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537Y1 - 배수 트랩 및 이를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 - Google Patents

배수 트랩 및 이를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537Y1
KR200462537Y1 KR2020080015536U KR20080015536U KR200462537Y1 KR 200462537 Y1 KR200462537 Y1 KR 200462537Y1 KR 2020080015536 U KR2020080015536 U KR 2020080015536U KR 20080015536 U KR20080015536 U KR 20080015536U KR 200462537 Y1 KR200462537 Y1 KR 200462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drain
drain trap
piping structur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561U (ko
Inventor
고용근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2020080015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53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5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4Odour seals having U-shaped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27Throttle passages
    • F16L55/02772Throttle passages using spirally or helically shaped channels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 트랩 및 층상 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나선 형상의 배수 트랩을 구비하여 상기 배수 트랩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상기 트랩을 상기 층상 배관 구조에 적용하여 욕실의 소음이 아랫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배수 트랩과 층상 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수 트랩, 층상 배관 구조

Description

배수 트랩 및 이를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Draining trap and floor drain structure having same}
본 고안은 배수 트랩 및 층상 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나선 형상의 배수 트랩을 구비하여 상기 배수 트랩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상기 트랩을 상기 층상 배관 구조에 적용하여 욕실의 소음이 아랫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배수 트랩과 층상 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는 다수개의 오수원이 있다. 즉, 샤워나 목욕을 하는 욕조와 세면을 하는 세면대 그리고 양변기등이 있다.
이러한 오수원에서 발생되는 오수는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데, 근래 오수 배출시 발생하는 소음을 아랫층 세대에게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층상 배관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층상 배관 구조(F)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1에서는 오수원으로서 욕조(10), 세면대(20), 그리고 양변기(30)가 나타나 있고 상기 각 오수원에 연결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구 예를 들어 상기 욕조(10)에 연결되는 욕조 배수 라인(41)이 나타나 있다.
물론 상기 세면대(20)와 양변기(30)에도 배수라인이 설치되지만 도면을 명료하게 표현하기 위해 도시를 생략하였다.
한편 상기 욕조 배수 라인(41)은 측벽측에 장치되는 통합 배수관(40)을 통해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수직 배수관(토시되지 않음)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세면대(20)의 경우도 상기 통합 배수관(40)을 통해 상기 수직 배수관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양변기(30)의 경우 또 다른 통합 배수관(50)과 수직 배수관(도시되지 않음)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층상 배관 구조(F)는 아랫층 욕실 천정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고 측벽측에 배치됨으로서 오수 발생으로 인한 소음이 아랫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층상 배관 구조(F)를 이용하는 경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욕조(10)에 U트랩(60)을 사용하여 오수가 통합 배수관(도시되지 않음)측으로 흘러간다.
그런데 이러한 U트랩(60)을 사용하는 경우 유지 보수에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U트랩은 유지 보수를 위한 캡(61)이 장치되어 있는데, 상기 캡(61)이 욕조 바닥 즉 슬라브에 접촉되게 된다.
이는 상기 U트랩(60)이 욕조 바닥면측에 장치되는 한편 원활한 배수를 위해 앞서 설명한 수직 배수관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구배가 형성됨에 의해 상기 U트랩(60)의 캡(61)이 욕조 바닥에 접촉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U트랩(60)의 캡(61)을 탈거하기가 쉽지 않게 되고 결국 상기 U트랩(60)의 유지 보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나선형상의 배수 트랩을 욕조 바닥면에 장치하여 배수트랩의 유지 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배수 트랩 및 배관 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나선 형상이되 끝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의 트랩 본체와, 상기 트랩 본체의 시작부에서 연장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도입부와, 상기 트랩 본체의 끝단부에 연장되어 오수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배수 트랩에 있다.
또한 욕조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오수원에서 발생하는 오수가 욕실의 측벽측에 배치된 통합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층상 배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욕조의 저면 중 상기 측벽측에 장치된 배수 트랩을 더 포함하는 배수 트랩을 이용한 층상 배관 구조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해 배수 트랩을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고 욕실의 소음이 아랫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선 형상을 가지는 배수 트랩과 이를 이용한 층상 배관 구조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3a 및 도 도 3b는 본 고안의 배수 트랩(T)의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배수 트랩(T)이 욕조(10)에 장치된 층상 배관 구조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실시예1
본 실시예1에서는 본 고안의 배수 트랩(T)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배수 트랩(T)은 트랩 본체(T1)와, 도입부(T2) 그리고 토출부(T3)를 포함한다.
상기 트랩 본체(T1)는 나선 형상이되 시작부(T1a)에서 끝단부(T1b)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도입부(T2)는 상기 트랩 본체(T1)의 시작부(T1a)에서 연장되어 오수가 유입된다.
상기 토출부(T3)는 상기 트랩 본체(T1)의 끝단부(T1b)에 연장되어 오수가 토출된다.
