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154Y1 - 곡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곡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154Y1
KR200288154Y1 KR2020020017771U KR20020017771U KR200288154Y1 KR 200288154 Y1 KR200288154 Y1 KR 200288154Y1 KR 2020020017771 U KR2020020017771 U KR 2020020017771U KR 20020017771 U KR20020017771 U KR 20020017771U KR 200288154 Y1 KR200288154 Y1 KR 200288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rying chamber
grain
plat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
Original Assignee
한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7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1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154Y1/ko

Link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열풍실(1)과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2)로 구성된 곡물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실(2)의 저면측에 열풍다공판(3)을 굴곡되게 형성하여 복수의 홉퍼(3a)를 나란히 형성하고 홉퍼(3a)의 내부측에 곡물의 삼각 유도판(3b)과 공급롤러(3c) 및 이송스크류(3d)를 통상의 버켓승강기(4)와 연관되게 설치하여, 굴곡된 열풍다공판(3)에 의하여 다량의 열풍을 공급하는 동시 복수의 이송스크류와 버켓승강기에 의하여 건조실의 곡류를 전체적으로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원활하게 순환시키어 곡물에 열풍이 균일하게 접촉되어 곡물의 건조효율을 높이는 동시 건조실의 내부에는 채반을 나란히 재치할 수 있는 다수의 재치판을 다단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곡류와 각종 농산물을 건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건조기{GRAIN DRIER}
본 고안은 곡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건조실의 열풍의 공급증가와 곡물의 균일한 순환 증대로 곡물의 건조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것이다.
종래의 곡물의 건조기의 한 예를 들면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열풍히터가 구비된 열풍실과, 곡물을 순환 건조시키며 열풍에 의하여 곡물을 건조하는 건조실로 구성되어 건조실의 하부측으로 열풍을 공급하고 건조실 상부에서 열풍실의 배출구로 수분이 배출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곡물 건조기의 일측에 버켓승강기와 긴 원통상의 홉퍼형 건조실을 구성하여 곡물을 상하로 순환시키면서 홉퍼의 중간내부로 세워진 열풍관을 통하여 열풍을 곡물의 순환계에 공급하여 곡물을 건조하게 된 것도 있다.
또한 건조실 내부에 컨베이어 벨트를 상하 지그재그로 설치하여 무단으로 이동되게 하고 컨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곡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건조실에서 열풍으로 곡물이 건조하게 된 것도 있다.
도1에 표시된 종래의 곡물건조기는 곡물의 순환기구가 없고 건조실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 편차가 심하여 건조실 내부의 곡물이 균일하게 건조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고추, 무, 대추와 같은 농산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망상의 건조채반을 걸쳐놓기 위하여 건조실의 벽면에 다수의 재치판을 다단으로 고정되게 형성하였으나 돌출된 재치판으로 인하여 곡류를 꺼낼 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켓승강기가 구비된 홉퍼상 건조기는 곡류의 순환의 이점은 있으나 곡물이 열풍에 균일하게 접촉하기 어렵고 건조능률이 높지 못한 미비점이 있으며 채반을 이용하여 다른 농산물의 건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조실 내부에 컨베이어 벨트를 지그재그로 설치한 곡물 건조기는 에너지 소모에 비하여 건조효율이 높지 않으며 기계적 고장율이 비교적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여러종류의 곡물 건조기 중 비교적 고장율이 적고 채반에 의하여 다른 농산물도 건조할 수 있는 도1에 표시된 유형의 곡물건조기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곡물 건조기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즉, 간열로(열풍히터)가 설치되어 건조용 열풍을 발생시키어 공급하는 열풍실과 곡물을 상기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건조실로 구성된 곡물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실의 저면전체에 열풍다공판을 산형으로 굴곡되게 형성하여 열풍다공판의 면적이 증대되게 하는 동시 복수의 홉퍼를 건조실 바닥의 전 길이에 걸쳐 나란히 형성한다. 복수의 상기 홉퍼의 내부측에는 곡물이 뭉치지 않고 하방으로 분산유도할 수 있는 삼각 유도판과, 일정량으로 곡물을 하락시키는 공급롤러 및 공급롤러에 의해 공급된 곡류를 버켓승강기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를 가로로 길게 형성한다. 버켓승강기의 유출구측에는 건조실의 천정측으로 길게 뻗은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건조실의 곡류가 전체적으로 상하 순환되게 한다. 문짝이 유착된 좌우 건조실의 내벽에는 다수의 재치판을 하방으로 절첩가능하게 다단으로 좌우 대향되게 설치하여 재치판을 사용하여 채반을 올려놓을 경우에는 고정판으로 재치판을 수평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서 각종 곡물과 농산물을 공용으로 모두 건조할 수 있게 다목적의 곡물건조기를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쌀 보리 밀 콩 등 각종 곡물을 건조할 경우에는 건조실의 문짝을 밀폐하고 열풍실로부터 공급되는 다량의 열풍이 굴곡된 열풍다공판을 통하여 건조실의 하부에서 동시에 상부로 상승하여 도시되지 않은 배출구로 배출되는 한편 복수의 이송스크류와 버켓승강기의 가동에 의하여 건조실의 곡류가 열풍을 거슬러서 동시적으로 건조실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순환이동된다. 따라서 건조실 전체 공간에서 열풍과 곡류가 동시적으로 균일하게 접촉되어 그만큼 곡물의 건조효율이 높게 된다.
