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587Y1 - 양변기용 배수관구조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배수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587Y1
KR200291587Y1 KR2020020018079U KR20020018079U KR200291587Y1 KR 200291587 Y1 KR200291587 Y1 KR 200291587Y1 KR 2020020018079 U KR2020020018079 U KR 2020020018079U KR 20020018079 U KR20020018079 U KR 20020018079U KR 200291587 Y1 KR200291587 Y1 KR 200291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toilet
sewage
cast iron
ir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이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근 filed Critical 이동근
Priority to KR2020020018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587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용 배수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슬리브(13)를 통과하는 오수에 와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슬리브(13) 내주면 사방 둘레에 경사진 안내면(16)을 가지는 유도날개(15)가 각각 구비되고, 주철관(17)에 유입된 오수에 와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주철관(17) 내주면에 경사진 안내면(21)을 가지는 나선형돌부(20)가 더 구비되는 양변기용 배수관구조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양변기(11)로부터 배수되는 오수 및 오물이 슬리브(13)를 통과하면서 슬리브(13) 내주면 사방에 구비된 유도날개(15)에 의해 와류현상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오물 및 오수가 슬리브(13)를 통과할때 발생되는 소음이 급감될 뿐 아니라 슬리브(13)를 신속하게 통과하게 되며, 슬리브(13)를 통과한 오물 및 오수는 주철관(17) 내주면의 나선형돌부(20)에 와류현상이 계속 유지되므로 주철관(17)도 조용하고 신속하게 통과되므로 양변기(11)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될 뿐 아니라 양변기(11)의 오수 및 오물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양변기용 배수관구조 {water pipe structure for toilet bowl}
본 고안은 양변기용 배수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양변기용 배수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변기(1)가 설치되고 양변기(1) 일측에는 저수조(2)가 설치되어 이에 물을 공급하게 되며, 양변기(1) 하부의 화장실 바닥에는 배수관구조가 매입설치되어 있어 양변기(1) 내부의 오수와 오물이 이를 통해 정화조로 배출된다.
여기서 배수관구조는, 바닥에 매입설치되어 있고 양변기(1)에 연결되는 슬리브(3)와, 슬리브(3) 저면에 결합되어 있어 이를 통과한 오물, 오수를 정화조로 안내하는 주철관(4)으로 이루어지며, 저수조(2)의 배수밸브를 작동시키면 양변기(1)로 다량의 물이 공급되면서 양변기(1) 내의 오수 및 오물이 슬리브(3) 및 주철관(4)을 통과한 후 정화조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양변기용 배수관구조는, 슬리브(3)에 다량의 오수 및 오물이 유입됨에 따라 슬리브(3) 및 주철관(4)에 공기의 흐름이 일시적으로 방해되어 오수 및 오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오수가 슬리브(3) 및 주철관(4)을 통과하면서 심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수 및 오물이 슬리브 및 주철관을 원활히 통과되도록 한 양변기용 배수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양변기용 배수관구조는, 양변기 하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의 오수, 오물이 유입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연결설치되어 이로부터 유입된 오수, 오물을 정화조로 배출시키는 주철관으로 이루어진 양변기용 배수관구조에 있어서, 슬리브를 통과하는 오수에 와류(vortex)가 발생되도록 상기 슬리브 내주면 사방 둘레에 경사진 안내면을 가지는 유도날개가 각각 구비되고, 주철관에 유입된 오수에 와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주철관 내주면에 경사진 안내면을 가지는 나선형돌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양변기로부터 배수되는 오수 및 오물이 슬리브를 통과하면서 슬리브 내주면 사방에 구비된 유도날개에 의해 와류현상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오물 및 오수가 슬리브를 통과할때 발생되는 소음이 급감될 뿐 아니라 슬리브를 신속하게 통과하게 되며, 슬리브를 통과한 오물 및 오수는 주철관 내주면의 나선형돌부에 와류현상이 계속 유지되므로 주철관도 조용하고 신속하게 통과되므로 양변기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될 뿐 아니라 양변기의 오수 및 오물이 분쇄되면서 신속하게 배출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양변기용 배수관구조를 보이는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2는 본 고안 양변기용 배수관구조를 보이는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3은 본 고안 양변기용 배수관구조 중 슬리브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도4 및 도5는 도3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6은 본 고안 양변기용 배수관구조 중 주철관을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도7은 도6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양변기 12 ; 저수조
13 ; 슬리브 15 ; 유도날개
16,21 ; 안내면 17 ; 주철관
20 ; 나선형돌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배수관구조를 보이는 개략적 부분 단면도로써, 이는 공지의 양변기(11)와, 양변기(11)에 연결설치되어 이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조와, 양변기(11) 하부와 정화조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양변기(11) 내의 오수 및 오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수관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 배수관구조는, 화장실 바닥에 매입설치되고 양변기(11)의 배출구에 여결되는 슬리브(13)와, 슬리브(13) 및 정화조에 연결되는 주철관(17)으로 이루어진다.
