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689Y1 - 건조로 - Google Patents

건조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689Y1
KR200288689Y1 KR2020020018428U KR20020018428U KR200288689Y1 KR 200288689 Y1 KR200288689 Y1 KR 200288689Y1 KR 2020020018428 U KR2020020018428 U KR 2020020018428U KR 20020018428 U KR20020018428 U KR 20020018428U KR 200288689 Y1 KR200288689 Y1 KR 200288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rying
inlet
drying cylinder
dry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우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산
Priority to KR2020020018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689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Sludg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각처리장치에 설치되는 건조로에 관한 것으로, 스크루방식의 슬러지 공급장치와, 상기 슬러지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슬러지가 투입되도록 상부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그 타단의 하부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릴레이식으로 다단 적층된 복수개의 건조실린더와; 상기 건조실린더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와; 상기 복수개의 건조실린더를 감싸며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받아 건조실린더를 가열시키는 케이스로 구성된 건조로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린더는 포화상태의 수증기가 포집되는 공간을 갖는 덕트가 건조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고, 덕트의 일단에 열교환기로부터 얻은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이 연결되며, 그 타단에 포화상태의 수증기를 배출하는 수증기 회수관이 설치된 구조에 의해 덕트에 모인 수증기를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수증기가 액체화되어 슬러지에 재흡수 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건조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조로{kiln}
본 고안은 소각처리장치에 설치되는 건조로에 관한 것으로,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면서 슬러지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건조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 소각처리장치는 하수구로부터 얻어진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 후 소각하여 슬러지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소각처리장치에는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소각하기 위해 건조로를 통과시켜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여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면서도 빠른 시간 내에 소각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소각처리장치에 설치되는 건조로의 성능에 따라 소각처리장치의 에너지 소모량이 결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건조로는 스크루방식의 슬러지 공급장치와, 상기 슬러지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슬러지가 투입되도록 상부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그 타단의 하부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릴레이식으로 다단 적층된 복수개의 건조실린더와, 상기 건조실린더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와, 상기 복수개의 건조실린더를 감싸고,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가 하부로부터 공급되어 건조실린더를 가열시키는 케이스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한 종래의 건조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건조실린더에 이송되던 슬러지로부터 수분이 빠져 나옴과 함께 건조실린더의 내부에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수증기는 점차적으로 뭉쳐져 액체화됨과 함께 다시 슬러지에 흡수되므로 건조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건조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실린더가 가느다란 축의 둘레에 너비가 넓은 이송날개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많은 양의 슬러지를 이송할 수 있는 반면 건조실린더 내에서 자주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뭉쳐져서 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혹한기에는 상기 슬러지 공급장치가 얼었을 경우 해동시키는 장치가 없어 가동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조실린더 내에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완전건조에 가깝도록 하면서 건조실린더 내에 설치된 이송스크루의 축 직경을 크게 하는 반면 이송날개의 높이를 작게 하여 막힘 현상과 뭉치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건조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는 스크루방식의 슬러지 공급장치와; 상기 슬러지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슬러지가 투입되도록 상부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그 타단의 하부로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된 복수개의 건조실린더와; 상기 건조실린더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와; 상기 복수개의 건조실린더를 감싸며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받아 건조실린더를 가열시키는 케이스로 구성된 건조로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린더는 포화상태의 수증기가 포집되는 공간을 갖는 덕트가 건조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고, 덕트의 