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925Y1 - 스트립센터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센터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925Y1
KR200285925Y1 KR2019970022456U KR19970022456U KR200285925Y1 KR 200285925 Y1 KR200285925 Y1 KR 200285925Y1 KR 2019970022456 U KR2019970022456 U KR 2019970022456U KR 19970022456 U KR19970022456 U KR 19970022456U KR 200285925 Y1 KR200285925 Y1 KR 200285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center
rolling roll
roll
mov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264U (ko
Inventor
주교하
김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70022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92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2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2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9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일형으로 감긴 스트립이 페이오프릴에서 다 풀리게 되면 이를 검출하여 스트립 이송라인의 중앙으로 스트립을 이동시키고, 스트립 이동중에 스트립의 위치가 일정범위에서 벗어나면 이를 정중앙에 위치시킴으로서 선,후행 스트립간에 정확한 용접연결이 이루어지고 스트립의 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개선된 스트립센터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접기의 후단에 위치되고, 스트립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대를 갖추며,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는 좌,우나사의 복수의 스크류 샤프트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스크류 샤프트에는 너트부재를 통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한 이동블럭이 장착되는 스트립 측방 가이드기구; 상기 스트립 측방 가이드 기구의 후방측에서 상기 스트립이 이동라인의 중앙으로 부터 벗어나는 상태를 검출하는 위치검출기구; 및, 상기 스트립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상,하 압연롤을 갖추며, 상기 위치검출기구에서 전달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압연롤의 어느 일측을 가압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동모터를 구비한 압착롤 기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센터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트립센터 유도장치{Device for quiding the strip to the center of processing line}
본 고안은 전기도금 입측설비에서 선행스트립과 후행 스트립을 용접 연결하는 경우, 스트립사이의 직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코일형으로 감긴 스트립이 페이오프릴에서 다 풀리게 되면 이를 검출하여 스트립 이송라인의 중앙으로 스트립을 이동시키고, 스트립 이동중에 스트립의 위치가 일정범위에서 벗어나면 이를 정중앙에 위치시킴으로서 선,후행 스트립간에 정확한 용접연결이 이루어지고 스트립의 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개선된 스트립센터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도금설비(100)에서는 페이오프릴(110)에 감겨진 스트립(S)이 풀리면서 디플렉터롤(120)을 통과하게 되고, 그 후방의 전단기(122)를 통과한 다음 용접기(125)에 의해서 선,후행 스트립사이에서 용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용접이 이루어진 스트립은 후방측의 브리들 롤(130)을 통과하여 후속공정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기도금설비(100)에서 페이오프릴(110)에 감긴 스트립(S)이 다 풀리어지면 스트립의 끝단은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이러한 스트립의 끝단은 코일의 휘어짐, 두께편차, 텔레스코프 발생등의 원인으로서 정확하게 이송라인의 중앙에 위치되지 못하고 중심으로 부터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트립 끝단부는 용접기(125)에서 후행하는 스트립(S)의 선단에 용접 연결되는 경우, 제 2도의 가)도 및 나)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엇갈려서 접합되던지 또는, 서로 정확하게 접합되어도 스트립(S)이 이동라인의 중심(P)으로 부터 크게 벗어나는 상태로 접합됨으로서 후속의 압연공정에서 스트립의 품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선,후행 스트립(S)의 정확하지 못한 연결은 압연중에 판파단을 초래할 수 있고, 정확한 두께의 스트립생산을 저해하며, 작업속도를 현저히 저하시켜 작업생산성을 크게 낮추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코일형으로 감긴 스트립이 페이 오프릴에서 다 풀리게 되면 이를 검출하여 스트립 이송라인의 중앙으로 스트립을 이동시키고, 스트립 이동중에 스트립의 위치가 일정범위에서 벗어나면 이를 정중앙에 위치시킴으로서 선,후행 스트립간에 정확한 용접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스트립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스트립센터 유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도금 입측설비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2의 a) 및 b)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도금설비에서 스트립의 용접시 센터불량이 발생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센터 유도장치가 전기도금설비에 장착된 구성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센터 유도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센터 유도장치에 갖춰진 스트립 측방 가이드기구의 단면 구성도;