슬리브(13)는 도3 내도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단 둘레에 주철관(17)의 상단 둘레가 결합되도록 관삽입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슬리브(13) 내주면 둘레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유도날개(15)가 구비되어 있는바, 슬리브(13)를 통과하는 오수에 와류(vortex)가 발생되도록 슬리브(13) 내주면 사방 둘레에 경사진 안내면(16)을 가지는 유도날개(15) 네 개가 방사상으로 구비된다.
주철관(17)은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일측 단부의 삽입부(18)는 슬리브(13) 하단의 관삽입홈(14)에 결합되고 타단은 정화조에 연결되며, 상부 일측에는 행거브라켓(22)이 고정되어 있어 행거로드(23) 및 고정너트(24)에 의해 화장실 바닥에 지지된다.
주철관(17) 내주면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나선형돌부(20)가 구비되어 있는바, 주철관(17)에 유입된 오수에 와류가 발생되도록 주철관(17) 내주면에 경사진 안내면(21)을 가지는 나선형돌부(2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양변기용 배수관구조는, 저수조(12)의 배수밸브를 눌러서 저수조(12) 내의 물을 양변기(11)로 공급하면 양변기(11) 내의 오수 및 오물이 그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바, 이 오수 및 오물은 슬리브(13)를 통과하여 주철관(17)으로 유입된 후 정화조로 유입된다.
여기서 오수 및 오물이 슬리브(13)로 유입되면 슬리브(13) 내주면에 구비된 다수의 유도날개(15)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는바, 오수 및 오물이 슬리브(13) 하측으로 배출되면서 유도날개(15)들의 안내면(16)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며서 와류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오수 및 오물이 통과하는 슬리브(13) 중앙에는 공동(空洞) 현상이 발생되므로 오물 및 오수가 슬리브를 신속하게 통과할 뿐 아니라 통과할시 소음이 발생이 감소된다.
즉, 종래에는 슬리브에 다량의 오수 및 오물이 유입됨에 따라 슬리브의 공기의 흐름이 일시적으로 방해되어 오수 및 오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뿐 아니라 배출되는 오수가 공기와 충돌되면서 심한 소음이 발생되었는데, 본 고안은 슬리브(13)의 유도날개(15)에 의해 와류현상을 유도하므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주철관(17)에 구비된 나선형돌부(20)도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갖게 하는바, 슬리브(13)를 통과한 오수가 주철관(17)으로 유입되면 나선형돌부(20)의 안내면(21)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와류현상이 발생되도록 유도하므로 슬리브(13)를 통과하면서 발생된 오수의 와류현상이 슬리브(13), 주철관(17)을 통과하는 동안 계속 유지되므로 오수 및 오물이 슬리브(13)를 통과할때와 마찬가지로 주철관(17)을 통과할때에도 소음이 급감되며 오물의 덩어리가 분쇄되면서 신속하게 배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배수관구조에 의하면, 양변기(11)로부터 배수되는 오수 및 오물이 슬리브(13)를 통과하면서 슬리브(13) 내주면 사방에 구비된 유도날개(15)에 의해 와류현상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오물 및 오수가 슬리브(13)를 통과할때 발생되는 소음이 급감될 뿐 아니라 슬리브(13)를 신속하게 통과하게 되며, 슬리브(13)를 통과한 오물 및 오수는 주철관(17) 내주면의 나선형돌부(20)에 와류현상이 계속 유지되므로 주철관(17)도 조용하고 신속하게 통과되므로 양변기(11)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될 뿐 아니라 양변기(11)의 오수 및 오물이 분쇄되면서 신속하게 배출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양변기 하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의 오수, 오물이 유입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연결설치되어 이로부터 유입된 오수, 오물을 정화조로 배출시키는 주철관으로 이루어진 양변기용 배수관구조에 있어서,
    슬리브(13)를 통과하는 오수에 와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슬리브(13) 내주면 사방 둘레에 경사진 안내면(16)을 가지는 유도날개(15)가 각각 구비되고,
    주철관(17)에 유입된 오수에 와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주철관(17) 내주면에 경사진 안내면(21)을 가지는 나선형돌부(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배수관구조.
