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538B1 -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538B1
KR102023538B1 KR1020190085799A KR20190085799A KR102023538B1 KR 102023538 B1 KR102023538 B1 KR 102023538B1 KR 1020190085799 A KR1020190085799 A KR 1020190085799A KR 20190085799 A KR20190085799 A KR 20190085799A KR 102023538 B1 KR102023538 B1 KR 102023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derground buried
buried pipe
sperm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석
Original Assignee
신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중매설관에 결합된 할정자관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 견인장비의 사용없이 회전동작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이송부를 이용하여 할정자관을 지중매설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지중매설관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지중매설관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할정자관과, 상기 할정자관과 지중매설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과, 지중매설관에 설치된 할정자관에 조립되어 지중매설관에 구멍을 가공하는 천공기로 이루어진 천공부; 상기 할정자관의 인접한 곳에 위치하도록 지중매설관에 설치되며, 상기 할정자관과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어 할정자관을 회전시킴으로써 천공기에 의해 천공된 구멍을 지중매설관의 원주방향으로 연장시키는 가공이 이루어지게 하는 회전동작부; 및 상기 할정자관을 지중매설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부는, 지중매설관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동작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할정자관이 함께 거동하도록 랙기어의 선단과 할정자관을 결합시키는 결속구; 및 상기 회전동작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랙기어와 맞물린 채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랙기어를 지중매설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가 구비된 이송부 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Boring machine for installing resilient seated gate valve}
본 발명은 단수없이 지중매설관에 구멍을 가공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매설관에 결합되어 지중매설관에 구멍을 가공하는 천공부와, 상기 천공부에 의한 천공작업 시 천공부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동작부와, 구멍의 가공이 완료된 후 천공부를 지중매설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동작부와 이송부가 하나의 단위체로 형성되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수밸브는 상수관이나 하수관과 같이 지중에 매설되어 유체의 수송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지중매설관에 설치되어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로서, 지중매설관의 청소나 수리 또는 급수관이나 하수관의 분기 공사 시 지중매설관의 유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수밸브는 지중매설관과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가 좌우 양측에 구비되고 좌우 양측의 플랜지를 연결하는 유동로가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유동로를 개폐하는 디스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밸브하우징과 디스크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형태의 제수밸브를 지중매설관에 추가적으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해당 구간에 대한 단수가 요구됨에 따라 단수지역 주민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단수하지 않고 제수밸브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부단수 장치 및 공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일예가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부단류 장치 및 부단류 공법에 관한 문헌으로, 상기 부단류 장치는 기설관의 둘레방향으로 분할되어 서로 결합되면서 기설관을 감싸는 제1,2분할 케이스로 이루어진 밀폐 케이스와, 상기 밀폐 케이스와 기설관의 사이를 밀봉하는 고무 패킹과, 상기 제1분할케이스에 설치되는 천공기와, 상기 천공기가 분리된 제1분할케이스에 설치되어 기설관의 유로를 차단하는 칸막이 밸브체를 수용하는 밸브 덮개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무 패킹은 천공기에 의한 기설관의 천공작업 시 그 주위에 둘러싸면서 밀봉하여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제1밀봉영역과, 상기 천공기를 분리하고 밸브 덮개를 제1분할케이스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천공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밀봉하는 제2밀봉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특허문헌1에 따른 부단류 장치는 천공기를 이용하여 제1밀봉영역의 안쪽에 구멍을 천공하는 작업을 실시하고, 구멍의 천공작업이 완료되면, 밀폐 케이스와 천공기를 기설관의 관축방향(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밀봉영역이 천공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밀봉하도록 한 뒤, 밀폐 케이스에 조립된 천공기를 분리하고, 그 자리에 밸브 덮개를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일련이 작업이 완료되면, 제1밀봉영역이 다시 천공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밀폐 케이스와 밸브 덮개를 기설관의 관축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처럼 특허문헌1에 개시된 부단류 장치는 천공기를 분리하고 밸브 덮개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기설관에 천공된 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별도의 밸브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유체의 누설방지를 위해 기설관에 견고하게 설치된 밀폐 케이스를 관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큰 힘이 요구되므로, 별도 견인장비를 설치하고 해체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22971호(2015.05.26.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906108호(2015.05.26.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매설관에 결합된 할정자관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 견인장비의 사용없이 회전동작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이송부를 이용하여 할정자관을 지중매설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중매설관에 1차적으로 천공작업을 실시하도록 천공툴에 마련된 드릴부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천공작업 시 발생되는 수압 및 칩이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천공작업이 가능한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할정자관과 지중매설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밀구조를 형성하는 두 가스켓의 어긋남이 자연적으로 방지되도록 이루어져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고, 두 가스켓에 의해 구현되는 수밀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할정자관을 체결하는 볼트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의 머리부분에 설치되는 부식방지캡의 설치가 용이하고, 부식방지캡의 이탈이 방지되며, 부식방지캡과 체결볼트 사이의 전기적 흐름을 원활히 하여 볼트의 부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지중매설관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지중매설관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할정자관과, 상기 할정자관과 지중매설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과, 지중매설관에 설치된 할정자관에 조립되어 지중매설관에 구멍을 가공하는 천공기로 이루어진 천공부; 상기 할정자관의 인접한 곳에 위치하도록 지중매설관에 설치되며, 상기 할정자관과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어 할정자관을 회전시킴으로써 천공기에 의해 천공된 구멍을 지중매설관의 원주방향으로 연장시키는 가공이 이루어지게 하는 회전동작부; 및 상기 할정자관을 지중매설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부는, 지중매설관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동작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할정자관이 함께 거동하도록 랙기어의 선단과 할정자관을 결합시키는 결속구; 및 상기 회전동작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랙기어와 맞물린 채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랙기어를 지중매설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가 구비된 이송부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천공기는, 구멍을 가공하도록 이루어진 천공툴; 및 상기 천공툴을 회전시키면서 지중매설관의 직경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중매설관에 구멍을 가공하도록 이루어진 천공기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천공툴은, 지중매설관의 표면을 파고들면서 지중매설관에 구멍을 가공하는 드릴부; 상기 드릴부의 주위에 하나 이상의 제1절삭팁을 설치한 것으로 이루어져 드릴부에 의해 가공된 구멍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제1확장가공부; 상기 제1절삭팁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제2절삭팁을 설치한 것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멍을 지중매설관의 원주방향으로 연장시키는 제2확장가공부; 및 상기 제2확장가공부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제3절삭팁으로 이루어져 구멍의 외측 모서리에 생기는 거스러미를 제거하는 모따기가공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한편 