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603Y1 -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603Y1
KR200291603Y1 KR2020020019633U KR20020019633U KR200291603Y1 KR 200291603 Y1 KR200291603 Y1 KR 200291603Y1 KR 2020020019633 U KR2020020019633 U KR 2020020019633U KR 20020019633 U KR20020019633 U KR 20020019633U KR 200291603 Y1 KR200291603 Y1 KR 200291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ribbon
printing
signal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메디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메디
Priority to KR2020020019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6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603Y1/ko

Links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복수의 가이드폴로 이루어진 인쇄리본 이송경로를 갖는 베이스와, 양단이 2개의 롤에 감겨진 인쇄리본을 장착하여 인쇄신호에 따라 인쇄리본을 간헐 이송시키는 릴유닛과, 인쇄리본의 이송경로에 배치되며 엔코더를 동축으로 구비하여 포장지의 이송을 검출하는 검출롤러와, 인쇄리본의 이송경로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신호에 따라 포장지에 서지사항을 기록하는 프린트헤드유닛과, 인쇄신호의 유무에 따라 프린트헤드유닛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인쇄리본과 포장지를 검출롤러에 대해 밀착 또는 밀착해제 시키는 프린트헤드유닛 회전수단으로 구성된다. 프린트헤드유닛 회전수단은 프린트헤드유닛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소정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레버와, 레버를 탄성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캠과, 인쇄신호 또는 인쇄중지신호에 따라 캠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캠모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프린트헤드가 인쇄리본과 떨어져 있다가 인쇄시만 자동으로 회전되어 인쇄리본을 포장지에 밀착시킴과 함께 인쇄리본의 간헐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어 불필요하게 인쇄리본의 낭비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A printing device of automatic medicine distributing and packaging machine}
본 고안은 의사의 처방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의약품들을 혼합하여 1회복용 분량씩 자동으로 분배하여 포장하는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롤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시트(sheet)상의 포장용지에 복용시기와 용법 등의 각종 서지사항을 선택적으로 기재하기 위한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생존하는 동안 많은 질병으로부터 위협받게 되고, 실제로 여러 질병에 시달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에 따라 각종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고,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각종 약제들이 출현하고 있다.
질병의 종류에 따라서는 단일의 약제만으로 치료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대체로 질병은 인체에 복합적으로 발병하여 여러 가지 복합적인 증상을 나타내게 되므로 발생된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증상에 따라 여러 약제들을 알맞게 혼합 처방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약제들은 조제와 복용이 편리하도록 정제(알약)나 산제(가루약)의 형태로 대량생산되어 공급되고 있으며, 약사가 의사의 처방에 따라 치료에 필요한 약제들을 1회분씩 포장하여 환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한 약제의 일반적인 포장방법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융착용 시트(S)를 중첩되도록 접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피치(pitch) 간격으로 융착하여 포켓(pocket:K)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뒤, 각 포켓(K)에 필요한 약제(M)들을 투입하고 개구를 밀봉하여 팩(pack)상으로 포장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약제의 포장은 대부분 약사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었는 바, 특히 수많은 환자가 입원 내지는 외래진료를 받는 중·대형 병원의 경우 처방약의 조제에 많은 인력과 시간의 투입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약 수급에 따른 환자들의 대기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병원내의 각 의사들과 원내 약국을 컴퓨터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여, 컴퓨터를 통한 의사의 처방 입력신호에 따라 약국에서 필요한 약제(M)들을 1회복용 분량씩 자동으로 분배하여 포장해주는 소위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가 출현하여 처방약을 신속 정확하게 조제 포장하여 환자에게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상의 가열융착용 포장지(S)를 공급롤(R)로부터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면서 인쇄장치(P)에 의해 서지사항을 기재하고, 폴드가이드(fold guide:F)에 의해 폭방향의 반으로 접은 후 약제(M)를 투입하여 밀봉장치(A)에 의해 연속하는 팩상으로 접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약제(M)들은 약제드럼(D)에 장착된 다수의 약제카세트(C)들로부터 의사의 처방신호에 따라 선택 배출되고, 배출통로(G)를 통해 호퍼(hopper:H)로 낙하된 뒤, 간헐적으로 작동되는 슈트(shoot:T)에 의해 1회분씩 이송중인 포장지(S)의 포켓(K)내로 투입된다.