KR2020020018079U 2002-06-14 2002-06-14 양변기용 배수관구조 KR200291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079U KR200291587Y1 (ko) 2002-06-14 2002-06-14 양변기용 배수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079U KR200291587Y1 (ko) 2002-06-14 2002-06-14 양변기용 배수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587Y1 true KR200291587Y1 (ko) 2002-10-11

Family

ID=7312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079U KR200291587Y1 (ko) 2002-06-14 2002-06-14 양변기용 배수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5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342B1 (ko) * 2016-06-28 2017-01-03 황영수 워터커튼장치
KR101775792B1 (ko) * 2015-11-10 2017-09-19 홍성정 소음방지수단이 구비되는 좌변기 배수관연결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961A (ja) * 1991-07-02 1993-01-19 Sekisui Chem Co Ltd 排水装置
JPH08260551A (ja) * 1995-03-27 1996-10-08 Inax Corp 便器と排便管接続用の排水ソケット
JP2000205463A (ja) * 1999-01-20 2000-07-25 Sekisui Chem Co Ltd 下水用シ―ルゴム、及び、螺旋案内路付き管の製造方法
JP2001012658A (ja) * 1999-06-25 2001-01-16 Fujita Corp 排水管
KR200271176Y1 (ko) * 2001-10-25 2002-04-09 주식회사 광남정밀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플렌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961A (ja) * 1991-07-02 1993-01-19 Sekisui Chem Co Ltd 排水装置
JPH08260551A (ja) * 1995-03-27 1996-10-08 Inax Corp 便器と排便管接続用の排水ソケット
JP2000205463A (ja) * 1999-01-20 2000-07-25 Sekisui Chem Co Ltd 下水用シ―ルゴム、及び、螺旋案内路付き管の製造方法
JP2001012658A (ja) * 1999-06-25 2001-01-16 Fujita Corp 排水管
KR200271176Y1 (ko) * 2001-10-25 2002-04-09 주식회사 광남정밀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플렌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792B1 (ko) * 2015-11-10 2017-09-19 홍성정 소음방지수단이 구비되는 좌변기 배수관연결구조
KR101692342B1 (ko) * 2016-06-28 2017-01-03 황영수 워터커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87989A (ja) 水洗便器
WO2013087195A1 (en) Water closet
JP2011127332A (ja) 螺旋案内路付き縦管
KR200291587Y1 (ko) 양변기용 배수관구조
JP2017145631A (ja) 水洗大便器
KR20080071542A (ko) 저소음 배수관
JP2006265971A (ja) 流水ボールオーバーフロー管の逆流防止構造
JP2018204198A (ja) 逆流防止弁
JP6820173B2 (ja) 排水トラップ
CN111155606A (zh) 一种带有主副止回阀的新型下水管道
US2266035A (en) Plumbing
KR200388228Y1 (ko) 벽걸이식 사이펀 변기
JP3296449B2 (ja) サイホン式水洗便器
JP6607341B2 (ja) 小便器
CN220888843U (zh) 一种快速排水的防臭型下水器
CN216195219U (zh) 限流防溅管及安装该管的坐便器
KR100218648B1 (ko) 수세식 변기
KR200462537Y1 (ko) 배수 트랩 및 이를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
JP2018204197A (ja) 排水ます
JP7107686B2 (ja) 排水ヘッダーおよび配管構造
CN209162998U (zh) 一种侧排地漏
KR101177490B1 (ko)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KR200281585Y1 (ko) 변기의 오수 재활용 구조
KR200200823Y1 (ko) 저소음형 배수관 접속구
JPH11158957A (ja) 排水立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