상기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릴부의 선단면으로부터 드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드릴부에 의한 구멍의 가공 시 지중매설관 내 유체의 일부가 드릴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드릴부에 작용하는 수압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배출통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와 회전동작부에 각각 설치되어 천공부와 회전동작부의 기울기를 수치로 나타내는 디지털 각도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할정자관은, 지중매설관의 둘레방향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며 서로 결합되면서 지중매설관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제1,2할정자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스켓은, 제1할정자관과 지중매설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가스켓과, 제2할정자관과 지중매설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가스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2할정자관의 내주면은 제1,2가스켓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실링영역과, 지중매설관에 천공되는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는 가공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가공영역에는 퇴수 가이드가 형성되되, 상기 퇴수 가이드는 가공영역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중매설관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가공영역의 내주면과 지중매설관의 사이에 퇴수공간을 확보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천공기의 분리 후 할정자관에 조립되는 제수밸브의 디스크가 천공 구멍을 통해 지중매설관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디스크의 양측에서 디스크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할정자관은, 지중매설관의 둘레방향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며 서로 결합되면서 지중매설관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제1,2할정자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할정자관은 머리부분에 철 보다 저전위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식방지캡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 체결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를 갖는 이탈방지용 오목부가 두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용 오목부와 평행하도록 수평한 자세를 갖는 삼각기둥 형태의 뾰족부가 상단부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레일 형태의 삽입부가 체결볼트의 머리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용 오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볼록하게 돌출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이탈방지용 볼록부 및 라운드 형태로 둥글게 가공된 라운드 가공부가 내측면에 형성된 피삽입부가 부식방지캡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와 피삽입부의 결합 시, 뾰족부의 뾰족한 상단부가 라운드 가공부를 파고들면서 삽입부와 피삽입부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제1가스켓과 제2가스켓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가스켓과 제2가스켓이 서로 결합되어 지중매설관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1,2가스켓은, 서로 평행한 채로 이격되게 배치된 두 평행부와, 상기 두 평행부를 연결하되 지중매설관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형의 구조로 굽어지게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지중매설관 외주면에 밀착되는 연결부의 안쪽부분은 V형의 단면을 갖되, V형의 뾰족한 끝단이 둥글게 가공되어 V형 라운드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할정자관에 밀착되는 외측면에는 연결부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지수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가스켓이 지중매설관을 감싸도록 배치될 때 서로 마주하게 되는 평행부의 표면에는 사각형의 구조를 갖는 다수의 사각홈이 분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2가스켓에 형성된 사각홈으로 삽입되면서 제1,2가스켓을 결속하는 다수의 고정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구는 중앙 허리부분이 잘록하게 들어간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상단 절반이 제1가스켓의 사각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나머지 하단 절반이 제2가스켓의 사각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제1,2가스켓이 정위치에서 서로 마주한 채로 결합되게 유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구조를 갖는 다수의 절개부가 고정구의 원주둘레에 분산되게 형성되어 고정구와 가스켓의 결합 시 가스켓의 일부가 절개부로 삽입되면서 고정구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동작부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 이송부를 이용하여 할정자관을 지중매설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고, 신속한 작업의 진행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구멍의 천공과 확장 및 모따기 작업을 한 번의 공정으로 완료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중매설관에 구멍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드릴부에 형성된 배출홀을 통해 유체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수압에 의해 드릴부에 작용하는 저항이 감소하며, 이에 따라 천공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공부와 회전동작부에 설치된 디지털 각도계를 이용하여 천공부와 회전동작부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수치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천공부와 회전동작부를 지중매설관에 설치하는 세팅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고, 구멍 가공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켓에 형성된 사각홈과 고정구를 이용하여 제1,2가스켓이 어긋남 없이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안정된 수밀구조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볼트와 부식방지캡을 쉽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볼트와 부식방지캡을 긴밀하게 밀착시켜 부식방지캡에 의한 부식방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부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할정자관과 가스켓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할정자관이 지중매설관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볼트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와 피삽입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가스켓의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의 연결부의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가 제1,2가스켓의 사각홈에 삽입되어 제1,2가스켓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의 측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툴의 측면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동작부에 구비된 스프라켓이 체인을 매개로 할정자관에 결속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랙기어와 할정자관이 결속구에 의해 결속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랙기어와 할정자관이 결속구에 의해 결속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에 의해 천공부가 이동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부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의 측면도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부의 정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할정자관과 가스켓의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할정자관이 지중매설관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볼트의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부와 피삽입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가스켓의 사시도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의 연결부의 단면도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사시도를,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가 제1,2가스켓의 사각홈에 삽입되어 제1,2가스켓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기의 측면도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툴의 측면도를,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동작부에 구비된 스프라켓이 체인을 매개로 할정자관에 결속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랙기어와 할정자관이 결속구에 의해 결속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랙기어와 할정자관이 결속구에 의해 결속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를,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에 의해 천공부가 이동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부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는 천공부(100)와 회전동작부(200) 및 이송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천공부(100)는 지중매설관(P)에 구멍을 가공하는 것으로, 할정자관(110)과 가스켓(120) 및 천공기(130)로 구성된다.
