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924Y1 - 침구용품 - Google Patents

침구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924Y1
KR200293924Y1 KR2020020022295U KR20020022295U KR200293924Y1 KR 200293924 Y1 KR200293924 Y1 KR 200293924Y1 KR 2020020022295 U KR2020020022295 U KR 2020020022295U KR 20020022295 U KR20020022295 U KR 20020022295U KR 200293924 Y1 KR200293924 Y1 KR 200293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fabric
group
powder
bur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원
Original Assignee
최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원 filed Critical 최준원
Priority to KR2020020022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924Y1/ko

Link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적외선방출, 탈취, 항균 등의 기능을 갖는 침구용품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침구류에 사용하는 면(綿), 모(毛), 인견 또는 T/C 원단의 한쪽 면에 흙(고령토, 황토, 활석, 숯가루 옥가루, 맥반석가루 등)과 접착수지의 혼합액을 코팅하고 삼베, 모시 또는 린넨 등을 배접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면(綿), 모(毛), 인견 또는 T/C원단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앞면(10), 흙과 접착수지의 혼합물인 중간층(20), 삼베, 모시 또는 린넨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뒷면(30)으로 구성되어지며, 앞면은 동절기에 뒷면은 하절기에 사용하면 사계절용이 될 수 있고 원적외선방출, 탈취, 항균 등의 기능을 가져 인체의 건강에 유익하며, 유아의 젖 냄새, 사람의 땀 냄새및 피부의 노폐물로부터 나오는 악취를 제거하며 침구에 기생하는 각종 균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구용품{A pad for bedclothes}
본 고안은 침대매트나 요 위에 까는 침구용품에 관한 것이며, 앞면은 동절기에 뒷면은 하절기에 사용하여 사계절용이 될 수 있고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고, 탈취, 항균 등의 기능이 있어 유아의 젖 냄새, 침실의 땀 냄새 및 피부의 노폐물로부터의 악취를 제거하며 침구에 기생하는 각종 균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침구류 가운데 황토, 고령토, 및 옥 또는 돌과 같은 재질을 이용한침대매트가 시중에 나와 있는데 단지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의 방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제품들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직접 우리 몸과 접촉하는 원단의 뒷면에 흙을 코팅하여 땀을 직접 흡수하여 냄새를 제거하고 침구에 기생하는 각종 균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흙을 내부에 포함하여 제조된 요 덮개와 깔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대한 침구용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면(綿), 모(毛), 인견 또는 T/C원단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앞면
20 ---- 흙(고령토, 황토,활석,숯가루, 옥가루, 맥반석가루 등)과 접착수지의 혼합물인 중간층
30 ---- 삼베, 모시 또는 린넨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뒷면
본 고안에 의한 침구용품은,
면(綿), 모(毛), 인견 또는 T/C원단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앞면;
흙(고령토, 황토, 활석, 숯가루, 옥가루, 맥반석가루 등)과 접착수지의 혼합물인 중간층; 및 삼베, 모시 또는 린넨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뒷면; 으로 이루어 져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서 앞면(10)은 면(綿), 모(毛), 인견 또는 T/C원단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며 이들 앞면의 소재는 보온효과가 우수하여 동절기의 침구로 적합하다.
또한 중간층(20)은 고령토, 황토, 활석, 숯가루, 옥가루, 맥반석가루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한가지이상을 선택하여 이들을 고루고루 섞어서 (여기서 이를흙으로 칭한다), 접착수지와 혼합하여 얻어진다. 접착수지는 흙 입자와 앞면, 뒷면을 접착하는 역할과 세탁 시에 이들의 형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고령토, 황토, 활석, 숯가루, 옥가루, 맥반석가루 등은 인체의 건강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다량으로 방출되고, 이들 모두는 정도의 차이는 조금 있으나 탈취, 항균, 자정(自靜)능력이 있어 유아의 젖 냄새, 침실의 땀 냄새 및 피부의 노폐물로부터의 악취를 제거하며 침구에 기생하는 각종 균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뒷면(30)은 삼베, 모시, 린넨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어지며 이들 뒷면의 소재의 특징은 통기성이 좋아 하절기의 침구로 적합하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제품은 건강에 좋은 침구임은 물론 사계절용이며 중간충의 접착수지는 하절기 침구의 세탁 후에 풀먹임을 생략해도 좋은 기능도 갖추고 있다.
상기 중간충의 재질 중 고령토는 필수 재질로서 중간층의 50%∼80%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조재질로서 상기 황토, 활석, 숯가루, 옥가루, 맥반석가루 등애서 목표하는 제품의 기능에 따라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을 선택 사용한다.
상기 접착수지는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접착제를 사용하여야 하며,수용성 접착수지가 좋고 중간충 총 중량의 30%∼40%정도가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침구용품은 요 위애나 침대매트 위에 깔고 사용함으로써 중간층의 흙 재질로부터 건강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어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탈취, 항균효과가 있어 방안의 나쁜 냄새와 젖 냄새, 땀 냄새 등이 제거된다.

