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033Y1 -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 Google Patents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033Y1
KR200288033Y1 KR2019990007045U KR19990007045U KR200288033Y1 KR 200288033 Y1 KR200288033 Y1 KR 200288033Y1 KR 2019990007045 U KR2019990007045 U KR 2019990007045U KR 19990007045 U KR19990007045 U KR 19990007045U KR 200288033 Y1 KR200288033 Y1 KR 200288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ranch
pipe
sadd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092U (ko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덕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07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033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0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0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033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새들붙이 밸브는 지면 또는 주관과 수직이 되게 설치되어야 지상에서 핸들을 조작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는 부단수 천공기나 설치되는 분기관이 지면 또는 주관과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왔는데, 이때, 타설비(도시가스관이나 전기배관등)가 매설되어 있는 경우, 타설비의 간섭때문에 부단수 천공기의 작업이 불가능하거나, 분기관을 매설하는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2 내지 도 5 에 표현된 바와 같이 분기밸브(3)의 동력 전달축을 핸들축(10)과 밸브축(12)으로 분할하고 이 두 축을 유니버셜 커플링(14)으로 결합함으로써, 분기관의 설치위치(설치각도)와 상관 없이 새들붙이 밸브의 핸들(6) 설치위치(설치각도)는 지면 또는 주관과 수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관(1)의 수평위치에 매설된 다른 설비에 관계없이 분기작업과 분기관을 매설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A valve having a saddle for ceaseless brenching work}
본 고안은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새들붙이 밸브를 작동시키는 핸들축에 유니버셜 커플링을 설치하여 새들붙이 밸브의 설치위치(각도)에 관계없이 핸들축의 위치(각도)를 항상 일정하게 함으로써, 주관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타 설비관의 매설되어 있다 하여도 주관의 천공작업 및 분기관의 설치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상수도용 주철관은 관의 분기에 있어서는 분기 작업시 단수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단수 천공기를 사용하고 있다.
예시도면 도 1 (a)는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및 부단수 천공기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b)는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및 부단수 천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로서, 분기부에 장착된 새들(2)과 분기밸브(3), 그리고 부단수 천공기(4)를 보여주고 있다.
새들은 일측이 개방된 단면상 반구형의 형상으로 분할되어 프랜지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주관(1)을 분기하고자 하는 위치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고정보울트(5)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새들(2)의 양단에는 패킹이 장착되어 천공기(4)로 천공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새들(2)의 개방부에는 분기밸브(3)가 프랜지 결합되며, 상기 분기밸브(3)는 핸들(6)의 조작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분기밸브(3)에 의해 분기부에서 물의 흐름이 제어된다.
상기 분기밸브(3)에 착탈식의 부단수 천공기(4)가 장착되어 천공작업이 완료된 후, 분기밸브(3)을 폐쇄하여 누수가 방지된 상태에서 천공기(4)를 분리하고 분기관의 장착이 이루어 지며, 그 후에 분기밸브(3)를 개방하게 되면 분기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부단수 천공기(4)의 천공방향은 분기밸브(3)의 핸들(6)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주관(1)의 수평선(102)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따라 상기 보울트(5)의 위치 조정에 의한 새들(2)의 장착과 분기밸브(3)의 장착이 결정되어 진다.
즉, 분기부의 흐름을 제어하는 분기밸브(3)의 핸들(6)은 지하에 매설되어 있고, 이를 조작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장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핸들(6)이 주관(1)의 수직선(100)과 평행되게 설치되지 않으면 그 조작이 불편하게 되므로, 상기 핸들(6)을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하여 주관(1)의 수평선(102)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해야 하고, 분기밸브(3)는 주관(1)의 수직선(100)과 평행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수도용 주철관의 분기작업시 단수로 인한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및 부단수 천공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때 주관(1)주변에 매설된 다른 지하설비관(예를들어 도시가스관, 전기배관등)이 매설되었을 경우, 그 위치에서 분기관을 적절하게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지하에 매설되는 설비로는 상기 상수도용 주철관 뿐만이 아니라, 가스관이나 전선배관, 통신케이블 등 타설비 들도 매설되어 있는 곳이 많다는 것이 현실임을 고려할 때, 불가피하게 타설비들이 매설된 곳에서 수도관을 분기할 때는 다른설비관을 우회하여 분기해야 한다.