상기 할정자관(110)은 제1할정자관(111)과 제2할정자관(112)으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1할정자관(111)은 지중매설관(P)의 상단 절반부를 감싸는 반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할정자관(112)은 지중매설관(P)의 하단 절반부를 감싸는 반원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제1할정자관(111)과 제2할정자관(112)이 지중매설관(P)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면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할정자관(111)에는 천공기(130)의 설치를 위한 메인 플랜지(1111)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랜지(1111)는 사각 또는 원형의 구조로써, 지중매설관(P)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중앙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천공기(130)에 마련된 천공툴(131)이 메인 플랜지(1111)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할정자관(1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지중매설관(P)에 구멍을 가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할정자관(111)에는 제2할정자관(112)과의 결속을 위한 체결볼트(140)가 체결되는 제1플랜지(1112)가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플랜지(1112)는 수평한 자세로 배치된 제1할정자관(111)의 좌우 양측단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할정자관(111)의 내주면은 실링영역(A2)과 가공영역(A1)으로 구분되며, 상기 실링영역(A2)에 가스켓(120)이 결합되어 수밀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가공영역(A1)은 천공기(130)에 의한 지중매설관(P)의 천공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당부분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공영역(A1)은 지중매설관(P)에 천공되는 구멍의 주위에 위치하며, 이러한 가공영역(A1)의 내주면에는 퇴수 가이드(1113)가 형성된다.
상기 퇴수 가이드(1113)는 가공영역(A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중매설관(P)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되, 서로 이격된 구조를 갖는 2개의 돌기가 한 조를 이루면서 퇴수 가이드(1113)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할정자관(111)의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의 퇴수 가이드(1113)가 형성된다.
이처럼 2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퇴수 가이드(1113)는 제1할정자관(111)의 내주면이 지중매설관(P)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가공영역(A1)의 내주면과 지중매설관(P)의 사이에 퇴수공간(S)을 확보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또한 천공기(130) 작업의 완료 후 메인 플랜지(1111)에 조립되는 제수밸브의 디스크가 지중매설관(P)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2개의 돌기가 디스크의 전후에서 디스크를 지지하면서 디스크의 편심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퇴수 가이드(1113)를 형성하는 2개의 돌기는 디스크의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할정자관(112)에는 제1플랜지(1112)와 결합되는 제2플랜지(1121)가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1121)는 수평한 자세의 제2할정자관(112)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단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할정자관(112)의 하단부에는 미도시된 배수밸브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할정자관(112)에 있어서, 제2할정자관(112)의 내주면은 제1할정자관(111)과 동일하게 실링영역(A2)과 가공영역(A1)으로 구분되며, 가공영역(A1)의 내주면에 제1할정자관(111)의 퇴수 가이드(1113)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퇴수 가이드(11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2할정자관(111,112)은 지중매설관(P)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이때 제1플랜지(1112)와 제2플랜지(1121)가 서로 마주하게 되므로, 제1,2플랜지를 체결볼트(140)로 결속시킴으로써 제1,2할정자관(111,112)을 지중매설관(P)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할정자관(111,112)을 결속시키는 체결볼트(14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캡(150)이 체결볼트(140)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식방지캡(150)은 체결볼트(140)를 구성하는 철 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저전위 금속(ex:아연합금)으로 이루어져 체결볼트(140) 보다 먼저 부식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체결볼트(140)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부식방지캡(150)을 체결볼트(140)에 손쉽게 설치하고, 부식방지캡(150)이 체결볼트(140)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141)와 피삽입부(151)가 체결볼트(140) 및 부식방지캡(150)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부(141)는 체결볼트(140)의 머리부분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되, 오목하게 함몰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 이탈방지용 오목부(142)가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한 두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용 오목부(142)와 평행하도록 수평한 자세를 가지며 삼각기둥 형태의 뾰족부(143)가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삽입부(141)는 전체적으로 수평한 자세의 레일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삽입부(151)는 삽입부(141)가 측면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부식방지캡(150)의 하단 측면부에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탈방지용 오목부(142)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 이탈방지용 볼록부(152)가 내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삽입부(151)의 상단부에는 라운드 형태로 둥글게 가공된 라운드 가공부(153)가 형성되며, 삽입부(141)가 피삽입부(151)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뾰족부(143)의 