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634Y1 -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634Y1
KR200293634Y1 KR2020020021530U KR20020021530U KR200293634Y1 KR 200293634 Y1 KR200293634 Y1 KR 200293634Y1 KR 2020020021530 U KR2020020021530 U KR 2020020021530U KR 20020021530 U KR20020021530 U KR 20020021530U KR 200293634 Y1 KR200293634 Y1 KR 2002936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ink tube
heat shrink
cable
contractio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형철
Original Assignee
나라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라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라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1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6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634Y1/ko

Link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을 받아 수축함으로써 케이블간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열수축관을 개선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약 1000℃의 온도에서 수축하는 플렉시블한 폴리에틸렌 재질로 양단이 레일봉(111)을 감싸 레일(110)을 형성하며, 외면에는 시온도료(121)가 도포되고, 내면에는 접착제(122)가 도포되어 이를 보호하는 접착제보호비닐(123)이 부착된 수축부(100)와; 상기 수축부(100)의 내면 일측단부에 일체로 접합되어 상기 수축부(100)의 두 레일(110)이 채널(300)에 의하여 접촉하였을 때, 그 내측에 위치하는 채널패드(200)로 구성되어, 케이블간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열수축관을 개선하여 간단한 구조로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함으로써 생산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방습 및 절연성능이 뛰어나며 마모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 {Single layer of bar type heat shrinkable closure for connecting cables}
본 고안은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을 받아 수축함으로써 케이블간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열수축관을 개선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간단한 구조로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함으로써 생산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방습 및 절연성능이 뛰어나며 마모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수축관은 복원성 수지 제품으로 제작되어 레일에 채널을 끼워 가열시키면 직경이 수축 환원되면서, 통신, 신호, 전력 등의 케이블 외피를 완전 밀폐시키거나, 가스, 수도, 화학, 석유 등의 파이프 연결부위 보호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연결용 단층형 열수축관을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케이블 연결용 단층형 열수축관은, 고온의 열을 받아 수축하는 재질로 양단에 레일(11)이 형성되며, 일측에 위치한 상기 레일(11)의 측면에 돌출 되도록 채널날개(12)가 형성된 수축부(1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케이블 연결용 단층형 열수축관은 상기 레일(11) 및 채널날개(12)가 동일한 재질로 상기 수축부(10)에 일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케이블 연결용 단층형 열수축관을 이용하여 케이블 등의 연결부위에 시공할 때에는, 상기 수축부(10)의 양단에 형성된 레일(11)이 서로 맞닿도록 감싸면서, 상기 수축부(10)의 내측면에 금속보호관(미도시)이 관통되도록 케이블의 연결부위를 위치시킨 후, 서로 맞닿은 상기 레일(11)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채널(미도시)을 삽입하게 된다.
