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978Y1 -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 - Google Patents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978Y1
KR200288978Y1 KR2020020004355U KR20020004355U KR200288978Y1 KR 200288978 Y1 KR200288978 Y1 KR 200288978Y1 KR 2020020004355 U KR2020020004355 U KR 2020020004355U KR 20020004355 U KR20020004355 U KR 20020004355U KR 200288978 Y1 KR200288978 Y1 KR 200288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eat transfer
sublimation
steel sheet
thermal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택
Original Assignee
최한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한택 filed Critical 최한택
Priority to KR2020020004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9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978Y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에 관한 것으로, 이 칼라프린트 강판(1)은 비화성처리로 제조된 냉연강판, 알루미늄판, 도금처리된 소지강판 및, 도장된 다수의 수지층 등에서 선택되어 그 표면과 배면을 피사면(7)으로 하는 PCM 강판(2)과, 이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각각 베이스층(8)과 잉크층(9) 및 이형층(10)으로 이루어진 승화열전사지가 승화열전사되고, 상기 승화열전사에 의해 베이스층(8) 및 잉크층(9)이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흡수됨으로써 무늬칼라를 나타낼 수 있도록 된 승화열전사층(4) 및, 이 승화열전사층(4)에 각각 접착층(11)과 탑 클리어층(12) 및 이형층(10)으로 이루어진 탑 클리어 열전사지(5)가 열전사되고, 상기 열전사에 의해 접착층(11)과 탑 클리어층(12) 및 이형층(10)이 상기 승화열전사층(4)에 도포되어 도막을 형성함으로써 승화열전사층(4)의 무늬칼라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탑 클리어 도막층(6)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PCM 강판의 표면과 배면에 승화열전사지와 탑 클리어 열전사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무늬칼라를 빠르게 전사시킴으로써 고품질의 칼라프린트 강판을 생산할 수 있고, PCM 강판의 피사면에 직접 승화열전사되어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A sublimation heating-transfer color print steel plate}
본 고안은 PCM 강판 표면에 승화열전사지를 이용하여 칼라프린트 할 수 있도록 된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화성 처리로 제조된 냉연강판, 알루미늄판, 도금된 소지강판 및, 도장된 다수의 수지층 등과 같은 PCM 강판의 표면과 배면에 승화열전사지와 탑 클리어 열전사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무늬칼라를 빠르게 전사함으로써 고품질의 PCM 강판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M 강판에 적용되는 종래의 전사방법은 바탕이 되는 강판 표면에 프라이머 도장 및 건조를 한 후,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접착코팅 제조한 핫 스템핑 열전사 필름을 가열된 탄성고무 롤러로 회전 및 압착함으로써 전사용 프라이머 도장의 표면에만 접착전사시키는 것으로, 상기 PCM 강판의 경우 보통 상기 전사지가 열반응에 의해 피사면에서 접착되기 때문에 열전사 프린트 강판이라고도 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전사지는 접착제를 통해 지정된 피사면에 접착되기 때문에 전사지가 접착되는 피사면을 정밀하게 가공하여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피사면에 접착용 프라이머 도장 및 건조과정을 수행하고, 그 다음으로 상기 전사지를 접착층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대략 140-24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함과 더불어 압축함으로써 전사지층을 PCM 도장 강판의 표면에 형성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PCM 강판에 무늬칼라를 전사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전사용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과정 및 건조하는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고, 이에 따라 생산라인이 대형화됨으로써 소량 다품종의 무늬칼라 제품을 생산하기 어려울 뿐만아니라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피사면이 입체형상을 이루는 복잡한 물품인 경우 상기 전사지가 프라이머 도장층에 정확히 부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시트의 수축으로 무늬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물품에 전사부착이 않되는 표면도 발생됨으로써 다량의 불량품이 생산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사용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과정 및 건조하는 과정이 여러단계를 거치면서 복잡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이 