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408Y1 - 웨이퍼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웨이퍼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408Y1
KR200292408Y1 KR2020020022814U KR20020022814U KR200292408Y1 KR 200292408 Y1 KR200292408 Y1 KR 200292408Y1 KR 2020020022814 U KR2020020022814 U KR 2020020022814U KR 20020022814 U KR20020022814 U KR 20020022814U KR 200292408 Y1 KR200292408 Y1 KR 200292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wand
robot arm
transfer devi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만
Original Assignee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2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4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408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이송장치의 원드에 놓여지는 웨이퍼의 상태를 확인하여 웨이퍼의 로딩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웨이퍼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본체; 상기 모터와 축 연결된 복수의 링크 기구로 구성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로봇암; 상기 로봇암의 끝단에 연결되는 완드 플레이트와, 이 완드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배기라인과 연결된 배기공이 형성되는 받침부로 구성된 완드; 및 상기 완드 플레이트 일측에 설치되에 상기 받침부에 놓여지는 웨이퍼의 위치변동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이송장치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웨이퍼 이송 장치{Device for transferring wafer}
본 고안은 웨이퍼 이송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웨이퍼 이송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웨이퍼가 놓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웨이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 고기능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오늘날, 그 제조 장치가 담당하는 역할은 한층 더 중요시되고있다.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장치는 시대의 흐름과 더불어 날로 변화하는 공정상의 요구를 정확하게 반영하도록 개선되어 왔다.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작업은 각 공정에서 실시하는 작업 뿐만 아니라 각 공정작업을 이동해야 하는 웨이퍼를 실수없이 이동하는 작업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통상적으로 웨이퍼는 웨이퍼 캐리어(wafer carrier)의 일종인 카세트의 내부에 로트(lot) 단위로 담겨서 이동 및 관리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웨이퍼를 로트 단위로 처리하지 않고 카세트에 다수개 놓여진 웨이퍼 중에서 1매의 웨이퍼 만을 낱장으로 분리하여 처리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화학 기계적 연마장치(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의 내부에서 카세트에 넣어진 웨이퍼를 빼내어 연마헤드로 옮긴다거나, 연마된 웨이퍼를 후처리작업인 브러쉬 및 세정작업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이송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송장치는 360도(°) 자유자재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하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며, 그 끝에는 원드(wand)라 불리우는 판상의 슬림바가 설치된다.
이 원드의 끝부분 중심부에는 배기라인과 연결된 배기공이 형성되어 원드에 올려진 웨이퍼를 진공으로 흡착하게 된다.
여기서 원드가 웨이퍼를 진공으로 흡착하는 과정에서 웨이퍼가 원드에 비정상적으로 얹혀지게 되면 웨이퍼가 미끄러지면서 정상적인 위치로 로딩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같은 웨이퍼의 슬립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전무한 관계로 잘못 얹혀진 상태로 장비에 투입되거나 공정을 마친 웨이퍼가 카셋트에 장입되는 과정에서 웨이퍼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송장치의 원드에 놓여지는 웨이퍼의 상태를 확인하여 웨이퍼의 로딩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웨이퍼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의 원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웨이퍼 이송장치는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본체; 상기 모터와 축 연결된 복수의 링크 기구로 구성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로봇암; 상기 로봇암의 끝단에 연결되는 완드 플레이트와, 이 완드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배기라인과 연결된 배기공이 형성되는 받침부로 구성된 완드; 및 상기 완드 플레이트 일측의 웨이퍼 근접위치에 설치되어 웨이퍼 슬립발생시 웨이퍼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웨이퍼의 직접적인 접촉 또는 웨이퍼의 근접상태 등을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정위치에서 웨이퍼가 벗어난 경우 이를 바로 감지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의 원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는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본체(1)와, 그 본체(1)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로봇암(3)과, 로봇암(3)의 끝단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완드(5) 및, 완드(5) 일측에 설치되어 웨이퍼(W)의 비정상적인 안착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0)를 포함한다.