도3a와 도3b에는 이러한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종래 인쇄장치(P)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메인 베이스(main base:1)의 상부 양측에 인쇄리본(9)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폴(guide pole:1a)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두 가이드폴(1a) 사이에는 포장지(S)에 접촉되어 그 이송에 따라 회전하는 고무제의 검출롤러(2)가 설치되고, 이 검출롤러(2)의 후단에는 엔코더(encoder:2a)가 동축으로 부착되어 있다.
메인 베이스(1)에 간격을 두고 지지된 서브 베이스(3)의 하부 양측에는 인쇄리본(9)이 장착되는 공급릴(supply reel:3a)과 감기릴(take-up reel:3b)이 설치되며, 감기릴(3b)은 엔코더(2a)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릴모터(4)와 벨트(4a)로 연결되어 있다.
서브 베이스(3)의 상부에는 레버브래킷(lever bracket:5)이 힌지(hinge) 조립되어 있고, 이 레버브래킷(5)의 일단에 인쇄신호에 따라 이송중인 포장지(S)에 서지사항을 기록하는 열전사 프린트헤드(thermal print head:6)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브래킷(5)은 프린트헤드(6)가 인쇄리본(9)에 접촉되도록 스프링(5a)에 의해서 소정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elastic bias) 되어 있고, 그 근처에는 프린트헤드(6)를 이탈시키기 위한 해제레버(7)가 레버브래킷(5)의 타단에 접촉되도록 힌지 조립되어 있다.
나머지 부호 1b는 포장지(S)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포스트이고, 8은 인쇄리본(9)의 유무를 감지하는 리본감지센서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인쇄장치(P)는 인쇄리본(9)이 장착된 후에는 프린트헤드(6)가 항시 인쇄리본(9)을 검출롤러(2)에 대해 눌러주고 있게 되므로 인쇄신호의 유무에 관계없이 릴모터(4)가 포장지(S)의 이송에 따라 구동되어 고가의 인쇄리본(9)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포장된 약제 팩은 메카니즘의 특성상 밀봉완료와 동시에 취출할 수 없으며, 약제(M)의 포장도 진료타임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접하는 다른 환자들간의 약제 팩 사이에 수 개의 빈 팩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빈 팩에는 인쇄가 필요 없어 인쇄리본(9)의 이송이 불필요하나, 종래에는 인쇄리본(9)이 인쇄신호와 관계없이 포장지(S)를 따라 이송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쇄리본(9)의 낭비가 초래되는 것이다.
또한, 인쇄리본(9)을 장착할 때와 새것으로 교환할 때, 해제레버(7)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프린트헤드(6)를 검출롤러(2)에 대해 이탈시키거나 접촉시켜야 하는 번잡한 문제도 있었다.
한편, 이러한 인쇄리본(9)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릴모터(4)를 인쇄신호와 엔코더(2a)의 구동신호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만 동작시키는 방안이 강구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검출롤러(2)에 대한 프리트헤드(6)의 접촉과 이탈이 병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프린트헤드(6)의 접촉과 이탈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구성으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인쇄리본(9)의 낭비를 그대로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프린트헤드를 인쇄시에만 자동으로 인쇄리본에 접촉시킴과 함께 인쇄리본을 간헐적으로 이송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인쇄리본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쇄리본을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약제 포장방법을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도1의 포장방법을 구현하는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3a 및 도 3b는 종래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와 좌측면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를 나타낸 배면 분해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도4의 결합상태 정면도와 배면도,
도6은 도5a의 Ⅵ을 따라 취한 발췌 평면도,
도7은 도 5b의 Ⅶ을 따라 취한 발췌 저면도,
도8은 캠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
도9a 및 도9c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들,
도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베이스 11, 12:가이드폴
13:리본감지센서 20:릴유닛
21:공급릴 22:감기릴
23:릴모터 30:검출롤러
32:엔코더 40:프린트헤드유닛
41:열전사 프린트헤드 42:회전축
50:프린트헤드유닛 회전수단 51:레버
52:스프링 53:캠모터
54:캠 56:캠센서
57:검출소자 58a, 58b:제1 및 제2의 정지센서