상단이 피삽입부(151)의 라운드 가공부(153)를 파고들면서 억지끼워맞춤의 형태로 결속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삽입부(141)와 피삽입부(151)는 이탈방지용 오목부(142)와 이탈방지용 볼록부(152)의 결합 그리고 뾰족부(143)와 라운드 가공부(153)의 결합에 의해 넓은 면적으로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피삽입부(151)에 결합된 삽입부(141)가 피삽입부(15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적 흐름을 원활히 하여 체결볼트(140)의 부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부식방지캡(150)과 밀착되는 체결볼트(140)의 머리부분 상면(140a)을 위쪽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테이퍼 구조로 하여 전위가 체결볼트(140)로부터 부식방지캡(150)으로 잘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켓(120)은 할정자관(110)과 지중매설관(P)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수밀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1할정자관(111)과 지중매설관(P)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가스켓(121)과, 제2할정자관(112)과 지중매설관(P)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가스켓(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가스켓(121)은 서로 이격된 채로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두 평행부(1211)와, 상기 두 평행부(1211)를 연결하되 지중매설관(P)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원호형으로 굽어진 다수의 연결부(121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두 평행부(1211)는 제1할정자관(111)에 형성된 제1플랜지(1112)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1212)는 제1할정자관(111)의 내주면에 구성되는 실링영역(A2)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두 평행부(1211)를 연결하도록 원호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연결부(1212)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두 평행부(1211)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지중매설관(P)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수밀구조를 형성하는 연결부(1212)의 안쪽부분은 V형의 단면을 갖되, V형의 뾰족한 끝단이 둥글게 가공되어 V형 라운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할정자관(111)에 밀착되는 연결부(1212)의 외측면은 제1할정자관(111)의 내주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평탄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평탄한 외측면에는 다수의 지수홈(12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수홈(1213)은 연결부(1212)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연결부(1212)의 외측면 상에서 서로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1212)의 V형 라운드 구조에 `의하면, 제1,2할정자관(111,112)의 결합에 의해 제1가스켓(121)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가스켓(120)의 안쪽부분이 퍼지면서 겹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지수면적이 증가되어 누수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수홈(1213)에 의하면, 제1할정자관(111)과 제1가스켓(121)의 사이에 다중 구조의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제1할정자관(111)과 제1가스켓(121)의 사이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가스켓(121)이 제2가스켓(122)과 정확히 서로 마주한 채로 밀착되면서 안정된 수밀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다수의 사각홈(1214)이 상기 평행부(1211)의 표면에 더 형성되고, 상기 사각홈(1214)에 결합되면서 제1,2가스켓(121,122)이 정위치에서 정렬되도록 유도하는 다수의 고정구(12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각홈(1214)이 형성되는 평행부(1211)의 표면은 제1,2가스켓(121,122)이 지중매설관(P)을 감싸도록 배치될 때 서로 마주하게 되는 면이고, 상기 사각홈(1214)은 정사각형의 형태로 평행부(1211)의 표면으로부터 고정구(123) 높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가스켓(122)은 서로 이격된 채로 평행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두 평행부(1221)와, 상기 두 평행부(1221)를 연결하되 지중매설관(P)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원호형으로 굽어진 다수의 연결부(122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가스켓(122)에는 지수홈(1223)과 사각홈(1224)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2가스켓(122)의 구성은 제1가스켓(121)과 동일하므로, 제2가스켓(12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구(123)는 중앙 허리부분이 잘록하게 들어간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 절반이 제1가스켓(121)의 사각홈(1214)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하단 절반이 제2가스켓(122)에 형성된 사각홈(1224)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구(123)는 사각홈(1214)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기둥으로 이루어져 사각홈(1214)을 강제로 파고드는 형태로 사각홈(1214)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잘록한 중앙의 허리부분은 고정구(123)의 원주둘레를 따라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은 홈(1231)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123)의 원주둘레에는 고정구(123)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절개부(1232)가 형성되며, 제1,2가스켓(121,122)과 고정구(123)의 결합 시 고무로 이루어진 제1,2가스켓(121,122)의 일부가 고정구(123)에 형성된 절개부(1232)로 삽입되면서 고정구(123)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천공기(130)는 제1할정자관(111)에 형성된 메인 플랜지(1111)에 조립되어 지중매설관(P)에 구멍을 가공하는 것으로, 천공툴(131)과, 상기 천공툴(131)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천공기 본체(132)로 구성된다.
