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935Y1 - 스크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랩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935Y1
KR200289935Y1 KR2019980025871U KR19980025871U KR200289935Y1 KR 200289935 Y1 KR200289935 Y1 KR 200289935Y1 KR 2019980025871 U KR2019980025871 U KR 2019980025871U KR 19980025871 U KR19980025871 U KR 19980025871U KR 200289935 Y1 KR200289935 Y1 KR 200289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crap
sucker
suppor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808U (ko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25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93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8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8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935Y1/ko

Links

Landscapes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크랩(Scrap)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이스트몸체(12)가 모터(3)의 구동에 의해 레일(2)을 따라 패스라인(53)과 스크랩파렛트(45) 사이를 주행하고, 이동프레임(42)이 모터(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호이스트몸체(12)의 수직레일(13)을 따라 상하이동되며, 상기 이동프레임(42)의 빨판지지대(42-1)에 흡입력을 갖는 흡입빨판(25)이 설치되는 스크랩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빨판지지대(42-1)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42)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전방측에 안내롤(35)이 장착되는 지지베이스(47)와; 상기 이동프레임(42)의 상부에 지지대(53)에 의해 지지되면서 모터(20)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베이스(47)의 후방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감김롤(16)이 장착되는 축(21)과; 상기 안내롤(35)에 안내되면서 상기 감김롤(16)에 감기는 와이어로프(15)에 의해 빨판지지대(42-1) 사이를 상하강되고, 그 하면에 각각 감지홈(24-1)이 형성되는 누름판(24)과; 상기 감지홈(24-1)을 통해 센싱하도록 좌우측빨판지지대(42-1)에 설치되는 투수광기(26,23)와; 감지바(28,33)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0,29,52,27,31,32)의 감지신호에 따라 각각 상기 모터(10,3)를 제어하고, 상기 와이어로프(15)의 감지링(50,51)를 감지하는 리밋스위치(49)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20)를 제어하는 제어기(4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랩 이송장치
본 고안은 스크랩(Scrap)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스라인상에 굴곡된 스크랩을 중량의 누름판으로 눌러서 평탄화시킴으로써 흡입발판이 스크랩의 상면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한 스크랩(Scrap)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냉연공정중 소둔산세라인과 광휘소둔라인 입구측에서는 소재코일의 용접연결작업전에 소재코일중 전공정에서 미압연된 부분을 절단한후 스크랩처리를 하게 된다.
이때, 절단된 스크랩은 패스라인에 의해 이송된 후, 다시 스크랩이송장치에 의해 스크랩파렛트로 이송되어 재처리된다.
그리고, 종래의 스크랩이송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스라인(53)에 의해 스크랩(54)이 이송되어 오면 모터(10)를 작동시켜 와이어로프(14)를 풀게 된다.
이때, 이동프레임(42)은 수직레일(13)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흡입발판(25)은 패스라인(53)상의 스크랩(54) 상면에 안착되고, 다시 에어흡입기(38)를 작동시키면 흡입발판(25)에 진공이 형성되면서 스크랩의 상면이 압착된다.
여기서, 흡입발판(25)에 스크랩(54)이 압착되면 다시 모터(10)를 작동시켜 이동프레임(42)을 상승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스크랩이 들리게 되면 주행모터(3)를 작동시켜 몸체(12)를 후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흡입발판(25)에 압착된 스크랩(54)이 스크랩파렛트(45)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다시 모터(10)를 작동시켜 스크랩을 스크랩파렛트에 안착시킨 후, 에어흡입기(38)의 작동을 정지시켜 흡입발판(25)의 압착력을 제거한 다음, 모터(10)를 작동시켜 이동프레임(42)을 상승시킴으로써 스크랩이송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패스라인(53)을 따라 이송되어온 스크랩(54)이 심하게 굴곡진 경우 흡입발판(25)이 정상적으로 스크랩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게 되고, 이로써 흡입발판에 스크랩이 압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다수의 작업자가 패스라인(53)상의 스크랩(54)에 올라가 발로 눌러 굴곡진 스크랩을 펴거나 이 방법도 여의치 않으면 수작업으로 스크랩을스크랩파렛트(45)까지 이송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고안은 패스라인상에 굴곡된 스크랩을 중량의 누름판으로 눌러서 평탄화시킴으로써 흡입발판이 스크랩의 상면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한 스크랩(Scrap)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스크랩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랩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랩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행휠 2: 주행레일 3: 주행모터 4: 감속기 5: 와이어드럼 6: 축 7: 종동스프로킷 