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521Y1 - 풀림방지용 볼트. - Google Patents

풀림방지용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521Y1
KR200290521Y1 KR2020020019835U KR20020019835U KR200290521Y1 KR 200290521 Y1 KR200290521 Y1 KR 200290521Y1 KR 2020020019835 U KR2020020019835 U KR 2020020019835U KR 20020019835 U KR20020019835 U KR 20020019835U KR 200290521 Y1 KR200290521 Y1 KR 200290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nut
screw rod
present
loos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유
Original Assignee
이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유 filed Critical 이재유
Priority to KR2020020019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5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521Y1/ko

Links

Landscapes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속적으로 진동이 발생되거나 외부의 마찰이 있더라도 쉽게 나사가 풀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풀림방지용 볼트를 제공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볼트를 구성하는 나사봉의 일측 혹은 양측으로 수지재의 보충물이 구비됨에 따라 너트가 조립될 때 억지로 체결되면서 탄성력이 작용하여 쉽게 풀리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풀림방지용 볼트.{UNTIE PREVENTIVE BOLT}
본 고안은 풀림방지용 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사구멍 또는 너트와 일단조립이 되면 진동에 의해 스스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용 볼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볼트는 선반작업 및 전조작업 또는 정밀주조에 의해 성형되며 피고정물을 고정시키거나 조립시켜야 할 경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볼트 체결방식은 피고정물에 지속적인 진동이 발생하거나 피고 정물이 움직이는 경우에는 볼트와 체결된 나사 혹은 피고정물이 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스프링와셔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탄성이 감소되기 때문에 볼트가 쉽게 풀려서 장시간에는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이중너트를 사용하거나, 스톱퍼형 와셔 등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볼트체결방식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으나, 사용이 번거롭고 제조상의 문제점과 단가상승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진동이 발생되거나 외부의 마찰이 있더라도 쉽게 나사가 풀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풀림방지용 볼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볼트를 구성하는 나사봉의 일측 혹은 양측으로 수지재의 보충물이 구비됨에 따라 너트가 조립될 때 억지로 체결되면서 탄성력이 작용하여 쉽게 풀리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의 중앙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의 중앙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볼트 12,13: 요입홈
14, 15: 보충물 18: 너트
20: 피고정물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 1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 풀림방지용 볼트는 나사봉의 일측 혹은 양측으로 수지재의 보충물이 끼워짐에 따라 너트가 조립될 때 억지로 체결됨에 따라 쉽게 풀리지 않게 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나사머리(10b)와 나사봉(10a)으로 구성되는 볼트(10)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10a)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측방향으로 혹은 양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이상의 요입홈(12)을 두고 있다. 이때 상기 요입홈(12)은 나사봉(10a)의 끝에서 3-5피치 이후에서부터 시작하게 됨에 따라 너트(18)의 조립시 너트가 처음에 원활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요입홈(12)에는 상기 요입홈과 동일한 크기로 된 띠형상의 보충물(14)을 끼워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보충물은 수지재로 형성되며 나사봉(10a)의 나사산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충물의 외측면이 볼트 나사산의 외경에 비하여 높게 되면 너트와 체결시 큰 회전력을 요하게 되면 쉽게 조립할 수 없게 되고, 반대로 보충물의 외측면이 볼트 나사산의 외경에비하여 작을 경우에는 볼트의 사용은 편리할 수 있으나 압착력이 작아지게 되면서 고정력이 미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피고정판(20)에 형성된 나사구멍 혹은 너트(18)와 체결될 때 볼트가 너트의 나사구멍 안으로 조립됨과 동시에 보충물(14)의 외측으로 나사봉의 나사산과 동일한 나사산이 강제로 형성되면서 체결된다. 이로서 나사구멍 안에 박힌 보충물은 자체의 탄성과 밀착력을 너트에 강하게 작용시킴으로서 강제적으로 너트를 풀어내지 않는 한 진동 및 마찰에는 거의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볼트(10')을 구성하는 나사봉(10a)의 하부에 나사봉의 둘레를 따라서 소정의 폭으로 요입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입홈으로 수지재의 보충물(15)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나사머리(10b)와 나사봉(10a)으로 구성되는 볼트(10')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나사봉(10a)에는 하부로 너트(18)가 체결되는 부위에 그 둘레를 따라서 요입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요입홈(13)의 위치는 나사봉의 끝을 기준하여 3피치 내지는 5피치 정도를 지나서 형성되며 상기 요입흠의 폭은 3-5피치 정도가 가장 적당하나 다소 길게 되더라도 무관하다. 그리고 상기 요입홈의 내측면에는 너얼링(1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볼트가 제작되면 볼트의 요입홈(13)에 사출성형방식에 의해서 보충물(15)을 성형시킨다. 즉, 볼트의 나사봉을 사출금형 안으로 삽입시킨 후 사출금형의 측면으로 가열된 나일론 수지 또는 테프론 수지를 사출한 다음 사출금형으로 부터 분리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요입홈(13)으로 보충물(15)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볼트(10')는 피고정판(20)에 형성된 나사구멍 혹은 너트(18)와 체결될 때, 볼트의 나사봉이 너트의 나사구멍 안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보충물의 외측으로 너트(18)의 나사산과 동일한 나사산이 강제로 형성되면서 체결된다. 이로서, 너트의 나사구멍 안에 박힌 보충물(15)은 자체의 탄성과 밀착력을 나사구멍에 강하게 작용시킴으로서 강제적으로 볼트를 풀어내지 않는 한 진동 및 마찰에는 거의 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요입홈의 내측면에 형성된 너얼링(13a)은 너트 결합시 너트의 회전력에 의해 보충물이 따라 회전하는 것을 예방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는 볼트와 너트가 체결될 때 볼트에 형성된 수지재의 보충물이 강하게 압착되면서 강제적으로 동일한 나사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볼트와 너트 사이에는 보충물의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지속적인 진동 혹은 외부의 마찰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쉽게 풀리지않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제조단가를 크게 상승시키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나사머리(10b)와 나사봉(10a)으로 구성되는 볼트(10)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나사봉(10a)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입홈(12)을 두고 있으며, 상기 요입홈에는 수지재로 된 띠형상의 보충물(14)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물(14)은 볼트의 나사산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볼트.
  3. 나사머리(10b)와 나사봉(10a)으로 구성되는 볼트(10')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나사봉(10a)에는 너트(18)가 체결되는 부위의 둘레를 따라서 요입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에는 수지재의 보충물(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물(15)은 볼트의 나사산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볼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13)의 내측 둘레면에는 너얼링(13a)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너트.
KR2020020019835U 2002-06-25 2002-06-25 풀림방지용 볼트. KR200290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835U KR200290521Y1 (ko) 2002-06-25 2002-06-25 풀림방지용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835U KR200290521Y1 (ko) 2002-06-25 2002-06-25 풀림방지용 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521Y1 true KR200290521Y1 (ko) 2002-09-28

