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587Y1 - 습식 인쇄기용 잉크 회수장치_ - Google Patents

습식 인쇄기용 잉크 회수장치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587Y1
KR200293587Y1 KR2019980024807U KR19980024807U KR200293587Y1 KR 200293587 Y1 KR200293587 Y1 KR 200293587Y1 KR 2019980024807 U KR2019980024807 U KR 2019980024807U KR 19980024807 U KR19980024807 U KR 19980024807U KR 200293587 Y1 KR200293587 Y1 KR 200293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ank
ink
recovery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349U (ko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24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587Y1/ko
Publication of KR20010002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587Y1/ko

Links

Abstract

일방향으로 주행하는 감광매체와, 이 감광매체의 하방에 설치되어 감광매체를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으로 현상시키는 현상유니트와, 현상유니트의 현상갭으로 공급될 현상액이 저장되는 순환탱크와, 현상유니트와 순환탱크 사이에 배치되어 순환탱크 내의 현상액을 상기 현상갭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구비하는 습식 인쇄기에 채용되어 현상에 기여한 후 순환탱크로 재수용되어 잔류하는 폐잉크를 회수하기 위한 습식 인쇄기용 잉크회수장치에 있어서, 순환탱크에 연결되어 그 순환탱크 내의 폐잉크를 수거하는 폐기탱크와; 폐기탱크로부터 폐잉크를 최종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용기와; 폐기탱크와 회수용기를 연결하는 회수경로와; 회수경로에 설치되며 폐기탱크 내의 폐잉크를 회수용기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용 잉크회수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습식 인쇄기용 잉크회수장치
본 고안은 습식 인쇄기용 잉크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현상에 사용된 후에 폐기탱크에 저장된 폐인크를 회수하기 위한 습식 인쇄기용 잉크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식 인쇄기는 감광매체 표면에 레이저 주사유니트(LSU)를 통해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그 표면에 정전잠상(Latent electrosatic image)을 형성한 후,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롤러 사이의 현상갭으로 고체상의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을 분사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고 이를 인쇄용지에 전사시키는 인쇄기기이다.
상기 습식 인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매체인 감광벨트(1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에 Y, M, C, K 각 칼라별로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유니트(20)와, 상기 현상에 기여하는 현상액을 전달하기 위한 잉크전달시스템으로서, 각 칼라별 현상액이 저장되는 복수의 순환탱크(30)와, 상기 각 순환탱크(30)로 농축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공급부(40)와, 상기 순환탱크(30) 내의 현상액을 상기 현상유니트(20)의 현상갭(G)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35) 및 상기 순환탱크(30)로부터 폐잉크를 회수하여 저장하기 위한 폐기탱크(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현상액은 상기 잉크공급부(40)에서 공급되어 분말상의 토너가 소정비율 혼합된 농축잉크와, 도시되지 않은 캐리어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액상의 캐리어가 소정비율로 혼합되어 된 잉크이다.
상기와 같은 현상액은 상기 현상유니트(20)의 하방에 설치된 상기 순환탱크(30)에 저장되며, 분사부(37)를 통해 상기 현상유니트(20) 내의 현상롤러(22)와 감광벨트(10) 사이의 현상갭(G)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공급된 현상액은 현상에 기여한 후 순환탱크(30) 내로 재수용된다. 여기서, 상기분사부(37)는 상기 현상유니트(20)와 순환탱크(30) 사이에 배치된 분사경로(35)와 상기 분사경로(35)에 설치되어 순환탱크(30)에 저장된 현상액을 펌핑하는 펌프(36)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현상액이 현상에 기여한 후 재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순환탱크(30)에는 현상에 기여한 폐토너가 다량 함유된 폐잉크가 잔류하게 되는데, 이러한 폐잉크는 순환탱크(30)의 하방에 위치된 상기 폐기탱크(50) 내로 회수된다. 상기 폐기탱크(50)는 상기 폐잉크가 충만하게 되면 인쇄기본체(미도시)로부터 분리하여 폐기처분하고, 새로운 폐기탱크로 교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습식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폐기탱크(50)가 상기 현상유니트(20)와 순환탱크(30)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폐기탱크(50)를 직접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환하는 작업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현상에 기여한 후 폐기탱크 내에 저장되는 폐잉크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습식 인쇄기용 잉크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인쇄기의 일부를 나타내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회수장치가 채용된 습식 인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감광벨트 20..현상유니트
30..순환탱크 37..분사부
40..잉크공급부 60..폐기탱크
66..수거경로 70..모터
80..프로펠러 90..회수용기
92..회수경로 94..펌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인쇄기용 잉크회수장치는, 일방향으로 주행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매체를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으로 현상시키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의 현상갭으로 공급될 현상액이 저장되는 순환탱크와, 상기 현상유니트와 상기 순환탱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탱크 내의 현상액을 상기 현상갭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구비하는 습식 인쇄기에 채용되어 상기 현상에 기여한 후 상기 순환탱크로 재수용되어 잔류하는 폐잉크를 회수하기 위한 습식 인쇄기용 잉크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환탱크에 연결되어 그 순환탱크 내의 폐잉크를 수거하는 폐기탱크와; 상기 폐기탱크로부터 폐잉크를 최종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용기와; 상기 폐기탱크와 상기 회수용기를 연결하는 회수경로와; 상기 회수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폐기탱크 내의 폐잉크를 상기 회수용기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기용 잉크회수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회수장치가 채용된 습식 인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 1에 도시된 도면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잉크회수장치는 상기 순환탱크(30)에 연결되어 그 순환탱크(30) 내의 폐잉크를 수거하는 폐기탱크(60)와, 상기 폐기탱크(60)의 폐잉크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용기(90)와, 폐기탱크(60)와 상기 회수용기(90)를 연결하는 회수경로(92)와, 상기 회수경로(92)에 설치된 펌프(9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순환탱크(30)에 저장되는 현상액은 상기 잉크공급부(40)에서공급되어 분말상의 토너가 소정비율 혼합된 농축잉크와, 도시되지 않은 캐리어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액상의 캐리어가 소정비율로 혼합된 잉크이다.