60:인쇄리본 S:포장지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는, 이송중인 약제 포장지에 각종 서지사항을 기록하기 위한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로서, 복수의 가이드폴로 이루어진 인쇄리본의 이송경로를 갖는 베이스; 양단이 2개의 롤에 감겨진 상기 인쇄리본을 장착하여 인쇄신호에 따라 인쇄리본을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릴유닛(reel unit); 인쇄리본의 이송경로 한쪽에 배치되며, 엔코더를 동축으로 구비하여 약제 포장지의 이송에 따라 회전되어 포장지의 이송을 검출하는 검출롤러; 인쇄리본의 이송경로 다른쪽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신호에 따라 약제 포장지에 해당 서지사항을 기록하는 프린트헤드유닛; 인쇄신호의 유무에 따라 프린트헤드유닛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인쇄리본과 포장지를 검출롤러에 대해 밀착 또는 밀착해제 시키는 프린트헤드유닛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프린트헤드유닛 회전수단은, 프린트헤드유닛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소정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레버와, 이 레버에 구름 접촉되어 레버를 탄성 반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캠과, 인쇄신호 또는 인쇄중지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캠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캠모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프린트헤드가 평시에는 인쇄리본과 이격되어 있다가인쇄신호가 있을 때에만 자동으로 회전되어 인쇄리본을 이송중인 포장지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인쇄리본의 간헐이송이 이루어지는 바, 인쇄리본이 불필요하게 이송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쇄리본을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사용의 편의성과 신뢰성 향상 및 인쇄리본 사용량 절감에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4 내지 도6에서, 본 고안에 의한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는 인쇄리본(60)의 이송경로를 갖는 베이스(10)와, 양단이 2개의 롤에 감겨진 인쇄리본 (60)을 장착하여 인쇄신호에 따라 인쇄리본(60)을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릴유닛 (20)과, 포장지(S)의 이송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롤러(30)와, 인쇄신호에 따라 인쇄리본(60)을 이용하여 포장지(S)에 해당 서지사항을 기록하는 프린트헤드유닛(40)과, 인쇄신호의 유무에 따라 프린트헤드유닛(40)을 이송중인 포장지(S)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이탈시키는 프린트헤드유닛 회전수단(5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10)는 판상으로 구성되고, 그 전면 상부에는 복수의 가이드폴(11) (12)이 적절히 배열 설치되어 인쇄리본(60)의 이송경로를 구성한다. 이러한 가이드폴(11)(12)은 인쇄리본(60)의 이송안내도 겸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10)의 인쇄리본 이송경로 일측에는 인쇄리본(60)의 유무를감지하여 출력하는 리본감지센서(13)가 구비된다. 이 리본감지센서(13)는 인쇄리본 (60)의 양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발광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광센서로 구성된다.
릴유닛(20)은 베이스(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쇄리본(60)의 두 롤(61)을 각각 장착 지지하는 공급릴(21) 및 감기릴(22)과, 감기릴 (22)을 인쇄시에만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인쇄리본(60)을 일정량씩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릴모터(23)로 구성된다.
공급릴(21)은 방향에 관계없이 자유로운 회전이 보장되지만, 감기릴(22)은 이미 기록에 사용된 인쇄리본(60)의 역주행이 방지될 수 있도록 예컨대 일방클러치 (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감기릴(22)은 도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후방으로 돌출된 후단에 릴모터(23)와 전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피동풀리(pulley:24)를 갖는다.
릴모터(23)는 브래킷(27)을 통해 베이스(10)의 후면에 설치되고, 인쇄시에만 간헐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일정각도씩 회전하는 스테핑모터로 구성된다. 릴모터 (23)의 회전축(23a)에는 구동풀리(25)가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감기릴(22)의 피동풀리(24)와 전동벨트(26)로 연결된다.
이러한 릴모터(23)는 바람직하기로 포장기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인쇄신호와, 후술한 프린트헤드(41)의 검출롤러(30)에 대한 접촉신호 및엔코더(32)로부터의 포장지 이송신호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검출롤러(30)는 포장지(S)의 폭에 대응하는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고 포장지 (S)의 이송경로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포장지(S)에 접촉하는 바, 안정된 위치고정을 위해 프레임(31)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프레임(31)을 통해서 베이스 (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된다.
