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654B1 - 검체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 Google Patents

검체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654B1
KR102574654B1 KR1020210020744A KR20210020744A KR102574654B1 KR 102574654 B1 KR102574654 B1 KR 102574654B1 KR 1020210020744 A KR1020210020744 A KR 1020210020744A KR 20210020744 A KR20210020744 A KR 20210020744A KR 102574654 B1 KR102574654 B1 KR 102574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storage container
silica
hydrophobic
liquid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7076A (ko
Inventor
전명순
Original Assignee
주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654B1/ko
Publication of KR2022011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6Surface properties and coatings
    • B01L2300/161Control and use of surface tension forces, e.g. hydrophobic, hydrophilic
    • B01L2300/165Specific details about hydrophobic, oleophobic su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헤드부, 몸통부 및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며, 검체 및 액체 배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검체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내부 공간에 소수화된 실리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소수성 조성물로 형성된 소수성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검체 및 액체 배지가 내부 공간에 부착되는 현상을 최소화한, 검체 보관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검체 보관 용기를 포함함에 따라,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검체 진단검사에서, 검체 및 액체 배지의 손실이 억제되어, 우수한 검진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검체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CONTAINER FOR PRESERVING SPECIMEN, AND KIT FOR SAMPLING AND PRESERVING OF A SPECIME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검체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체(檢體) 채취는 위생, 검역 등의 목적으로 세균을 포함한 미생물을 검사하기 위해 수행되는데,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검체의 채집 후 바로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통상적으로는 검체의 채집 직 후, 바로 검사를 실시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어, 대부분 채집된 검체는 적당한 환경에서 보존된 상태로 미생물 검사가 실시될 수 있는 관련 기관 등에 수송된다.
이에, 검체는 보존 가능한 용기에 수용된 상태로 수송되며, 검체가 보존되는 보관 용기는, 통상적으로 채집된 검체를 보존하는 배지를 담은 플라스틱 튜브와, 멸균 처리된 일회용 면봉이 결합된 플라스틱 마개로 구성되는 수송배지용기 형태가 주로 사용된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2000-0020092호에서는 면봉머리와 면봉대로 구성되는 면봉이 하단부에 장착된 마개; 및, 원통형 본체의 중간부분이 안쪽으로 함몰되어 압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압착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면봉머리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상기 압착면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압착면사이의 거리가 상기 면봉머리의 직경보다 작아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운반용 배지용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등록실용에 개시된 바를 비롯한, 대부분의 검체 보관 용기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등 일반적인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검체 보관 용기의 내부 공간에는, 주로 미생물의 증식, 생화학적 검사, 대사산물의 검출 등을 목적으로 하여 액체 배지가 수용된다. 상기 액체 배지는 특정 성분들을 증류수에 녹인 것으로서, 증류수를 주 성분으로 함에 따라, 증류수를 주 성분으로 하는 액체 배지와 상기 액체 배지 내에 함유된 검체는, 소수화 처리되지 않은 검체 보관 용기 내부에 부착되어, 검체 보관 용기로부터 검체의 회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검체 보관 용기 내부에 소수성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증류수를 주 성분으로 하는 액체 배지와 상기 액체 배지 내에 함유된 검체가, 검체 보관 용기 내부에 부착되어 발생될 수 있는, 검진 효율의 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2000-0020092호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검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에 소수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증류수를 주 성분으로 하는 액체 배지와 상기 액체 배지 내에 함유된 검체가, 검체 보관 용기 내부에 부착되어 발생되는, 검진 효율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검체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 검체 보관 용기를 포함하여, 우수한 검체 채취 및 보관 효율을 갖는, 검체 채취 및 보관 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헤드부; 몸통부 및 바닥부;를 포함하며, 검체 및 액체 배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검체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막대 형태의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 몸통부 및 바닥부에는, 소수화된 실리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포함하는 소수성 조성물로 형성된 소수성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는 평균 입경이 1 ~ 20 마이크로미터인 제1 실리카 및 평균 입경이 80 ~ 110 마이크로미터인 제2 실리카의 표면을 소수화한 것인, 검체 보관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헤드부, 몸통부 및 바닥부는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는 평균 입경이 5 ~ 10 마이크로미터인 제1 실리카 및 평균 입경이 90 ~ 100 마이크로미터인 제2 실리카의 표면에 헵타데카플루오로-1,1,2,2-테트라하이드로데실실릴레이트가 결합되어, 소수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이 5 ~ 10 마이크로미터인 제1 실리카 및 평균 