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268A - 풀림 방지용 볼트 - Google Patents

풀림 방지용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268A
KR20050096268A KR1020040021397A KR20040021397A KR20050096268A KR 20050096268 A KR20050096268 A KR 20050096268A KR 1020040021397 A KR1020040021397 A KR 1020040021397A KR 20040021397 A KR20040021397 A KR 20040021397A KR 20050096268 A KR20050096268 A KR 20050096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screw
bolt
male
loos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윤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금속
Priority to KR1020040021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6268A/ko
Publication of KR2005009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2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25Chain-type s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볼트를 너트 등에 나사체결시킨 후에는 풀림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풀림 방지용 볼트에 관한 것으로, 나사산이 나선상으로 연속하는 수나사가 형성된 볼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수나사를 암나사에 삽입하여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나선상으로 연속하는 나사산이 암나사로 나사조립되는 것은 허용하는 한편, 나사체결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수나사가 암나사에서 풀리지 않도록 하는 풀림방지돌기를 상기 수나사의 나사산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풀림 방지용 볼트{Bolt}
본 발명은 각종 볼트(또는 나사)를 너트 등에 나사체결시킨 후에는 풀림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풀림 방지용 볼트에 관한 것이다.
볼트에는 접시머리 볼트, 둥근머리 볼트, 육각머리 볼트 및 머리없는 볼트 등 여러 종류가 있다.
통상적으로 볼트는 두개의 물체를 결합시킬 때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는 암나사에 나사조립되어 다른 물체를 지지하거나 압착하는 등의 용도로도 사용된다.
종래 기술의 볼트(100)와 너트(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물체를 포함)(200)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나사체결 전에는 볼트(100)의 수나사와 너트(200)의 암나사 사이에 틈(300)이 형성되게 하여 볼트(100)의 수나사부분을 너트(200)의 암나사부분으로의 나사삽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조되는 것이며, 이러한 볼트(100)와 너트(200)를 나사체결하게 되면 도 7의 도시와 같이 볼트에 나선상으로 형성된 수나사와 너트의 암나사는 일측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는 반면에, 수나사와 암나사가 서로 접촉하지 않은 타측면들 사이에는 여전히 틈(300)이 존재하고 있게 되며, 이와 같이 틈(300)이 형성된 상태로 나사체결된 볼트(100)와 너트(200)는 상호간에 접촉하는 접촉면의 마찰저항에 의해 나사체결력을 유지하고 있게 되는데, 이때 볼트의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접촉면의 마찰저항보다 클 경우 또는 외력이 상기한 마찰저항보다 작지만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될 경우에는 에는 볼트(100)가 너트(200)에서 나사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상기와 같이 볼트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풀리게 될 때에는 볼트로서 두 물체를 결합시키는 결합력이 약화되거나 또는 심한 경우 결합력이 해제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풀림현상은 여러가지의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원인이 된다.
예를 들어, 가전제품으로서 세탁기의 경우 프로그램 회로장치에 장착된 볼트가 세탁물을 세탁, 헹굼 및 탈수할 때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나사풀림될 경우에는 세탁기의 고장원인이 될 수 있고, 건설분야에 있어 철골로 건축되는 교량이나 철골구조물 등에 나사체결된 볼트가 진동 등에 의해 풀림현상이 나타나게 될 경우에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한편, 휴대폰을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휴대폰 케이스와 그 내부에 장착되는 전자부품, 회로기판 등을 고정시키는 볼트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나사에 강력 접착제인 나이록(NYLOK : 쓰리엠사 제품)을 코팅시킨 볼트를 사용하여 나사체결하므로서 일단 나사체결된 불트가 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는 볼트의 수나사에 별도의 접착제를 코팅시키는 데 따른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어 결국 볼트의 생산단가가 비싸지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볼트(또는 나사)를 암나사공으로 나사조립할 때에는 볼트의 수나사가 암나사를 따라 나사조임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나사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볼트가 나사체결된 물체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수나사가 암나사에서 절대로 풀리지 않게 하는 풀림방지돌기가 형성된 볼트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나사산이 나선상으로 연속하는 수나사가 형성된 볼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수나사를 암나사에 삽입하여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나선상으로 연속하는 나사산이 암나사로 나사조립되는 것은 허용하는 한편, 나사체결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수나사가 암나사에서 풀리지 않도록 하는 풀림방지돌기를 상기 수나사의 나사산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풀림방지돌기는 수나사의 나사산에서 외측을 향해 삼각형상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는 구조로서, 삼각형상의 끝단에 형성된 꼭지점을 기준하여 수나사가 암나사에 나사조립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부와 수나사가 암나사에 나사체결된 후에는 상기한 꼭지점과 함께 수나사의 풀림을 억제하는 