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884Y1 - 흔들판이 구비된 곡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흔들판이 구비된 곡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884Y1
KR200290884Y1 KR2020020018741U KR20020018741U KR200290884Y1 KR 200290884 Y1 KR200290884 Y1 KR 200290884Y1 KR 2020020018741 U KR2020020018741 U KR 2020020018741U KR 20020018741 U KR20020018741 U KR 20020018741U KR 200290884 Y1 KR200290884 Y1 KR 200290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drying chamber
plate
hot air
r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규
Original Assignee
한성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성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8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884Y1/ko

Link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흔들판이 구비된 곡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실(1)과 열풍에 의하여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2)로 구성된 건조기(D)에 있어서, 건조실(2)의 저면측에 열풍다공판(2c)을 굴곡되게 형성하여 복수개의 홉퍼(2d)를 나란히 형성하고 그 하방에 곡물을 일정량으로 공급하는 회전 공급관(4)을 설치하며, 건조실(2)의 하부측과 상부측에 버켓승강기(3)의 유입구(3a)와 유출구(3b)에 연결된 상하 흔들판(5)(6)을 지지간(5d)(6c)으로 유착되게 각각 설치하여 진동기(7)(7a)에 의하여 상하 흔들판(5)(6)이 좌우로 진동하면서 건조실의 상하로 순환되는 곡물의 파손이 없이 분산이동을 촉진하여 열풍과의 접촉을 증대시키어 건조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흔들판이 구비된 곡물 건조기{GRAIN DRIER EQUIPPED WITH SHAKE PANELS}
본 고안은 흔들판이 구비된 곡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곡물건조기 중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이 구비된 열풍실과 열풍에 의하여 곡물 또는 채반에 담긴 농산물을 건조하는 건조실로 구성된 소위 다목적 건조기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곡물 건조기의 건조실에 쌓인 곡물을 건조실 하부측에 설치된 스크류형 이송기구에 의하여 버켓승강기의 유입구측으로 곡류를 이송한 다음 버켓승강기에 의하여 건조실의 상부측에 쏟아 부어 곡류가 건조실의 상하로 순환되게 하는 동시 열풍실에서 발생된 열풍을 건조실의 하부측에 배치된 열풍다공판을 통하여 상부측으로 공급시키어 순환중의 곡물이 건조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건조실의 곡물이 스크류형 이송기구에 의하여 승강기측으로 이송작용이 반복되는 중에, 이송압력에 의하여 습기가 찬 곡물이 뭉쳐지거나 곡물과 이송기구간의 물리적인 접찰(接擦)에 의하여 벼의 껍질이 벗겨지거나 알곡이 깨여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열풍실과 열풍에 의하여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로 구성된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실의 저면측에 열풍다공판을 굴곡되게 형성하여 복수개의 홉퍼를 나란히 형성하고 그 하방에 곡물을 일정량으로 공급하는 회전 공급관을 설치한 건조실의 하부측에는 버켓승강기의 유입구와 연결된 하부 흔들판을 곡물이 유동가능한 경사각도를 두고 진동기에 의하여 좌우로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건조실의 상부측에는 버켓승강기의 유출구와 연결된 흔들판을 곡물이 유동가능한 경사각도를 두고 진동기에 의하여 좌우로 진동할 수 있게 설치하여 건조실의 곡물 순환계에 진동수단을 구비시키어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열풍실에서 발생된 열풍을 열풍다공판을 통하여 건조실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공급하는 동시 건조실에 쌓인 곡물이 홉퍼를 통하여 회전공급관에 의하여 정량적으로 하부 흔들판에 쏟아지며 진동기에 의한 흔들판의 진동에의하여 곡물이 분산되면서 경사면을 따라 자연적으로 승강기의 유입구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곡류의 분산으로 형성되는 공극을 통하여 열풍이 용이하게 공급상승하면서 열풍과 곡류와의 접촉이 양호하게 되고 따라서 열풍에 의한 건조작용이 증대된다.