일단에 열교환기로부터 얻은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이 연결되며, 그 타단에 포화상태의 수증기를 배출하는 수증기 회수관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루는 회전축의 직경을 크게 하고, 회전축의 외주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나선형의 이송날개 높이를 작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일측에 폐가스가 유입되는 폐가스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 타단에 폐가스가 배출되는 폐가스 배출구가 형성되며, 케이스 내부에 일단이 번갈아 가며 개구된 수직의 격벽을 형성하여 고온의 폐가스가 지그재그로 흐르면서 건조실린더를 가열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슬러지 공급장치를 이중 관으로 형성하고, 건조로를 통과한 고온의 폐가스를 상기 슬러지 공급장치의 이중 관으로 흐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건조실린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건조실린더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슬러지 공급장치 10 : 건조실린더 11 : 슬러지 유입구
12 : 슬러지 배출구 13 : 덕트 14 : 유입관
15 : 수증기 회수관 16 : 배출관 20 : 이송스크루
21 : 회전축 22 : 이송날개 30 : 케이스
31 : 격벽 40 : 수분 선별탱크 41 : 몸체
42 : 벽체 50, 60 : 이송스크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며, 도 3은 보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건조실린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의 건조실린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는 스크루방식의 슬러지 공급장치(1)와; 상기 슬러지 공급장치(1)에 의해 공급되는 슬러지가 투입되도록 상부 일측에 유입구(11)가 형성되고, 그 타단의 하부로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구(12)가 형성되어 릴레이식으로 다단 적층된 복수개의 건조실린더(10)와; 상기 건조실린더(10)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슬러지 유입구(11)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20)와; 상기 복수개의 건조실린더(10)를 감싸며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받아 건조실린더(10)를 가열시키는 케이스(30)로 구성된 건조로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린더(10)는 포화상태의 수증기가 포집되는 공간을 갖는 덕트(13)가 건조실린더(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덕트(13)의 일단에 열교환기로부터 얻은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14)이 연결되며, 그 타단에 포화상태의 수증기를 배출하는 수증기 회수관(15)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14)들은 건조로의 외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유입관으로부터 분배되어 각각의 건조실린더(10) 덕트(13)에 연결되며, 그 타측의 수증기 회수관(15)들도 건조로의 외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배출관(16)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건조실린더(10)를 통과하는 슬러지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가 상부에 형성된 덕트(13)로 모이게 됨과 동시에 유입관(14)으로부터 수증기 회수관(15)으로 흐르는 공기에 의해 배출관(16)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공기는 소각로의 열교환기를 통해 고온으로 변환된 공기가 유입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증기가 포함된 공기는 배출관(16)을 타고 그 말단에 구비된 수분 선별탱크(40)로 이동된다.
상기 수분 선별탱크(40)는 원통형상의 몸체(41)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의 유입구를 형성하고, 유입구의 후단에 수직의 벽체(42)를 형성하여 공기가 부딪힘에 따라 수분이 응결되면서 탱크 하부로 수집된다. 그리고, 공기는 상부에 형성된 배출관을 통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세정식 집진기로 이동되어 유해가스가 제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송스크루(20)는 회전축(21)의 직경을 크게 하고, 회전축(21)의 외주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나선형의 이송날개(22) 높이를 작게 형성하여 슬러지가 건조실린더(10)의 외벽에 펴 바르게 된 것과 같이 얇게 펼쳐진 상태로 이송된다. 그러므로 슬러지가 빠르게 건조되며, 이송되는 슬러지의 양이 적기 때문에 슬러지가 막힘 없이 원활하게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0)의 상부 일측에는 폐가스가 유입되는 폐가스 유입구(31)가 형성되고, 상부 타단에 폐가스가 배출되는 폐가스 배출구(32)가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30)의 내부에는 수직의 격벽(33)이 형성되며, 이 격벽(33)은 번갈아 가며 상부와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고온의 폐가스가 지그재그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건조실린더(10)에 골고루 열이 전달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30)의 하부를 경사지도록 하여 폐가스 중에 포함된 무거운 먼지가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모이도록 하고, 경사진 말단에 이송스크루(50)를 설치하여 가라앉은 먼지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건조로를 통과하여 제일 하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루(60)를 통해 소각로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배출되는 슬러지는 함수율이매우 낮아지며 소각로로 유입되었을 때에는 빠른 시간 내에 소각되므로 소각로의 에너지 소모가 적게 드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공급장치(1)는 그 외벽이 이중 관으로 형성되고, 일측 말단에는 가스유입구가 형성되며, 그 타단에는 가스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건조로의 케이스 내부를 통과한 고온의 폐가스가 슬러지 공급장치(1)의 가스유입구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슬러지 공급장치(1)가 혹한기에 얼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러지 공급장치(1)를 통과한 