위와 같이, 상기 분기밸브(3)는 주관(1)의 수직선(100)과 평행되게 설치되어야 핸들(6)을 조작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는 부단수 천공기(4)나 분기관 설치작업이 지면(지면이 경사면이 아닌 수평면일 경우)과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작업을 해야하나 주관(1)과 수평선상을 이루는 위치에 다른 설비관이 매설되었을 경우, 그 간섭때문에 부단수 천공기(4)의 작업이 불가능하거나 분기관의 매설이 곤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분기밸브의 핸들축에 유니버셜 커플링을 설치하여 핸들축의 위치(각도)를 항상 수직 상태를 이루게 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주관(상수도 관)의 천공작업과 분기관의 설치작업을 가능하도록 한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분기밸브의 동력 전달축을 핸들축과 밸브축으로 분할하고 이 두 축을 유니버셜 커플링으로 결합함으로써, 분기관의 수평상태 여부와 상관 없이 핸들의 위치(각도)를 주관의 수직선과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관의 수평위치에 매설된 다른 설비를 우회하여 분기작업과 분기관을 매설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a)는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및 부단수 천공기의 사용상태 사시도,
(b)는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및 부단수 천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새들붙이 밸브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상태의 사시도 이다.
도 3 의 (a)(b)(c)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전환 가이드관의 각도변경 과정을 나타낸 일예의 단면설명도,도 4 의 (a)(b)(c)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전환 가이드관의 각도변경 과정을 나타낸 다른 예의 단면도,도 5 는 본 고안의 요부인 상·하측가이드관과 지지관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주관, 2 - 새들,
3 - 분기밸브, 4 - 부단수 천공기,
5 - 보울트, 6 - 핸들,
7 - 지면, 10 - 핸들축,
12 - 밸브축, 14 - 유니버셜 커플링,
16 - 방향전환 가이드관, 18 - 요크,
20 - 스파이더, 22 - 상측가이드관,
23 - 하측가이드관, 24 - 지지관,26,30 - 장공, 28 - 결합턱,32 - 볼록유도구, 36 - 보울트,38 - 너트, 40 - 받침면,42 - 오목유도구.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분기밸브(4)의 동력전달축을 핸들축(10)과 밸브축(12)으로 분리하고, 상기 핸들축(10)과 밸브축(12)을 유니버셜 커플링(14)으로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게 하며, 상기 핸들축(10)은 유니버셜 커플링(14)에 의해 주관(1)의 수직선(100)과는 평행을 이루고, 주관(1)의 수평선(102)과는 직각을 이루며, 상기 유니버셜 커플링(14)은 방향전환 가이드관(16)에 의해 감싸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방향전환 가이드관(16)은 동일한 엇각의 경사면을 갖는 상·하측가이드관(22)(23)으로 이루어지고, 이 상·하측가이드관(22)(23)의 상·하측에 지지관(24)을 설치하여, 방향전환 가이드관(16)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관(24)은 그 단부에 장공(26)을 갖는 결합턱(28)이 형성되고, 이 결합턱(28)에 볼록한 곡면과 장공(30)을 갖는 볼록유도구(32)와, 이 볼록유도구(32)의 곡면을 따라 이동되는 오목한 곡면과 보울트(36)나 너트(38)가 안착되는 받침면(40)을 갖는 오목유도구(42)가 마련되어, 상기 상·하측가이드관(22)(23)의 경사가 변경되더라도 보울트(36)가 관통되어 결합턱(28)에 너트(38)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새들붙이 밸브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상태의 사시도이고, 예시도면 도 3 의 (a)(b)(c)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전환 가이드관의 각도변경 과정을 나타낸 일예의 단면도이고, 도 4 의 (a)(b)(c)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전환가이드관의 각도변경 과정을 나타낸 다른 예의 단면도로서, 유니버셜 커플링을 응용하여 핸들의 위치조정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주관으로 부터의 분기구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천공작업 및 분기관의 우회가 가능토록 하였다.예시도면 도 5 는 본 고안의 요부인 상·하측가이드관과 지지관의 분해사시도이다.
