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898B1 - 기생충란 분리기구 및 이를 이용한 기생충란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기생충란 분리기구 및 이를 이용한 기생충란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898B1
KR102561898B1 KR1020220125407A KR20220125407A KR102561898B1 KR 102561898 B1 KR102561898 B1 KR 102561898B1 KR 1020220125407 A KR1020220125407 A KR 1020220125407A KR 20220125407 A KR20220125407 A KR 20220125407A KR 102561898 B1 KR102561898 B1 KR 102561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rasite
feces
collec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일
이명노
이영주
백선옥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20125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31Purification arrangements, e.g. solid phase extraction [S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52Sorting or classification of particles or molec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8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09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8Regulating or influencing the flow resistance
    • B01L2400/084Passive control of flow resistance
    • B01L2400/086Passive control of flow resistance using baffles or other fixed flow ob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3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sedimen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8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fil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생충란 분리기구는, 하단에 거름부을 포함하며 상방으로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파쇄를 위한 돌기를 갖는 파쇄부; 상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하우징이 필요에 따라 그 내부에 착탈될 수 있는 집란체; 및 집란체를 개폐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거름부는 사선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생충란 분리기구 및 이를 이용한 기생충란 분리방법{Parasitic egg sediment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dimentation parasitic egg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생충란 분리기구 및 이를 이용한 기생충란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생충란을 집란하기 위해 WES(water-ether sedimentation)법이 사용된다. 기존의 WES법에 따르면 기생충란을 분리/포집하기 위하여 나무막대 등을 이용해 채취한 대변을 충분히 파쇄하고 섞어준 후, 거즈를 이용해 일정 크기 이상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현탁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따라내고, 에테르를 가한 후 연직방향으로 흔들어 주고, 재차 원심분리하여 상단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기생충란의 상당수가 소실될 수 있고, 검사자가 검출시료에 접촉될 수 있으며 검출시료의 냄새 등으로 검사 환경이 불량한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관련 기술분야의 종래특허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57975호 등을 참조하면, 거름망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어 걸러진 불순물이 거름망을 폐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간이 지나며 거름효율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R 10-1057975 B1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거름망이 사선으로 배치된 기생충란의 분리기구 및 이를 이용한기생충란의 집란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생충란 분리기구는, 하단에 거름부을 포함하며 상방으로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파쇄를 위한 돌기를 갖는 파쇄부; 상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하우징이 필요에 따라 그 내부에 착탈될 수 있는 집란체; 및 집란체를 개폐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거름부는 사선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대변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변수집부와 일체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름부는 하우징의 길이방향 면으로부터 30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기울여져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름망은 50 내지 100um의 메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생충란 집란기구의 커버부를 집란체로부터 분리하여 대변수집부에 대변을 수집하는 단계; 하우징이 결합된 집란체에 현탁액을 투입하고 상기 커버부로 밀폐하는 단계; 및 상기 밀폐된 집란체를 볼텍싱하여 집란체의 하단부에 침전물을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생충란 집란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이후에 수집된 침전물에 에테르를 가하고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충란 분리기구는 거름망을 사선으로 배치시켜, 볼텍싱 과정에서 현탁액이 거름망의 양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걸러진 불순물이 거름망을 막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걸러진 불순물이 거름망의 하부에 모일 수 있도록 하여 거름망의 상부가 계속적인 거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거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볼텍싱 과정에서 파쇄부의 돌기로 인해 현탁액과 대변시료가 충분히 섞일 수 있어 종래 방법과 같이 현탁액에 대변을 파쇄하는 전처리 단계가 불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충란 분리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하우징 부재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하우징 부재를 도 2의 우측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충란 분리기구로서, 하우징의 하단에 불순물이 걸러진 모습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충란 분리기구로서, 분리과정이 완료된 후 하우징 부재를 제거하고, 집란체의 하단부에 충란이 포집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생충란 집란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생충란 분리기구(10)는 커버부(11), 대변수집부(12), 파쇄부(13), 하우징(14), 거름부(15) 및 집란체(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11)은 대변수집부(12)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집란체(16)의 상단부와 밀폐결합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대변수집부는 길이방향 끝단부에 대변시료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스푼(spoon)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채취하고자 하는 대변시료의 용량에 적합한 크기로 스푼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mg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와 상기 대변수집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써, 대변시료를 간이하게 장치 내로 도입할 수 있으며, 현탁액과 대변시료가 섞이는 과정에서 젓개(stirrer)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하우징(14)을 일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4)은 파쇄부(13) 및 거름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쇄부(13)는 상기 하우징(14)의 개방된 상단부 및 거름부가 배치된 하단부를 제외한 내부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파쇄를 위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른 기생충란 분리과정에서, 상기 파쇄부는 대변시료와 현탁액을 혼합하여 볼텍싱 하는 과정에서 대변시료가 분쇄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파쇄부의 크기나 돌기의 크기, 모양, 돌출정도 등은 최선의 효과를 위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4)이 집란체(16) 내부에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하방에는 거름부(1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집란체와 착탈될 수 있다. 착탈은 특정한 방법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커버부(11)와 집란체(16)의 밀폐결합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라면 어떤 방법이든 선택될 수 있다.
