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690Y1 - 건조로 - Google Patents

건조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690Y1
KR200288690Y1 KR2020020018429U KR20020018429U KR200288690Y1 KR 200288690 Y1 KR200288690 Y1 KR 200288690Y1 KR 2020020018429 U KR2020020018429 U KR 2020020018429U KR 20020018429 U KR20020018429 U KR 20020018429U KR 200288690 Y1 KR200288690 Y1 KR 200288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rying
transfer screw
sludg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우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산
이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산, 이주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산
Priority to KR2020020018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690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Sludg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조로에 관한 것으로, 포화상태의 수증기가 포집되면 외부로 방출시키는 덕트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슬러지가 투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그 타단의 하부에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릴레이식으로 다단 적층된 복수개의 건조실린더와; 상기 건조실린더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와; 상기 복수개의 건조실린더를 감싸며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받아 내부의 건조실린더를 가열하는 케이스로 구성된 건조로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루가 내장된 복수개의 건조실린더 일측에 설치되어 고온의 공기를 이송스크루 내부로 공급시킴과 동시에 건조실린더의 덕트에 포집된 수증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제1 지지체와; 상기 제1 지지체가 설치되는 건조실린더의 타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로 유입된 고온의 공기가 건조실린더의 덕트로 이동되게 하는 제2 지지체와;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이송스크루의 회전축을 지지하면서 이송스크루의 드럼과 지지체와의 기밀한 결합이 되도록 하는 실카바로 구성되어서 폐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건조실린더에 의해 슬러지가 가열되고, 고온의 공기가 공급되는 이송스크루에 의해서도 슬러지가 가열되므로 건조효율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건조실린더의 설치 댓수를 줄임과 동시에 설치비용이 적게드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조로{kiln}
본 고안은 소각처리장치에 설치되는 건조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러지가 이송되는 건조실린더의 외측과 건조실린더의 내측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루의 내부에 고온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건조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로는 슬러지 소각처리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분이 다량 함유된 슬러지에 열을 가하여 수분을 최대한 제거시키게 됨에 따라 소각로에서보다 빠르게 소각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게 되므로 건조로의 성능에 의해서 소각처리장치의 에너지 소모량이 결정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따라서, 건조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건조로가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하여 2002-21824호로 특허출원되었으며,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부 일측에 슬러지가 투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그 타단의 하부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릴레이식으로 다단 적층된 복수개의 건조실린더와; 상기 건조실린더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와; 상기 복수개의 건조실린더를 감싸며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받아 건조실린더를 가열시키는 케이스로 구성된 건조로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린더는 포화상태의 수증기가 포집되는 공간을 갖는 덕트가 건조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고, 덕트의 일단에 열교환기로부터 얻은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이 연결되며, 그 타단에 포화상태의 수증기를 배출하는 수증기 회수관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상부 일측에 폐가스가 유입되는 폐가스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 타단에 폐가스가 배출되는 폐가스 배출구가 형성되며, 케이스 내부에 일단이 번갈아 가며 개구된 수직의 격벽을 형성하여 고온의 폐가스가 지그재그로 흐르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다량의 함수율을 갖는 슬러지는 복수개의 건조실린더 내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루에 의해 건조실린더 내벽에 밀착되면서 이송되고, 케이스의 폐가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고온의 폐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건조실린더에 의해 결국 점차적으로 건조된다. 이와 함께 건조실린더의 상부에 발생되는 포화상태의 수증기는 유입관과 수증기 회수관을 갖는 덕트에 의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건조로는 건조실린더가 상하좌우로 복수개 설치되어야 그 건조효율이 좋아지므로 이에 따른 자재가 많이 들어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건조실린더의 이송스크루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으로 고온의 가스가 흐르도록 하여 건조실린더의 외부와 내부에서 슬러지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건조효율이 증가되는 건조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는 포화상태의 수증기가포집되면 외부로 방출시키는 덕트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슬러지가 투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그 타단의 하부에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릴레이식으로 다단 적층된 복수개의 건조실린더와; 상기 건조실린더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와; 상기 복수개의 건조실린더를 