입경이 90 ~ 100 마이크로미터인 제2 실리카는 1 : 0.1 ~ 1 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조성물은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를 30 ~ 5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코팅층의 두께는 150 마이크로미터 ~ 1 미리미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조성물은 분산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분산제를 5 ~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검체 보관 용기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검체 보관 용기는 검체 및 액체 배지가 검체 보관 용기 내부 공간에 부착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검체 진단검사에서, 검체 및 액체 배지의 손실이 억제됨에 따라, 검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체 채취 및 보관 키트는, 상기 검체 보관 용기를 포함함으로써, 채취된 검체를 안정적으로 보관 및 수송하며, 검체 및 액체 배지의 손실을 억제함으로써, 검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 용기의 투영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검체 보관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헤드부(10); 몸통부(20); 및 바닥부(30);를 포함하며, 검체 및 액체 배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검체 보관 용기(100)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검체 보관 용기(100)에서, 상기 바닥부(30)는, 상기 바닥부(30)의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막대 형태의 복수 개의 돌기(40)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10), 몸통부(20) 및 바닥부(30)에는, 소수화된 실리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포함하는 소수성 조성물로 형성된 소수성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는 평균 입경이 1 ~ 20 마이크로미터인 제1 실리카 및 평균 입경이 80 ~ 110 마이크로미터인 제2 실리카의 표면을 소수화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검체 보관 용기(100)는 검체 및 액체 배지가 검체 보관 용기(100) 내부 공간에 부착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검체 진단검사에서, 검체 및 액체 배지의 손실이 억제됨에 따라, 검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검체 보관 용기(100)의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의 검체 보관 용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 몸통부(20), 복수 개의 돌기(40)를 포함하는 바닥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10), 몸통부(20) 및 바닥부(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검체 및 액체 배지 등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검체 보관 용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헤드부(10), 몸통부(20), 복수 개의 돌기(40)를 포함하는 바닥부(30)를 포함하고, 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형태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헤드부(10)는 상기 검체 보관 용기(100) 내부 공간과 상기 검체 보관 용기(100)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로서,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헤드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20)의 상측을 덮어 감싸는 뚜껑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몸통부(20)는 상기 검체 보관 용기(10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주요 부분으로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원통의 내경과 원통의 외경의 차이는 10 미리미터 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20)의 상부에 헤드부(10)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10)는 상기 몸통부(2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헤드부(10)는 상기 원통 형태의 몸통부(20)의 상부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기 위해,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뚜껑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닥부(30)는 상기 헤드부(10)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통부(20)의 수평 단면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바닥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바닥부(30)는, 상기 내부 공간 측을 바닥부(30)의 상면으로 할 때,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막대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돌기(40)는 각각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묻어있는 면봉과 충돌을 발생하여, 면봉에서 검체가 용이하게 탈리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채취된 검체가 묻어 있는 면봉을, 액체 배지가 담겨진 검체 보관 용기(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키게 되면, 면봉에 묻어 있는 검체가 액체 배지 내로 떨어져 나오게 되는데, 이때, 본 실시예의 복수 개의 돌기(40)에, 면봉이 충돌을 일으키면서, 면봉에 묻어 있는 검체가 액체 배지 내로 용이하게 떨어져나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헤드부(10), 몸통부(20) 및 바닥부(30)는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헤드부(10), 몸통부(20) 및 바닥부(30)는 폴리스티렌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검체 보관 용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 몸통부(20) 및 바닥부(30)를 포함하며, 이들의 결합에 의해, 검체 및 액체 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검체 보관 용기(100)로부터 검체가 함유된 액체 배지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상기 검체 보관 용기(100)의 내부 공간에, 상기 검체 및 액체 배지가 일부 잔류하게 되어, 검체 진단검사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체 보관 용기(100)의 내부 공간에 소수성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검체 보관 용기(100)의 내부 공간과, 증류수를 주 성분으로 하는 액체 배지 간의 부착성을 낮추고, 미끄러짐성을 높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소수성 