상기 천공툴(131)은 회전하면서 지중매설관(P)에 구멍을 가공하고, 가공된 구멍의 직경을 확장하며, 직경이 확장된 구멍을 지중매설관(P)의 원주방향으로 연장시키는 것과 함께 구멍의 모서리에 형성된 거스러미를 제거하는 가공을 실시할 수 있도록 드릴부(1311), 제1확장가공부(1312), 제2확장가공부(1313), 모따기가공부(1314)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공툴(131)은 천공기 본체(132)에 결합되어 천공기 본체(132)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원기둥 형태의 툴몸체(131a)와, 상기 툴몸체(131a)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되 툴몸체(131a)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중매설관(P)의 표면을 파고들면서 지중매설관(P)에 구멍을 가공하는 드릴부(1311)와, 상기 드릴부(1311)의 주위에 하나 이상의 제1절삭팁(1312a)이 위치하도록 툴몸체(131a)에 제1절삭팁(1312a)을 설치한 것으로 이루어져 드릴부(1311)에 의해 가공된 구멍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제1확장가공부(1312)와, 상기 제1절삭팁(1312a)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제2절삭팁(1313a)이 위치하도록 툴몸체(131a)에 제2절삭팁(1313a)을 설치한 것으로 이루어져 제1확장가공부(1312)에 의해 직경이 확장된 구멍을 지중매설관(P)의 원주방향으로 연장시키는 제2확장가공부(1313)와, 상기 제2절삭팁(1313a)의 상부에 제3절삭팁(1314a)이 위치하도록 툴몸체(131a)에 제3절삭팁(1314a)을 설치하되 제3절삭팁(1314a)을 45도 경사진 자세로 설치한 것으로 이루어져 구멍의 외측 모서리에 생기는 거스러미를 제거하는 모따기가공부(1314)로 구성된다.
한편, 드릴날이 형성된 선단면으로부터 드릴부(1311)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출통로(1315)가 드릴부(1311)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통로(1315)는 툴몸체(131a)에 형성된 배출구와 연결된다.
이처럼 드릴부(1311)에 형성된 배출통로(1315)에 의하면, 드릴부(1311)에 의해 지중매설관(P)에 구멍이 가공되는 과정에서 지중매설관(P)으로부터 나오는 물이 배출통로(13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에 따라 드릴부(1311)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원활한 천공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확장가공부(1312)는 절삭날이 아래쪽으로 향하는 자세를 갖는 3개의 제1절삭팁(1312a)이 드릴부(1311)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툴몸체(131a)에 설치되어 구멍의 직경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확장가공부(1313)는 절삭날이 측면을 향하는 자세를 갖는 3개의 제2절삭팁(1313a)이 제1절삭팁(1312a)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져 천공툴(131)이 지중매설관(P)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중매설관(P)을 절삭가공하면서 구멍을 연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천공기 본체(132)는 천공툴(131)의 회전을 위한 모터를 포함하며, 천공툴(131)을 지지한 채로 제1할정자관(111)의 메인 플랜지(1111)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조립된다.
이러한 천공기 본체(132)는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천공툴(131)을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천공툴(131)을 지중매설관(P)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구멍을 가공하는 기능을 만족한다면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동작부(200)는 지중매설관(P)에 설치된 할정자관(110)과 천공기(130)를 지중매설관(P)의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중매설관(P)에 가공된 구멍을 원주방향으로 연장시키는 가공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지중매설관(P)에 설치된 할정자관(110)의 이웃한 곳에 위치하도록 지중매설관(P)에 설치되며, 체인(C)을 매개로 할정자관(110)과 연결되되,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체인(C)을 회전시키는 스프라켓(21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체인(C)의 일측 단부는 고정치구(220)에 의해 할정자관(110)에 고정되고, 반대쪽 단부는 스프라켓(210)을 경유하여 다시 고정치구(220)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치구(220)가 할정자관(110)에 고정되어 스프라켓(210)의 회전에 의한 체인(C)의 회전 시 할정자관(11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300)는 할정자관(110)에 설치된 천공기(130)를 분리하고 그 자리에 제수밸브를 설치하는 동안 지중매설관(P)에 가공된 구멍을 통해 나오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정자관(110)을 이동시켜 구멍의 주위에 수밀구조가 형성되게 하는 것으로, 랙기어(310)와 결속구(320) 및 이송부 본체(330)로 구성된다.
상기 랙기어(310)는 회전동작부(200)를 관통하되, 지중매설관(P)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동작부(2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지중매설관(P)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할정자관(11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속구(320)는 랙기어(310)와 할정자관(110)이 함께 거동하도록 랙기어(310)와 할정자관(110)을 결속하는 것으로, 랙기어(310)의 선단에 형성된 구멍(H1)에 삽입되어 랙기어(310)와 결합되는 제1결속봉(321)과, 할정자관(110)에 형성된 구멍(H2)에 삽입되어 할정자관(110)과 결합되는 제2결속봉(322)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 본체(330)는 랙기어(310)가 관통하도록 이루어진 회전동작부(200)의 한 쪽에서 회전동작부(200)와 일체형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랙기어(310)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331)와, 상기 피니언 기어(331)와 연결되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피니언 기어(331)를 회전시키는 구동축(332)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300)는 회전동작부(200)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랙기어(310)와 피니언 기어(331)의 단순한 조합을 통해 할정자관(11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에 있어서, 천공부(100)에는 천공부(100)의 자세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각도계(400)가 설치된다.