즉, 유니버셜 커플링(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2개의 축이 요크(18)와 스파이더(20)로 결합되어 일정한도 내에서 분할된 축의 위치와 그 각도에 구속되지 않고 회전력이 전달되는 결합방식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유니버셜 커플링(14)을 분기밸브(3)를 개폐시키는 회전축에 응용한 것으로, 상기 회전축을 핸들축(10)과 이 핸들축(1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밸브축(12)으로 분할 하고, 이것을 유니버셜 커플링(14)으로 결합함으로써 핸들의 위치와 각도에 관계없이 핸들의 구동력을 밸브로 전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 결과로써, 부단수 천공기(4)를 주관(1)의 수평선(102)상에 위치한 다른 설비를 회피하면서 작업시킬 때, 핸들(6)의 수직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자유롭게 작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다른 설비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분기관의 매설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니버셜 커플링(14)의 주변에는 방향전환 가이드관(16)이 설치되어 부품을 보호하도록 하였으며, 방향전환 가이드관(16)에 의해 핸들(6)의 위치조정 후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여기서, 방향전환 가이드관(16)은 동일한 엇각의 경사면을 갖는 상측가이드관(22)과 하측가이드관(2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하측가이드관(22)(23)에 의해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즉, 접하는 면이 동일한 엇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측가이드관(22)과 하측가이드관(23)이 예시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관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하측가이드관(23)을 회전시키면 예시도 3 의 (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가이드관(23)의 각도가 우측으로 변경되어 방향전환가이드관(16)은 곡관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예시도 4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관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상측가이드관(23)을 회전시키면 예시도 4 의 (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가이드관(23)의 각도가 좌측으로 변경되어 방향전환가이드관(16)은 곡관형태를 이루게 된다.한편, 이러한 각도의 변경에 따른 상·하측가이드관(22)(23)의 지지를 위해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며, 이것으로는 예시도 5 에 표현된 바와 같이 지지관(24) 등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관(24)은 상기 상·하측가이드관(22)(23)의 단부에 보울트(36)와 너트(38)로 체결되어져 상·하측가이드관(22)(23)을 구속시키며, 이를 위해 지지관(24)의 단부에 장공(26)을 갖는 결합턱(28)이 형성되어져 각도의 변경에 따른 융통성을 부여했으며, 이 결합턱(28)에 볼록유도구(32)와 오목유도구(42)가 위치되어진 다음 보울트(36)와 너트(38)로 체결되도록 하였다.
상기 볼록유도구(32)와 오목유도구(42) 역시 상·하측가이드관(22)(23)에 의하여 각도가 변경되더라도 보울트(36)가 확실히 지지관(24)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결합턱(28)에 볼록한 곡면을 갖는 볼록유도구(32)와 이 볼록유도구(32)의 곡면을 따라 이동되는 오목한 곡면을 갖는 오목유도구(42)가 마련되어져 각도가 변경되더라도 오목유도구(42)가 이동되고, 상기 오목유도구(42)의 상단부에는 보울트(36)와 너트(38)가 결합되는 평면인 받침면(40)을 갖추고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분기밸브를 이용한 분기작업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주관(1)의 수평선(102)주위에 다른 설비가 매설되어 있고, 그 위치가 근접되어 부단수 천공기(4)의 수평작업위치가 곤란한 경우, 매설된 다른설비를 피한 적정각도를 결정하여 새들(2) 개방부의 장착위치를 결정하고 보울트(5)로 새들(2)을 주관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분기밸브(3)와 부단수 천공기(4)의 프랜지를 보울트결합시켜 일체를 이루게 하고, 이어서 분기밸브(3)의 일단을 새들(2)에 보울트결합시켜서 천공기(4)를 설치한 다음 천공작업을 실시하며, 천공작업이 완료된 후 핸들(6)의 수직위치를 주관(1)의 수직선(100)과는 평행을 이루도록 조정한다.