감싸며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받아 내부의 건조실린더를 가열하는 케이스로 구성된 건조로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루가 내장된 복수개의 건조실린더 일측에 설치되어 고온의 공기를 이송스크루 내부로 공급시킴과 동시에 건조실린더의 덕트에 포집된 수증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제1 지지체와; 상기 제1 지지체가 설치되는 건조실린더의 타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로 유입된 고온의 공기가 건조실린더의 덕트로 이동되게 하는 제2 지지체와;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이송스크루의 회전축을 지지하면서 이송스크루의 드럼과 지지체와의 기밀한 결합이 되도록 하는 실카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루는 외주면에 나선형의 스크루핀이 형성된 드럼의 내부에 회전축이 위치되어 다수의 지지대에 의해 드럼과 회전축이 일체로 이루어져 드럼과 회전축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부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제1 지지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제2 지지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건조실린더 11 : 덕트 12 : 유입구
13 : 배출구 20 : 이송스크루 21 : 스크루 핀
22 : 드럼 23 : 회전축 24 : 지지대
30 : 케이스 40 : 제1 지지체 41, 51 : 끼움공
42, 53 : 지지체 카바 43, 54 : 관통공 44 : 유입관
45 : 수증기 회수관 50 : 제2 지지체 52 : 흡기공
60 : 실카바 61 : 몸통 62 : 통기공
B : 볼트 H : 하우징 S : 스프로킷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위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부위를 도시한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제1 지지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제2 지지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는 포화상태의 수증기가 포집되면 외부로 방출시키는 덕트(11)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슬러지가 투입되는 유입구(12)가 형성되며, 그 타단의 하부에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13)가 형성되어 릴레이식으로 다단 적층되며, 좌우로 다수 설치되는 복수개의 건조실린더(10)와; 상기 건조실린더(10)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유입구(12)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배출구(13)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와(20); 상기 복수개의 건조실린더(10)를 감싸며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받아 내부의 건조실린더(10)를 가열하는 케이스(30)로 구성된 건조로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루(20)가 내장된 복수개의 건조실린더(10) 일측에 설치되어 고온의 공기를 이송스크루(20) 내부로 공급시킴과 동시에 건조실린더(10)의 덕트(11)에 포집된 수증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제1 지지체(40)와; 상기 제1 지지체(40)가 설치되는 건조실린더(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20)로 유입된 고온의 공기가 건조실린더(10)의 덕트(11)로 이동되게 하는 제2 지지체(50)와; 상기 제1 지지체(40)와 제2 지지체(50)의 외측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이송스크루(20)의 회전축(23)을 지지하면서 이송스크루(20)의 드럼(22)과 지지체(40)(50)와의 기밀한 결합이 되도록 하는 실카바(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루(20)는 회전축(23)의 둘레에 회전축(23)보다 큰 직경을 갖는 통 형상의 드럼(22)이 지지대(24)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는데, 드럼(22)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스크루핀(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4)는 드럼(22)의 내주면과 회전축(23)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지지대(24)의 양단을 용접하여 회전축(23)과 드럼(22)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러한 지지대(24)는 드럼(22)의 양 말단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22)과 회전축(23)의 사이에는 양단으로 개구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루(20)를 감싸는 건조실린더(10)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구조를 생략한다.
한편, 상기 이송스크루(20)가 내장되는 건조실린더(10)의 일측에는 제1 지지체(40)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지지체(4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조실린더(10)가 부착되는 면에 이송스크루(20)의 드럼(22)이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의 끼움공(41)이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공(41)이 형성된 제1 지지체(40)의 타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이 개구된 부위에는 판 형상의 지지체 카바(42)가 탈부착 되게 볼트(B)에 의해 체결되고, 이러한 지지체 카바(42)에는 외측으로부터 실카바(60)가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체 카바(42)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열교환기로부터 고온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유입관(44)이 부착되며, 그 일측에는 지지체 커버를 관통하는 수증기 회수관(45)이 제1 지지체(40) 내측면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회수관은 제1 지지체(40)에 밀착되어 설치된 건조실린더(10)의 덕트(11)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지지체 카바(42)의 관통공(43)에 삽입되는 상기 실카바(6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형의 몸통(6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몸통(61)의 일측에 확장된 직경을 갖는 단턱(63)이 이루어져 있으며, 단턱(63)을 갖는 면에는 베어링(66)이 내장된 베어링(66) 하우징(H)이 볼트(B)에 의해 부착된다. 또한, 실카바(60)는 몸통(61)의 외주면에 다수의 통기공(6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턱(63)의 타측면에는 드럼 삽입공(64)이 형성되고, 드럼 삽입공(64)의 내주면에는 기밀하게 하는 오일시일이 내장된다.
이와 같은 실카바(60)가 지지체 카바(42)의 관통공(43)으로 삽입되어 볼트(B)에 의해 결합되면, 그 선단이 제1 지지체(40)의 끼움공(41)에 끼워지고, 상기 드럼 삽입공(64)에 이송스크루(20)의 드럼(22)이 일부 삽입됨과 동시에 이송스크루(20)의 회전축(23)이 하우징(H)의 베어링(66)에 고정 지지된다.