Family

ID=7312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835U KR200290521Y1 (ko) 2002-06-25 2002-06-25 풀림방지용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5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4883A (zh) * 2019-03-06 2019-05-21 浙江同博科技发展有限公司 船载通信终端底座防拆、防松结构
KR102285186B1 (ko) 2021-04-01 2021-08-03 오춘식 풀림방지 볼트
KR20220000472A (ko) 2020-06-26 2022-01-04 오춘식 풀림방지 볼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4883A (zh) * 2019-03-06 2019-05-21 浙江同博科技发展有限公司 船载通信终端底座防拆、防松结构
CN109774883B (zh) * 2019-03-06 2023-09-08 浙江同博科技发展有限公司 船载通信终端底座防拆、防松结构
KR20220000472A (ko) 2020-06-26 2022-01-04 오춘식 풀림방지 볼트
KR102285186B1 (ko) 2021-04-01 2021-08-03 오춘식 풀림방지 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4420B2 (ja) 締結具
JP3652757B2 (ja) フアスナ構体用ナット
US20090304443A1 (en) Bolt with collar and flexible sleeve insert
KR200290521Y1 (ko) 풀림방지용 볼트.
JP7116595B2 (ja) 締付トルク管理具及び締付トルク管理具と締結具との組み合わせ
CN111365350A (zh) 螺母组件和螺栓套件
US7828500B2 (en) Threaded engagement element with self-locking threads
JPH0320109A (ja) ねじ用クリップ
KR102098074B1 (ko) 볼트-너트 조립체
KR100237318B1 (ko) 풀림방지용 너트
KR20050096268A (ko) 풀림 방지용 볼트
JPH0530015Y2 (ko)
JPH07197925A (ja) 緩み止め付き固着具
JPH10141349A (ja) 緩み止めナッ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7011852B2 (ja) 緩み止めボ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727Y2 (ja) セルフタッピングねじ
JP2003166519A (ja) 樹脂製ゆるみ止めナット
JP2019120338A (ja) ねじの緩み止め構造
KR200350188Y1 (ko) 이단 풀림 방지 나사
JP3323128B2 (ja) 螺合装置
JPH0763211A (ja) 緩み止めシールナット
JPH06280831A (ja) 型枠用緊締装置
KR0133508Y1 (ko) 풀림방지용 너트
JP2541283Y2 (ja) 締付け軸力安定用ワッシャー組込みボルト
JP3097858U (ja) リール固定用ダブルナットの弛み止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