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689B1 - 내, 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내, 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689B1
KR0134689B1 KR1019950011474A KR19950011474A KR0134689B1 KR 0134689 B1 KR0134689 B1 KR 0134689B1 KR 1019950011474 A KR1019950011474 A KR 1019950011474A KR 19950011474 A KR19950011474 A KR 19950011474A KR 0134689 B1 KR0134689 B1 KR 0134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ying chamber
inner cylinder
cylinder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991A (ko
Inventor
한상배
Original Assignee
김희용
동양물산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용, 동양물산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희용
Priority to KR1019950011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689B1/ko
Publication of KR96004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실의 내, 외통으로 피건조물을 간단히 이송되도록 하여 공간효율을 극대화 하고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건조효율을 가일층 높일수 있도록한 화력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열재로된 건조기본체 내부에 내통과 외통의 이중구조된 건조실(Kiln)를 수식으로 지그재그 또는 직선으로 설치하여 콤팩트(Compact)화시켜 적은 용적으로 다량의 피건조물 건조가 가능하도록하며, 내, 외통의 이중구조로된 건조실의 내통구동에 의해 피건조물이 내통에서 외통으로 간단한 구동방식에 의해 효율적으로 이송되록 하고, 피건조물을 내외통으로 통과시켜 열풍체류시간을 길게하여 열손실을 최소하면서 건조효율을 높이고자함이 그 특징이다.

Description

내·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
도 1도는 본 발명의 내·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를 일부절결하여 내부를 보인 정면도
도 2도는 본 발명의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조기 본체2 : 단열재
3 : 건조물4 : 내통
5 : 외통 6 : 샤프트
7 : 연결봉8,8' : 이송판
10 : 저장호퍼 11,12 : 연결로
13 : 투입스크류14 : 가스배출구
15 : 수증기 배출구 16 : 건조물 배출구
17 : 연소실18 : 버너
19 : 외부공기유입구20 : 열교환기
본 발명은 피건조물을 버너나, 소각폐열의 열풍에 의해 다량 건조시킬수 있도록 한 내·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건조물을 내·외통이로 이송되도록하여 공간 효율을 극대화시킬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건조효율을 높일수 있도록한 내·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내·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는 단일건조상을 가진 건조기로서 1단의 건조드럼만을 구동모터등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태로 설치하되, 피건조물을 이송교반하여 건조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건조실내의 동일한 건조조건 또는 여백조건을 위한 체류시간을 주기위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작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건조는 건조실을 길게 형성하여 실치하므로서 건조실의 노출면적이 커지게 되어 열손실의 과다한 발생으로 건조효율이 낮아 연료소모량이 과다하게되는 비경제적인 결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1개의 건조드럼내에서 동일한 속도로, 피건조물을 이송하면서 건조하여야 하므로 건조조건에 대한 변화가 불가능하고, 건조하는 피건조물의 용량에 비해 건조기 전체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설치공간 확보에 어려움 문제점등이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결점 및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한것으로서 본 발명의 그 목적으론 단열재로된 건조기본체 내부에 내통과 외통의 이중구조로된 건조실(Kiln)를 수직으로 지그재그 또는 직선으로 설치하여 콤팩트(Compact)화시켜 적은 용적으로 다량의 피건조물 건조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 그 특징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으로 이중구조로된 건조실의 내통구동에 의해 피건조물이 내통에서 외통으로 간단한 구동방식에 의해 효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피 건조물을 내, 외통으로 통과시켜 열풍체류시간을 길게하여 열손실을 최소하면서 건조효율을 높이고자함이 그 특징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발명의 내·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를 일부절결하여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제 2도는 본발명의 일측면도이다.
제 1도는 제 2도에서와 같이 단열재(2)는 구획시킨 건조기본체(1)의 내부에 내통(4)과, 외통(5)을 결합한 건조실(3)을 수직으로 다단 설치한다.
이때 상기 건조실(3)은 양측에 유니버셜죠인트를 연결하여 경사지게 설치하여도 되고, 지그재그로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실중 상측의 건조실(3)은 내통(4)과 또 상측의 저장호퍼(10)를 피건조물이 낙하되어 투입시킬수 있도록 연결로(11)를 설치하고 각각의 건조실(3)은 일측에서 외통(5)에서 내통(4)으로 피건조물을 이송시킬수 있도록 연결로(12)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저장호퍼(10)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의 투입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일측에 스프로켓(14)이 고정된 투입스크류(13)을 축설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실(3)의 내부에는 일측에 스프로켓(9)을 고정한 샤프트(6)를 건조실 본체(1)의 양측에 회전되는 상태를 설치하되 상기 샤프트(6)에는 연결봉(7)을 사방으로 고정하여 내통(4)을 회전자재케 고정하고, 내, 외 주연에는 스크류 형식으로 다수개의 이송판(8)(8')을 융착 고정한 상태에서 외통(5)과 조립한 것이다.