한편, 상기 제1 지지체(40)가 설치되는 건조실린더(10)의 타측에는 제2 지지체(50)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2 지지체(5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조실린더(10)가 부착되는 면에 이송스크루(20)의 드럼(22)이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의 끼움공(51)이 형성되고, 이 끼움공(51)의 상부에는 건조실린더(10)의 덕트(11)와 연결되는 흡기공(52)이 형성된다.
또한, 끼움공(51)이 형성된 제2 지지체(50)의 타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이 개구된 부위에는 판 형상의 지지체 카바(53)가 탈부착 되게 볼트(B)에 의해 체결되고, 이러한 지지체 카바(53)에는 외측으로부터 실카바(60)가 삽입되도록 관통공(5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지지체 카바(53)의 관통공(54)에 삽입되는 상기 실카바(60)는 상기 제1 지지체(40)에 설치되는 실카바(60)와 동일한 것으로 그 구조를 생략하며, 제2 지지체(50)쪽에 지지되는 회전축(23)에는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스프로킷(S)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건조로의 제1 지지체(40) 및 제2 지지체(50)는 상부와 하부에 볼트공(B')이 형성되어 동일한 구조의 지지체(40)(50)를 여러 층으로 적층시켜 볼트(B)로 체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수분을 갖는 슬러지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슬러지 공급장치에 의하여 케이스(30) 일측 상부에 형성된 호퍼(33)로 공급되면 호퍼(33)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34)를 통하여 슬러지가 일정량씩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슬러지는 호퍼(33) 하부에 설치된 건조실린더(9) 내부로 떨어지고, 건조실린더(9) 내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루(20)에 의해 슬러지가 건조로 내벽에 밀착됨과 동시에 투입된 타측으로 이송된다.
이송되는 슬러지가 건조실린더(9)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3)까지 이송되면 배출구(13)를 통하여 하부로 떨어지고, 상기 건조실린더(9)의 배출구(13)와 연결되는 건조실린더(10)가 상기 건조실린더(9)의 하부에 형성됨에 따라 배출구(13)를 통해 낙하되는 슬러지는 하부의 건조실린더(10) 투입구(12)를 통해 투입되고, 이송스크루(20)에 의해 슬러지는 이송하게 된다. 이송되는 슬러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실린더(1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송된다. 이러한 건조실린더(10)는 여러층으로 적층되어 설치된 것이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슬러지 이송이 릴레이식으로 계속해서 반복된다.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30)의 상부에 형성된 폐가스 유입구(31)를 통해 고온의 폐가스가 유입되고, 유입된 고온의 폐가스는 케이스(30) 내부에 형성된 격벽(35)에 의해 지그재그로 흘러 유입구(12)의 타측에 형성된 폐가스 유출구(32)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고온의 폐가스가 케이스(30) 내부를 이동하면서 건조실린더(10)를 가열하게 되고, 결국에는 가열되는 건조실린더(10)의 내벽에 밀착되어 이송되는 슬러지를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외부로부터 고온의 공기가 송풍기에 의해 유입관(44)으로 강제 공급되고, 유입관(44)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제1 지지체(4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며, 제1 지지체(40)에 설치된 실카바(60)의 통기공(62)을 통하여 이송스크루(20)의 드럼(22) 내부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고온의 공기는 드럼(22)의 내부를 통해 유입되어 흐르면서 드럼(22)을 가열하게 되고, 결국 드럼(2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이송되는 슬러지를 건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흐르는 고온의 공기는 제2 지지체(50)에 설치된 실카바(60)로 유입되고, 실카바(60)의 통기공(62)을 통하여 제2 지지체(50)의 공간으로 이동되며, 제2 지지체(50)의 공간으로 이동된 고온의 공기는 제2 지지체(50)의 흡기공(52)을 통해 건조실린더(10)의 덕트(11)로 흐르게 된다. 덕트(11)로 흘러 들어온 고온의 공기는 덕트(11)를 지나 그 타측의 수증기 회수관(45)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건조실린더(10) 내에서 이송되던 슬러지가 점점 건조됨에 따라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어 덕트(11) 내에 머물게 되는 포화 상태의 수증기는 상기 고온의 공기에 의해 수증기 회수관(45)으로 함께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관의 일측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가 설치되어 상기 고온의 공기가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복되는 과정을 통과하는 슬러지는 제일 하부에 위치된 건조실린더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는 케이스(30)의 내부에 흐르는 고온의 폐가스에 의해 건조실린더(10)가 가열됨과 함께 건조실린더(10)의 내벽에 밀착되어 이송되는 슬러지가 건조되도록 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이송스크루(20)와 이송스크루(20)의 양측 공간과 연결되는 제1 지지체(40) 및 제2 지지체(50)와 실카바(60)에 의해 기존에 건조실린더(10)의 덕트(11)에 흐르는 고온의 공기를 덕트(11)에 흐르기 전에 이송스크루(20)의 내부 공간으로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슬러지는 폐가스에 의해 가열된 건조실린더에 밀착되므로 건조되면서, 고온의 공기에 의해 가열된 드럼에 의해서도 건조되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증대되며, 아울러 드럼을 가열하는 고온의 공기가 건조실린더의 덕트에 포집된 수증기를 외부로 방출시켜 건조효율이 극대화됨에 따라 건조실린더의 설치 댓수를 감소시키고, 설치비용을 줄이게 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포화상태의 수증기가 포집되면 외부로 방출시키는 덕트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슬러지가 투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그 타단의 하부에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릴레이식으로 다단 적층된 복수개의 건조실린더와; 상기 건조실린더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와; 상기 복수개의 건조실린더를 감싸며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받아 내부의 건조실린더를 가열하는 케이스로 구성된 건조로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루가 내장된 복수개의 건조실린더 일측에 설치되어 고온의 공기를 이송스크루 내부로 공급시킴과 동시에 건조실린더의 덕트에 포집된 수증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제1 지지체와;