이때 상기 시작부(T1a)와 끝단부(T1b)는 상기 도입부(T2) 및 토출부(T3)와의 경계를 나타내며, 상기 끝단부(T1b)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트랩 본체(T1)는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원통형상이 나선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시작부(T1a)에서 나선 형상을 가지면서 출발한 후 상기 시작부(T1a)를 기준으로 360도 회전한 위치까지 형성되어 끝단부(T1b)를 형성한 것을 예시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입부(T2)와 토출부(T3)의 경우에도 상기 트랩 본체(T1)와 같이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원통형상을 예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트랩 본체(T1)와 도입부(T2) 그리고 토출부(T3)는 오수의 유동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다른 형상(예를 들어 사각형 단면 혹은 타원 단면등)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랩 본체(T1)를 시작부(T1a)에서 나선 형상을 가지면서 출발한 후 상기 시작부(T1a)를 기준으로 360도 회전한 위치까지 형성되어 끝단부(T1b)를 형성한 것을 예시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트랩 본체(T1)가 나선 형상을 구비하는 것은 앞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불순물이 트랩 본체(T1)의 바닥면(T1c)에 쌓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한 다른 형상의 나선 예를 들어 상기 시작부(T1a)를 기준으로 360도보다 적은 각도 또는 많은 각도만큼 회전한 위치까지 형성되어 끝단부(T1b)를 형성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배수 트랩(T)에 의해 오수가 배출되는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오수원(후술하는 실시예2에서는 욕조)에서 나오는 오수는 상기 도입 부(T2)을 통해 트랩 본체(T1)로 유입된다.
상기 트랩 본체(T1)로 유입된 오수는 앞서 설명한 나선 형상을 통해 회전하면서 불순물(예를 들어 머리카락등)은 트랩 본체(T1)의 바닥면(T1c)에 쌓이고 상기 불순물이 걸러진 오수는 상기 토출부(T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토출부(T3)측에는 후술되는 층상 배관 구조가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토출부(T3)의 높이가 도입부(T2)의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배수 트랩(T)이 단순히 불순물을 걸러내는 것 외에도 봉수 작용에 의해 악취의 역류를 막기 위함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배수 트랩내에는 통상 유체가 어느 정도 충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오수의 최종 집결지로부터 악취가 역류하여도 상기 충진되어 있는 유체에 의해 상기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경우에도 상기 도입부(T2)의 높이를 토출부(T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봉수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도입부(T2) 및 토출부(T3)에 각각 주름관(T2a,T3a)을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실시예2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배수 트랩(T)을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이다.
층상 배관 구조라고 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수원 예를들어 욕조로부터 배출되는 오수가 욕실 측벽측에 장치되는 통합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고 최종 적으로 수직 배수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말하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아랫층에 오수의 흐름으로 인한 소음 전달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욕조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오수원에서 발생하는 오수가 욕실의 측벽측에 배치된 통합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층상 배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욕조의 저면 중 상기 측벽측에 장치된 배수 트랩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배수 트랩은 나선 형상이되 시작부에서 끝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의 트랩 본체와, 상기 트랩 본체의 시작부에서 연장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도입부와, 상기 트랩 본체의 끝단부에 연장되어 오수가 토출되는 토출부로 구성되어, 상기 도입부의 끝단이 상기 욕조의 배수구에 연결되고, 상기 토출부의 끝단이 상기 통합 배수관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을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배수 트랩(T)은 욕조(10)의 저면 중 측벽측 다시 말해서 상기 층상 배관 구조(도 1 참조)측에 장치하였다.
이는 상기 배수 트랩(T)과 층상 배관 구조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 트랩(T)을 상기 욕조(10)의 저면 즉 밑면에 장치하였으며, 이를 위해 상기 욕조(10)의 저면에는 돌출부(11)를 형성하여 상기 욕조(10)가 배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욕조(10)의 저면이 상호 이격되도록 하였다.
물론 상기 욕조(10)의 저면에 상기 배수 트랩(T)을 장치할 수 있는 공간 즉 오 목한 부분을 형성한 후 그 부분에 상기 배수 트랩(T)을 장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배수 트랩(T)의 토출부(T3)의 끝단과 층상 배관 구조 즉 상기 통합 배수관(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하는 엘보우(B)를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을 이용하여 오수가 배출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욕조(10)에서 발생한 오수는 욕조(10)의 배수구(E)를 통해 상기 배수 트랩(T)으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오수는 상기 배수 트랩(T)을 거치면서 불순물은 바닥면에 쌓이게 되고 상기 불순물이 걸러진 오수는 상기 토출부(T3)와 엘보우(B)를 통해 층상 배관 구조 즉 통합 배수관측으로 유입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수 트랩(T)의 도입부(T2)와 토출부(T3)에는 주름관(T2a,T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름관(T2a,T3a)이라고 하는 것은 파이프 형상이되 외부가 주름으로 접혀있어 변형이 용이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주름관(T2a,T3a)을 상기 배수 트랩(T)에 설치함에 의해 상기 배수 트랩(T)을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배수 트랩(T)을 상기 엘보우(B)등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종래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트랩의 캡(도 2참조)을 탈거하기 어려워 상기 트랩의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 상기 배수 트랩(T)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어 상기 트랩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층상 배관 구조를 채용하여 욕실의 소음이 아랫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층상 배관 구조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배수 트랩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배수 트랩을 이용한 층상 배관 구조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배수 트랩 T1 : 트랩 본체
T1a : 시작부 T1b : 끝단부
T2 : 도입부 T3 : 토출부