코팅층은 소수화된 실리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포함하는 소수성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소수성 코팅층은 실리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포함하는 소수성 조성물을 도포 내지 분사하고, 이를 건조 내지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는 평균 입경이 1 ~ 20 마이크로미터인 제1 실리카 및 평균 입경이 80 ~ 110 마이크로미터인 제2 실리카의 표면을 소수화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평균 입경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실리카를 포함함으로써, 소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평균 입경이 나노미터 수준의 실리카를 사용할 경우, 실리카의 응집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평균 입경이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실리카를 사용함으로써, 실리카의 응집 현상을 최소화하여, 소수성 코팅층 전면에서 균일한 소수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는 평균 입경이 5 ~ 10 마이크로미터인 제1 실리카 및 평균 입경이 90 ~ 100 마이크로미터인 제2 실리카의 표면에 헵타데카플루오로-1,1,2,2-테트라하이드로데실실릴레이트가 결합되어, 소수화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수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는 평균 입경이 5 ~ 10 마이크로미터인 제1 실리카 및 평균 입경이 90 ~ 100 마이크로미터인 제2 실리카를 1 : 0.1 ~ 1 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의 표면에 헵타데카플루오로-1,1,2,2-테트라하이드로데실실릴레이트가 결합되어, 소수화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수성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는 평균 입경이 5 ~ 10 마이크로미터인 제1 실리카 및 평균 입경이 90 ~ 100 마이크로미터인 제2 실리카를 1 : 0.2 ~ 0.3 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의 표면에 헵타데카플루오로-1,1,2,2-테트라하이드로데실실릴레이트가 결합되어, 소수화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수성은 현저히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소수성 조성물은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를 30 ~ 5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40 ~ 50 중량부, 더 구체적으로는 45 ~ 47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소수성 조성물은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를 30 ~ 50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이며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내수성, 내화학성, 내구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막 형태의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소수성 조성물이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를 45 ~ 47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는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소수성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를 3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소수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여, 증류수를 주 성분으로 하는 액체 배지와 상기 액체 배지 내에 함유된 검체가, 검체 보관 용기(100) 내부에 부착되어 발생되는 문제의 해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소수성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를 50 중량부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투명성이 저하되고, 안정적이며 균일한 두께의 막 형성이 어려워, 전반적인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소수성 조성물로 형성된 막 형태의 소수성 코팅층은 두께가 150 마이크로미터 ~ 1 미리미터, 구체적으로는 200 마이크로미터 ~ 500 마이크로미터, 더 구체적으로는 250 마이크로미터 ~ 40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소수성 코팅층의 두께가 150 마이크로미터 미만일 경우에는 소수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소수성 코팅층의 두께가 1 미리미터 초과일 경우에는 투명성이 저하되며, 소수성 조성물의 사용량 대비 소수성 향상 효과의 정도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소수성 조성물은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를 1 : 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수화된 실리카의 분산성이 현저히 우수하여, 소수성 코팅층의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소수성 조성물은,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 분산제를 5 ~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소수성 조성물이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 분산제를 5 ~ 10 중량부로 포함할 때, 상기 소수성 코팅층 내에서 소수화된 실리카의 분산 정도가 균일하면서도 안정적이며 두께가 균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소수성 조성물은 소수화된 실리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분산제 이외에, 용매, 계면활성제, 유화제,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소포제, 킬레이트화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체 보관 용기(100)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는 상기 검체 보관 용기(100) 이외에, 검체의 채취, 보관, 수송 등에 필요한 공지의 모든 물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검체 보관 용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3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100 중량부에 대해 소수화된 실리카 45 중량부 및 분산제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소수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소수성 조성물을 폴리스티렌으로 형성된 플레이트 위에 도포 및 경화함으로써, 두께가 250 마이크로미터 ~ 400 마이크로미터인 소수성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는 표 1[단위 : 중량비]에 따라, 제1 실리카와 제2 실리카를 혼합하고, 상기에 따라 혼합된 실리카의 표면에 헵타데카플루오로-1,1,2,2-테트라하이드로데실실릴레이트가 결합되어, 소수화된 것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는 하기에 따라 제조되었다.