또한 버켓승강기에 의 유출구로 유출된 곡류는 상부 흔들판에 쏟아진 다음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하는 흔들판에 의하여 경사방향으로 하락하는 중에 흔들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출구를 통하여 건조실로 분산 하락되고 건조실의 습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대부분의 열풍은 건조실의 상부측 환풍구를 통하여 열풍실로 환풍되고 가열된 다음 다시 건조실로 유입되어 반복적으로 건조에 사용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이송수단은 종래의 건조기와 같은 스크류형의 이송수단이 아니고 진동수단에 의하여 곡물이 분산되면서 이동되므로 벼의 껍질이 벗겨지는 일이 없고 알곡이 깨어지는 일도 없으며, 보다 능률적으로 편리하게 각종 곡류와 농산물을 건조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2는 하부 흔들판의 사시도
도3은 상부 흔들판의 사시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열풍실, 2 : 건조실, 3 : 버켓승강기, 4 : 회전공급관,
5 : 하부 흔들판, 5a : 경사면, 5b : 유도홈, 5c : 측판, 5d : 지지간,
6 : 상부 흔들판, 6a : 유출구, 6b : 측판, 6c : 지지간, 7,7a : 진동기.
통상의 버너(1a)와 간접으로 공기를 버너에 의하여 가열하는 간열로(1b), 가열된 열풍을 건조실로 압송하는 송풍기(1c)및 공기 흡입구(1d)가 구비된 열풍실(1)과, 채반(a)을 수평으로 받치게 된 다수개의 지지판(2a)이 벽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저면에 송풍실(2b)의 공간을 두고 열풍다공판(2c)이 산형으로 굴곡되어 복수개의 홉퍼(2d)가 나란하게 형성된 건조실(2)과, 건조실의 측방에 설치된 버켓승강기(3)로 구성된 곡물 건조기(D)에 있어서,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열풍다공판(2c)으로 된 상기 홉퍼(2d)의 하방에는 곡물이 유입되는 유입구(4a)와 곡물이 담기는 공간부(4b)를 가진 회전공급관(4)을 도시되지 않는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게 각각 설치하여 건조실에 쌓인 곡류를 정량적(定量的)으로 하부로 공급되게 하고 열풍실(1)의 열풍은 송풍실(2b)의 유입구(2e)와 건조실(2)의 환풍구(2f)를 통하여 열풍실(1)과 건조실(2)을 순환되게 한다.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공급관(4)의 하부측에는 곡류의 유동이 가능한 경사면(5a)과 유도홈(5b)이 형성되고 사방에 측판(5c)이 형성된 하부 흔들판(5)을 복수개의 지지간(5d)에 의하여 곡물이 이동가능한 경사도를 두고 유착하고 통상의 진동기(7)에 의하여 좌우로 진동가능하게 설치하여, 하부 흔들판(5)에 낙하된 곡류가 흔들판의 진동작용으로 유도홈(5b)을 통하여 측방의 버켓승강기(3)의 유입구(3a)측으로 이동 유입되게 한다.
상기 건조실(2)의 상부측에는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유출구(6a)가 건조실(2)에 연통되게 저면에 형성되고 사방에 측판(6b)이 형성된 상부 흔들판(6)을 복수개의 지지간(6c)으로 곡류의 유동가능한 경사도를 두고 유착하고 통상의 진동기(7a)에 의하여 좌우로 진동가능하게 설치하여 버켓승강기(3)의 유출구(3b)에서 쏟아진 곡물이 상부 흔들판(6)의 좌우진동에 의하여 경사면을 따라 분산 이동되면서 유출구(6a)를 통하여 건조실(2)로 분산 낙하하여 순환되게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하부 흔들판(5)과 상부 흔들판(6)의 진동수단은 통상의 캠형진동기, 크랭크형 진동기, 편심휠 진동기, 또는 독자적인 진동기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승강기의 동력기구에 의하여 진동시킬 수 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은 열풍수단, 흔들판의 진동수단, 버켓승강기등의 전자제어용 컨트럴 박스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곡물을 건조하는 경우, 컨트럴 박스(8)의 전자적 조정에 의하여 가동되는 버너(1a)와 간열로(1b)및 송풍기(1c)에 의하여 생성된 열풍이 열풍실(1)에서 건조실(2) 하부의 송풍실(2b)의 유입구(2e)로 유입하여 열풍다공판(2c)을 통하여 건조실(2)의 상부측 환풍실(2f)로 순환되는 동시 건조실(2)에 쌓인 곡류는 열풍다공판(2c)으로 된 홉퍼(2d)를 통하여 회전공급관(4)의 유입구(4a)로 유입되어 공간부(4b)에 채워진 다음 회전공급관(4)이 반 회전하여 유입구(4a)가 하방에 위치한 때에 공간부(4b)에 채워졌던 곡류가 쏟아져서 정량적으로 곡류를 하방으로 공급한다.