즉, 지중매설관(P)에 가공되는 구멍은 제수밸브의 디스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지중매설관(P)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이처럼 지중매설관(P)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을 설계값에 따른 정확한 값으로 가공해야만 안정된 수밀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각도계(400)를 천공부(100)에 설치할 경우, 천공부(100)의 회전각도를 설계값에 따른 범위로 제한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필요 없이 회전동작부(200)의 회전조작을 통한 천공부(100)의 회전 시 천공부(100)의 자세변화를 디지털 각도계(40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가공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구멍 가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14, 15에 표시된 도면부호 500은 지중매설관(P)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기준부이며, 상기 기준부(500)는 천공부(100)와 함께 지중매설관(P)에 설치되되, 천공부(100)의 한 쪽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이송부(300)에 의해 지중매설관(P)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 천공부(100)를 초기 위치로 다시 이동시킬 때 초기 위치에서 천공부(100)와 접촉하면서 천공부(10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함으로써, 천공부(100)를 초기위치로 정확히 복귀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지중매설관(P)에 구멍을 가공하고, 제수밸브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천공부(100)와 회전동작부(200) 및 기준부(500)를 지중매설관(P)에 설치한다. 이때 회전동작부(200)와 기준부(500)의 사이에 천공부(100)가 위치하며, 작업자는 천공부(100)에 설치된 디지털 각도계(400)를 이용하여 천공부(100)의 자세를 확인하면서 구멍의 가공에 요구되는 자세로 천공부(100)를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천공부(100)를 구성하는 제1,2할정자관(111,112) 및 제1,2가스켓(121,122)의 설치과정에서, 제1,2가스켓(121,122)의 사이에 고정구(123)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게 되면, 제1,2가스켓(121,122)은 고정구(123)에 의해 정위치에서 서로 마주하면서 수밀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제1,2할정자관(111,112)과 지중매설관(P)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밀구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천공부(100)와 회전동작부(200) 및 기준부(500)의 설치 및 세팅이 완료되면, 천공부(100)에 마련된 천공기(130)를 이용하여 지중매설관(P)에 구멍을 가공한다.
한편, 상기 천공기(130)에 구비된 천공툴(131)은 드릴부(1311)와, 제1확장가공부(1312)와, 제2확장가공부(1313)와 모따기가공부(1314)를 포함하여 구멍의 천공과 확장 및 거스러미 제거 작업을 한 번의 공정으로 완료하게 되며, 지중매설관(P)에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수압으로 인해 발생되는 저항을 배출통로(1315)를 통해 감소시킴으로써, 구멍의 천공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지중매설관(P)에 구멍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구멍으로부터 나오는 물과 칩은 할정자관(110)의 가공영역(A1) 내주면과 지중매설관(P)의 사이에 형성된 퇴수공간(S)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천공작업이 완료되면, 천공부(100)의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천공부(10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회전동작부(200)를 다시 고정시키고, 이송부(300)의 랙기어(310)를 할정자관(110)에 결합시킨 다음, 이송부(300)에 마련된 구동축(332)의 조작을 통해 피니언 기어(331)를 회전시키게 되면, 피니언 기어(331)의 회전에 의해 랙기어(310)가 이동하면서 할정자관(110) 및 천공기(130)를 지중매설관(P)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할정자관(110) 및 천공기(130)의 이동에 의해 할정자관(110)의 실링영역(A2)이 지중매설관(P)에 가공된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수밀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이후 천공기(130)를 할정자관(110)으로부터 분리하고, 그 자리에 제수밸브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제수밸브의 설치가 완료되면. 이송부(300)의 조작을 통해 할정자관(11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구멍의 천공과 제수밸브의 설치작업은 완료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천공부 110: 할정자관
111: 제1할정자관 1113: 퇴수 가이드
112: 제2할정자관 1122: 퇴수 가이드
120: 가스켓 121: 제1가스켓
1211: 평행부 1212: 연결부
1213: 지수홈 1214: 사각홈
122: 제2가스켓 1221: 평행부
1222: 연결부 1223: 지수홈
1224: 사각홈 123: 고정구
1232: 절개부 130: 천공기
131: 천공툴 1311: 드릴부
1312: 제1확장가공부 1312a: 제1절삭팁
1313: 제2확장가공부 1313a: 제2절삭팁
1314: 모따기가공부 1314a: 제3절삭팁
1315: 배출통로 132: 천공기 본체
140: 체결볼트 141: 삽입부
142: 이탈방지용 오목부 143: 뾰족부
150: 부식방지캡 151: 피삽입부
152: 이탈방지용 볼록부 153: 라운드 가공부
200: 회전동작부 300: 이송부
310: 랙기어 320: 결속구
330: 이송부 본체 331: 피니언 기어
400: 디지털 각도계

Claims (9)

  1. 지중매설관(P)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지중매설관(P)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할정자관(110)과, 상기 할정자관(110)과 지중매설관(P)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120)과, 지중매설관(P)에 설치된 할정자관(110)에 조립되어 지중매설관(P)에 구멍을 가공하는 천공기(130)로 이루어진 천공부(100);
    상기 할정자관(110)의 인접한 곳에 위치하도록 지중매설관(P)에 설치되며, 상기 할정자관(110)과 체인(C)을 매개로 연결되어 할정자관(110)을 회전시킴으로써 천공기(130)에 의해 천공된 구멍을 지중매설관(P)의 원주방향으로 연장시키는 가공이 이루어지게 하는 회전동작부(200); 및