폐가스는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므로 별도의 냉각장치를 통과할 필요가 없어지며, 바로 백필터 집진기로 이동시켜 가스에 포함된 먼지가 제거 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는 건조실린더의 상부에 수증기가 모일 수 있는 덕트가 설치되고, 덕트에 모인 수증기를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수증기가 액체화되어 슬러지에 재흡수 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건조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는 이송스크루 이송날개의 높이가 작게 형성되어 슬러지가 건조실린더 내면에 얇게 펼쳐지며 이송되므로 빠르게 건조되며, 슬러지의 뭉침 현상이 사라질 뿐만 아니라 슬러지가 원활하게 이송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는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고온의 가스가 골고루 분포되어 걸조실린더의 전체가 가열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른 건조로는 건조로의 케이스를 통과한 고온의 폐가스를슬러지 공급장치의 이중 관으로 공급함으로써, 혹한기에도 슬러지 공급장치가 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 공급장치를 통과한 폐가스는 온도가 급격히 떨어져 별도의 냉각장치를 거치지 않고 바로 백필터 집진기로 이동되므로, 냉각장치를 거쳐야 하는 공정이 필요 없어 시공 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스크루 방식의 슬러지 공급장치와; 상부 일측에 슬러지가 투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슬러지가 투입되도록 상부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그 타단의 하부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릴레이식으로 다단 적층된 복수개의 건조실린더와; 상기 건조실린더의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와; 상기 복수개의 건조실린더를 감싸며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받아 건조실린더를 가열시키는 케이스로 구성된 건조로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린더는 포화상태의 수증기가 포집되는 공간을 갖는 덕트가 건조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고, 덕트의 일단에 열교환기로부터 얻은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이 연결되며, 그 타단에 포화상태의 수증기를 배출하는 수증기 회수관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루는 회전축의 직경을 크게 하고, 회전축의 외주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나선형의 이송날개 높이를 작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일측에 폐가스가 유입되는 폐가스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 타단에 폐가스가 배출되는 폐가스 배출구가 형성되며, 케이스 내부에 일단이 번갈아 가며 개구된 수직의 격벽을 형성하여 고온의 폐가스가 지그재그로 흐르면서 건조실린더를 가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를 경사지도록 하여 공기 중에 흐르는 폐가스 중에 포함된 무거운 먼지가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모이도록 하고, 경사진 말단에 이송스크루를 설치하여 가라앉은 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공급장치는 그 외관이 이중 관으로 형성되고, 케이스의 내부를 통과한 고온의 폐가스가 슬러지 공급장치의 이중 관으로 흐르도록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로.
KR2020020018428U 2002-06-18 2002-06-18 건조로 KR200288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28U KR200288689Y1 (ko) 2002-06-18 2002-06-18 건조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28U KR200288689Y1 (ko) 2002-06-18 2002-06-18 건조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824A Division KR20030083336A (ko) 2002-04-20 2002-04-20 건조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689Y1 true KR200288689Y1 (ko) 2002-09-11

Family

ID=7312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428U KR200288689Y1 (ko) 2002-06-18 2002-06-18 건조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6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175B1 (ko) 2008-07-22 2009-05-26 주식회사 대한유니크 소각 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175B1 (ko) 2008-07-22 2009-05-26 주식회사 대한유니크 소각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08213B (zh) 一种节能型尾气自惰式循环污泥干燥系统及其应用方法
US9869514B2 (en) Sludge drying method and installation
JP4476156B2 (ja) 乾燥機
WO2008092373A1 (fr) Dispositif de séchage et recyclage à vapeur secondaire multiniveau agitateur de boue de type arbre
KR102258357B1 (ko) 소각시설용 액상소석회 공급펌프 및 배관 세척장치
CN108218177B (zh) 一种污泥干化装置与干化方法
KR200288689Y1 (ko) 건조로
CN208776558U (zh) 污泥干化及尾气回收浓缩处理装置
CN208042154U (zh) 一种处理生活垃圾焚烧烟气的装置
CN206583272U (zh) 一种带热回收的谷物烘干塔
KR20030083336A (ko) 건조로
JP4129772B2 (ja) 骨材等の水分除去装置
CN212640249U (zh) 污泥脱水干化处理废气利用设备
CN213790729U (zh) 一种岩棉生产用烟气处理设备
CN212640259U (zh) 污泥深度脱水及干化处理设备
CN208362154U (zh) 一种污泥处理装置
CN207062127U (zh) 一种高效热泵污泥干化设备
CN207330414U (zh) 一种垃圾渗沥液干化装置
KR200288690Y1 (ko) 건조로
CN207002312U (zh) 一种脱硫废水低温蒸发处理系统
CN111039535A (zh) 污泥深度脱水及干化处理系统
CN218146310U (zh) 一种污泥干化系统
CN217275649U (zh) 一种新型智能热利用循环系统
CN213950944U (zh) 一种污泥干燥系统
CN214665848U (zh) 多级煤泥干燥用供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2 Change of applicant [utility model]: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