과정을 통해 다량의 오염물질이 배출됨으로써 수질오염 및 배기오염을 유발하게 되어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PCM 강판의 무늬칼라 도장공정을 개선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PCM 강판에 보다 향상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비화성처리로 제조된 냉연강판, 알루미늄판, 도금처리된 소지강판 및, 도장된 다수의 수지층 등의 PCM 강판 표면 및 배면에 베이스용 승화열전사지를 부착하고, 상기 PCM 강판에 부착된 베이스용 승화열전사지를 승화열전사기로 140-250℃ 온도에서 가압함으로써 베이스용 승화열전사지가 PCM 강판의 표면 및 배면에 1차적으로 승화열전사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용 승화열전사지를 이루는 시트를 PCM 강판의 표면 및 배면으로부터 박리시키도록 한 1차 표면 및 배면 베이스 승화열전사 단계;와, 상기 베이스용 승화열전사지가 승화열전사된 PCM 강판의 표면 및 배면에 무늬칼라용 승화열전사지를 부착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승화열전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무늬칼라용 승화열전사지를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PCM 강판의 표면 및 배면에 2차적으로 승화열전사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무늬칼라용 승화열전사지를 이루는 시트를 PCM 강판의 표면 및 배면으로부터 박리시키도록 한 2차 표면 및 배면무늬 칼라 승화열전사 단계; 및, 상기의 과정을 거치면서 PCM 강판의 표면 및 배면에 형성된 승화열전사층에 각종 수지와 충전제 및, 경화제의 첨가로 이루어진 투명의 탑 클리어 열전사지를 가열 및 가압하여 열전사함으로써 PCM 강판의 표면 및 배면에 탑 클리어 도막층이 형성되도록 한 3차 표면 및 배면 탑 클리어 도막층 열전사 단계;를 거치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의 단계들을 거치면서 제조되는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의 경우 그 표면과 배면에 각각 베이스층과 이형층으로 이루어진 승화열전사층이 형성되고, 상기 승화열전사층의 표면 위에 각각 탑 클리어층을 중심으로하는 투명의 탑 클리어 도막층이 형성됨으로써 PCM 강판의 표면 및 배면에 무늬칼라가 인쇄됨과 더불어 이를 보호하는 투명의 보호막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PCM 강판의 표면과 배면에 승화열전사지와 탑 클리어 열전사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무늬칼라를 빠르게 전사시킴으로써 고품질의 칼라프린트 강판을 생산할 수 있고, PCM 강판의 무늬칼라 도장공정을 개선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PCM 강판에 보다 향상된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칼라프린트 강판의 생산공정이 간략화됨으로써 그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더불어 무공해형의 승화열전사지와 탑 클리어 열전사지를 사용함으로써 칼라프린트 강판의 생산시 발생되는 수질오염이나 대기오염 등과 같은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의 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칼라프린트 강판에 전사되는 탑 클리어 열전사지의 구성을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칼라프린트 강판에 전사되는 탑 클리어 열전사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칼라프린트 강판 2 : PCM 강판
3 : 시트 4 : 승화열전사층
5 : 탑 클리어 열전사지 6 : 탑 클리어 도막층
7 : 피사면 8 : 베이스층
9 : 잉크층 10 : 이형층
11 : 접착층 12 : 탑 클리어층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의 구조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칼라프린트 강판에 전사되는 탑 클리어 열전사지의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칼라프린트 강판에 전사되는 탑 클리어 열전사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을 설명하면,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승화열전사지와 탑 클리어 열전사지(5)가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PCM 강판(2)에 각종 무늬를 인쇄할 수 있도록 된 칼라프린트 강판(1)이 구비되되, 상기 칼라프린트 강판(1)은 비화성처리로 제조된 냉연강판, 알루미늄판, 도금처리된 소지강판 및, 도장된 다수의 수지층 등에서 선택되어 그 표면과 배면을 피사면(7)으로 하는 PCM 강판(2)과, 이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각각 베이스층(8)과 잉크층(9) 및 이형층(10)으로 이루어진 승화열전사지가 승화열전사되고, 상기 승화열전사에 의해 베이스층(8) 및 잉크층(9)이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흡수됨으로써 무늬칼라를 나타낼 수 있도록 된 승화열전사층(4) 및, 이 승화열전사층(4)에 각각 접착층(11)과 탑 클리어층(12) 및 이형층(10)으로 이루어진 탑 클리어 열전사지(5)가 열전사되고, 상기 열전사에 의해 접착층(11)과 탑 클리어층(12) 및 이형층(10)이 상기 승화열전사층(4)에 도포되어 도막을 형성함으로써 승화열전사층(4)의 무늬칼라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탑 클리어 도막층(6)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1)의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화성처리로 