    상기 할정자관(110)을 지중매설관(P)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부(300)는, 지중매설관(P)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동작부(2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랙기어(310); 상기 랙기어(310)와 할정자관(110)이 함께 거동하도록 랙기어(310)의 선단과 할정자관(110)을 결합시키는 결속구(320); 및 상기 회전동작부(2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랙기어(310)와 맞물린 채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랙기어(310)를 지중매설관(P)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331)가 구비된 이송부 본체(330);로 구성되고,
    상기 천공기(130)는, 구멍을 가공하도록 이루어진 천공툴(131); 및 상기 천공툴(131)을 회전시키면서 지중매설관(P)의 직경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중매설관(P)에 구멍을 가공하도록 이루어진 천공기 본체(132);로 구성되며,
    상기 천공툴(131)은, 지중매설관(P)의 표면을 파고들면서 지중매설관(P)에 구멍을 가공하는 드릴부(1311); 상기 드릴부(1311)의 주위에 하나 이상의 제1절삭팁(1312a)을 설치한 것으로 이루어져 드릴부(1311)에 의해 가공된 구멍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제1확장가공부(1312); 상기 제1절삭팁(1312a)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제2절삭팁(1313a)을 설치한 것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멍을 지중매설관(P)의 원주방향으로 연장시키는 제2확장가공부(1313); 및 상기 제2확장가공부(1313)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제3절삭팁(1314a)으로 이루어져 구멍의 외측 모서리에 생기는 거스러미를 제거하는 모따기가공부(13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릴부(1311)의 선단면으로부터 드릴부(1311)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드릴부(1311)에 의한 구멍의 가공 시 지중매설관(P) 내 유체의 일부가 드릴부(13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드릴부(1311)에 작용하는 수압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배출통로(13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100)와 회전동작부(200)에 각각 설치되어 천공부(100)와 회전동작부(200)의 기울기를 수치로 나타내는 디지털 각도계(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할정자관(110)은, 지중매설관(P)의 둘레방향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며 서로 결합되면서 지중매설관(P)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제1,2할정자관(111,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스켓(120)은, 제1할정자관(111)과 지중매설관(P)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가스켓(121)과, 제2할정자관(112)과 지중매설관(P)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가스켓(1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2할정자관(111,112)의 내주면은 제1,2가스켓(121,122)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실링영역(A2)과, 지중매설관(P)에 천공되는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는 가공영역(A1)으로 구분되고, 상기 가공영역(A1)에는 퇴수 가이드(1113,1122)가 형성되되,
    상기 퇴수 가이드(1113,1122)는 가공영역(A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중매설관(P)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가공영역(A1)의 내주면과 지중매설관(P)의 사이에 퇴수공간(S)을 확보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천공기(130)의 분리 후 할정자관(110)에 조립되는 제수밸브의 디스크가 천공 구멍을 통해 지중매설관(P)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디스크의 양측에서 디스크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할정자관(110)은, 지중매설관(P)의 둘레방향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며 서로 결합되면서 지중매설관(P)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제1,2할정자관(111,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할정자관(111,112)은 머리부분에 철 보다 저전위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식방지캡(150)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 체결볼트(140)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를 갖는 이탈방지용 오목부(142)가 두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용 오목부(142)와 평행하도록 수평한 자세를 갖는 삼각기둥 형태의 뾰족부(143)가 상단부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레일 형태의 삽입부(141)가 체결볼트(140)의 머리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용 오목부(142)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볼록하게 돌출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이탈방지용 볼록부(152) 및 라운드 형태로 둥글게 가공된 라운드 가공부(153)가 내측면에 형성된 피삽입부(151)가 부식방지캡(150)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41)와 피삽입부(151)의 결합 시, 뾰족부(143)의 뾰족한 상단부가 라운드 가공부(153)를 파고들면서 삽입부(141)와 피삽입부(151)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120)은 제1가스켓(121)과 제2가스켓(122)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가스켓(121)과 제2가스켓(122)이 서로 결합되어 지중매설관(P)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1,2가스켓(121,122)은, 서로 평행한 채로 이격되게 배치된 두 평행부(1211,1221)와, 상기 두 평행부(1211,1221)를 연결하되 지중매설관(P)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형의 구조로 굽어지게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1212,1222)로 이루어지며,