먼저, 표 1에 따라 제1 실리카 및 제2 실리카가 혼합된 실리카 혼합 입자 0.5 g이 포함된 에탄올 30 ml 현탁액에, Gelest Inc.로부터 구입한 헵타데카플루오로-1,1,2,2-테트라하이드로데시 트리메톡시실레인(HFTHTMS) 0.14 g (0.25 mmol), 암모니아수 0.02 ml 및 탈이온수 0.36 ml의 혼합액을 첨가하고, 이를 20시간 동안 환류한 다음, 상온에서 2000 rpm으로 30분 동안 원심분리에 의해 침전시켰다. 이어서, 침전물을 에탄올로 초음파 세척한 뒤, 2000 rpm으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헵타데카플루오로-1,1,2,2-테트라하이드로데실실릴레이트 결합되어, 소수화된 실리카를 수득하였다.
또한, 분산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를 1 : 5 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제1 실리카 1 1 1
제2 실리카 0.1 0.3 1
*제1 실리카 : 평균 입경이 5 ~ 10 마이크로미터인 실리카
*제2 실리카 : 평균 입경이 90 ~ 100 마이크로미터인 실리카
[ 비교예 ]
비교예 1
제1 실리카만 사용(제2 실리카 사용 X)하여 소수화된 실리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수성 조성물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제2 실리카만 사용(제1 실리카 사용 X)하여 소수화된 실리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수성 조성물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내지 4
표 2[단위 : 중량부]에 따라 소수성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1 비교예3 비교예4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0 100 100
소수화된 실리카 45 20 60
분산제 5 5 5
[ 실험예 ]
실험예 1 : 소수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형성된 소수성 코팅층에, 물방울을 떨어뜨려 코팅막과 물방울 사이의 접촉각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단위 : °]에 나타내었다.
이때, 접촉각은 Kruss DSA10(Germany) 접촉각 측정 기기를 이용하여, 소수성 코팅층에 3 ㎕ 의 물방울을 떨어뜨린 후, 추가적으로 8 ㎕의 물을 주입하여 100 초 동안 측정한 접촉각을 기록하는 동접촉각 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소수성 코팅층과의 비교를 위해, 무처리군으로서 소수성 코팅층을 포함하지 않는, 일반 폴리스티렌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실험을 동일하게 실시한 뒤, 그 결과를 표 3에 '무처리군'으로 표기하였다.
접촉각 접촉각
실시예1 115.6 비교예1 94.3
실시예2 127.4 비교예2 96.5
실시예3 112.4 비교예3 90.1
무처리군 85.4 비교예4 108.4
표 3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때, 물방울 접촉각이 110 °이상으로 현저히 우수한 바, 소수성의 특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4의 경우에는 접촉각은 우수하였으나, 내부 관찰이 어려울 정도로 소수성 코팅층이 불투명하게 형성되었으며, 소수화된 실리카를 과량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소수성의 향상 정도가 실시예에 비해 우수하지 않았다.
[ 제조예 ]
제조예 1
폴리스티렌 소재로 제조되며, 도 1과 같은 형상의 보관 용기를 준비하였다.
이어서, 검체 보관 용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헤드부, 몸통부 및 바닥부에 실시예 2의 소수성 코팅층을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르는, 검체 보관 용기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실험예 2 : 잔여물 육안 관찰
상기 제조예 1(실시예 2의 소수성 코팅층이 형성된 검체 보관 용기)에 공지의 액체 배지를 투입한 뒤, 약 1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 후, 검체 보관 용기 내에서 액체 배지(증류수 함유)를 제거한 후, 약 10 분간 상온에 방치한 다음, 상기 검체 보관 용기 내에 티슈를 넣어, 액체 배지가 묻어나오는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예 1과의 비교를 위해, 소수성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공지의 검체 보관 용기(폴리스티렌 소재)를 이용하여 상기 실험을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르는 소수성 코팅층이 형성된 제조예 1의 검체 보관 용기를 닦은 티슈의 경우, 전체 면적의 20 % 이하로 액체 배지가 묻어 나왔으나, 소수성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 검체 보관 용기를 닦은 티슈의 경우, 전체 면적의 40 ~ 60 %에 액체 배지가 묻어남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결과를 볼 때, 본 실시예에 따라, 소수성 코팅층이 형성된 검체 보관 용기는, 검체 및 액체 배지가 검체 보관 용기 내부 공간에 부착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검체 및 액체 배지의 손실이 억제됨에 따라, 검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검체 보관 용기
10 : 헤드부
20 : 몸통부
30 : 바닥부
40 : 돌기

Claims (8)

  1. 헤드부; 몸통부; 및 바닥부;를 포함하며, 검체 및 액체 배지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검체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막대 형태의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 몸통부 및 바닥부에는,
    소수화된 실리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포함하는 소수성 조성물로 형성된 소수성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는 평균 입경이 5 ~ 10 마이크로미터인 제1 실리카 및 평균 입경이 90 ~ 100 마이크로미터인 제2 실리카의 표면에 헵타데카플루오로-1,1,2,2-테트라하이드로데실실릴레이트가 결합되어 소수화된 것이며, 상기 제1 실리카 및 제2 실리카는 1 : 0.1 ~ 1 의 중량비로 포함되고,
    상기 소수성 조성물은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소수화된 실리카를 45 ~47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몸통부 및 바닥부는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 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코팅층의 두께는 150 마이크로미터 ~ 1 미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조성물은 분산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분산제를 5 ~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 용기.