한편 상기 건조실본체(1)의 상측 중앙으로 단열재(2)를 관통한 상태의 가스배출구(14)를 형성시키고, 상측의 연결로(11)에는 피건조물의 건조시 발생된 수증기등을 배출할 수 있는 수증기배출구(15)를 형성하며, 최하단 건조실(3)의 외통(5)에는 건조물배출구(16)를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건조실(3)의 하측으로 버너(18)를 갖는 연소실(17)을 형성하여 이연소실(17)의 내부에는 외부공기 유입구(19)를 갖는 상태로 열교환기(20)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 각각의 스프로켓(9)(14)은 체인(21)으로 병렬연결하여 구동모터(22)와 연결한다.
이때 상기 건조실(3) 내부의 내통(4) 회전수를 건조조건에 따라 각기 달리하기 위하여 샤프트(6) 일측에 고정된 스프로켓(9)의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사용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는 콘트롤스위칭부(미도시함)에 의해 건조기를 작동코저 전원을 온 시키면 구동모터(22)가 체인(21)에 의한 동력전달로 병렬연결된 각각의 스프로켓(9)(14)를 회전시켜 건조실(3) 내부의 내통(4)이 고정된 샤프트(6)와 저장호퍼(10) 내부의 투입스크류(13)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건조실 본체(1) 하측의 연소실(17)에 설치된 버너(18)와 열교환기(20)가 작동하여 가열한다.
이와같이 작동되는 상태에서 건조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저장호퍼(10)에 투입되는 피건조물은 회전되는 투입스크류(13)에 의해 연결로(11)를 따라 건조실(3)내부의 내통(4)에 낙하하여 유입된다.
이때 상기 내통(4)은 구동모터(22)의 동력을 체인(21)에 의해 스프로켓(9)을 통해 샤프트(6)를 회전시키고 연결봉(7)에 의해 고정된 내통(4)을 회전하게 되어 내통(4)으로 낙하하여 유입된 피건조물은 내통(4)의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면서 축방향 일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내주연에 부착된 이송판(8)에 의해 회전되어 내통(4)의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면서 축방향 일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통(4)의 축방향 일측 끝단까지 건조되면서 이송된 피건조물은 내통(4)에서 방출되어 외통(5)으로 화살표와 같이 유입되어 내통(4)의 회전에 의해 내통(4)의 외주연에 스크류형식으로 고정된 이송판(8')에 의해 축방향 타측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 반복되면서 이송교반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5)의 끝단까지 교반 되면서 이송된 피건조물은 건조실(3)의 외통(5)과 내통(4)을 연결한 연결로(12)에 의해 단계적으로 내통(4)에 낙하하여 유입되어 상기 건조실(3)의 내, 외통(4)(5)의 이송경로와 동일한 상태로 연속 반복되게 교반하면서 이송하는 것이다.
상기와같이 이송된 피건조물은 최하단 건조실(3)의 외통(5)일측에 설치된 건조물 배출구(16)를 통하여 건조된 상태로 방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피건조물이 건조실(3)의 내통(4)과 외통(5)을 통과하여 교반, 이송되는 과정에서 열원의 공급은 건조실 본체(1)하측에 설치된 버너(18)에 의해 연소실(17)에서 연소된 가스가 열교환기(20)의 관 내부를 통과하여 이 열전도에 의해 건조실(3)의 외통(5)을 데워주고 열전도에 의해 건조실(3) 내부를 통과하는 피건조물을 건조시킨다.