제조된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베이스용 승화열전사지를 부착하고, 상기 PCM 강판(2)에 부착된 베이스용 승화열전사지를 승화열전사기로 140-250℃ 온도에서 가압함으로써 베이스용 승화열전사지가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1차적으로 승화열전사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용 승화열전사지를 이루는 시트(3)를 박리시키도록 한 1차 표면 및 배면 베이스 승화열전사 단계;와, 상기 베이스용 승화열전사지가 전사된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무늬칼라용 승화열전사지를 부착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무늬칼라용 승화열전사지를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2차적으로 승화열전사되며, 상기 무늬칼라용 승화열전사지를 이루는 시트(3)를 박리시키도록 한 2차 표면 및 배면무늬 칼라 승화열전사 단계; 및, 상기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형성된 승화열전사층(4)에 각종 수지와 충전제 및, 경화제의 첨가로 이루어진 투명의 탑 클리어 열전사지(5)를 가열 및 가압하여 열전사함으로써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탑 클리어 도막층(6)이 형성되도록 한 3차 표면 및 배면 탑 클리어 도막층 열전사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칼라프린트 강판(1)에 승화열전사되는 승화열전사지의 구조는 상기 승화열전사층(4)에 부착되어 승화열전사층(4)을 보호할 수 있는 시트(3)와, 이 시트(3)면에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 왁스, 계면활성제, 디클로로프로판 등이 혼합되어 일정 두께로 도포됨으로써 승화열전사 후 시트(3)의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이형층(10) 및, 이 이형층(10)에 셀룰로이드 아크릴 수지와 첨가제 및 승화염료를 교반하여 일정 두께로 도포됨으로써 다양한 무늬가 PCM 강판(2)의 피사면(7)에 나타날 수 있도록 된 잉크층(9)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승화열전사지가 승화열전사를 통해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승화열전사됨으로써 피사면(7)에 무늬칼라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승화열전사를 통해 형성된 잉크층(9)은 강판 뿐만아니라 다양한 식품용 패키지디자인, 가구용 목무늬, 건축용 대리석, 텍스타일 디자인, 문구 디자인, 바닥재 디자인 등 그라비아 인쇄용 동판으로 원하는 칼라를 인쇄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화열전사층(4)에 도포되어 탑 클리어 도막층(6)을 이루도록 된 탑 클리어 열전사지(5)의 구조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클리어 열전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탑 클리어 도막층(6)에 부착되어 탑 클리어 도막층(6)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시트(3)와, 이 시트(3)면에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 왁스, 계면활성제, 디클로로프로판 등이 혼합되어 일정 두께로 도포됨으로써 전사 후 시트(3)의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이형층(10)과, 이 이형층(10)에 폴리에스틸, 우레탄, 아크릴, 폴리에스터, 염화비닐 등의 수지와 첨가제 및 경화제를교반하여 일정 두께로 도포됨으로써 승화열전사된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투명의 탑 클리어층(12) 및, 이 탑 클리어층(12)에 형성되어 승화열전사된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도포됨과 더불어 핫멜트 접착제, 중염제, 촉매제, 첨가제, 디클로로 프로판 및, 실리카 등을 혼합하여 코팅하고, 숙성 및 건조되면서 접착력을 갖도록 된 접착층(11)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승화열전사지와 탑 클리어 열전사지(5)가 순차적으로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전사됨으로써 원하는 무늬를 PCM 강판(2)의 입체면이나 평면, 가장자리면에 견고한 상태로 인쇄하거나 모자이크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PCM 강판(2)에 투명의 탑 클리어 도막층(6)이 형성됨으로써 제품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표면처리 강판 및 PCM 강판(2)의 피사면(7)에 접착을 위한 각종 수지도장, 가열 및 건조 프라이머 도장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각종 수지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칼라프린트 강판(1)의 경우 PCM 강판(2) 제조라인이나 혹은 PCM 강판(2) 제조라인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그 제조가 가능한 바, PCM 코일강판 및 일반 코일강판을 제단한 강판의 종류 중 소지강판으로 분류되는 냉연강판과 스텐인레스 강판, 알루미늄판 등이 비화성처리된 상태에서 강판표면에 직접 승화열전사가 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소지강판에 화성처리로 인산염 또는 크롬산염이 처리된 상태에서 소지강판의 표면에 승화열전사가 가능하며, 상기 소지강판에 수지 도장처리된 도막 표면에도 상기 승화열전사지를 이용하여 승화열전사함으로써 칼라프린트 강판(1)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에 의하면, PCM 강판의 표면과 배면에 승화열전사지와 탑 클리어 