단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풀림방지돌기는 수나사에 나선상으로 연속하는 나사산 각각에 등각도상으로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여러 실시예이며,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볼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볼트(1)는 그 몸체(11)의 외주면에 나사골이 형성되게 하면서 나선상으로 연속하는 수나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볼트(1)의 머리부는 드라이버홈이나 렌치홈 등이 형성되어 있는 접시머리형, 둥근머리형, 육각머리형 및 머리부가 없는 상태 등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4 참조)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볼트(1)의 수나사(12)에 나선상으로 형성된 나사산에서 외측을 향해 삼각형상으로 돌출되는 풀림방지돌기(2)를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 것에 있다.
상기 풀림방지돌기(2)는 수나사(12)의 각 나사산 외주 끝단에서 외측을 향해 더 돌출 연장되는 삼각형상의 구조로 형성되는데, 상기 풀림방지돌기(2)의 돌출되는 길이는 종래 기술(도 6 및 도 7 참조)에서 통상적으로 수나사(12)의 나사산과 암나사공의 나사골 사이에 형성되는 틈(300) 간격보다 미세하게 큰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풀림방지돌기(2)는 삼각형상의 뾰죽한 꼭지점(21)을 기준하여 볼트(1)가 나사조임되는 방향을 향한 쪽에는 경사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부(22)의 반대쪽에는 볼트(1)가 나사체결된 후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단부(2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경사부(22)는 나사산 끝부분에서 완만한 경사상으로 돌출되게 이어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볼트(1)의 나사조립시 풀림방지돌기(2)가 암나사공에 나사조립되는 것을 허용하게 되며, 상기한 단부(23)는 나사산 끝부분에서 급격한 경사면(나사산과 거의 직각을 이루는 상태)으로 형성되어 볼트(1)를 나사체결시킨 후에는 암나사공의 나사골에 박히는 상태가 되는 꼭지점(21)과 함께 암나사공의 나사면에 선(線) 접촉하는 상태가 되어 볼트(1)가 풀리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1)의 수나사(12)에 형성되는 풀림방지돌기(2)는 수나사(12)를 형성하는 나사산들 각각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나사(12)의 자유단에서 시작되는 1리드(나선상으로 360° 1회전)에 해당하는 나사산과 수나사(12)의 끝부분으로서 머리부에 인접하는 1리드에 해당하는 나사산에는 풀림방지돌기(2)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고 그 외의 나사산 각각에 풀림방지돌기(2)를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되, 1리드 나사산 각각에는 3개의 풀림방지돌기(2)가 등각도상으로 형성하게 되면(도 5 참조), 암나사공에 나사조립되는 볼트(1)의 수나사(12)는 등각도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3개의 풀림방지돌기(2)들이 암나사공의 나사골에 동일한 위상차로 접촉하는 상태가 되어 상기 수나사(12)는 암나사공의 중심에서 나사조립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인 풀림방지돌기(2)를 볼트(1)의 수나사(12)에 형성되는 다수의 나사산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나사산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볼트(1)의 수나사(12) 각 나나산에 적절히 배치시키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볼트(1)의 수나사(12)를 암나사공(도시 생략)으로 삽입하여 나사조임하게 되면 수나사(12)의 각 나사산에 돌출 형성된 풀림방지돌기(2)들은 그꼭지점(21)이 암나사공의 나사골에 접촉하는 상태로 나사조립되는데, 상기 풀림방지돌기(2)들 각각의 경사부(22)가 수나사(12)의 나사조립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풀림방지돌기(2)의 꼭지점(21)이 암나사공의 나사골에 접촉하는 상태로 나사조립되더라도 볼트(1)의 수나사(12)는 암나사공의 나사조임방향을 향해 나사조립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1)의 수나사(12)가 암나사공에 나사체결이 완료된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수나사(12)의 각 나사산에 돌출 형성된 풀림방지돌기(2)들의 각 꼭지점(21)이 암나사공의 나사골에 박힌 상태가 되며, 또한 볼트(1)의 나사조임력에 의해 풀림방지돌기(2)의 단부(23) 일측부분이 암나사공의 일측 나사면에 선 접촉하는 상태로 박히는 상태가 되어 수나사(12)는 암나사공에서 나사풀림방향으로의 회전작동이 억제 내지 차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풀림방지돌기(2)가 형성되어 있는 볼트(1)의 수나사(12)를 너트 등의 암나사공에 나사조립으로 체결시켰을 때에는 상기 풀림방지돌기(2)의 꼭지점(21)과 단부(23)의 일측부분이 암나사공의 나사골 및 일측 경사면에 박힌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볼트의 축방향으로 큰 충격이 가해지거나 또는 진동충격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되더라도 볼트(1)는 암나사공에서 풀리지 않게 되므로서 볼트(1)에 의하여 나사체결된 두 물체는 처음 나사체결 당시의 결합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에 나선상으로 형성된 수나사는 너트 등의 암나사공으로의 나사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다가 나사조립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나사체결될 때에는 수나사의 나사산에 형성되어 있던 풀림방지돌기가 암나사공의 나사공 및 일측 나사면에 박히면서 볼트의 풀림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다 주며, 또한 외력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는 본 발명의 볼트로서 각종 전자제품이나 기계제품 및 건축구조물 등의 조립부품들을 결합하였을 경우에는 그 제품에 큰 충격이 가해지거나 또는 진동충격이 계속적으로 가해지게 되더라도 불트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하므로서 제품의 조립성 및 품질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볼트의 수나사에 형성된 나사산 자체에 풀림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볼트의 수나사에 강력 접착제를 코팅하는 수단으로 볼트를 제조하는 것에 비하여 볼트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여러 실시예.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종래 기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볼트 11 : 몸체
12 : 수나사 2 : 풀림방지돌기
21 : 꼭지점 22 : 경사부
23 : 단부