또한 건조실의 곡류는 삼각 유도판에 의하여 분산되면서 홉퍼로 유도되어 공급롤러에 의하여 일정량으로 이송 스크류에 공급되기 때문에 곡물이 뭉치지 아니하고 이송스크류의 기계적 무리가 없이 곡류의 원활한 순환이 가능하다.
또 곡물의 건조중에는 재치판은 자기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절첩되어 있기 때문에 곡류의 순환장애나 또 건조 후에 곡류를 꺼내는데 지장이 없다. 한편 망상 채반을 이용하여 고추, 대추 고구마, 무 등 농산물을 건조할 경우에는 재치판을 고정판으로 고정한 다음 재치판에 망상 채반을 나란히 올려놓고 곡물 건조의 경우와 같이 열풍다공판으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하여 단시간에 고르게 건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1에 표시된 종래의 곡물 건조기의 미비점을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곡물 및 각종 농산물을 편리하게 건조할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곡물 건조기의 단면 예시도
도2는 본 고안의 곡물 건조기의 단면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재치판의 분리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재치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 예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재치판을 절첩한 상태를 보인 측면 예시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열풍실 1a : 오일버너 1b: 간열로 1c : 송풍기
2 : 건조실 2a :문짝 2b : 내벽 2c : 통풍실
3 : 열풍다공판 3a :홉퍼 3b ; 유도판 3c : 공급롤러 3c : 이송스크류
4 : 버켓승강기 4a : 유입구 4b : 유출구 4 c : 이송스크류
5 : 제어판 6 : 재치판 6a : 절곡단 6b : 유착공
7 : 부착판 7a : 체결공 7b : 체결나사 7c : 체결공
8 : 고정판 8a : 체결공 8b : 고정나사
오일버너(컨 타입)(1a)와, 간접으로 공기를 가열하는 간열로(1b) 및 발생된 열풍을 건조실로 송풍하는 송풍기(1c)가 구비된 열풍실(1)과, 밀폐성 문짝(2a)이 구비되어 건조할 곡물을 수용하는 곡물의 건조실(2)로 구성된 곡물 건조기(D)에 있어서, 건조실(2)의 저면측에 통풍실(2c)을 두고 열풍다공판(3)을 산형으로 굴곡되게 형성하여 열풍다공판(3)의 면적을 증대시키고 열풍 다공판(3)이 굴곡된 건조실 저면부에는 열풍다공판(3)으로 된 복수의 홉퍼(3a)를 나란히 형성하여 각 홉퍼(3a)에는 곡물이 뭉치지 않고 하방으로 분산유도할 수 있는 삼각 유도판(3b)과, 일정량으로 곡물을 공급하는 공급롤러(3c) 및 공지의 버켓승강기(4)의 유입구(4a)로 곡류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3d)를 각각 설치한다.
