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893Y1 - 화분용 식물 지지대 - Google Patents

화분용 식물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893Y1
KR200288893Y1 KR2020020018132U KR20020018132U KR200288893Y1 KR 200288893 Y1 KR200288893 Y1 KR 200288893Y1 KR 2020020018132 U KR2020020018132 U KR 2020020018132U KR 20020018132 U KR20020018132 U KR 20020018132U KR 200288893 Y1 KR200288893 Y1 KR 200288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leton
support
plant
potted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이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호 filed Critical 이병호
Priority to KR2020020018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8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893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화분에 재배하는 식물을 지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한 화분용 식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이 화분용 식물 지지대는 아치형 뼈대와, 상기 아치형 뼈대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곡선을 이루면서 내려오는 제 1뼈대 및 제 2뼈대와, 상기 제 1, 2뼈대에 각각 수직으로 곡면을 따라 교차하는 제 3뼈대 및 제 4뼈대와, 상기 아치형 뼈대를 상부에서 고정하는 죔틀과, 상기 아치형 뼈대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고리와, 상기 고리의 상부로 상기 아치형 뼈대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화분용 식물 지지대는 가볍고 성형이 용이하며 화분에 탈착 가능하여 손쉽게 식물을 지지할 수 있고, 손잡이 등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화분용 식물 지지대 {A prop for plant of flowerpot}
본 고안은 화분에 재배하는 식물을 지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한 화분용 식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좁은 공간과 인공적인 환경에서 식물을 기를 수 있게 한 것으로, 요즈음과 같이 도시화 된 주거환경에서 자연을 느끼기 위해 또는 정서의순화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 화분에 기르는 식물은 화분의 상부 공간에서 자유롭게 자라고 있으나, 덩굴 식물의 경우에는 화분의 적정 상부 공간을 벗어나 덩굴이 뻗어나가면서 자라게 되므로 지지대를 세워줄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덩굴식물을 위한 화분들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화분의 모양이 이미 성형된 것으로, 덩굴을 위한 지지대가 화분 성형 시 일체로 제작되어 있어, 식물이 심어져 있는 상태에서 화분의 모양을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며, 지지대의 탈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에 덩굴 식물 등을 기르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지대를 세워줘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나무 등으로 지지대를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 지지대의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지지대에 굴곡을 주기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의 화분에 덩굴 식물을 기르기 위해서는 지지대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 성형이 쉽고, 통상의 화분에 탈착이 가능한 지지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의 화분에 탈착 가능하도록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대를 형성하여 편리하게 덩굴 식물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분용 식물 지지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적용한 화분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아치형 뼈대 12 : 제 1뼈대
13 : 제 2뼈대 14 : 제 3뼈대
15 : 제 4뼈대 21 : 돌기
22 : 결합구 30 : 고리
31 : 죔틀 40 : 화분
50 : 식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분용 식물 지지대는,
아치형 뼈대와, 상기 아치형 뼈대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곡선을 이루면서 내려오는 제 1뼈대 및 제 2뼈대와, 상기 제 1, 2뼈대에 각각 수직으로 곡면을 따라 교차하는 제 3뼈대 및 제 4뼈대와, 상기 아치형 뼈대의 중앙 상부를 고정하는 죔틀과, 상기 아치형 뼈대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고리와, 상기 고리의 상부로 상기 아치형 뼈대의 양측에 돌기와 결합구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분용 식물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적용한 화분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화분용 식물 지지대는 서로 대응하는 반 돔형 뼈대 구조물(10,10')들이 상호 맞닿아 결합되어 돔형을 이루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구조물(10,10')은 반 돔형을 이루는 것으로, 서로 같은 모양을 이루어 대응하고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한 개의 구조물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조물(10)은 아치형 뼈대(11)를 형성하고, 상기 아치형 뼈대(11)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곡선을 이루면서 내려오는 제 1뼈대(12)와 제 2뼈대(13)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2뼈대(12,13)에 수직으로 곡면을 따라 교차하는 제 3뼈대(14)와 제 4뼈대(15)를 형성하여 반 돔형 구조물(10)을 안정적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아치형 뼈대(11)의 양측 하부에는 화분에 걸릴 수 있도록고리(30)를 형성하고, 상기 아치형 뼈대(11)와 상기 제 3, 4뼈대(14,15)가 결합된 지점에는 돌기(21)와 결합구(22)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돌기(21)와 결합구(22)를 각각 구성하되, 상기 아치형 뼈대(11)의 한쪽 기둥에는 돌기(21)를 다른 쪽 기둥에는 결합구(22)를 형성하고, 대응하는 반 돔형 구조물(10) 쪽에는 반대로 형성하여 요철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반 돔형 뼈대 구조물(10)에서 지면을 향하는 뼈대(11,12,13)들은 모두 하부를 뾰족하게 성형하여 화분(40)의 흙에 박히도록 하고, 상기 고리(30)를 상기 화분(40) 둘레에 결합하여 고정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반 돔형 뼈대 구조물(10,10')들이 맞닿는 상부에 죔틀(31)을 끼워 상부가 벌어지지 않게 고정한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화분에 본 고안에 의한 화분용 식물 지지대를 설치한 모습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화분용 식물 지지대는 종래의 화분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식물이 있는 상태에서도 설치할 수 있다.
반 돔형 뼈대 구조물(10,10')이 각각 분해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한 개의 구조물(10)을 화분(40) 흙에 박아 넣어 고정하고, 상기 구조물(10)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30)를 상기 화분(40)의 둘레에 결합한다.
그리고, 대응하는 나머지 반 돔형 구조물(10')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하고, 상기 각각의 반 돔형 구조물(10,10')에 형성된 돌기(21)와 결합구(22)를 상호 맞대어 요철 결합한다.
위와 같은 반 돔형 구조물(10,10')은 상호 결합되어 돔형을 이루고 있으며, 화분(40)의 식물(50) 주위로 설치되어 식물(50)이 어느 정도 자란 상태에서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10,10')은 화분(40)에 탈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므로, 화분의 흙을 옮기는 작업등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크기가 비슷한 화분이라면 다른 화분에 설치도 가능하고, 재활용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조물(10,10')은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어 가볍고 탄성이 있으므로 설치 및 탈착이 수월하고, 제 모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화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화분을 운반할 때 손잡이 기능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 가능하고 탈착 가능한 돔형 뼈대 구조물로 식물 지지대를 구성함으로써, 손쉽게 식물을 지지할 수 있고, 재활용도 가능하며, 화분을 운반할 때 손잡이 기능도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화분용 식물 지지대는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어 가볍고 탄성이 있으므로 화분에 설치 및 탈착이 수월하고, 제 모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화분용 식물 지지대에 있어서,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응하여 결합되는 메인뼈대(11);
    상기 메인뼈대(11)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곡선을 이루면서 수직 형성된 제 1, 제 2 뼈대(12,13):
    상기 제1, 제2 보조뼈대(12,13)를 가로질러 수평으로 형성된 제 3, 제 4뼈대(14,15)를 포함하는 화분용 식물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뼈대(11)와 상기 제 3, 4뼈대(14,15)가 결합되는 지점에 돌기(21)와 결합구(22)를 형성하되, 상기 메인뼈대(11)의 한쪽 기둥에는 돌기(21)를 다른 쪽 기둥에는 결합구(22)를 형성하여 요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식물 지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뼈대(11)의 양측 기둥 하부에 고리(30)를 형성하여 화분(40)의 둘레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식물 지지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뼈대(11)를 상부에서 죄어 고정하는 죔틀(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식물 지지대
KR2020020018132U 2002-06-14 2002-06-14 화분용 식물 지지대 KR200288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132U KR200288893Y1 (ko) 2002-06-14 2002-06-14 화분용 식물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132U KR200288893Y1 (ko) 2002-06-14 2002-06-14 화분용 식물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893Y1 true KR200288893Y1 (ko) 2002-09-11