    상기 제1 지지체가 설치되는 건조실린더의 타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로 유입된 고온의 공기가 건조실린더의 덕트로 이동되게 하는 제2 지지체와;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이송스크루의 회전축을 지지하면서 이송스크루의 드럼과 지지체와의 기밀한 결합이 되도록 하는 실카바를 포함하는 건조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루는 외주면에 나선형의 스크루핀이 형성된 드럼의 내부에 회전축이 위치되어 다수의 지지대에 의해 드럼과 회전축이 일체로이루어져 드럼과 회전축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는 상기 이송스크루의 일측단에 설치되면서 이송스크루의 드럼이 삽입되는 끼움공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끼움공의 상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수증기 회수관이 설치되어 건조실린더의 덕트와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의 공간으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유입관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체는 제1 지지체가 설치되는 이송스크루의 타단에 설치되면서 이송스크루의 드럼이 삽입되는 끼움공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끼움공의 상부에 건조실린더의 덕트와 연결되는 흡기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카바는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삽입 설치되며, 그 선단이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의 끼움공에 끼워지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형의 몸통 외주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이송스크루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및 하우징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로.
KR2020020018429U 2002-06-18 2002-06-18 건조로 KR200288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29U KR200288690Y1 (ko) 2002-06-18 2002-06-18 건조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29U KR200288690Y1 (ko) 2002-06-18 2002-06-18 건조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270A Division KR20030092566A (ko) 2002-05-30 2002-05-30 건조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690Y1 true KR200288690Y1 (ko) 2002-09-16

Family

ID=7312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429U KR200288690Y1 (ko) 2002-06-18 2002-06-18 건조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6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689B1 (ko) 2006-06-22 2008-01-09 김창성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KR100874745B1 (ko) 2007-11-13 2008-12-19 임병진 간접열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다단식 탄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689B1 (ko) 2006-06-22 2008-01-09 김창성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KR100874745B1 (ko) 2007-11-13 2008-12-19 임병진 간접열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다단식 탄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92373A1 (fr) Dispositif de séchage et recyclage à vapeur secondaire multiniveau agitateur de boue de type arbre
JP2005331231A (ja) 乾燥機
US43465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heat in product dehydration system
KR0120836B1 (ko) 유동상 스크류 복합형 건조기
KR200288690Y1 (ko) 건조로
JP4066262B2 (ja) 廃棄物の乾燥熱分解装置
KR20140035236A (ko) 건조 장치 및 그 건조방법
KR20030092566A (ko) 건조로
JP5152668B2 (ja) 乾燥・炭化装置
ES2237169T3 (es) Deshidratador de lodos por tandas.
KR100500388B1 (ko) 폐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CN210051137U (zh) 一种多级粉体干燥处理装置
KR100874745B1 (ko) 간접열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다단식 탄화장치
KR100430073B1 (ko) 오폐수슬러지 건조장치
KR0134689B1 (ko) 내, 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
KR200265980Y1 (ko) 오폐수슬러지 건조장치
KR101989506B1 (ko) 회전식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건조 시스템
US9279614B2 (en) Drying/carboniz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537156B1 (ko) 슬러지 수직이송형 소각처리장치
KR970005014Y1 (ko) 건조기의 건조장치
KR200335340Y1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장치
KR100490051B1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장치
KR200360330Y1 (ko) 폐기물 연속 자동 건조장치
KR200288689Y1 (ko) 건조로
CN210832840U (zh) 一种管束烘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