8: 구동스프로킷 10: 모터 11: 베어링블록 12: 호이스트몸체 13: 수직레일 14,15: 와이어로프 16: 감김롤 17,18: 스프로킷 19: 감속기 20: 모터 21: 축 23: 수광기 24: 누름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호이스트몸체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패스라인과 스크랩파렛트 사이를 주행하고, 이동프레임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호이스트몸체의 수직레일을 따라 상하이동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의 빨판지지대에 흡입력을 갖는 흡입빨판이 설치되는 스크랩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빨판지지대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전방측에 안내롤이 장착되는 지지베이스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면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베이스의 후방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감김롤이 장착되는 축과; 상기 안내롤에 안내되면서 상기 감김롤에 감기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빨판지지대 사이를 상하강되고, 그 하면에 각각 감지홈이 형성되는 누름판과; 상기 감지홈을 통해 센싱하도록 좌우측빨판지지대에 설치되는 투수광기와; 감지바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각각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감지링를 감지하는 리밋스위치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랩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랩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본 고안에서는 흡입빨판(25)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베이스(15)가 이동프레임(42)의 상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때, 이동프레임(42)의 상면 좌우측에는 지지대(53)가 고정되어 있고, 이 지지대(53)의 상부에 축(21)의 좌우측단이 베어링블록(2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축(21)은 지지베이스(15)의 상부후단측에 베어링블록(22)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으며, 그 중단에 종동스프로킷(17)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프레임(42)의 상면 중앙에 부착되는 모터(20)에는 감속기(19)와 구동스프로킷(18)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고, 이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은 체인(3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축(21)에는 한쌍의 감김롤(16)이 각각 지지베이스(15)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지지베이스(15)의 전방측에는 각각 한쌍의 안내롤(35)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와이어로프(15)는 그 후단이 감김롤(16)에 고정되면서 감김롤에 감기거나 감기롤로부터 풀리게 되고, 그 전단이 누름판(34)의 고리(34)에 줄걸이된다.
여기서, 지지베이스(15)의 상부측을 이동하는 와이어로프(15)에는 감지링(50,51)이 결합되어 있고, 이 감지링(50,51)을 감지하는 리밋스위치(49)가지지베이스(15)의 상면 중앙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5개의 빨판지지대(42-1)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와이어로프(15)에 의해 지지되는 4개의 누름판(24)은 그 하면 중앙에 감지홈(24-1)이 형성되어 있고, 감기롤(16)의 와이어로프(15)가 풀리면서 그 자중으로 스크랩(54)을 평탄작업을 실시할 때 그 감지홈(24-1)이 좌우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이때, 좌우측빨판지지대(42-1)의 중단에 각각 부착되는 투수광기(26,23)는 누름판(24)의 감지홈(24-1)을 통해 센싱을 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패스라인(53)에 의해 스크랩(54)이 이송되어 오면 감지바(33)가 감지센서(32)에 의해 감지되는 홈포지션의 호이스트몸체(12)는 제어기(48)의 스타트조작에 의해 주행레일(2)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이때, 감지바(33)가 감지센서(31)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기(48)에서 모터(3)를 정지시켜 호이스트몸체(12)의 주행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모터(10)를 작동시켜 드럼(5)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드럼에 감겨 있던 와이어로프(14)가 서서히 풀리게 된다.
여기서, 이동프레임(42)은 수직레일(13)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흡입빨판(25)이 패스라인(53)상의 스크랩(54) 상면에 안착되면서 감지바(28)가 감지센서(29)에 의해 감지되면 모터(10)의 동작이 멈추게 된다.
그리고, 흡입빨판(25)이 스크랩(54)의 상면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투광기(26)의 빛이 수광기(23)에 의해 감지되면 에어흡입기(38)를 작동시켜 흡입빨판(25)에 스크랩의 상면을 압착시키게 된다.
그러나, 흡입빨판(25)이 스크랩(54)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스크랩의 굴곡에 의해 투광기(26)의 빛이 수광기(23)에 감지되지 않게 되면 모터(20)를 작동시켜 누름판(24)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하강되는 누름판(24)이 굴곡진 스크랩(54)의 상면을 누르게 되면 와이어로프(15)의 감지링(51)이 리밋스위치(49)에 의해 감지되면서 모터(2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스크랩(54)이 누름판(24)의 자중에 의해 눌리면서 평탄해지면 감지홈(24-1)을 통해 수광기(23)가 투광기(26)의 빛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투광기(26)의 빛이 수광기(23)에 의해 감지되면 에어흡입기(38)를 작동시켜 흡입발판(25)에 스크랩(54)의 상면을 압착시키게 된다.