이러한 검출롤러(30)는 포장지(S)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므로 예컨대 마찰계수가 큰 고무로 구성되거나, 또는 표면이 고무로 피복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이스(10)의 후방으로 돌출된 검출롤러(30)의 후단에는 그 회전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엔코더(32)가 동축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엔코더(32)는 검출롤러(30)의 회전에 의해 포장지(S)의 이송량을 감지하여 프린트헤드(41)의 인쇄시기를 결정하게 된다.
프린트헤드유닛(40)은 인쇄신호에 따라 이송중인 포장지(S)에 해당 서지사항을 기록하는 열전사 프린트헤드(41)와, 이 프린트헤드(41)의 일단을 고정하여 베이스(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42)으로 이루어진다.
프린트헤드(41)는 포장기의 제어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로부터 소정의 인쇄신호를 받으며, 엔코더(32)와 동기한다. 회전축(42)은 프린트헤드(41)의안정된 지지를 위해 그 자유단이 브래킷(43)을 통해 베이스(10)에 함께 지지된다.
프린트헤드유닛 회전수단(50)은 베이스(10)의 후방으로 돌출된 회전축(42)의 후단에 고정되는 레버(51)와, 이 레버(51)를 검출롤러(30)에 대한 프린트헤드(41)의 이탈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52) 및 회전축(53a)에 캠(54)을 구비하여 레버(51)를 스프링(52)의 탄성 반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프린트헤드(41)를 검출롤러(30)에 접촉시켜 주는 캠모터(53)로 이루어진다.
레버(51)는 회전축(41)을 삽입하여 볼트(55)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스프링 (52)은 베이스(10)의 후면에 구비된 지지블록(14)과 레버(51) 사이에 개재된다.
캠모터(53)는 고정블록(59)을 통해 베이스(10)의 후면에 설치되고, 포장기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인쇄신호 또는 인쇄중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바람직하기로, 캠모터(53)는 인쇄신호의 여부에 따라 프린트헤드(41)가 신속하게 검출롤러(30)에 접촉되거나 그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캠센서(56)의 신호에 의해 정지된다.
캠센서(56)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54)의 일측면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1개의 마그네틱 검출소자(57)와, 이 검출소자(57)와 대향하도록 적정각도로 배치되어 검출소자(57)의 위치를 각각 검출하여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2개의 정지센서(58a)(58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인쇄신호 및 인쇄정지신호의 입력시 캠(54)의 돌기(54a)가 레버(51)에 최단시간으로 접촉되어 밀어주거나 그로부터 떨어져 레버(51)가 초기상태로 복귀할수 있도록 캠(54)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의 작동을 도9를 병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는 때는 프린트헤드 (41)가 인쇄리본(60)과 이격되어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릴모터(23)가 작동되지 않아 인쇄리본(60)은 이송되지 않는다.
즉, 인쇄가 없을 때는 포장기의 제어부로부터 인쇄신호가 송출되지 않으므로 캠모터(53)가 구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레버(51)가 스프링(52)의 탄성에 의해 캠(54) 쪽으로 밀려나게 됨으로써 프린트헤드유닛(40)의 회전축(42)이 레버(51)를 따라 회전하게 되어 프린트헤드(41)가 인쇄리본(60)으로부터 적절히 떨어져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릴모터(23) 역시 인쇄신호와 프린트헤드(41)의 접촉신호가 없기 때문에 구동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감기릴(22)이 정지상태로 있게 되어 인쇄리본(60)이 이송되지 않는 것이다.
물론, 이때 검출롤러(30)는 포장지(S)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포장지(S)의 이송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신호가 엔코더(32)로부터 출력되지만, 캠모터(53)와 릴모터(23)는 인쇄신호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만 구동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엔코더(32)의 신호에도 불구하고 구동되지 않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인쇄장치(P)는 인쇄신호가 없을 때 프린트헤드(41)가 인쇄리본(60)과 떨어져 있게 되므로 인쇄리본(60)과 이송중인 포장지(S)간에는 마찰력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쇄리본(60)의 이송은 일어나지 않는다.