버켓승강기(4)의 유출구(4b)측에는 건조실(2)의 천정측으로 길게 뻗은 이송스크류(4c)를 설치하여 건조실(2)의 공간 전체에 곡류가 낙하되게 하며 버켓승강기(4)측에는 각 스크류의 모터 회전속도와 열풍의 온도등을 제어하는 제어반(5)을 설치한다. 좌우 각 건조실(2)의 내벽(2b)에는 건조실의 폭과 거의 같은 길이로 각각 채반(c)을 걸쳐놓는 절곡단(6a)을 가진 재치판(채반레일)(6)을 좌우 양측의 부착판(7)에 일정한 상하 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그 후단의 유착공(6b)에 체결나사(7b)가 삽입되게 부착판(7)의 체결공(7a)에 체결나사 (7b)를 체결하여 건조실의 공간에 재치판(6)이 아래로 절첩가능하게 다단으로 대향되게 유착한다. 각 재치판(6)의 사용 시에는 재치판(6)의 좌우 하부측을 받치는 고정판(8)을 부착판(7)에 각각 대고 고정판(8)의 체결공(8a)과 부착판(7)의 체결공(7c)에고정나사(8b)로 체결하여 재치판(6)을 수평으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벼, 보리, 밀, 콩, 옥수수, 등 건조할 각종 곡물을 건조실(2)에 채워넣고 문짝(2a)을 밀폐시킨다. 제어판(5)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오일버너(1a)와 간열로(1b)를 가동시키어 간접으로 가열된 신선한 열풍을 송풍기(1c)에 의하여 열풍실(1)로 부터 건조실(2)의 하방측 통풍실(2c)로 송풍한다.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송풍된 열풍은 굴곡된 열풍다공판(3)을 통하여 건조실(2) 전체 바닥측에서 상부로 상승되어 도시되지 않은 배출구로 수증기와 함께 배출된다. 이때 공급롤러(3c)와 이송스크류(3d)및 버켓승강기(4)도 동시에 가동시킨다. 따라서 건조실(2)에 채워진 곡류는 유도판(3b)에 의하여 뭉치지 않고 분사되면서 하방으로 유도되고, 유도된 곡류는 공급롤러(3c)에 의하여 일정량으로 이송롤러(3d)측으로 공급되어 버켓승강기(4)의 유입구(4a)으로 이송된다. 버켓승강기(4)에 의하여 상부로 이송된 다음 유출구(4b)로 유출된 곡류는 이송스크류(4c)에 의하여 건조실(2)의 천정 깊숙히 이송되어 하방으로 낙하된다.
이러한 동작의 지속으로 건조실의 곡류는 복수의 이송스크류(3d)와 버켓승강기(4)의 가동에 따라 건조실(2)의 공간 전체적으로 상부에서 하방으로 곡류가 순환되고 열풍은 하방에서 상방향으로 순환되어 곡류의 알갱이마다 열풍과의 접촉이 양호하게 된다. 따라서 곡류와 열풍의 균일한 접촉으로 보다 단시간에 균일하게 건조되는 것이다.
또한 대추, 무 등을 망상의 채반(c)에 담아 건조하는 경우에는 도6에 표시된바와 같이 건조실(2)의 벽면에 설치된 재치판(6)을 고정판(8)이 받치도록 고정판(8)의 체결공(8a)을 부착판(7)의 체결공(7c)에 체결하여 고정하면 재치판(6)의 절곡단(6a)이 수평으로 유지되어 건조실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채반의 레일이 형성된다. 따라서 채반(c)을 좌우 재치판(8)의 절곡단(6a)에 지지되게 밀어넣고 문짝을 밀폐한 다음 열풍실(1)의 오일버너(1a)및 간열로(1b)를 가동하여 가열된 열풍을 건조실의 하부측 통풍실(2c)을 통하여 열풍다공판(3)으로 송풍된다. 이 때에는 공급롤러(3c)와 이송스크류(3d)및 버켓승강기(4)는 가동하지 않는다. 건조실로 공급된 열풍은 망상 채반으로 통하여 상승하면서 채반에 담긴 건조물을 건조하며 건조실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공지한 수분 검출기등을 이용하여 건조상태가 확인되면 가열을 중지하고 건조물이 어느정도 식으면 꺼낸다.
도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채반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정판(8)을 부착판(7)에서 분리하여 각 재치판(6)이 하방으로 절첩되게 하여 사용한다.
