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213Y1 -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213Y1
KR200294213Y1 KR2020020023235U KR20020023235U KR200294213Y1 KR 200294213 Y1 KR200294213 Y1 KR 200294213Y1 KR 2020020023235 U KR2020020023235 U KR 2020020023235U KR 20020023235 U KR20020023235 U KR 20020023235U KR 200294213 Y1 KR200294213 Y1 KR 200294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driver
mirrors
convex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이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준 filed Critical 이용준
Priority to KR2020020023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213Y1/ko

Links

Landscapes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운전자 시야의 사각지대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운전중 운전자가 후방 및 후측방의 다른 자동차나 물체의 존재와 움직임을 관측하기 위해 설치하는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에 있어서,상기 사이드미러 형성용 평면유리를 준비하여 한 쪽 면을 넓은 면적의 중앙 평면부(6) 및 그 좌우 측에 ,볼록거울처럼 뒷 쪽을 향해 경사지게 한 좁은 면적의 경사면부(4,5)를 갖게 하는 한편 반사칠(8)을 하여 거울의 저면(3)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양측 경사면에 의해 볼록거울처럼 빛의 입사각 및 반사각을 넓혀 사각지대를 줄이는 한편 거울에 보이는 물체와의 거리가 실제보다 더 멀어 보이지 않게 되도록 거울의 저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10,1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미러{The Side Mirrors of Car}
본 고안은 사이드미러에 보이는 물체와의 거리가 실제보다 더 멀어 보이지 않으면서도 운전자의 후방 및 후측방의 시야를 넓혀 즉, 사각지대를 줄여주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는 자동차 운전자가 운전시 후방 및 후측방의 다른 자동차나 물체의 존재와 움직임을 용이하게 관측하게 하기위해 운전자의 좌우측 전방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평면 또는 볼록한 곡면을 갖는 유리의 표면에 금속막을 입히거나 전매질을 증착시켜 표면에서 반사시키는 것과 유리의 저면에 반사칠로서 수은을 바르고 그 위에 습기를 막는 연단칠을 하여 입사된 빛이 저면에서 반사되도록 하는 것들이 있다.
그러나, 볼록거울의 경우는 운전자의 시야는 넓게해 주지만 자연히 사각지대가 형성되는 한편 거울에 보이는 물체가 실제보다 더 멀어 보여 사고 발생의 우려가 높았다.
평면거울의 경우에도 볼록거울에 비해 거울에 보이는 물체와의 거리가 실제보다 더 멀어 보이지는 않지만 운전자의 시야가 좁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요 근래에는 자동차의 운전중 충돌 등 접촉사고의 유발 우려가 높은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평거울이나 볼록거울의 표면 일부분에 다시 곡률이 높은 또 하나의 작은 볼록거울을 부착,형성시키거나 또는 평면거울 표면의 내외측부 일부분을 깎아 경사면(4',5')을 형성하여 시야를 넓혀주는 경우도 있으나 거울의 표면에 골률이 큰 볼록거울을 부착시키는 경우는 운전자의 시각상의 혼란을 줄이기위해 부착시키는 곡률이 큰 볼록거울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밖에 없어 큰 효과를 얻기 힘들었고,평면거울의 표면 내외측을 깎아 경사면을 형성시키는 경우도 거울의 표면에 두드러지게 각이지게 되는 관계로 운전자의 시각상에 혼란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평면거울의 표면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경사지게 깎아서 즉, 거울의 표면을 분할 경사지게 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넓히지 않고 반사칠이 되는 거울유리의 저면을 깎아서 분할 경사지게 하여 거울에 보이는 물체가 실제보다 더 멀어 보이지 않으면서도 역시 운전자의 시야를 넓혀 사각지대를 줄여주는 한편 운전자의 시각상 혼란도 적은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A)(B)는 종래의 거울유리의 표면을 분할 경사지게 한 사이드미러의 사시도
도2(A)(B)는 본 고안에 따른 거울유리의 저면을 분할 경사지게 한 사이드미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3(A)(B)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저면 분할 경사 사이드미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종래의 표면 분할 경사 사이드미러 2.표면
3.저면 4,4'. 내측 경사면
5,5'.외측 경사면 6. 중앙 평면부
7.경사 요입부 8. 반사칠
9.경화성 접착제
10,10'. 본 고안에 따른 저면 분할 경사 사이드미러
X-X'. 절단선
본 고안에 따르면,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있어서,미러를 형성하는 평면유리의 반사칠(8)이 되는 저면(3)을 분할하여 넓은 면적의 중앙 평면부(6) 및 그 좌우측에 좁은 면적의 경사면(4,5)을 갖게 하여 경사면(4,5)에 의해 볼록거울처럼 시야를 넓혀주되 운전자의 시각상에 큰 혼란없이 사각지대를 줄이는 한편 거울에 보이는 물체의 거리가 실제보다 더 멀어 보이지 않게 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10,10')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10)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1(A)(B)에서와같은 거울유리의 표면을 분할 경사지게 하여 사이드미러 표면에 입사 및 반사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켜 즉,시야를 넓혀 주는 것과는 달리 반사칠(8)이 되는 거울유리의 저면(3)을 넓은 면적의 중앙 평면부 및 그 좌우 측의 좁은 면적의 경사면부를 갖게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분할 경사지게 한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1의 종래의 표면 분할 경사 사이드미러에서의 여러 부분 각이진 표면에 의해 발생하는 운전자의 시각상 혼란을 줄이는 한편 볼록거울처럼 시야를 넓혀 사각지대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거울에 보이는 물체가 실제보다 더 멀어보이지않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를 제공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는 약 4∼5 mm 정도의 평면 거울 유리를 준비하여 도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쪽 면을 넓은 면적의 중앙평면부(6)를 제외한 좌측 및 우측 일부분씩을 즉,사이드미러의 설치시 운전자에 가까운 쪽의 내측 부분과 먼 쪽의 외측 부분의 일 부분들을 볼록거울처럼 뒤쪽으로 경사지게 깎은후 잘 연마하여 그 위에 반사칠을 하여 거울의 저면(3)으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유리를 용융시켜 형틀을 이용하여 그러한 형태를 갖게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상기의 경우에는 반사칠을 한 후 경사요입부(7)를 에폭시 레진과 같은 경화성 접착제로 충진시켜 주어 두께가 얇아진 부분의 강도를 보강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A)(B)는 도2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그 형태의 구성 방법을 달리한 것으로서 도2에서 준비한 유리보다는 좀 더 두꺼운 유리를 준비하여 중앙 평면부(6)를 얇게 깎아내던지 또는 유리를 용융시켜 형틀을 이용하여 성형함으로서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사이드미러 케이싱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역시 저면을 반사칠을 한 후 에폭시 레진과 같은 경화성 접착제를 중앙평면부의 저면에 발라 저면을 평탄화시켜 주는 것이 좋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저면 분할경사 사이드미러(10,10')에서의 내측과 외측경사면(4,5)의 각각의 면적과 경사 각도는 개개의 사이드미러의 형태와 크기 등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인 운전자 후측방의 사각지대를 충분히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평면거울의 저면(3)을 넓은 부분의 중앙 평면부(6) 및 그 좌,우측의 경사면부(4,5)를 갖게 즉,저면을 분할 경사시킴으로써 양측 경사면(4,5)들에 의해 볼록거울처럼 시야를 넓힐 수 있으면서도 시각상에 큰 혼란없이 사각지대를 줄일 수 있고 또한 거울에 보이는 물체가 실제보다 멀어 보이지 않는,여러모로 편리하고 실용적인 사이드미러를 제공할 수있다.