이후, 상기 수축부(10)의 외표면을 토치 등의 가열수단으로 고온으로 가열하게 되면, 상기 수축부(10)가 수축하게 되면서 케이블 등의 연결부위를 감싸면서 밀폐시키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케이블 연결용 복층형 열수축관을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블 연결용 복층형 열수축관은, 고온의 열을 받아 수축하는 재질로 양단이 레일봉(11a)을 감싸 레일(11)을 형성하며, 외측에 위치한 제1수축면(13)과, 내측에 위치한 제2수축면(14) 및 상기 제1수축면(13)과 제2수축면(14) 사이에 적층된 보강재(15)로 이루어진 수축부(10)와; 상기 수축부(10)의 제2수축면(14) 일측단부에 일체로 접합되어 상기 수축부(10)의 두레일(11)이 채널(미도시)에 의하여 접촉하였을 때, 그 내측에 위치하는 채널패드(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케이블 연결용 복층형 열수축관은 상기 수축부(10)를 제1수축면(13)과 제2수축면(14)으로 적층시키고, 그 중앙에 삽입되도록 적층된 보강재(15)에 의하여 케이블 등의 연결부위에 열수축관이 시공되었을 때,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케이블 연결용 단층형 열수축관은 직경이 큰 연결부위에 시공하고자 할 때, 열수축이 일어나면서 레일이 채널로부터 쉽게 이탈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의 케이블 연결용 복층형 열수축관은 수축부가 적층된 제1수축면, 제2수축면, 보강재로 이루어져 제조단가가 높을 뿐 아니라, 제조공정이 복잡하며, 열수축시 수축부가 제1수축면, 제2수축면, 보강재로 분리되는 박리현상이 발생하기 쉽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간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열수축관을 개선하여 간단한 구조로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함으로써 생산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방습 및 절연성능이 뛰어나며 마모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약 1000℃의 온도에서 수축하는 플렉시블한 폴리에틸렌 재질로 양단이 레일봉을 감싸 레일을 형성하며, 외면에는 시온도료가 도포되고, 내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를 보호하는 접착제보호비닐이 부착된 수축부와; 상기 수축부의 내면 일측단부에 일체로 접합되어 상기 수축부의 두 레일이 채널에 의하여 접촉하였을 때, 그 내측에 위치하는 채널패드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연결용 단층형 열수축관을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케이블 연결용 복층형 열수축관을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을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에 대한 시공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에 대한 시공 전을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에 대한 시공 후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축부 110 : 레일
111 : 레일봉 121 : 시온도료
122 : 접착제 123 : 접착제보호비닐
200 : 채널패드 300 : 채널
400 : 케이블 500 : 금속보호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을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에 대한 시공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에 대한 시공 전을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에 대한 시공 후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은, 약 1000℃의 온도에서 수축하는 플렉시블한 폴리에틸렌 재질로 양단이 레일봉(111)을 감싸 레일(110)을 형성하며, 외면에는 시온도료(121)가 도포되고, 내면에는 접착제(122)가 도포되어 이를 보호하는 접착제보호비닐(123)이 부착된 수축부(100)와; 상기 수축부(100)의 내면 일측단부에 일체로 접합되어 상기 수축부(100)의 두 레일(110)이 채널(300)에 의하여 접촉하였을 때, 그 내측에 위치하는 채널패드(2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축부(100)의 외면에는 약 1000℃의 고열을 받게 되면 색이 변하면서 특정 무늬가 사라지거나 나타나게 되는 시온도료(121)가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수축부(100)의 내면에는 상온에서 고체상태를 유지하다가 고열을 받게 되면 액체상태로 녹게되는 접착제(122)가 도포되어 있으며, 이러한 접착제(122)에 이물질이 묻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착제보호비닐(123)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은 폴리에틸렌을 주원료로 생산되는 제품으로 일정한 배합률에 의하여 1차 배합작업, 2차 압출작업,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3차 수가교 작업의 공정을 거친 프로파일을 특수 제작한 텐타기 생산라인에서 약 400~600% 신장시켜 제조하게 되며, 이후, 시공시 약 1000℃의 고열을 받게 되면 원래의 치수로 수축 환원되는 복원성 수지 제품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을 이용하여 케이블(400) 등의 연결부위에 시공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축부(100)의 내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접착제보호비닐(123)을 제거한 후, 양단에 형성된 레일(110)이 서로 맞닿도록 감싸면서, 상기 수축부(100)의 내측면에 금속보호관(500)이 관통되도록 케이블(400)의 연결부위를 위치시킨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닿은 상기 레일(110)을 고정시키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채널(300)을 삽입하게 된다.