상기 폐기탱크(60)는 상기 순환탱크(30)에 잔류하는 폐잉크를 수거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순환탱크(30)의 하방에 위치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순환탱크(30) 등이 설치되는 인쇄기본체(미도시) 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폐기탱크(60)에는 복수의 유입구(62)와 유출구(6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62)에는 상기 순환탱크(30)에 연결된 수거경로(66)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거경로(66)를 통해 순환탱크(30) 내의 폐잉크가 상기 유입구(62)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수거경로(66)에는 수거되는 폐잉크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수용기(90)는 상기 폐기탱크(60)에 수거되어 저장된 폐잉크를 최종적으로 회수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쇄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회수용기(9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 및 설치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회수용기(90)는 상기 회수경로(92)를 통해 상기 폐기탱크(60)의 유출구(64)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수경로(92)에는 폐기탱크(60) 내의 폐잉크를 상기 회수용기(90)로 펌핑하기 위하 펌프(9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회수장치는 상기 폐기탱크(60)에 저장된 폐잉크를 교반시키키기 위한 교반수단으로, 폐기탱크(60) 내에 설치된 프로펠러(80)와 상기 프로펠러(80)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모터(7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70)는 그 회전축(72)이 폐기탱크(60) 내에 위치되도록 그 폐기탱크(6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로펠러(80)는 상기 회전축(72)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7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폐잉크를 교반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펠러(80)는 상기 폐잉크를 효과적으로 교반시키기 위해 폐기탱크(60) 내의 하방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회수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인쇄동작시 각 칼라별로 저장된 상기 순환탱크(30) 내의 현상액은 상기 분사부(37)를 통해 각 칼라별 현상유니트(20)의 현상갭(G)으로 분사된다. 현상갭(G)으로 분사된 현상액은 감광벨트(10)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에 기여한 후 현상유니트(20) 내에 잔류하다가 순환탱크(30)로 재수용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순환탱크(30) 내의 바닥에는 현상에 기여한 후 회수된 폐잉크가 침전되게 되며, 이 폐잉크는 상기 회수경로(66)를 통해 폐기탱크(60)로 수거된다. 그리고, 상기 폐기탱크(60) 내의 폐잉크는 상기 펌프(94)의 펌핑력에 의해 상기 회수경로(92)를 통해 회수용기(90)로 회수된다. 이와 같이 회수용기(90)로 폐잉크를 회수하다가 그 회수용기(90)가 충만될 경우, 사용자는 충만된 회수용기(90)를 인쇄기본체로부터 제거하여 폐기한 후, 새 회수용기로 교환해 줌으로써 폐잉크의 회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폐기탱크(60) 내의 폐잉크를 상기 회수용기(90)로 회수하는 과정에서, 폐기탱크(60) 내의 폐잉크에는 다량의 폐토너가 함유되어 침전된 상태이므로 상기 모터(70)를 구동시켜 프로펠러(80)를 회전시켜주게 되면, 침전된 폐잉크가 교반된다. 따라서, 작은 용량의 펌프(94)를 사용하더라도 폐잉크를 쉽게 회수용기로 펌핑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인쇄기용 잉크회수장치에 따르면, 순환탱크 내의 폐잉크를 수거하여 저장하는 폐기탱크를 인쇄기본체 내에 고정시키고, 폐기탱크로부터 폐잉크를 회수하기 위한 별도의 회수용기를 인쇄기본체의 사용자가 취급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폐잉크를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폐기탱크 내의 폐잉크가 침전되지 않도록 교반수단을 마련하여 폐잉크를 회수용기로 쉽게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일방향으로 주행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매체를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으로 현상시키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현상유니트의 현상갭으로 공급될 현상액이 저장되는 순환탱크와, 상기 현상유니트와 상기 순환탱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탱크 내의 현상액을 상기 현상갭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구비하는 습식 인쇄기에 채용되어 상기 현상에 기여한 후 상기 순환탱크로 재수용되어 잔류하는 폐잉크를 회수하기 위한 습식 인쇄기용 잉크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환탱크에 연결되어 그 순환탱크 내의 폐잉크를 수거하는 폐기탱크와;
    상기 폐기탱크로부터 폐잉크를 최종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용기와;
    상기 폐기탱크와 상기 회수용기를 연결하는 회수경로와;
    상기 회수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폐기탱크 내의 폐잉크를 상기 회수용기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용 잉크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탱크에 설치되어 그 폐기탱크 내의 폐잉크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용 잉크회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폐기탱크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프로펠러와;
    상기 폐기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용 잉크회수장치.
KR2019980024807U 1998-12-11 1998-12-11 습식 인쇄기용 잉크 회수장치_ KR200293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807U KR200293587Y1 (ko) 1998-12-11 1998-12-11 습식 인쇄기용 잉크 회수장치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807U KR200293587Y1 (ko) 1998-12-11 1998-12-11 습식 인쇄기용 잉크 회수장치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349U KR20010002349U (ko) 2001-12-13
KR200293587Y1 true KR200293587Y1 (ko) 2002-12-26