Family

ID=7308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132U KR200288893Y1 (ko) 2002-06-14 2002-06-14 화분용 식물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8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41415A1 (en) Vessel for Planting Plants or Flowers, and Its Planar Development
KR200288893Y1 (ko) 화분용 식물 지지대
KR101201355B1 (ko) 조경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경용 화분 조립체
JP2007244219A (ja) 鉢および植物が植えられた鉢の製造方法
KR102157856B1 (ko) 조립식 포트
CN206866152U (zh) 一种园林用组合式花盆
JP3320689B2 (ja) 組立式植木鉢
JP2006136312A (ja) 組立解体型植木鉢
KR102182296B1 (ko) 조립식 온실 하우스
WO2001080624A1 (en) Flowerpot
JP2001008552A (ja) 植木鉢
KR101228037B1 (ko) 조립식 화분 커버
KR200344768Y1 (ko) 이동용 바퀴를 구비한 조경용 수목 화분
KR200183627Y1 (ko) 도로 장식용 화분
KR200253387Y1 (ko) 수박 받침대
KR970064359A (ko) 잔디 재배 방법
JP2000253750A (ja) 園芸用鉢
JP2594967Y2 (ja) 植木鉢付きブロック垣根
KR200182294Y1 (ko) 조립식 실내,외 조경화분
JP3002608U (ja) 鉢植え用支柱固定具及び支柱の支持構造
JP3625453B2 (ja) 長芋等の育成容器
KR20000062091A (ko) 조립식 농작물 보호용 구축물
JP3096251U (ja) 植物支持用のアーチ状支柱具
KR200313500Y1 (ko) 화초용 지주
JPH0646286Y2 (ja) 観賞用組込み植木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