  8. 제 1 항의 검체 보관 용기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KR1020210020744A 2021-02-16 2021-02-16 검체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KR102574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744A KR102574654B1 (ko) 2021-02-16 2021-02-16 검체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744A KR102574654B1 (ko) 2021-02-16 2021-02-16 검체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076A KR20220117076A (ko) 2022-08-23
KR102574654B1 true KR102574654B1 (ko) 2023-09-06

Family

ID=8309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744A KR102574654B1 (ko) 2021-02-16 2021-02-16 검체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898B1 (ko) * 2022-09-30 2023-08-02 대한민국 기생충란 분리기구 및 이를 이용한 기생충란 분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033Y1 (ko) 1999-04-28 2002-09-05 부덕실업 주식회사 부단수 분기용 새들붙이 밸브
US9523110B2 (en) * 2013-02-15 2016-12-20 Biomerieux, Inc. Culture containers with internal top coating over gas barrier coating and associated methods
KR101835971B1 (ko) * 2016-05-16 2018-04-2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조성물이 코팅된 초소수성 알루미늄 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076A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uberer Recovery and enumeration of viable bacteria
EP0014007B1 (de) Biologisches Gefäss
KR102574654B1 (ko) 검체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JP3077799U (ja) ボール・ソケット形クロージャ
DE69821046T2 (de) Evakuiertes Probensammelröhrchen mit wässrigem Additiv
KR101910014B1 (ko) 식품의 신선도 감지용 인디케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식품의 신선도 판별방법
JP2001520892A (ja) 溶液中の検体を同定するための分析装置およびその方法
CA2321689A1 (en) Self-resealing, puncturable container cap
Si et al. Characterization of 3 D elastic porous polydimethylsiloxane (PDMS) cell scaffolds fabricated by VARTM and particle leaching
Li et al. ZnO superhydrophobic coating via convenient spraying and its biofouling resistance
US9955953B2 (en) Container and method for collecting, transporting and storing biological tissue samples
JP6753971B2 (ja) ガスバリアコーティング上に内側上面コーティングを有する培養容器、及び関連する方法
NZ200062A (en) Prepared nutrient substrate carrier
EP0277009A2 (en) Swab
CN109892320A (zh) 一种细胞保存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426614B2 (ja) 密封容器を滅菌した後にバリアコーティングを付加して検査試料容器を製造する方法
US4054491A (en) Microorganism testing device and method
Keller Determination of the leak size critical to package sterility maintenance
CN214346537U (zh) 一种干性条件微生物屏障试验试验瓶
Satyada et al. Releasing capacity of pre-sterile cotton swabs for discharging sampled microorganisms.
Hernandez et al. Evaluation of biocompatibility of pH-ISFET materials during long-term subcutaneous implantation
CN201241128Y (zh) 生物实验耗材的封装和固定装置
Lu et al. Surface properties of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 Tetranychidae) and the effect of their infestation on the surface properties of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L.) hosts
KR100987952B1 (ko)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검체수송용기
McKeague et al. Testing chemical criteria for spodic horizons on podzolic soils in Can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