하우징이 집란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 부재의 벽면과 집란체의 벽면은 유체가 유동할 수 없도록 완전히 맞닿게 배치되거나 또는 현탁액이 유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착탈은 기생충란 분리방법의 특정한 단계에서 각각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과 집란체가 결합된 상태로 볼텍싱과 원심분리가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볼텍싱과 원심분리 이후에 하우징이 집란체에서 제거될 수 있다. 하우징의 제거로 기생충란 크기 이상의 불순물을 용이하게 집란체 내부에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거름부(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4)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거름부는 거름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거름망은 메쉬형태일 수 있다. 상기 거름부는 하우징의 길이방향 면으로부터 30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기울여져 배치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5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름부를 사선으로 배치함으로써 거름망의 막힘이 방지될 수 있다. 거름망는 메쉬 크기 이상의 불순물이 걸러지는데, 사선으로 배치됨에 따라 걸러진 불순물이 중력에 의해 거름망의 하단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거름망의 상단부는 막히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 계속적인 거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볼텍싱 과정에서 현탁액이 거름부의 거름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무작위로 유동하게 되어 일부 거름망이 막혔더라도 다시 개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중력에 의한 거름망 하단부로의 불순물이 모이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도 4에서는 거름망의 상부에 걸러진 침전물을 나타내었으며, 발명의 최선의 효과로 거름망의 상단 일부가 폐쇄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개방된 점을 표시하였다.
상기 거름부(15)에 포함될 수 있는 거름망은 특정한 소재로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금속 메쉬 또는 멤브레인일 수 있다. 거름망의 메쉬 크기는 집란하고자 하는 기생충란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um, 가장 바람직하게는 70um일 수 있다.
상기 집란체(16)은 상방으로 개구된 시험관 형상을 가지며, 폐쇄부(11)과 밀폐되는 결착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집란체의 내경은 하우징(14)의 외경과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집란체의 내경이 하우징의 외경과 같은 경우 집란체와 하우징의 벽면이 맞닿도록 배치되어 벽면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없으며, 집란체의 직경이 하우징의 외경보다 큰 경우 집란체와 하우징 벽면이 이격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생충란 분리기구(10)의 커버부(11)를 집란체(16)로부터 분리하여 대변수집부(12)에 대변을 수집하는 단계; 하우징(14)이 결합된 집란체(16)에 현탁액을 투입하고 상기 커버부(11)로 밀폐하는 단계; 및 상기 밀폐된 집란체를 볼텍싱하여 집란체의 하단부에 침전물을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생충란 집란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볼텍싱”이란 상용화된 볼텍싱 믹서 등을 이용하여 진동을 통해 용액을 소용돌이 치며 섞이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생충란 분리방법에서는 현탁액과 대변시료가 적절히 섞이고, 파쇄부에 의한 대변시료의 파쇄가 일어날 수 있도록 볼텍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볼텍싱의 강도와 지속시간은 대변시료의 파쇄 및 거름부에 의한 거름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도록 지속될 수 있다.