도 6는 본 고안의 스트립센터 유도장치에 갖춰진 압착롤 기구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트립 측방 가이드기구 14a,14b..... 스크류 샤프트
16..... 구동모터 20,22a,22b... 베벨기어
25a,25b.... 이동블록 28..... 케이싱
30..... 위치검출기구 50..... 압착롤 기구
52a,52b.... 압연롤 72a,72b.... 너트 블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트립을 이동라인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스트립 측방 가이드기구;
상기 스트립이 이동라인의 중앙으로 부터 벗어나는 상태를 검출하는 위치검출기구; 및,
상기 위치검출기구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스트립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상,하 압연롤을 갖추며, 상기 상부 압연롤을 일정압력으로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실린더를 갖추어 스트립을 스트립 이동라인의 중앙측으로 위치 조정하는 압착롤 기구;를 갖추고, 전기도금 입측설비에서 선행스트립과 후행 스트립을 용접 연결하는 경우, 스트립사이의 직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 기구는 상기 상부 압연롤이 스트립을 균일하게 가압한 상태에서 상부 압연롤의 어느 일측 모서리를 더욱 추가적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상기 상부 압연롤의 상부측 양단에 각각 갖추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는 스크류 부재가 하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스크류 부재의 선단은 상기 상부 압연롤의 양단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연결하는 베어링 블록에 장착된 복수개의 너트블록의 상부면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위치검출기구에서 전달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모터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여 상기 압연롤의 양단부중 어느 일측을 더욱 더 가압하여 스트립과 압연롤과의 사이에서 밀착력이 커지도록 하여 스트립을 상기 상부 압연롤의 가압 단부측으로 당기게 됨으로써 스트립을 스트립 이동라인의 중앙측으로 위치 조정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센터 유도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센터 유도장치(1)는 제 3도 및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도금 입측설비(100)의 용접기(125) 후방측에 스트립 측방 가이드기구(10)와 스트립 위치검출기구(30)및, 압착롤 기구(50)가 차례로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스트립 측방 가이드기구(10)는 스트립(S)을 이동라인의 중앙(P)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이는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기(125)의 후단에서 스트립(S)의 폭방향으로가로질러서 연장하는 중공 원통형의 지지대(12)를 갖추고, 상기 지지대(12)의 내측에는 좌,우나사의 복수의 스크류 샤프트(14a)(14b)가 다수개의 베어링 부재(15)를 통하여 동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 샤프트(14a)(14b)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6)와 베벨기어열을 갖추는 바, 상기 구동모터(16)는 모터 제어반(미도시)에 연결되어 정확한 회전수가 제어되고, 지지대(12)의 중앙 상부측에 브라켓(18) 등을 통하여 고정되고, 그 회전축(16a)은 하부방향으로 연장하여 지지대(12)의 내측에서 하단에 베벨기어(20)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2) 내측의 복수개의 스크류 샤프트(14a)(14b)도 상기 베벨기어(20)에 맞물리는 베벨기어(22a)(22b)들을 선단에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16)의 작동으로 베벨기어(20)(22a)(22b)열들을 통하여 스크류 샤프트(14a)(14b)가 각각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스크류 샤프트(14a)(14b)에는 나사방향이 서로 반대인 좌,우나사부가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14a)(14b)에는 너트부재(24a)(24b)를 통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이동블럭(25a)(25b)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동블럭(25a)(25b)은 지지대(12)의 상,하부모서리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절개된 