다음,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로부터 인쇄신호가 송출되면,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모터(53)가 구동되어 캠(54)이 회전함으로써 레버(51)가 스프링 (52)을 압축하면서 탄성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42)이 레버(5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프린트헤드(41)가 인쇄리본(60)에 적정압력으로 밀착된다.
이때, 캠(54)에 설치된 검출소자(57)가 캠(54)의 회전방향 앞쪽에 위치한 캠센서(56)의 제1정지센서(58a)와 대향되게 위치되면, 제1정지센서(58a)가 이를 감지하여 정지신호를 출력하게 됨으로써 캠모터(53)가 정지하고, 프린트헤드(41)는 인쇄리본(6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릴모터(23)에 인쇄신호와 프린트헤드 접촉신호가 엔코더(32)로부터의 포장지 이송신호와 동시에 입력되게 되고, 이에 따라 릴모터(23)가 동시에 구동되어 감기릴(22)이 회전됨으로써 인쇄리본(60)의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동시에 프린트헤드(41)가 동작되어 인쇄리본(60)의 잉크가 이송중인 포장지 (S)로 열전사되어 소정의 서지사항을 기록하게 된다.
다음, 이 상태에서 제어부로부터 인쇄중지신호가 송출되면, 도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모터(53)가 다시 구동되어 캠(54)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캠(54)의 돌기(54a)가 레버(51)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레버(51)가 스프링 (52)의 복원탄성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회전축(42)에 고정된 프린트헤드(41)가 이탈방향으로 역회전되어 인쇄리본(60)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어서, 캠(54)의 검출소자(57)가 그 회전방향의 뒤쪽에 위치한 제2정지센서 (58b)와 마주하게 되면, 캠센서(56)의 제2정지센서(58b)가 이를 감지하여 출력하게 됨으로써 캠모터(53)가 정지하여 프린트헤드(41)를 인쇄리본(60)에 대해 이격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때, 캠(54)은 그 돌기(54a)가 레버(51)에 최대한 접근한 상태까지 충분히 회전되며, 이에 따라 후속하는 인쇄신호의 입력시 최단시간내에 레버(51)를 회전시켜 프린트헤드(41)를 인쇄리본(60)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프린트헤드(41)의 접촉신호가 끊어진 릴모터(23)가 정지되어 인쇄리본(60)의 이송이 중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인쇄장치(P)는, 프린트헤드(41)가 인쇄리본(60)과 이격되어 있다가 인쇄신호가 있을 때에만 선택적으로 회전되어 인쇄리본(60)에 접촉됨과 동시에 인쇄리본(60)을 포장지(S)에 대해 밀착시켜 줄 뿐 아니라, 릴모터(23)가 프린트헤드(41)의 인쇄리본(60) 접촉시에만 구동되므로 인쇄리본(60)이 실제 인쇄시에만 필요한 만큼 정확하게 이송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인쇄의 유무에 관계없이 인쇄리본(60)이 포장지(S)를 따라 불필요하게 이송되어 낭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프린트헤드(41)가 인쇄시를 제외하고 항시 검출롤러(30)와 적절히 이격되어 있어 인쇄리본(60)의 장착과 탈착도 매우 간편해지게 된다.
한편, 도10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검출롤러(30)를 자체를 인쇄리본(60)과 적절히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인쇄시에만 프린트헤드(41)에 의해 인쇄리본(60)이 포장지(S)에 밀착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인쇄리본(60)이 이송중인 포장지(S)와의 접촉으로 인한 정전기나 미세한 마찰력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인쇄리본(60)의 불필요한 미세이송까지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에 의하면, 평시에는 프린트헤드가 인쇄리본과 떨어져 있다가 인쇄시에만 선택적으로 회전되어 인쇄리본에 접촉되면서 포장지에 밀착시켜 주고, 릴모터도 프린트헤드가 인쇄리본에 접촉된 경우에만 간헐 구동되므로 인쇄리본이 실제 인쇄시에만 필요한 만큼씩 정확하게 이송될 뿐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전혀 이송되지 않는다.