상기 “현탁액”은 대변시료가 파쇄/분리되어 액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액상의 조성물이라면 제한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생리식염수, 증류수, PBS, 포화 NaCl 및 NaOH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물”은 상기 파쇄된 대변시료와 현탁액의 혼합물이 거름부를 통해 걸러져 집란체의 하단부에 모인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이후에 수집된 침전물에 에테르를 가하고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물에 에테르를 첨가한 후 상방에 모인 불순물을 제거하는 추가적인 과정을 통해 기생충란을 높은 순도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최선의 실시 예시에 따르면, 대변시료를 커버부(11)에 위치한 대변수집부(12)로 채취하고, 집란체(16)와 하우징(14)을 결합시켜 현탁액을 투입한 후, 집란체(16)의 상단부와 커버부(11)를 밀폐결착할 수 있다. 이후 대변시료가 현탁액에 풀릴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볼텍싱할 수 있다. 볼텍싱이 완료되면 목적하는 기생충란보다 큰 불순물은 거름망의 상부에 남게 된다. 이후 커버부(11)를 열고 하우징(14)을 제거하면 집란체(16)의 하단부에 현탁액과 기생충란이 남게 되며, 현탁액으로부터 불순물을 추가로 제거하기 위하여 에테르를 처리하고 볼텍싱을 통해 충분히 혼합해 준다. 이후에 원심분리를 하여 상단에 모인 불순물을 제거하면, 기생충란은 원심분리에 의해 현탁액의 하방에 집란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최선의 실시 예시에 따른 실시결과를 도 5에 도시하였다.
실험예 1. WES법과의 비교
종래 기생충란의 분리를 위해 수행되던 WES법과 기생충란 포집효율을 비교실험 하였다. 본 실험예에서 WES법은 대변시료 1g을 증류수에 투입하여 나무막대를 이용해 현탁시켰다. 이후 거즈를 두겹처리해 불순물을 1차로 제거한 후 2,000G에서 3분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침전물을 나무막대를 이용해 재차 현탁시킨 후 에테르 3ml를 가해 강하게 위아래로 흔들어 주었다(shaking). 이후 이 현탁액을 다시 2,000G에서 3분동안 원심분리하여 기생충란을 포집하였다. 충란 카운팅을 위하여 슬라이드에 충란포집액 1방울을 떨군후 광학현미경에서 200배로 관찰하여 계수하였다. 이후에 g당 충란수로 환산하여 산출하였다.
본 실험예에서 충란 포집률을 비교하기 위해 대변시료는 WES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충란 카운팅은 WES 와 동일한방법으로 현미경으로 직접 확인하여 진행하였다. 상술한 WES법 및 아퀴스펙스 키트와 본원발명의 기생충란 분리기구에 따른 대변 1g당 충란 포집효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대변 1g 당 충란 수
WES* 제작키트
검체 1 496 1,890
검체 2 215 646
검체 3 200 725
검체 4 162 162
검체 5 38 200
검체 6 38 150
검체 7 30 38
검체 8 20 12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생충란 분리기구는 기존 방법인 WES법에 비해 검체 1, 2, 3, 5, 6 및 8에서 월등히 높은 충란포집효율을 보여주었다. 즉, 상술한 거름망의 막힘방지 효과로 인하여 동일한 대변시료에서 더 많은 충란을 포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집란기구
11: 커버부
12: 대변수집부
13: 파쇄부
14: 하우징
15: 거름부
16: 집란체

Claims (6)

  1. 기생충란 분리기구에 있어서,
    하단에 거름부을 포함하며 상방으로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파쇄를 위한 돌기를 갖는 파쇄부;
    상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하우징이 그 내부에 착탈될 수 있는 집란체; 및
    집란체를 개폐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며, 상기 거름부는 하우징의 길이방향 면으로부터 30도 내지 60도의 각도로 기울여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생충란 분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대변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변수집부와 일체형인, 기생충란 분리기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는 50 내지 100um의 메쉬 거름망을 포함하는, 기생충란 분리기구.