이때, 지지간(5d)에 유착된 하부 흔들판(6)이 진동기(7)에 의하여 좌우로 진동하고 있으므로 하부 흔들판(5)에 쏟아진 곡류는 흔들판의 진동작용에 따라 경사면(5a)과 유도홈(5b)으로 분산유도되어 결국 버켓승강기(3)의 유입구(3a)로 계속적으로 이동 유입된다.
한편, 버켓승강기(3)에 의하여 퍼 올려진 곡류는 상부측 유출구(3b)를 통하여 상부 흔들판(6)에 쏟아지며 이때 지지간(6c)에 의하여 유착된 상부 흔들판(6)은 진동기(7a)에 의하여 좌우로 진동하고 있으므로 상부 흔들판(6)에 쏟아진 곡류는 흔들판의 좌우 진동작용에 의하여 분산 이동 중에 복수개로 형성된 유출구(6a)를통하여 건조실(2)로 쏟아진다.
이러한 하부 흔들판(5)과 상부 흔들판(6)에 의하여 곡류가 진동작용으로 분산되면서 건조실의 상하로 순환중에 곡류의 분산공극으로 열풍이 용이하게 통과되면서 곡류와의 접촉이 양호하게 되어 곡물의 수분이 용이하게 증발건조된다.
이때 상부 흔들판(6)의 유출구(6a)는 건조실(2)에서 발산된 수분의 배기구의 역할을 겸한다.
건조기(D)의 요소에 배치된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곡물의 건조완료가 감지되면 컨트럴 박스(8)의 전자제어기구에 의하여 자동으로 건조기(D)의 모든 동작이 정지되며 상온으로 되면 건조된 곡류를 꺼내면 된다.
본 고안은 열풍실(1)과 건조실(2) 및 버켓승강기(3)로 구성된 건조기(D)에 있어서, 건조실(2)의 하부측에는 열풍다공판(2c)으로 된 홉퍼(2d)와 곡류를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회전 공급관(4)을 설치하고 그 하방측에는 하부 흔들판(5)을 상기 버켓승강기(3)의 유입구(3a)와 연결되게 지지간(5d)에 의하여 유착하여 진동기(7)로 좌우 진동되게 설치하고 건조실(2)의 상부측에는 버켓승강기(3)의 유출구(3b)와 연결된 상부 흔들판(6)을 지지간(6c)에 의하여 유착하여 진동기(7a)로 좌우 진동되게 설치하여 곡류의 상하 순환시에 분산 이동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곡류에 물리적인 이송압력이나 접찰현상이 없고 벼껍질이 벗겨지거나 알곡이 깨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곡류의 분산공극을 통하여 열풍의 순환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곡류와 열풍의 접촉면이 증대되어 그만큼 건조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각종 곡류를 보다 능률적으로 편리하게 건조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통상의 버너(1a)와 간열로(1b), 송풍기(1c)및 공기 흡입구(1d)가 구비된 열풍실(1)과, 채반(a)의 지지판(2a)이 벽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하부에 송풍실(2b)의 공간을 두고 열풍다공판(2c)이 산형으로 굴곡되어 복수개의 홉퍼(2d)가 나란하게 형성된 건조실(2)및, 건조실의 측방에 설치된 버켓승강기(3)로 구성된 곡물 건조기(D)에 있어서,
    상기 홉퍼(2d)의 하방에는 곡류를 정량적(定量的)으로 공급하는 유입구(4a)와 공간부(4b)를 가진 회전공급관(4)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공급관(4)의 하부측에는 하부 흔들판(5)을 복수개의 지지간(5d)에 의하여 곡물이 이동가능한 경사도를 두고 상기 버켓승강기(3)의 유입구(3a)와 연결되게 유착하여 통상의 진동기(7)에 의하여 좌우로 진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건조실(2)의 상부측에는 상기 버켓승강기(3)의 유츨구(3b)와 연결된 상부 흔들판(6)을 복수개의 지지간(6c)으로 곡류의 유동가능한 경사도를 두고 유착하여 통상의 진동기(7a)에 의하여 좌우로 진동가능하게 설치 구성하여서 건조실의 곡류를 분산 이동하여 순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판이 구비된 곡류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흔들판(5)은 곡류의 유동이 가능한 경사면(5a)과 유도홈(5b)이 형성되고 사방에 측판(5c)이 형성되어, 하부 흔들판(5)에 낙하된 곡류가 흔들판의 진동작용으로 유도홈(5b)을 통하여 측방의 버켓승강기(3)의유입구(3a)측으로 분산 이동 유입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판이 구비된 곡류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흔들판(6)은, 복수개의 유출구(6a)가 건조실(2)에 연통되게 저면에 형성되고 사방에 측판(6b)이 형성되어 버켓승강기(3)의 유출구(3b)에서 쏟아진 곡물이 상부 흔들판(6)의 좌우진동에 의하여 경사면을 따라 분산 이동되면서 유출구(6a)를 통하여 건조실(2)로 분산 낙하하여 순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판이 구비된 곡류 건조기.