Claims (3)

  1. 나사산이 나선상으로 연속하는 수나사가 형성된 볼트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수나사를 암나사에 삽입하여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나선상으로 연속하는 나사산이 암나사로 나사조립되는 것은 허용하는 한편, 나사체결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수나사가 암나사에서 풀리지 않도록 하는 풀림방지돌기를 상기 수나사의 나사산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돌기는 수나사의 나사산에서 외측을 향해 삼각형상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는 구조로서, 삼각형상의 끝단에 형성된 꼭지점을 기준하여 나사산에서 경사상으로 돌출 연장되어 수나사가 암나사에 나사조립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부와 수나사가 암나사에 나사체결된 후에는 상기한 꼭지점과 함께 암나사에 걸림되어 수나사의 풀림을 억제하는 단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볼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돌기는 수나사에 나선상으로 연속하는 나사산 각각에 등각도상으로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용 볼트.
KR1020040021397A 2004-03-30 2004-03-30 풀림 방지용 볼트 KR20050096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397A KR20050096268A (ko) 2004-03-30 2004-03-30 풀림 방지용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397A KR20050096268A (ko) 2004-03-30 2004-03-30 풀림 방지용 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268A true KR20050096268A (ko) 2005-10-06

Family

ID=3727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397A KR20050096268A (ko) 2004-03-30 2004-03-30 풀림 방지용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626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17B1 (ko) * 2012-01-20 2014-08-21 주식회사 아이앤아이 플라스틱을 이용한 록킹 튜닝 스크류 장치
CN110320628A (zh) * 2018-03-30 2019-10-11 日本电产三协(东莞)工机有限公司 透镜单元和光学单元
CN111075825A (zh) * 2020-01-06 2020-04-28 杜责龙 永不松动自锁螺纹连接结构
KR20210037238A (ko) 2019-09-27 2021-04-06 김순길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볼트
KR102285186B1 (ko) * 2021-04-01 2021-08-03 오춘식 풀림방지 볼트
KR20210112610A (ko)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대한볼트 렌치 탭핑 스크류 볼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17B1 (ko) * 2012-01-20 2014-08-21 주식회사 아이앤아이 플라스틱을 이용한 록킹 튜닝 스크류 장치
CN110320628A (zh) * 2018-03-30 2019-10-11 日本电产三协(东莞)工机有限公司 透镜单元和光学单元
KR20210037238A (ko) 2019-09-27 2021-04-06 김순길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볼트
CN111075825A (zh) * 2020-01-06 2020-04-28 杜责龙 永不松动自锁螺纹连接结构
KR20210112610A (ko)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대한볼트 렌치 탭핑 스크류 볼트
KR102285186B1 (ko) * 2021-04-01 2021-08-03 오춘식 풀림방지 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0465B2 (en) Anti-loosening bolt
JP2004505218A (ja) 締結具
JP5790201B2 (ja) 電子機器の端子装置
KR101172868B1 (ko) 록크 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체결 유닛
CN113811694A (zh) 防松螺母
KR20050096268A (ko) 풀림 방지용 볼트
KR20140112802A (ko) 풀림방지너트
KR101513433B1 (ko) 와셔부에 홈을 형성하고 자석을 매설한 고장력 마그네틱 볼트 조립체
JP2004524493A (ja) 作用トルクを制限するためのねじ付ナット及びそれに対応する方法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US7828500B2 (en) Threaded engagement element with self-locking threads
JP2003042132A (ja) ナットの脱落防止構造
CA2630316A1 (en) Threaded connection
KR20150005285A (ko) 체결부재
CA2497932A1 (en) Threaded fastener assembly
KR200290521Y1 (ko) 풀림방지용 볼트.
KR200426314Y1 (ko) 풀림방지 스크류
KR200297168Y1 (ko) 풀림 방지용 너트 및 와셔
CN108071652A (zh) 螺母紧固件
KR200350188Y1 (ko) 이단 풀림 방지 나사
CN108343665B (zh) 一种防松螺母、螺纹紧固套件和螺纹紧固组件
KR200388166Y1 (ko) 풀림 방지용 스크류
KR200415212Y1 (ko) 풀림 방지 너트
JP2001355625A (ja) ゆるみ止めナット
KR200384405Y1 (ko) 풀림방지 스크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