케이스 (미도시)와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1)에 베어링(3)으로 지지되는 크랭크 샤프트 (일부생략)(2)의 크랭크 핀(4)에 베어링(5)과 함께 커넥팅 로드(6)의 대단부(7)를 지지하고, 상기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1)의 외측에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8)를 결합함과 동시에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8)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크랭크 샤프트(2)에 제네레이터(9)와 팬(10)을 결합하며, 상기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1)의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8)의 결합좌면(1')에 오일 펌프에서 압송되는 오일의 오일 통로(11)를 형성하고, 상기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1)에 실린더 측으로 상기 오일 통로(11)와 연통되는 수평 오일 통공(1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 오일 통공(12)과 연통되는 수직 오일 통공(13)을 상기 베어링(3)의 부시(3')까지 형성하며, 상기 크랭크 핀(4)에 오일 공급로(14)를 수평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일 공급로(14)와 크랭크 핀(4)의 외주면 사이에 오일 공급공(15)을 형성하고, 상기 크랭크 샤프트(2)의 바란싱 웨이트(2') 측면 주위에 통공(17)이 형성된 지지부재(16)를 통공(17)에 형성한 지지편(17')을 크랭크 핀(4)에 형성한 오일 공급로(14)의 입구에 삽입하여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16)에 링(18)을 고정하여 크랭크 샤프트(2)와 함께 회전토록 하며, 상기 베어링(3)의 부시(3')에 단턱(19)을 형성하여 유도부재(20)를 상기 링(18)에 접촉되게 고정하며, 상기 크랭크 샤프트(2) 외주에 일정간격을 두고 바란싱 웨이트(2')와 베어링(3) 사이에 밀폐링(21)을 설치하여 밀폐링(21)으로서 지지부재(16)를 바란싱 웨이트(2')에 다시 지지함과 동시에 밀폐링(21)의 외주와 지지부재(16) 및 링(18) 사이에 오일 저장홈(22)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오일 통로는 오일 펌프에서 압송되는 오일은 오일 통로(11), 수평 오일 통공(12), 수직 오일 통공(13), 베어링(3) 외면을 경유하여 링(18)에 안내되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통공(17), 오일 공급로(14) 및 오일 공급공(15)을 통하여 커넥팅 로드 대단부의 베어링에 공급하여 윤활하고, 링(18)에 안내되는 일부의 오일은 오일 저정홈(22)에 저장되었다가 원심력에 의하여 통공(17) 및 오일 공급로(14)를 거쳐 베어링을 윤활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오일 통로는 오일 펌프에서 압송되는 오일은 베어링(3)의 부시(3')까지는 오일 펌프의 오일 압력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공급되나 유도부재(20) 이후에는 오일 펌프의 오일 압력은 거의 소실되고, 커넥팅 로드(6)의 대단부 베어링(5)에는 원심력에 의하여 공급되는 것이므로 오일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또한 유도부재(20)와 링(18), 베어링(3), 밀폐링(21)과 지지부재(16) 및 베어링(3) 사이로 오일이 누설되어 오일 공급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오일 공급량의 부족으로 대단부 베어링(5)의 내마모성 등이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오일 펌프에서 압송되는 오일의 압력을 대단부 베어링에까지 거의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오일의 누설이 없도록 하여 대단부 베어링의 윤활을 양호하게 한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에 지지되는 크랭크 샤프트의 크랭크 핀에 베어링과 함께 커넥팅 로드의 대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의 외측에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를 결합함과 동시에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크랭크 샤프트에 제네레이터와 팬을 결합한 강제공냉식 엔진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에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의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의 결합좌면에 형성된 오일 통로와 연통되는 통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통공에 연통되는 수직 오일 통공을 크랭크 샤프트의 지지부까지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원주 및 축방향에 상기 수직 오일 통공과 연통되는 오일 공급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일 공급로의 끝에 경사 오일 공급로를 형성하며, 상기 크랭크 핀에 일단이 폐쇄된 오일 저장실을 형성하여 상기 오일 저장실과 상기 경사 오일 공급로 및 크랭크 핀 외주 사이에 연결 통로를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의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것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것의 일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2: 크랭크 샤프트 5: 베어링
8: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 30: 통공 31: 수직 오일 통공
31': 크랭크 샤프트 지지부 32, 33: 오일 공급로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프트 크랭크 케이스 (미도시)와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1)에 베어링(3)으로 지지되는 크랭크 샤프트 (일부생략)(2)의 크랭크 핀(4)에 베어링(5)과 함께 커넥팅 로드(6)의 대단부(7)를 지지하고, 상기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1)의 외측에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8)를 결합함과 동시에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8)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크랭크 샤프트(2)에 제네레이터(9)와 팬(10)을 결합한 강제공냉식 엔진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8)에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1)의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8)의 결합좌면(1')에 형성한 오일 펌프 (미도시)에서 압송되는 오일의 오일 통로(11)와 연통되는 통공(30)을 수평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통공(30)에 연통되는 수직 오일 통공(31)을 크랭크 샤프트 지지부(31')까지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크랭크 샤프트(2)의 원주 및 축방향에 상기 수직 오일 통공(31)과 연통되는 오일 공급로(32)(33)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일 공급로(33)의 끝에 경사 오일 공급로(34)를 형성하며, 상기 크랭크 핀(4)에 일단이 플럭(35')으로 폐쇄된 오일 저장실(35)을 형성하여 상기 오일 저장실(35)과 상기 경사 오일 공급로(34) 및 크랭크 핀(4)의 외주 사이에 연결통로(36)(37)를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크랭크 샤프트 지지부(31')에는 부시(38)를 강제 끼움으로 설치하여 수직 오일 통공(31)과 오일 공급로(32)를 연통하는 연결공(39)을 형성하고, 상기연결공(39)은 수직 오일 통공(31)과 동시에 형성하여 작업공수를 절감하며, 상기 부시(38)는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8)보다 그 강성과 내구성이 양호한 알미늄 합금으로 제조하여서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40, 41은 플럭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오일 펌프에서 압송되는 오일은 오일 통로(11), 통공(30), 수직 오일 통공(31), 연결공(39), 오일 공급로(32)(33), 경사 오일 공급로(34), 연결통로(36), 오일 저장실(35) 및 연결통로(37)를 차례로 경유하여 커넥팅 로드(6)의 대단부(7)에 설치된 베어링(5)에 공급되어 베어링(5)을 윤활하는 것인 바, 본 고안은 오일 펌프에서 압송되는 오일이 베어링(5)에 공급될 때까지 그 압력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므로서 오일의 공급이 원활하고, 또한 오일이 베어링에 공급되는 과정에 누설부분이 거의 없어 오일 공급량도 감소되지 않으므로 베어링(5)에 오일이 충분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베어링(5)의 내마모성 등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오일 펌프에서 커넥팅 로드 대단부의 베어링에 오일이 공급될 때 오일 펌프의 오일 압력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급되므로 오일의 공급이 원활하고, 또한 오일이 베어링에 공급되는 과정에 누설도 거의 없으므로 베어링에 오일이 충분하게 공급되어 베어링 등의 내마모성 등도 양호하게 유지하여 수명도 연장되는 것이다.