Family

ID=6950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807U KR200293587Y1 (ko) 1998-12-11 1998-12-11 습식 인쇄기용 잉크 회수장치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5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349U (ko) 200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98591C (zh) 处理盒的再生方法
KR10031100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칼라인쇄기용잉크전달시스템
KR100497343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인쇄기용 잉크전달시스템
KR10056144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전달 시스템
KR100561416B1 (ko) 습식 현상장치
JP2003233256A (ja) 湿式画像現像システム
KR200293587Y1 (ko) 습식 인쇄기용 잉크 회수장치_
US5940673A (en) Photoreceptor belt cleaning apparatus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200158758Y1 (ko) 습식 현상기 유니트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
JP543922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70198B1 (ko) 습식 인쇄기용 잉크 순환 탱크
KR100370199B1 (ko) 습식 인쇄기용 잉크 순환 탱크
KR100230307B1 (ko)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용 현상기
KR100316658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KR100400019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KR10054714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KR100440967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잉크 공급 구조체의 작동 방법
KR10032255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잉크순환시스템
KR100354763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매체 크리닝장치 및 그방법
KR10023832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액의 과잉이온 제거장치 및방법
KR100343171B1 (ko) 인쇄기의 현상액 공급장치 및 그 교반기 구동방법
KR200147794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장치
KR200158752Y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장치
KR100396573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제 회수장치
JP2000330385A (ja) 電子写真装置の液体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