  5. 제 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기생충란 집란기구의 커버부를 집란체로부터 분리하여 대변수집부에 대변을 수집하는 단계;
    하우징이 결합된 집란체에 현탁액을 투입하고 상기 커버부로 밀폐하는 단계; 및
    상기 밀폐된 집란체를 볼텍싱하여 집란체의 하단부에 침전물을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생충란 집란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을 수집하는 단계 이후에,
    수집된 침전물에 에테르를 가하고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기생충란 집란방법.

KR1020220125407A 2022-09-30 2022-09-30 기생충란 분리기구 및 이를 이용한 기생충란 분리방법 KR102561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407A KR102561898B1 (ko) 2022-09-30 2022-09-30 기생충란 분리기구 및 이를 이용한 기생충란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407A KR102561898B1 (ko) 2022-09-30 2022-09-30 기생충란 분리기구 및 이를 이용한 기생충란 분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898B1 true KR102561898B1 (ko) 2023-08-02

Family

ID=8756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407A KR102561898B1 (ko) 2022-09-30 2022-09-30 기생충란 분리기구 및 이를 이용한 기생충란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8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4970B2 (ja) * 2002-12-17 2007-05-16 アークレイ株式会社 微生物または細胞の収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微生物または細胞の収集用具
KR101057975B1 (ko) 2011-01-04 2011-08-24 대한민국 기생충란 집란기구 및 그 기구를 이용한 집란방법
JP3231815U (ja) * 2021-01-06 2021-04-30 バクテクス株式会社 採便用器具
KR20220021236A (ko) * 2020-08-13 2022-02-22 주식회사 움틀 멤브레인 원심분리 농축기
KR20220117076A (ko) * 2021-02-16 2022-08-23 주연산업 주식회사 검체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4970B2 (ja) * 2002-12-17 2007-05-16 アークレイ株式会社 微生物または細胞の収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微生物または細胞の収集用具
KR101057975B1 (ko) 2011-01-04 2011-08-24 대한민국 기생충란 집란기구 및 그 기구를 이용한 집란방법
KR20220021236A (ko) * 2020-08-13 2022-02-22 주식회사 움틀 멤브레인 원심분리 농축기
JP3231815U (ja) * 2021-01-06 2021-04-30 バクテクス株式会社 採便用器具
KR20220117076A (ko) * 2021-02-16 2022-08-23 주연산업 주식회사 검체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1356A (en) Fecalato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centration of parasite eggs and larvae
JP6866256B2 (ja) 残留農薬の分析用試料の調製方法
EP0593767A1 (en) CELL FILTER.
CN1094164A (zh) 便于运送型采便容器
JPS59308A (ja) 液から固体粒子を分離する為の装置
US4191651A (en) Separator for two immiscible liquids
WO2012109230A4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aggregate
DE102013209718A1 (de) Vorrichtung zum Separieren von adulten Stammzellen
KR102561898B1 (ko) 기생충란 분리기구 및 이를 이용한 기생충란 분리방법
US4125467A (en) Liquid-solids separator
JP2014071025A (ja) 固液分離方法および固液分離装置
CN115057556B (zh) 一种建筑施工污水处理装置
KR101671553B1 (ko) 화분 단백질 추출 방법 및 장치
JP2003071322A (ja) 縦型ストレーナ
CN215876504U (zh) 一种抗体提纯分离装置
CN218637883U (zh) 一种大豆完整颗粒分离装置
CN219923606U (zh) 一种固废处理筛分装置
US1913471A (en) Process of separating active constituents of animal glands
CA2442513A1 (en) Amalgam separator
CN213610002U (zh) 一种应用于粪便寄生虫虫卵样本的收集装置
JPWO2004050209A1 (ja) 水分散有機溶媒中の水分離器具及び水分離方法
JPH0111310Y2 (ko)
JP3521196B1 (ja) 油含有液の油分除去方法と装置
CN210596202U (zh) 一种稀土加工用的沉淀装置
RU219752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содержания металломагнитных примесей в пищевых или кормовых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а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