Claims (3)

  1.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에 지지되는 크랭크 샤프트의 크랭크 핀에 베어링과 함께 커넥팅 로드의 대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의 외측에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를 결합함과 동시에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크랭크 샤프트에 제네레이터와 팬을 결합한 강제공냉식 엔진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에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의 라이트 크랭크 케이스 커버의 결합좌면에 형성된 오일 통로와 연통되는 통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통공에 연통되는 수직 오일 통공을 크랭크 샤프트의 지지부까지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원주 및 축방향에 상기 수직 오일 통공과 연통되는 오일 공급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일 공급로의 끝에 경사 오일 공급로를 형성하며, 상기 크랭크 핀에 일단이 폐쇄된 오일 저장실을 형성하여 상기 오일 저장실과 상기 경사 오일 공급로 및 크랭크 핀 외주 사이에 연결 통로를 각각 형성하여서 된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
  2. 제 1 항에 있어서, 크랭크 샤프트 지지부에 부시를 설치한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
  3. 제 2 항에 있어서, 부시는 크랭크 샤프트 지지부에 강제 끼움으로 설치하여 연결공을 수직 오일 통공과 동시에 형성한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
KR2019990012642U 1999-06-30 1999-06-30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 KR200294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642U KR200294552Y1 (ko) 1999-06-30 1999-06-30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642U KR200294552Y1 (ko) 1999-06-30 1999-06-30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108U KR20010002108U (ko) 2001-01-26
KR200294552Y1 true KR200294552Y1 (ko) 2002-11-13

Family

ID=5476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642U KR200294552Y1 (ko) 1999-06-30 1999-06-30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5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108U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3158B2 (en) Turbocharger bearing assembly and lubrication thereof
US7316208B2 (en) Generator cooling system of engine
CA2056124C (en) Valve gear oiling system for overhead camshaft engine
US6205971B1 (en) Crankshaft rotation structure for four cycle engine
JP3754572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オイルシールの潤滑装置
US4936742A (en) Water pump apparatus having lubricating oil circulation and axial thrust support
US7798116B2 (en) Piston/connecting rod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7532845A (ja) 大型2サイクル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クロスヘッド軸受
US5711614A (en) Crankshaft bearing of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94552Y1 (ko) 공냉식 엔진의 커넥팅 로드 오일 통로
US4742803A (en) Reciprocatory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227277B2 (ja) 大型2サイクル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クロスヘッド軸受
JP2005273715A (ja) エンジンの軸受装置
JP3469354B2 (ja) 往復動式内燃機関
JPS6034819Y2 (ja) すべり軸受支持装置
JP2909597B2 (ja) 2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2522754Y2 (ja) ピストンと連接棒の連結構造
RU2260721C2 (ru) Схема смазки коленчатого вала
KR19990032830U (ko) 크랭크축 메인 베어링의 윤활구조
KR19980037286U (ko) 피스톤의 오일 저장구조
JPH04101821U (ja) 内燃機関のクランク軸
KR200172633Y1 (ko)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캡
KR20040040919A (ko) 디젤엔진용 갤러리 쿨링 피스톤
KR200234991Y1 (ko) 공냉식 엔진의 피스톤 냉각장치
JPH10299447A (ja) エンジンのクランク軸オイルシールのオイル戻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