Claims (5)

  1. 나선 형상이되 시작부에서 끝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의 트랩 본체와, 상기 트랩 본체의 시작부에서 연장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도입부와, 상기 트랩 본체의 끝단부에 연장되어 오수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2. 욕조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오수원에서 발생하는 오수가 욕실의 측벽측에 배치된 통합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층상 배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욕조의 저면 중 상기 측벽측에 장치된 배수 트랩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배수 트랩은 나선 형상이되 시작부에서 끝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의 트랩 본체와, 상기 트랩 본체의 시작부에서 연장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도입부와, 상기 트랩 본체의 끝단부에 연장되어 오수가 토출되는 토출부로 구성되어,
    상기 도입부의 끝단이 상기 욕조의 배수구에 연결되고, 상기 토출부의 끝단이 상기 통합 배수관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을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 및 토출부에 형성된 주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을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의 끝단과 상기 통합 배수관을 연결하는 엘보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을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의 저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욕조가 배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욕조의 저면이 상호 이격되고,
    상기 배수 트랩은 상기 욕조의 저면과 바닥면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을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
KR2020080015536U 2008-11-21 2008-11-21 배수 트랩 및 이를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 KR200462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36U KR200462537Y1 (ko) 2008-11-21 2008-11-21 배수 트랩 및 이를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36U KR200462537Y1 (ko) 2008-11-21 2008-11-21 배수 트랩 및 이를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61U KR20100005561U (ko) 2010-05-31
KR200462537Y1 true KR200462537Y1 (ko) 2012-09-14

Family

ID=4445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536U KR200462537Y1 (ko) 2008-11-21 2008-11-21 배수 트랩 및 이를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5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61U (ko) 201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7450B2 (ja) 排水システム
JP2010031546A (ja) 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
JP4709981B2 (ja) 排水トラップ
JP2011094359A (ja) 排水トラップ
JP2007255153A (ja) 排水トラップ
KR200462537Y1 (ko) 배수 트랩 및 이를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
KR20090091637A (ko) 배관 구조
KR101348450B1 (ko) 용수공급부가 구비된 배수트랩 및 이를 이용한 층상 배수 시스템
KR200462536Y1 (ko) 배수 트랩 및 이를 구비한 층상 배관 구조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KR101177495B1 (ko)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JP4388441B2 (ja) 浴室の排水配管
JP2008002217A (ja) 排水トラップ
JP2010059654A (ja) 排水構造、シャワー室の排水構造、洗濯機用防水パンの排水構造
JP2017043929A (ja) 浴室の排水構造
JP6019287B2 (ja) 排水トラップ
JP6019289B2 (ja) 排水トラップ
KR10141531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중트랩 층상배관장치
KR200447783Y1 (ko) 세면대 연결소켓 겸용 욕실 배수트랩
JP4206437B2 (ja) 排水装置
JP2005240518A (ja) 排水装置及びそれが用いられる排水配管
JP2000080695A (ja) 排水トラップ
JP2012067574A (ja) 排水接続管
KR101177490B1 (ko)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KR100515289B1 (ko) 트렌치 배수관 본체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