안내홈(12a)(12b)들을 통하여 지지대(12)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연결대(27)를 상,하면에 갖추고, 상기 연결대(27)는 지지대(12)를 감싸는 원통형 케이싱(28)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29)의 하부측으로는 중앙의 스트립(S)을 향하여 고무판(29a)을 일측에 형성한 누름판(29)이 서로 대향하여 장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트립 측방 가이드기구(10)는 상기 구동모터(16)의 작동으로 스크류 샤프트(14a)(14b)가 회전되면 상기 스크류 샤프트(14a)(14b)에 나사결합된 이동블록(25a)(25b)들은 베벨기어(20)(22a)(22b)열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거리 만큼 동일하게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베벨기어열을 스트립 이동라인의 중앙(P)으로 설정하면, 상기 스트립 이동라인의 중앙(P)으로 부터 양측 폭방향으로 서로 동일하게 변위되어 이동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페이 오프릴(110)의 후단측에 위치된 스트립 끝단 검출센서(105)가 스트립(S)의 끝단을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신하면, 이러한 신호를 설비제어 컴퓨터(SCC)가 수신하고, 상기 설비제어 컴퓨터(SCC)는 해당 스트립(S)의 폭( 예를들어 폭 1000mm 의 경우 )에다가 좌우 양측으로 5mm씩의 여유값을 사전에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6)를 동작시켜서 이동블럭(25a)(25b)이 스트립 이동라인의 중앙(P)으로 부터 양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블럭(25a)(25b)은 이동되는 과정에서 하부측에 마련된 누름판(29)의 고무판(29a)이 그 내측의 스트립(S)모서리를 밀어주어서 스트립 이동라인의 중앙(P)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트립 측방 가이드 기구(10)의 후방측에 위치된 위치검출기구(30)는 스트립(S)의 상,하에 배치된 투광센서(32a) 및 수광센서(32b)를 갖추고, 상기 스트립(S)이 이동라인의 중앙(P)으로 부터 벗어나는 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이는 투광센서(32a)에서 수광센서(32b)측으로 빛을 투사하여 스트립(S)이 스트립 이동라인의 중앙(P)으로 부터 벗어난 정도를 검출하고 그 신호값을 설비제어 컴퓨터(SCC)로 송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위치검출기구(30)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압착롤 기구(50)는 제 4도및 6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S)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상,하 압연롤(52a)(52b)을 갖추며, 상기 상부 압연롤(52a)의 양측으로는 압연롤(52a)을 일정압력으로 하부로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실린더(54a)(54b)를 갖추고 있다. 상기 복수의 실린더(54a)(54b)는 유압 또는 공압작동식으로 각각의 실린더(54a)(54b)의 로드(56a)(56b)가 압연롤(52a)의 양측에 위치된 연결링크(60a)(60b)와 이동프레임(67) 및, 베어링 블록(62a)(62b)을 통하여 상기 상부 압연롤(52a)에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로드(56a)(56b)가 실린더(54a)(54b)로 부터 인출되면, 상기 연결링크(60a)(60b)를 통하여 이동프레임(67)이 회전되고, 상기 이동프레임(67)에 베어링 블록(62a)(62b)을 통하여 장착된 상부 압연롤(52a)의 양측단부를 균일하게 대략 3Kg/cm2의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이동프레임(67)은 일측이 힌지축(67a)을 통하여 고정프레임(67b)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힌지축(67a)의 양단부를 상기 연결링크(60a)(60b)가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유압실린더(54a)(54b)와 연결링크(60a)(60b) 및 이동 프레임(67)과 베어링 블록(62a)(62b)을 통한 압연롤(52a)의 승,하강 및 가압구조는 일반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유압 실린더(54a)(54b)에 의해서 이동 프레임(67)이 회동되어 상부 압연롤(52a)이 스트립(S)을 균일하게 가압한 상태에서 상부 압연롤(52a)의 어느 일측 모서리를 더욱 추가적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구동모터(65a)(65b)를 상기 상부 압연롤(52a)의상부측 양단에 각각 갖추는 것이다.
즉, 상기 구동모터(65a)(65b)는 상,하부 압연롤(52a)(52b)의 양측에 위치된 이동 프레임(67)에 수직으로 각각 장착되고, 그 회전축에는 스크류 부재(70a)(70b)가 하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스크류 부재(70a)(70b)의 선단은 상기 상부압연롤(52a)의 양측을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베어링 블록(62a)(62b)에 장착된 복수개의 너트블록(72a)(72b)의 상부면에 나사결합됨으로서 상기 각각의 구동모터의 작동은 스크류 부재(70a)(70b)의 회전을 이루고 이는 상기 스크류 부재(70a)(70b)의 선단에 나사결합된 너트블록(72a)(72b)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너트블록(72a)(72b)에 연결된 베어링 블록(62a)(62b)를 통하여 압연롤(52a)의 양단부중 어느 일측을 선택적으로 각각 더욱 더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어링 