이때, 핸들(6)의 수직위치(각도)는 상·하측가이드관(22)(23)으로 이루어진 방향전환 가이드관(16)에 의해 수직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핸들축(10)과 밸브축(12)이 엇갈리더라도 상기 유니버셜 커플링(14)에 의해 핸들(6)의 동력이 밸브에 전달되어 밸브의 개폐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분기밸브(3)의 동력 전달축을 핸들축(10)과 밸브축(12)으로 분할하고, 이 두 축을 유니버셜 커플링(14)으로 결합함으로써, 분기관의 우회와 상관 없이 핸들의 수직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관(1)의 수평위치에 매설된 다른 설비를 피하여 분기작업과 분기관을 매설할 수 있으므로, 분기밸브(3)의 설치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분기밸브(4)의 동력핸들축을 핸들축(10)과 밸브축(12)으로 분리하고, 상기 핸들축(10)과 밸브축(12)을 유니버셜 커플링(14)으로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게 하며, 상기 핸들축(10)의 각도를 주관(1)의 수평선과 항상 직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유니버셜 커플링(14)을 방향전환 가이드관(16)으로 감싸주도록 이루어진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방향전환 가이드관(16)은 동일한 엇각의 경사면을 갖는 상·하측가이드관(22)(23)으로 이루어지고, 이 상·하측가이드관(22)(23)의 상·하측에 지지관(24)을 설치하여, 방향전환가이드관(16)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관(24)은 그 단부에 장공(26)을 갖는 결합턱(28)이 형성되고, 이 결합턱(28)에 볼록한 곡면과 장공(30)을 갖는 볼록유도구(32)와, 이 볼록유도구(32)의 곡면을 따라 이동되는 오목한 곡면과 보울트(36)나 너트(38)가 안착되는 받침면(40)을 갖는 오목유도구(42)가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관(22)의 경사가 변경되더라도 보울트(36)가 관통되어 결합턱(28)에 너트(38)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KR2019990007045U 1999-04-28 1999-04-28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KR200288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045U KR200288033Y1 (ko) 1999-04-28 1999-04-28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045U KR200288033Y1 (ko) 1999-04-28 1999-04-28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092U KR20000020092U (ko) 2000-11-25
KR200288033Y1 true KR200288033Y1 (ko) 2002-09-05

Family

ID=5476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045U KR200288033Y1 (ko) 1999-04-28 1999-04-28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0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218Y1 (ko) * 2000-04-07 2000-09-15 김제현 부단수 천공용 제수변
KR102574654B1 (ko) 2021-02-16 2023-09-06 주연산업 주식회사 검체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092U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4656A1 (en) Existing pipe cut-off method, existing pipe slitting method, piping structure, and valve insertion method for inserting a valve in a line without stopping passage of water or fluid
WO1999066243A3 (en) Pipe tapping
US4719936A (en) Method of hot tapping type branching and split joint used therein
KR102023538B1 (ko)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KR200288033Y1 (ko)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JP3682031B2 (ja) 配管分岐弁装置及びその分岐方法
JP2018159397A (ja) 仕切弁および仕切弁設置方法
KR100337135B1 (ko) 수평형 천공기
WO2007135873A1 (ja) 分岐管接続装置と分岐管接続工法
GB2575727A (en) Under-pressure tapping and access assembly for pressurized pipe
KR100524195B1 (ko) Pe 활관용 다기능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플러깅 방법
EP2000627A2 (en) Directional boring machine for drilling underground ducts
KR200393950Y1 (ko) Pe 활관용 다기능 천공기
JP3218084B2 (ja) 管接続装置
JPH09234699A (ja) 大口径管の穿孔機用穿孔案内装置
JP2016017608A (ja) 管ユニット
JP2004204940A (ja) サドル分水栓
JP7208671B2 (ja) 仕切弁設置方法
KR0138875Y1 (ko) 가스 배관용차단기
JP4459076B2 (ja) 鋼管削進機
JP5918931B2 (ja) 穿孔手段
KR200204756Y1 (ko) 부단수 천공용 제수변
KR200426369Y1 (ko) 컨트롤 밸브용 밸브 디스크
KR930011585B1 (ko) 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JP2002022085A (ja) 分岐管取付配管部材と分岐管取付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