이후, 상기 수축부(100)의 외표면을 토치 등의 가열수단으로 고온으로 가열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축부(100)가 수축하게 되면서 케이블(400) 등의 연결부위를 금속보호관(500)과 함께 감싸면서 밀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일(110)에는 레일봉(111)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수축부(100)가 고열을 받아 수축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일(110)이 상기 채널(3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수축부(100)의 내면에 고체상태로 도포되어 있던 접착제(122)는 고열을 받아 녹으면서 상기 수축부(100)가 감싸게 되는 금속보호관(500) 및 케이블(400) 등의 연결부위에 침투하여 응고됨으로써, 이러한 연결부위를 밀폐시키는 동시에, 견고하게 서로를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수축부(100)의 외면에 도포되어 있는 시온도료(121)를 육안으로 관측하면서, 상기 시온도료(121)의 변색여부를 확인하여 토치 등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수축부(100)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고열을 가할 수 있어, 부실시공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은 수축부(100)가 단일 재질로 제작된 동시에, 레일(110)에 레일봉(111)이 구비되어 있어 열수축관이 고열을 받아 수축하게 될 때, 상기 수축부(100)의 박리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레일(110)이 채널(30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연결부위의 직경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다.
더욱이, 종래의 케이블 연결용 복층형 열수축관에 비하여 구조 및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생산비가 저렴한 이점이 있으며, 시공시 외표면에 도포된 시온도료(121)를 이용하여 열수축관의 수축부(100) 및 접착제(122)가 전체적으로 골고루 가열되었는지 육안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어 부실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케이블간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열수축관을 개선하여 간단한 구조로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함으로써 생산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방습 및 절연성능이 뛰어나며 마모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약 1000℃의 온도에서 수축하는 플렉시블한 폴리에틸렌 재질로 양단이 레일봉을 감싸 레일을 형성하며, 외면에는 시온도료가 도포되고, 내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를 보호하는 접착제보호비닐이 부착된 수축부와;
    상기 수축부의 내면 일측단부에 일체로 접합되어 상기 수축부의 두 레일이 채널에 의하여 접촉하였을 때, 그 내측에 위치하는 채널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
KR2020020021530U 2002-07-19 2002-07-19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 KR2002936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530U KR200293634Y1 (ko) 2002-07-19 2002-07-19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530U KR200293634Y1 (ko) 2002-07-19 2002-07-19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365A Division KR20040008694A (ko) 2002-07-19 2002-07-19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634Y1 true KR200293634Y1 (ko) 2002-11-01

Family

ID=7307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530U KR200293634Y1 (ko) 2002-07-19 2002-07-19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6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6729C2 (ru)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герметизации кабелей, содержащих жидкость
JPS5810932B2 (ja) 電線の接続部分を保護絶縁する方法および組立体
US4288107A (en) Termination construction of a cable comprised of bundled tubes
HUT74348A (en) Wire connector
KR101954140B1 (ko) 히팅케이블의 전원연결부 보호방법 및 구조
US4965410A (en) Dam for shield terminators
US8222524B2 (en) Protective casing for a high voltage cable
JP6151351B2 (ja) 圧着ターミナル付きヒューズエンドキャップ
KR200293634Y1 (ko)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
JP4377135B2 (ja) 温度センサ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ES2260470T3 (es) Cubierta aislante con multiples partes.
JPS61221713A (ja) 光フアイバ通信海底ケーブル用ジヨイント
CN108429225A (zh) 具有防护功能的线缆接头保护套管
KR20040008694A (ko) 케이블 연결용 봉단층형 열수축관
JP2008066034A (ja) 電線接続部の被覆チューブ及び電線接続部の保護構造
CN209963294U (zh) 一种绝缘密封接头及其连接结构
WO2010101138A1 (ja) ケーブルアセンブリ
BR0311418B1 (pt) Conjunto de vedação, sistema de duto e método de fabricar de um conjunto de vedação
JPS6151766B2 (ko)
TW201909197A (zh) 高腐蝕性環境之導線接合系統及其接合方法
CN220209571U (zh) 一种集束射频电缆组件
KR200306544Y1 (ko) 케이블의 접속부 보호관
JP6626136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アダプタ及びクロージャの封止方法
JPS62177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