Claims (8)

  1. 면(綿), 모(毛), 인견 또는 T/C원단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앞면(10);
    흙(고령토, 황토, 활석, 숯가루, 옥가루, 맥반석가루 등)과 접착수지의 혼합물인 중간층(20); 및 삼베, 모시 또는 린넨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뒷면(30); 으로 이루어 진 침구용품.
  2. 제 1항에 있어서, 침구용품은 침대 커버, 베갯잇 또는 방석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품.
  3. 제 1항에 있어서, 앞면(10)은, 면(綿)원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품.
  4. 제 1항에 있어서, 앞면(10)은, 모(毛)원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품.
  5. 제 1항에 있어서, 앞면(10)은, 인견원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품.
  6. 제 1항에 있어서, 앞면(10)은, T/C원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품.
  7. 제 1항에 있어서, 중간층(20)의 필수 재질인 고령토는 중간층 전체중량의 50%∼80%를 차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품.
  8. 제 1항에 있어서, 뒷면(30)은, 삼베 원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품.
KR2020020022295U 2002-07-25 2002-07-25 침구용품 KR200293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295U KR200293924Y1 (ko) 2002-07-25 2002-07-25 침구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295U KR200293924Y1 (ko) 2002-07-25 2002-07-25 침구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924Y1 true KR200293924Y1 (ko) 2002-11-07

Family

ID=7307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295U KR200293924Y1 (ko) 2002-07-25 2002-07-25 침구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9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220B1 (ko) 베갯속용 항균성 플라스틱비드
KR101973005B1 (ko) 시클로덱스트린 함유시트
KR200293924Y1 (ko) 침구용품
JP2006161187A (ja) 多機能性カバー材及びカバー付クッション材
KR20110001563U (ko) 침구에 사용되는 기능성 솜
JP2004135712A (ja) 患者用敷布
KR102418928B1 (ko) 건강매트리스
KR20090115985A (ko) 편백나무를 마감재로 한 온열침대
JP2009261924A (ja) 敷体
KR100943231B1 (ko) 공기음이온을 방출하는 원단의 가공 처리방법
JPH0975435A (ja) 有用微生物による脱・消臭方法及び有用微生物を取着してなる物品
JP3072490U (ja) 床用敷物
JP3847272B2 (ja) 消臭・脱臭剤とそれを使用した消臭・脱臭効果を有する物品、臭気低減システム及び臭気低減方法
KR102107790B1 (ko) 다다미
CN204105554U (zh) 一种地暖用地垫
KR200381525Y1 (ko) 생황토를 이용한 침구용품
JP3161614U (ja) 使い捨て用寝具
CN2731966Y (zh) 用竹炭作为宠物保健组合季节窝垫的装置
KR200373439Y1 (ko) 생황토로 염색한 의류
JP2004195000A (ja) 寝具用シーツ
JP3164308U (ja) 消臭性綿入り寝具
JP3040941U (ja) まくら
KR101135218B1 (ko) 황토 패드
KR200309920Y1 (ko) 침구용품
JP2004010547A (ja) 鉱物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させたシート基材、並びにこれを用いたシート状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