여기서, 흡입발판(25)에 스크랩(54)이 압착되면 다시 모터(10)를 작동시켜 이동프레임(42)을 상승시키게 되고, 감지바(28)가 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기(48)에서 모터(10)를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모터(3)를 작동시키면 호이스트몸체(12)가 주행레일(2)을 따라 후진되고, 감지바(33)가 감지센서(32)에 감지되면 모터(3)가 정지되면서 호이스트몸체(12)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다시 모터(10)를 작동시켜 이동프레임(42)을 하강시키면 흡입빨판(25)에 압착된 스크랩(54)이 스크랩파렛트(45)의 상부에 안착되고, 감지바(28)가 감지센서(27)에 의해 감지되면 모터(10)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여기서, 에어흡입기(38)의 작동을 정지시켜 흡입빨판(25)의 압착력을 제거하고, 모터(10)를 작동시키면 스크랩(54)을 스크랩파렛트(45)에 안착시킨 상태로 이동프레임(42)이 다시 상승되며, 감지바(28)가 감지센서(52)에 감지되면 모터(10)의 구동이 멈추면서 스크랩이송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본 고안은 패스라인상에 굴곡된 스크랩을 중량의 누름판으로 눌러서 평탄화시킴으로써 흡입발판이 스크랩의 상면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하고, 이로부터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호이스트몸체(12)가 모터(3)의 구동에 의해 레일(2)을 따라 패스라인(53)과 스크랩파렛트(45) 사이를 주행하고, 이동프레임(42)이 모터(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호이스트몸체(12)의 수직레일(13)을 따라 상하이동되며, 상기 이동프레임(42)의 빨판지지대(42-1)에 흡입력을 갖는 흡입빨판(25)이 설치되는 스크랩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빨판지지대(42-1)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42)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전방측에 안내롤(35)이 장착되는 지지베이스(47)와;
    상기 이동프레임(42)의 상부에 지지대(53)에 의해 지지되면서 모터(20)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베이스(47)의 후방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감김롤(16)이 장착되는 축(21)과;
    상기 안내롤(35)에 안내되면서 상기 감김롤(16)에 감기는 와이어로프(15)에 의해 빨판지지대(42-1) 사이를 상하강되고, 그 하면에 각각 감지홈(24-1)이 형성되는 누름판(24)과;
    상기 감지홈(24-1)을 통해 센싱하도록 좌우측빨판지지대(42-1)에 설치되는 투수광기(26,23)와;
    감지바(28,33)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0,29,52,27,31,32)의 감지신호에 따라 각각 상기 모터(10,3)를 제어하고, 상기 와이어로프(15)의 감지링(50,51)를 감지하는 리밋스위치(49)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20)를 제어하는 제어기(4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이송장치.
KR2019980025871U 1998-12-21 1998-12-21 스크랩 이송장치 KR200289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871U KR200289935Y1 (ko) 1998-12-21 1998-12-21 스크랩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871U KR200289935Y1 (ko) 1998-12-21 1998-12-21 스크랩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808U KR20000012808U (ko) 2000-07-15
KR200289935Y1 true KR200289935Y1 (ko) 2002-12-26

Family

ID=6971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871U KR200289935Y1 (ko) 1998-12-21 1998-12-21 스크랩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9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647B1 (ko) 2016-09-09 2017-04-03 포스마텍 주식회사 평형유지 스크랩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647B1 (ko) 2016-09-09 2017-04-03 포스마텍 주식회사 평형유지 스크랩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808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9935Y1 (ko) 스크랩 이송장치
CN210995799U (zh) 用于带钢检查站的带钢翻转台及带钢翻转装置
JPH0523741A (ja) コイル材供給装置
CN210100770U (zh) 一种钢圈缠绕机构以及钢圈缠绕装置
CN211191412U (zh) 一种带钢离线检查站
KR20010048999A (ko) 스트립의 표면결함 검출장치
CN112247011A (zh) 一种用于新能源车牌制造的流水线
KR101277580B1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8465071U (zh) 一种压延不锈钢带的收卷下卷一体机
KR20030034769A (ko)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구간내 피딩테이블의스트립 유도장치
JP3451511B2 (ja) 圧延機の案内装置
JPS6272431A (ja) テンシヨンレベラ
KR200181442Y1 (ko) 슬리브의 세척 및 공급장치
KR100478724B1 (ko) 수직 루퍼의 판쏠림 교정장치
CN217858040U (zh) 一种多功能液压翻钢机
CN217650507U (zh) 地膜自动收换卷装置
CN117023227B (zh) 一种钢带表面酸洗设备的送料装置以及送料方法
KR20030010914A (ko) 스트립의 절단 미압연부 권취 제거장치
KR100352616B1 (ko) 철판의 절단면 가공장치
KR19990012439U (ko) 스크랩 볼러의 스크랩 권취 및 취출장치
JPH089095Y2 (ja) 温室用ビニ−ル布の巻取装置
KR100770197B1 (ko)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결함 발생 방지장치
KR100542330B1 (ko) 코일의 방향전환 및 스트립의 통판이 용이한 정정설비
KR101125813B1 (ko) 런아웃테이블의 불량테일 스트립 절단장치
KR100557310B1 (ko) 타이어의 모노체파 자동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