블록(62a)(62b)은 이동프레임(67)의 안착구(67c)에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서 상기 너트블록(72a)(72b)의 상,하작동으로 베어링 블록(62a)(62b)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67d)는 베어링 블록을 떠받치는 탄성체, (80)은 상,하부 압연롤(52b)을 위한 베어링 블록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65a)(65b)는 설비제어 컴퓨터(SCC)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서 상기 스트립 위치검출기구(30)에 의해서 제공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모터(65a)(65b)의 작동범위가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스트립 센터 유도장치(1)는 페이 오프릴(110)에서 스트립(S)이 다 풀리면 스트립(S)의 끝단은 페이 오프릴(110)의 후방에 위치된 스트립 끝단 검출센서(105)에 의해서 검출되고, 이러한 신호는 설비제어 컴퓨터(SCC)로 제공된다. 상기 설비제어 컴퓨터(SCC)에서는 해당 스트립(S)의 폭에다 양측모서리의 여유분을 대략 5mm씩 더하여 스트립(S)의 조정폭을 설정한 다음, 스트립 측방 가이드기구(10)의 구동모터(16)를 적정수 회전시켜서 스크류 샤프트(14a)(14b)를 통하여 이동블록(25a)(25b)을 스트립(S)의 폭방향으로 양외측에서 중앙으로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이동블록(25a)(25b)에 연결된 누름판(29)의 고무판(29a)이 스트립(S)의 이탈된 측방 모서리를 중앙으로 위치이동시키며, 따라서, 스트립(S)의 자유로운 끝단은 스트립 이동라인의 중앙(P)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과 동시에 스트립 측방 가이드기구(10)의 후방에 위치된 스트립 위치검출기구(30)는 스트립(S)이 스트립 이동라인의 중앙(P)으로 부터 어느 정도가 벗어 났는 지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설비제어 컴퓨터(SCC)로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신호는 설비제어 컴퓨터(SCC)를 통하여 압착롤 기구(50)의 복수개의 구동모터(65a)(65b)측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즉 스트립(S)이 스트립 이동라인의 중앙(P)으로 부터 일측( 드라이브 사이드 )으로 치우쳐 위치되었고, 그 치우침 정도가 상기 스트립 위치검출센서(105)에 의해서 검출되었다면, 상기 신호는 이러한 상태를 나타내고, 이러한 신호는 설비제어 컴퓨터(SCC)에서 상기 드라이브 사이드의 반대측인 워크사이드(W/S)측의 구동모터(65a)에 사전에 설정된 신호만큼 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서 상기 워크사이드의 구동모터(65a)는 작동되어 스크류 부재(70a)를 회전시키고 너트 블록(72a)과 베어링 블록(62a)을 통하여 현재 대략 3Kg/cm2으로 가압되고 있는 상부 압연롤(52a)의 워크사이드측을 하부측으로 가압시킨다. 따라서, 상기 워크 사이드측은 상대적으로 드라이브 사이드측보다 스트립(S)과 압연롤(52a)(52b)과의 밀착력이 커지므로서 드라이브 사이드측으로 치우쳐 있던 스트립(S)을 워크 사이드측으로 당기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스트립(S)은 스트립 이동라인의 중앙(P)측으로 위치 조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스트립(S)이 워크 사이드측으로 과도하게 치우쳐지면 상기 스트립 위치검출기구(30)가 이를 검출하고, 상기와는 반대로 드라이브 사이드측의 구동모터(65b)를 동작시키며, 상부 압연롤(52a)(52b)의 드라이브 사이드측이 워크 사이드보다 밀착력이 높도록 하여 스트립(S)을 드라이브 사이드측으로 당기며, 이러한 스트립의 이동으로 스트립(S)은 이동라인의 중앙(P)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트립 위치이동작업은 스트립(S)의 끝단이 용접기(125)에 위치될 때까지 이루어지며, 따라서 용접기(125) 부분에서는 스트립(S)이 정확하게 스트립 이동라인의 중앙(P)에 배치되고, 후행하는 스트립의 선단에 자동 용접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용접이 완료되면 상기 스트립 측방 가이드기구(10)는 구동모터(16)가 역회전하여 이동블록(25a)(25b)을 지지대(12)의 양외측으로 이동시키고, 다음 스트립(S)의 끝단 조정작업에 대비하게 되며, 상기 압착롤기구(50)의 실린더(54a)(54b)는 로드(56a)(56b)를 당김으로서 상부 압연롤(52a)(52b)이 스트립(S)의 상부면으로 부터 들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후행 스트립과 용접연결된 스트립은 다음 공정으로 아무런 이동 저항없이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코일형으로 감긴 스트립(S)이 페이오프릴(110)에서 다 풀리게 되면 이를 검출하여 스트립 이송라인의 중앙(P)으로 스트립(S)의 끝단을 밀어 이동시키고, 스트립 이동중에 스트립의 위치가 일정범위에서 벗어나면 상부 압연롤(52a)의 일측을 가압하여 압연롤(52a)(52b)과 스트립(S)사이의 밀착력을 더욱 증대시킴으로서 스트립을 정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용접기(125)에서 선,후행 스트립간에 정확한 용접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스트립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1)

  1. 스트립(S)을 이동라인의 중앙(P)에 위치시키는 스트립 측방 가이드기구(10);
    상기 스트립(S)이 이동라인의 중앙(P)으로 부터 벗어나는 상태를 검출하는 위치검출기구(30); 및,