열전사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무늬칼라를 빠르게 전사시킴으로써 고품질의 칼라프린트 강판을 생산할 수 있고, PCM 강판의 무늬칼라 도장공정을 개선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PCM 강판에 보다 향상된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칼라프린트 강판의 생산공정이 간략화됨으로써 그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더불어 무공해형의 승화열전사지와 탑 클리어 열전사지를 사용함으로써 칼라프린트 강판의 생산시 발생되는 수질오염이나 대기오염 등과 같은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비화성처리로 제조된 냉연강판, 알루미늄판, 도금처리된 소지강판 및, 도장된 다수의 수지층 등에서 선택되어 그 표면과 배면을 피사면(7)으로 하는 PCM 강판(2);과
    상기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승화열전사지가 승화열전사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승화열전사에 의해 베이스층(8) 및 잉크층(9)이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흡수됨으로써 무늬칼라를 나타낼 수 있도록 된 승화열전사층(4); 및
    상기 승화열전사층(4) 표면에 탑 클리어 열전사지(5)가 열전사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열전사에 의해 접착층(11)과 탑 클리어층(12) 및 이형층(10)이 상기 승화열전사층(4)에 도포되어 도막을 형성함으로써 승화열전사층(4)의 무늬칼라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탑 클리어 도막층(6);으로 이루어진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클리어 열전사지(5)가 탑 클리어 도막층(6)에 부착되어 탑 클리어 도막층(6)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시트(3)와, 이 시트(3)면에 일정 두께로 도포됨으로써 전사 후 시트(3)의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이형층(10)과, 이 이형층(10)에 일정 두께로 도포됨으로써 승화열전사된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투명의 탑 클리어층(12) 및, 이 탑 클리어층(12)에 형성되어 승화열전사된 PCM 강판(2)의 표면 및 배면에 도포됨과 더불어 숙성 및 건조되면서 접착력을 갖도록 된 접착층(1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
KR2020020004355U 2002-02-09 2002-02-09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 KR200288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355U KR200288978Y1 (ko) 2002-02-09 2002-02-09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355U KR200288978Y1 (ko) 2002-02-09 2002-02-09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741A Division KR100482755B1 (ko) 2002-02-09 2002-02-09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978Y1 true KR200288978Y1 (ko) 2002-09-13

Family

ID=7307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355U KR200288978Y1 (ko) 2002-02-09 2002-02-09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9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1863B (zh) 一种玻璃卡纸的生产方法
KR101393766B1 (ko) 목재 판넬의 인쇄코팅방법
KR200288978Y1 (ko)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
KR100482755B1 (ko)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강판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JP3075057B2 (ja) 被加飾物のホットスタンピング印刷方法およびホットスタンピング印刷が施された被加飾物
JPH0796699A (ja) 無機系化粧板の製造方法
JPS6059876B2 (ja) 凹凸を有する基材の化粧方法
KR100482764B1 (ko)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mdf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100482759B1 (ko) Pcm 강판용 승화열전사지 제조방법 및 그 물품
JPH071661Y2 (ja) マスキングシートを併設した転写マーク
KR100269772B1 (ko) 다양한 문양의 요철면용 전사필름 및 그의제조방법
JPH05270199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KR200294655Y1 (ko) 승화열전사 칼라프린트 mdf
KR20040102783A (ko) 건식 접착되는 접착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접착방법
JPS5940775B2 (ja) 装飾ガラスの製造方法
KR200276289Y1 (ko) Pcm 강판용 승화열전사지
JPH0239395B2 (ko)
JP2816194B2 (ja) 転写シートの製造法
JP3194408B2 (ja) 転写シート
CN100363191C (zh) 用塑料专用转印膜对实木热转印装饰的方法
KR100269773B1 (ko) 열팽창 및 흡착을 이용한 다양한 문양의 전사방법
JPH0114479Y2 (ko)
KR100259123B1 (ko) 핫스탬핑포일
KR100259202B1 (ko) 핫스탬핑포일
JPH0719838Y2 (ja) 発泡ポリスチレン用感熱転写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