본 고안은 건조실 저면 전체 바닥면에 열풍다공판을 산형으로 굴곡되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열풍의 공급면적을 증대되어서 건조실의 공간 전체적으로 열풍을 동시에 다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열풍다공판으로 된 복수의 홉퍼를 형성하였고 곡물의 유도판과 공급롤러 및 이송스크류등을 버켓승강기와 연동되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건조실에 채워진 곡류가 전체적으로 상하로 원활하게 순환이 가능하여 곡류에 대한 열풍의 균일한 접촉으로 건조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채반을 올려놓는 재치판을 절첩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곡류의 건조시에는 재치판이 하방으로 절첩하게 되어 곡류의 순환장해를 주지 않으며 또한 채반을 사용하여 건조할 경우에는 간편하게 재치판을 수평으로 고정시키어 채반레일로 사용할 수 있어 제1도에 표시된 유형의 종래의 건조기의 문제점을 시정하고 각종 곡물과 농산물을 보다 편리하게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오일버너(1a)와 간열로 (1b) 와 송풍기(1c)와 급기구(1d)가 구비된 열풍실(1)과, 밀폐성 문짝(2a)이 구비된 곡물의 건조실(2)로 구성된 곡물 건조기(D)에 있어서, 건조실(2)의 저면측에 통풍실(2c)을 두고 열풍다공판(3)을 산형으로 굴곡되게 형성하여 열풍다공판(3)으로 된 복수의 홉퍼(3a)를 나란히 형성하고 각 홉퍼(3a)에는 곡물이 분산유도되는 삼각 유도판 (3b)과, 공급롤러(3c) 및 이송스크류(3d)를 건조실 일측에 설치된 공지의 버켓승강기(4)의 유입구(4a)로 연관되게 설치하고 버켓승강기(4)의 유출구(4b)측에는 이송스크류(4c)를 건조실(2)의 천정측으로 길게 설치하며 건조실의 내벽(2b)에는 건조용채반(c)을 올려놓는 여러개의 재치판(6)을 다단으로 절첩가능하게 대향으로 설치구성하여 열풍과 곡류를 건조실 평면 전체적으로 상반되게 순환시키면서 건조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좌우 건조실(2)의 내벽(2b)에 다단으로 설치된 재치판(6)은 채반(c)을 걸쳐놓는 절곡단(6a)이 형성되고 재치판(6)의 유착공(6b)에 체결나사(7b)가 삽입되게 재치판의 좌우 부착판(7)의 체결공(7a)에 체결나사 (7b)로 체결하며, 재치판(6)의 하부측에 고정판(8)의 체결공(8a)과 좌우 부착판(7)의 체결공(7c)및 고정나사(8b)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체결하여 재치판(6)을 수평으로 고정하여 망상 채반(c)을 올려놓고 건조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건조기.
KR2020020017771U 2002-06-11 2002-06-11 곡물 건조기 KR200288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771U KR200288154Y1 (ko) 2002-06-11 2002-06-11 곡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771U KR200288154Y1 (ko) 2002-06-11 2002-06-11 곡물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154Y1 true KR200288154Y1 (ko) 2002-09-09

Family

ID=7312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771U KR200288154Y1 (ko) 2002-06-11 2002-06-11 곡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1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741B1 (ko) 2007-12-17 2009-10-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탄화로의 폐열 에너지를 이용한 열교환장치
KR101695975B1 (ko) * 2016-10-05 2017-01-23 장시혁 피건조물을 섞을 수 있는 농산물 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741B1 (ko) 2007-12-17 2009-10-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탄화로의 폐열 에너지를 이용한 열교환장치
KR101695975B1 (ko) * 2016-10-05 2017-01-23 장시혁 피건조물을 섞을 수 있는 농산물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5945A (en) Multiple stage grain dryer with intermediate steeping
JPS593672B2 (ja) 穀物の乾燥方法およびその装置
CA1092346A (en) Flow control meters for gravity flow particle dryers
KR20090112019A (ko) 순환식 병류형 곡물 건조기
KR200288154Y1 (ko) 곡물 건조기
CN101163935A (zh) 尤其用于板形产品的多层结构形式的连续干燥机
KR200412274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20160149031A (ko) 용량 가변형 열회수 건조기
KR100578030B1 (ko)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
US5030809A (en) Vertical oven
EP0068734B1 (en) Multi-stage particulate material dryer having channelized discharge
KR20200040159A (ko) 농축산물 건조기용 습기제거장치
KR200290884Y1 (ko) 흔들판이 구비된 곡물 건조기
KR100869578B1 (ko) 농산물건조장치
RU202462U1 (ru) Зерносушилка
CN219781492U (zh) 一种核桃烘干设备
KR200422795Y1 (ko) 농수산물 건조기
CN216790784U (zh) 一种谷物智能烘干设备
US2660810A (en) Drier for granular material
CN217715813U (zh) 药材生产用通过式烘干设备
KR101606267B1 (ko) 식품 건조기
KR0136569Y1 (ko) 종이건조기
CN214250472U (zh) 一种分段式隧道烘干炉
JP2003247778A (ja) 穀粒乾燥機の集穀室構造
CN211261647U (zh) 一种食品加工用烘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