    지중매설관(P) 외주면에 밀착되는 연결부(1212,1222)의 안쪽부분은 V형의 단면을 갖되, V형의 뾰족한 끝단이 둥글게 가공되어 V형 라운드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할정자관(110)에 밀착되는 외측면에는 연결부(1212,1222)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지수홈(1213,12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2가스켓(121,122)이 지중매설관(P)을 감싸도록 배치될 때 서로 마주하게 되는 평행부(1211,1221)의 표면에는 사각형의 구조를 갖는 다수의 사각홈(1214,1224)이 분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2가스켓(121,122)에 형성된 사각홈(1214,1224)으로 삽입되면서 제1,2가스켓(121,122)을 결속하는 다수의 고정구(123);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구(123)는 중앙 허리부분이 잘록하게 들어간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상단 절반이 제1가스켓(121)의 사각홈(1214)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나머지 하단 절반이 제2가스켓(122)의 사각홈(1224)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제1,2가스켓(121,122)이 정위치에서 서로 마주한 채로 결합되게 유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23)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구조를 갖는 다수의 절개부(1232)가 고정구(123)의 원주둘레에 분산되게 형성되어 고정구(123)와 가스켓(120)의 결합 시 가스켓(120)의 일부가 절개부(1232)로 삽입되면서 고정구(123)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KR1020190085799A 2019-07-16 2019-07-16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KR10202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799A KR102023538B1 (ko) 2019-07-16 2019-07-16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799A KR102023538B1 (ko) 2019-07-16 2019-07-16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538B1 true KR102023538B1 (ko) 2019-09-24

Family

ID=68068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799A KR102023538B1 (ko) 2019-07-16 2019-07-16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5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966B1 (ko) 2022-02-16 2022-07-14 신진정공 주식회사 부식방지체가 구비된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회전 및 이송장치
KR20230027875A (ko) 2021-08-20 2023-02-28 신진정공 주식회사 차단밸브 착탈형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KR20230027879A (ko) 2021-08-20 2023-02-28 신진정공 주식회사 퇴수구 차단밸브 착탈형 다용도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KR20230027871A (ko) 2021-08-20 2023-02-28 신진정공 주식회사 차단밸브 착탈형 다용도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KR102558489B1 (ko) 2022-02-10 2023-07-20 김은석 부단수 소프트실 제수밸브 설치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부단수 소프트실 제수밸브 설치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993A (ja) * 1999-12-28 2001-07-10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流体輸送経路変更工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流体輸送経路変更装置
KR101522971B1 (ko) 2010-02-09 2015-05-26 가부시키가이샤 스이켄 부단류 장치 및 부단류 공법
KR101906108B1 (ko) 2018-04-11 2018-10-08 김제현 효율적인 회전 천공을 통한 관로의 천공 형성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993A (ja) * 1999-12-28 2001-07-10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流体輸送経路変更工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流体輸送経路変更装置
KR101522971B1 (ko) 2010-02-09 2015-05-26 가부시키가이샤 스이켄 부단류 장치 및 부단류 공법
KR101906108B1 (ko) 2018-04-11 2018-10-08 김제현 효율적인 회전 천공을 통한 관로의 천공 형성 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875A (ko) 2021-08-20 2023-02-28 신진정공 주식회사 차단밸브 착탈형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KR20230027879A (ko) 2021-08-20 2023-02-28 신진정공 주식회사 퇴수구 차단밸브 착탈형 다용도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KR20230027871A (ko) 2021-08-20 2023-02-28 신진정공 주식회사 차단밸브 착탈형 다용도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KR102553741B1 (ko) * 2021-08-20 2023-07-10 신진정공 주식회사 퇴수구 차단밸브 착탈형 다용도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KR102558489B1 (ko) 2022-02-10 2023-07-20 김은석 부단수 소프트실 제수밸브 설치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부단수 소프트실 제수밸브 설치방법
KR102420966B1 (ko) 2022-02-16 2022-07-14 신진정공 주식회사 부식방지체가 구비된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회전 및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538B1 (ko) 부단수 소프트 실 제수밸브 설치용 천공장치
KR100525719B1 (ko) 기설관 절삭공법, 배관구조 및 밸브 삽입공법
JP6029881B2 (ja) 分岐装置
JP4642511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仕切弁設置方法及び仕切弁設置装置
JP6829792B2 (ja) 不断流工法および装置
WO2016120961A1 (ja) 不断流工法
JPH0459514B2 (ko)
JP4916769B2 (ja) 分岐管接続装置と分岐管接続工法
JP2016098920A (ja) 管接続部材設置装置
JP3474484B2 (ja) 不断流バルブ挿入工法および不断流バルブ挿入装置
JP2000088173A (ja) 配管構造、既設管切削工法、不断流バルブ挿入工法、仕切弁体および不断流挿入用バルブ装置
JP5964574B2 (ja) 作業具導入方法及びその際に用いられる取付具
TWI801865B (zh) 流量限制器的設置方法及具有流量限制器的流體控制裝置
JP4086838B2 (ja) 既設管の弁設置設備
JP2019070445A (ja) 弁装置
JP5103148B2 (ja) 分岐管接続工法及び分岐管接続装置
JP2023024545A (ja) 流体管の切除方法
JP6665001B2 (ja) 仕切弁
JP2013130252A (ja) 流体管穿設方法
JP6118881B2 (ja) 取付構造
JP5832929B2 (ja) 流体管分岐装置及び流体分岐方法
JP4516666B2 (ja) 不断流装置および工法
JP4642521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JP4642522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JP7485563B2 (ja) 管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