Claims (1)

  1. 후방 및 후측방의 다른 자동차를 비롯한 물체의 존재나 움직임을 용이하게 관측할 수있도록 운전자의 좌우측 전방에 설치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있어서, 사이드미러용 거울을 평면 유리의 한쪽 면을 여러 부분으로 분할하여 넓은 면적의 중앙평면부(6) 및 그 좌우측에 볼록거울처럼 뒷 쪽을 향해 경사지게 한 좁은 부분의 경사면부(4,5)를 갖게하되 중앙평면부 및 양 쪽 경사면부를 잘 연마한 후 반사칠을 하여 거울의 저면(3)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2020020023235U 2002-07-27 2002-07-27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200294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235U KR200294213Y1 (ko) 2002-07-27 2002-07-27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235U KR200294213Y1 (ko) 2002-07-27 2002-07-27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213Y1 true KR200294213Y1 (ko) 2002-11-04

Family

ID=7312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235U KR200294213Y1 (ko) 2002-07-27 2002-07-27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2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448B2 (en) Ellipsoid vehicular mirror
US7448764B2 (en) Compound automotive rearview mirror
US7934844B1 (en) Exterior mirror element with wide angle portion
US5796532A (en) Back mirr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30201012A1 (en) Vehicular mirror with blind spot indicator
JP3135022B2 (ja) バックミラ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494892A2 (en) Signaling assembly
KR200294213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US20040257685A1 (en) Mirror spot within mirror
JP3202231B2 (ja) ヘッドランプ
US20090268321A1 (en) Side mirro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6003996A (en) Cap for external side view mirror of a motor vehicle
US6527399B1 (en) All-planar blind-spot proof automobile side-view mirror
US20030048552A1 (en) Lateral-view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SU1710398A1 (ru) Зеркало заднего вид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050185308A1 (en) Lateral-view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KR100610863B1 (ko) 사이드 미러용 반사경
KR200387240Y1 (ko) 차량용 미러
KR200273317Y1 (ko) 후방 시야가 변화되는 차량용 후사경
GB2261861A (en) Driving mirror
EP0497445A1 (en) Mirror unit with transparent lens shaped element
KR200187330Y1 (ko) 미러가 부착된 선바이저
JPS60259544A (ja) 自動車等のバツクミラ−
KR200331465Y1 (ko) 매직(magic) 사이드 미러
JP2001233125A (ja) 防眩機能を有するバック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