    상기 위치검출기구(30)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스트립(S)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상,하 압연롤(52a)(52b)을 갖추며, 상기 상부 압연롤(52a)을 일정압력으로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실린더(54a)(54b)를 갖추어 스트립(S)을 스트립 이동라인의 중앙(P)측으로 위치 조정하는 압착롤 기구(50);를 갖추고,
    전기도금 입측설비에서 선행스트립과 후행 스트립을 용접 연결하는 경우, 스트립사이의 직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 기구(50)는 상기 상부 압연롤(52a)이 스트립(S)을 균일하게 가압한 상태에서 상부 압연롤(52a)의 어느 일측 모서리를 더욱 추가적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구동모터(65a)(65b)를 상기 상부 압연롤(52a)의 상부측 양단에 각각 갖추고,
    상기 구동모터(65a)(65b)의 회전축에는 스크류 부재(70a)(70b)가 하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스크류 부재(70a)(70b)의 선단은 상기 상부 압연롤(52a)의 양단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연결하는 베어링 블록(62a)(62b)에 장착된 복수개의 너트블록(72a)(72b)의 상부면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위치검출기구(30)에서 전달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모터(65a)(65b)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여 상기 압연롤(52a)의 양단부중 어느 일측을 더욱 더 가압하여스트립(S)과 압연롤(52a)(52b)과의 사이에서 밀착력이 커지도록 하여 스트립(S)을 상기 상부 압연롤(52a)의 가압 단부측으로 당기게 됨으로써 스트립(S)을 스트립 이동라인의 중앙(P)측으로 위치 조정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센터 유도장치.
KR2019970022456U 1997-08-19 1997-08-19 스트립센터유도장치 KR200285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456U KR200285925Y1 (ko) 1997-08-19 1997-08-19 스트립센터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456U KR200285925Y1 (ko) 1997-08-19 1997-08-19 스트립센터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264U KR19990009264U (ko) 1999-03-15
KR200285925Y1 true KR200285925Y1 (ko) 2002-11-23

Family

ID=5389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456U KR200285925Y1 (ko) 1997-08-19 1997-08-19 스트립센터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9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170B1 (ko) 2004-12-24 2011-12-09 주식회사 포스코 텔레스코프 교정 장치
KR101424458B1 (ko) 2012-10-29 2014-08-01 현대제철 주식회사 권취기의 맨드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170B1 (ko) 2004-12-24 2011-12-09 주식회사 포스코 텔레스코프 교정 장치
KR101424458B1 (ko) 2012-10-29 2014-08-01 현대제철 주식회사 권취기의 맨드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264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16424B (zh) 箱体焊接生产线及生产方法
US51824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target sections of sheet metal from a continuous coil and placing those sections in separate continuous coils in a continuous operation
KR100227595B1 (ko) 관체 성형기
US5865053A (en) Transition beam forming section for tube mill
EP0098470B1 (en) Veneer lathe drive with powered rolls
US3107564A (en) Tube cutting machine
KR200285925Y1 (ko) 스트립센터유도장치
US4067489A (en) Welding apparatus for joining coils of strip steel
US5653400A (en) Winding apparatus
JP2669688B2 (ja) クラッド鋼板の反り矯正機
US4930713A (en) Mill roll stand
KR200186032Y1 (ko) 코일 센터링 조정장치
KR960015727B1 (ko) 열연코일의 텔레스코프(Telescope) 교정방법 및 교정장치
KR20000010113U (ko) 권취코일의 외권교정장치
KR100742889B1 (ko) 열연코일 오작재 처리장치
CN220502188U (zh) 一种收放卷装置
US10160017B2 (en) Torque balancing roll forming machine
CN220407500U (zh) 一种激光切管机的翻料、压焊一体装置
KR100761740B1 (ko) 스트립 센터링장치
US4821548A (en) Apparatus for chamfering edges of a rim element
JPH0519128Y2 (ko)
KR19980022145U (ko)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
KR100411276B1 (ko) 시트 유도장치
JPH038671Y2 (ko)
JPH10166055A (ja) 長尺鋼材のキャンバー矯正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を備えたミニレベラー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