로봇암(3)은 본체(1)에 축 연결된 복수의 링크 기구로 구성되고, 복수의 링크는 상호 축 연결됨으로써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로봇암(3)의 상부에 위치한 완드(5)는 상부 로봇암(3a)과 연결되는 완드 플레이트(9)와, 이 완드 플레이트(9)의 외측 선단에 연장되어 웨이퍼(W)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받침부(7)를 포함하며, 상기 완드 플레이트(9)의 일측에 본 고안의 감지센서(1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7)의 중심부에는 진공 배기라인과 연통된 배기공(7a)이 형성되고, 배기공(7a)으로부터 인접한 위치에는 웨이퍼(W)의 흡착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seal) 테두리(1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10)는 웨이퍼(W)가 놓여지는 면에 설치되며, 상기 완드(5)의 받침부(7)에 웨이퍼(W)가 정확히 놓여진 상태에서 최대한 웨이퍼(W)의 측단에 근접하도록 설치하여 웨이퍼(W)의 미세한 슬립상태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화학 기계적 연마장치 등의 장비에서 해당 공정을 거친 웨이퍼(W)는 로봇암(3)의 원드 플레이트에 설치된 받침부에 지지되어 카셋트(C)로 언로딩된다.
이 과정에서 웨이퍼(W)가 받침부(7)에 잘못 얹혀지거나 받침부(7)로부터 미끄러지게 되면 웨이퍼(W)에 근접하여 상기 원드 플레이트(9)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센서(10)에 웨이퍼가 감지되고 이 감지센서(10)의 신호에 따라 경고나 라인 정지 등의 신호가 발생되고 작업자는 해당 신호를 통해 웨이퍼의 위치를 정정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웨이퍼가 받침부에 잘못 놓여짐으로써 카셋트의 정상적인 위치에 언로딩되지 않고 앞으로 튀어나와 웨이퍼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웨이퍼 이송장치에 의하면, 웨이퍼의 파손을 방지하여 원가 절감 및 장비의 가동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본체;
    상기 모터와 축 연결된 복수의 링크 기구로 구성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로봇암;
    상기 로봇암의 끝단에 연결되는 완드 플레이트와, 이 완드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배기라인과 연결된 배기공이 형성되는 받침부로 구성된 완드; 및
    상기 완드 플레이트 일측에 설치되에 상기 받침부에 놓여지는 웨이퍼의 위치변동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이송장치.
KR2020020022814U 2002-07-30 2002-07-30 웨이퍼 이송 장치 KR200292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814U KR200292408Y1 (ko) 2002-07-30 2002-07-30 웨이퍼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814U KR200292408Y1 (ko) 2002-07-30 2002-07-30 웨이퍼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408Y1 true KR200292408Y1 (ko) 2002-10-23

Family

ID=7312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814U KR200292408Y1 (ko) 2002-07-30 2002-07-30 웨이퍼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4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959B1 (ko) 언로딩구조가 개선된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평탄화설비
JP2006074004A (ja) ワーク搬送収納装置,およびそのワーク搬送収納装置を備えた切削装置
KR100431515B1 (ko) 반도체 세정설비에서의 웨이퍼 반전 유닛
JP2002289673A (ja) 搬出入装置
US8734202B2 (en) Load cup substrate sensing
KR200292408Y1 (ko) 웨이퍼 이송 장치
JP2002270674A (ja) 搬出装置
JP4272757B2 (ja) 研削装置
CN210778540U (zh) 一种用于传送晶片的机器人以及手臂
TW202132046A (zh) 加工裝置
KR100928479B1 (ko) Smif 로더 장치
KR20060011671A (ko) 파티클 감지수단을 갖는 노광설비의 얼라인장치
KR100470229B1 (ko) 화학기계적 연마장치의 로딩디바이스
KR100607752B1 (ko) Smif 장치
KR20100138758A (ko) 어댑터 유닛 내장 로더실
KR100748731B1 (ko) 반도체 제조용 웨이퍼 인스펙션 장치 및 인터락 방법
KR200247999Y1 (ko) 화학 기계적 연마장치의 로터리 트랜스포터
KR100243081B1 (ko) 이송로봇
JP2023057455A (ja) ハンド、搬送装置、および基板処理装置
KR20050066114A (ko) 웨이퍼 감지 및 정렬장치와 그 방법
KR200292406Y1 (ko) 웨이퍼의 자세 전환장치
KR100665845B1 (ko) 스핀 스크러버
JP2019114684A (ja) 基板処理システム、基板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KR20060025447A (ko) 기판 이송 장치
KR20040070602A (ko) 웨이퍼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