또한, 프린트헤드가 인쇄시를 제외하고 항시 검출롤러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인쇄리본의 장착과 탈착도 매우 간편해진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편의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인쇄리본의 사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등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이송중인 약제 포장지에 각종 서지사항을 기록하기 위한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로서,
    복수의 가이드폴로 이루어진 인쇄리본의 이송경로를 갖는 베이스;
    양단이 2개의 롤에 감겨진 상기 인쇄리본을 장착하여 인쇄신호에 따라 인쇄리본을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릴유닛;
    상기 인쇄리본의 이송경로 한쪽에 배치되며, 엔코더를 동축으로 구비하여 상기 약제 포장지의 이송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포장지의 이송을 검출하는 검출롤러;
    상기 인쇄리본의 이송경로 다른쪽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신호에 따라 상기 약제 포장지에 해당 서지사항을 기록하는 프린트헤드유닛;
    인쇄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프린트헤드유닛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인쇄리본과 포장지를 검출롤러에 대해 밀착 또는 밀착해제 시키는 프린트헤드유닛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헤드유닛 회전수단은, 상기 프린트헤드유닛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소정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레버와, 이 레버에 구름 접촉되어 레버를 탄성 반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캠과, 인쇄신호 또는 인쇄중지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캠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캠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모터는, 상기 캠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1개의 검출소자와, 서로 일정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캠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검출소자의 위치를 각각 검출하여 출력하는 2개의 정지센서에 의해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유닛은 인쇄신호와, 상기 검출롤러에 대한 프린트헤드 접촉신호 및 엔코더의 구동신호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롤러가 인쇄리본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인쇄리본이 인쇄시에만 프린트헤드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포장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
KR2020020019633U 2002-06-28 2002-06-28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 KR200291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633U KR200291603Y1 (ko) 2002-06-28 2002-06-28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633U KR200291603Y1 (ko) 2002-06-28 2002-06-28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603Y1 true KR200291603Y1 (ko) 2002-10-11

Family

ID=7308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633U KR200291603Y1 (ko) 2002-06-28 2002-06-28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6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698A (ko) 2018-07-12 2018-07-25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앤티 감열포장지를 이용한 정제약 포장기기의 인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698A (ko) 2018-07-12 2018-07-25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앤티 감열포장지를 이용한 정제약 포장기기의 인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0894B2 (en) Medicine packaging device, ink ribbon running control method, ink ribbon roll and ink ribbon cassette
US6206590B1 (en) Label printing assembly for use with a medicament dispensing control workstation
TWI601529B (zh) 藥劑分包裝置、藥劑分包紙剩餘量判斷方法及藥劑分包紙卷
WO2006049142A1 (ja) 脱着装置、表示変更装置、並びに、投薬システム
JP2000247315A (ja) ラベルを貼着するための試験管の堆積状態からの搬送装置
KR200291603Y1 (ko) 약제 자동 분배 포장기의 인쇄장치
KR101544185B1 (ko) 약제 포장장치의 약포 배출모듈
JP3864865B2 (ja) テープ印字装置用のラベル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04058434A (ja) テープ印字装置用のラベルテープカートリッジ
WO2021049373A1 (ja) 搬送機、及び薬剤監査支援システム
JPH04149494A (ja) ラベル印刷用静電記録装置
JP2011031021A (ja) 薬品自動払出装置
WO2020213319A1 (ja) 薬剤分包装置、分包袋、および包材に情報を書き込む方法
CN211810434U (zh) 一种药剂包装装置的药包输出机构
JP4256154B2 (ja) 熱転写プリンタ
JP4608520B2 (ja) プリンタ装置
KR20170119459A (ko) 감열포장지를 이용한 정제약 포장기기의 인쇄장치.
JP4608050B2 (ja) プリンタ装置
JP3179668B2 (ja) 記録装置
KR20220135102A (ko) 블리스터 팩용 커버 부착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제의 블리스터 팩킹 장치
KR101669150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인쇄장치
JPS61158480A (ja) 薬袋移送装置
JPH0252843A (ja) 蛇行検出装置及び蛇行修正方法
JP4679592B2 (ja) 表示変更装置、並びに、投薬システム
JP200517814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