KR2020020018741U 2002-06-20 2002-06-20 흔들판이 구비된 곡물 건조기 KR200290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741U KR200290884Y1 (ko) 2002-06-20 2002-06-20 흔들판이 구비된 곡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741U KR200290884Y1 (ko) 2002-06-20 2002-06-20 흔들판이 구비된 곡물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884Y1 true KR200290884Y1 (ko) 2002-10-04

Family

ID=7307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741U KR200290884Y1 (ko) 2002-06-20 2002-06-20 흔들판이 구비된 곡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8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43B1 (ko) * 2008-10-17 2011-09-05 김나연 고추건조기
CN110092169A (zh) * 2018-10-29 2019-08-06 北京北大维信生物科技有限公司 周转箱移动设备及周转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43B1 (ko) * 2008-10-17 2011-09-05 김나연 고추건조기
CN110092169A (zh) * 2018-10-29 2019-08-06 北京北大维信生物科技有限公司 周转箱移动设备及周转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2650A (en) Board drying apparatus
JPS593672B2 (ja) 穀物の乾燥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0060123655A1 (en) Continuous flow grain dryer
KR200290884Y1 (ko) 흔들판이 구비된 곡물 건조기
JPH0670680A (ja) 製茶乾燥機
CA1135051A (en) Thermal treatment apparatus for bulk materials
US59920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grain
RU202462U1 (ru) Зерносушилка
KR200288154Y1 (ko) 곡물 건조기
JPH0752557Y2 (ja) 多段式振動乾燥装置
RU2290582C2 (ru) Вибрационная сушилка
SU909503A1 (ru) Вибрационна сушилка дл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JP4349581B2 (ja) 流動乾燥装置
JPS5935465Y2 (ja) 籾乾燥機における排出装置
JP2008292123A (ja) 循環穀物乾燥装置
RU50642U1 (ru) Сушилка зерн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ITTV980029A1 (it) Essicatore a letto fluido, particolarmente per l'essiccazione del ta bacco
CN210892599U (zh) 多频层振动谷物烘干装置
JP3968858B2 (ja) 攪拌乾燥貯留機
US2579607A (en) Continuous drier
JP2003247778A (ja) 穀粒乾燥機の集穀室構造
RU2256859C1 (ru) Сушилка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JPH06323724A (ja) 振動流動層装置
JPH116685A (ja) 循環式穀物乾燥装置
SU1300280A1 (ru) Вибрационна сушил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