이때 상기 연소가스는 건조실(3)의 외통(5) 사이사이를 지그재그로 거슬러 올라가 가스배출구(14)를 통해 대기중을 방출시킨다. 그리고 건조기본체(1) 하측의 외부공기 유입구(19)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열풍으로 열교환되어 건조기 본체(1) 내부의 최하부에 설치된 건조실(3) 외통(5)의 내부로 유입되어 피건조물의 진행역방향으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내통(4)으로 유입되어 교반이송되는 피건조물과 직접 접촉되어 건조시키는 상태로 수증기 배출구(15)로 방출된다. 이때 상기 건조실(3) 내부에서 열교환기(20)에 의해 교환된 열풍에 의해 피건조물과 직접 접촉하여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증발하는 수분은 외통(5)에서 내통(4)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반복하면서 최상단부의 건조실(3) 내통(4)에 설치된 연결로(11)를 거쳐 수증기 배출구(15)를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건조기 본체 내부의 건조실을 외통 내부의 내·외주연에 스크류형식의 이송판을 부착한 내통을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하므로서 피 건조물을 간단한 구동방식으로 내·외통을 통과시켜 교반 이송하여 공간효율을 극대화한 것이고 건조실을 내·외통으로 이중설치 하므로서 열손실을 극소화 하여 건조효율을 가일층 높일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단열재(2)로 된 건조기 본체(1)의 내부 상측으로 건조실(2)을 다단설치하고, 하단에는 버너(18)를 갖는 연소실(17)의 내부의 외부공기유입구(19)가 형성된 상태로 열교환기(20)를 설치하며, 건조기 본체(1)의 상측에는 투입스크류(13)가 설치된 저장호퍼(10), 내부의 가스를 방출할 수 있는 가스배출구(14), 연소설(3) 내부의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수증기 배출구(15)를 설치하고, 상기 건조실(3)과 투입스크류(13)를 구동모터와 연결하여 피건조물을 회전이송되는 상태로 화력에 의해 건조시킬 수 있도록한 내·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3)를 내통(4)과 외통(5)으로 일정간격 유지되게 이중구조로 설치하되, 상기 내통(4)은 연결봉(7)에 의해 샤프트(6)와 고정하고 내통(4)의 내·외주연에는 스크류 형식의 이송판(8)(8')를 열융착 고정하여서 된것과, 상기 연소실(3)의 최상부 내통(4)의 저장호퍼(10)와 연결로(11)로 연결하고, 각각의 건조실(3)은 일측에서 외통(5)에서 내통(4)으로 피건조물을 이송시킬수 있도록 연결로(12)를 설치한 것과, 최하단 건조실(3)의 외통(5)에는 건조물 배출구(16)를 설치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
KR1019950011474A 1995-05-10 1995-05-10 내, 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 KR0134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474A KR0134689B1 (ko) 1995-05-10 1995-05-10 내, 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474A KR0134689B1 (ko) 1995-05-10 1995-05-10 내, 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991A KR960041991A (ko) 1996-12-19
KR0134689B1 true KR0134689B1 (ko) 1998-06-15

Family

ID=1941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1474A KR0134689B1 (ko) 1995-05-10 1995-05-10 내, 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6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296Y1 (ko) * 2009-08-26 2011-12-13 변강익 동물사체 건조처리장치
KR101154920B1 (ko) * 2010-02-11 2012-06-13 배덕수 건조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577A (ko) * 1999-08-12 2001-03-05 김웅희 완전연소가 가능한 쓰레기 소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296Y1 (ko) * 2009-08-26 2011-12-13 변강익 동물사체 건조처리장치
KR101154920B1 (ko) * 2010-02-11 2012-06-13 배덕수 건조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991A (ko) 199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70548A (zh) 一种污泥搅拌造粒回转干燥装置
WO2008092373A1 (fr) Dispositif de séchage et recyclage à vapeur secondaire multiniveau agitateur de boue de type arbre
KR101124536B1 (ko) 디스크 건조기
CZ2007475A3 (cs) Zarízení k sušení sypkých a kašovitých materiálu a kalu
US43465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heat in product dehydration system
KR0134689B1 (ko) 내, 외통의 이중구조로 된 열풍식 피건조물 건조기
KR0120836B1 (ko) 유동상 스크류 복합형 건조기
KR20090001350A (ko) 파쇄·교반·이송 기능을 가진 스크루, 이 스크루가 장착된스크루건조기 및 다단 스크루건조기 시스템
EP0442955B1 (en) Rotary dryer and associated drying plant
KR100283682B1 (ko) 열풍건조장치
US6061924A (en) Batch sludge dehydrator
CN212581742U (zh) 一种新型双螺旋污泥干化机
KR0134691B1 (ko) 다단 킬른식 직간접 화력건조기
KR101860353B1 (ko) 컴팩트형 분체물 건조장치
CA2386610C (en) Batch sludge dehydrator
JP3196172B2 (ja) スクリュ−撹拌式汚泥乾燥機
KR100500388B1 (ko) 폐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0126760Y1 (ko) 직,간접 열풍 건조기
KR20030038288A (ko) 슬럿지 건조장치
KR200288690Y1 (ko) 건조로
KR970005014Y1 (ko) 건조기의 건조장치
JPH0537194Y2 (ko)
US1994083A (en) Drier
CN219368295U (zh) 螺旋抄板滚筒干燥机
KR102632238B1 (ko)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