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276B1 - 시트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276B1
KR100411276B1 KR10-1999-0039618A KR19990039618A KR100411276B1 KR 100411276 B1 KR100411276 B1 KR 100411276B1 KR 19990039618 A KR19990039618 A KR 19990039618A KR 100411276 B1 KR100411276 B1 KR 100411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unit
frame
sheet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733A (ko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3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276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7/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pivoted on a single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연제품 생산라인에서 쉬트의 생산작업시 플라잉 전단기에서 전단된 시트를 이송콘베이어까지 유도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단기의 드럼회전에 의해서 별도의 동력장치없이도 시트의 유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장탈착이 자유롭도록 구성함으로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작업성이 우수하도록 개선된 시트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잉 절단기와 이송 콘베이어의 사이에 배치된 밸트 이송부; 상기 밸트 이송부의 측방에서 플라잉 절단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여 밸트를 무한궤도형으로 회전시키는 풀리 구동부; 상기 밸트 이송부가 장착된 프레임을 상하로 높이 조절하는 승강부; 및 상기 밸트 이송부가 장착된 프레임을 플라잉 절단기로부터 위치이동시키는 인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도 이송 밸트에 회전력이 부여되어 시트의 유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라잉 절단기 전방에서의 장탈착이 자유롭도록 구성함으로서 정비 작업성이 우수하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시트 유도장치{APPARATUS FOR GUIDING SHEETS}
본 발명은 냉연제품 생산라인에서 쉬트의 생산작업시 플라잉 전단기에서 전단된 시트를 이송콘베이어까지 유도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단기의 드럼회전에 의해서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도 시트의 유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장탈착이 자유롭도록 구성함으로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작업성이 우수하도록 개선된 시트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제품의 생산라인에서는 시트의 생산작업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러(102)에 의해서 평탄화가 진행된 스트립 시트(S)는 플라잉 전단기(105)에서 일정길이로 절단 처리된다. 이러한 스트립 시트(S)는 전단기(105)로부터 전방측의 이송 콘베이어(107)로 유되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시트 유도장치(120)가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시트유도장치(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별도의 동력수단이 없는 아이들 롤(122)들이 프레임(124)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124)의 하부측으로는 다수개의 수직 볼트부재(126)들이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수직 볼트부재(126)들은 고정 브라켓(128)상에서 너트부재(130)들에 의해서 조여져서 상기 아이들 롤(122)의 높이가 대략 플라잉 전단기(105)의 절단레벨과 이송 콘베이어(107)의 높이에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유도장치(120)는 아이들 롤(122)들이 각각 고무롤(rubber roll)로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는 정지상태에 대기하고 있다가 이송되어지는 시트(S)의 선단모서리에 빈번히 부딪쳐서 그 롤(122) 표면이 손상되고, 손상된 롤(122) 표면에 의해서 다음 번에 이송되어 오는 시트(S)의 선단이 걸려서 꺽임등이 발생되며, 그에 따른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완제품의 실수율 하락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시트(S)의 선단이 진입 불량하게 되면, 설비의 트러블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플라잉 전단기(105)의 나이프(105a)등을 점검하거나 교체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아이들 롤(122)들을 분해하여야 하나, 이러한 작업은 천장 크레인등을 동원하여야 하는 등 그 작업이 힘들고 번거로운 것이다. 즉, 플라잉 전단기(105)의 나이프(105a)를 점검 및 교환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종래의 시트 유도장치(120)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브라켓트(128)에 너트부재(130)를 통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볼트부재(126)와 이들에 연결된 프레임(124) 및 아이들 롤(122)들을 크레인(미도시)으로 분해 및 취외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작업은 그 작업시간이 매우 오래 걸려서 정비작업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이고, 플라잉 전단기(105)의 나이프(105a) 점검 및 교환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들을 다시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고, 시트(S)의 유도상태를 확인하면서 아이들 롤(122)의 레벨을 조정함으로서 그 작업이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도 이송 밸트에 회전력이 부여되어 시트의 유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라잉 전단기 전방에서의 장탈착이 자유롭도록 구성함으로서 정비 작업성이 우수하도록 개선된 시트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트 유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트 유도장치의 측면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유도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유도장치의 측면도;
도 5의 a) 및 b)도는 본 발명의 시트 유도장치에 갖춰진 풀리구동부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유도장치의 승강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유도장치의 승강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유도장치의 인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밸트 이송부 12..... 프레임
14..... 구동 풀리 16..... 종동풀리
20..... 밸트 30..... 풀리 구동부
32a,32b,32c.... 회전 풀리 34..... V 밸트
38..... 브라켓트 40..... 수직 나사
42..... 요크부재(yoke) 50..... 승강부
52..... 다리부 54..... 쐐기홈
56..... 쐐기부재 62..... 너트부재
64..... 가이드 부재 70..... 인출부
76..... 이동대차 102.... 레벨러(leveller)
105.... 플라링 전단기 105a... 나이프
107.... 이송 콘트롤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연제품 생산라인에서 쉬트의 생산작업시 플라잉 전단기에서 전단된 시트를 이송콘베이어까지 유도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잉 전단기와 이송 콘베이어의 사이에 배치된 밸트 이송부; 상기 밸트 이송부의 측방에서 플라잉 전단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여 밸트를 무한궤도형으로 회전시키는 풀리 구동부; 상기 밸트 이송부가 장착된 프레임을 상하로 높이 조절하는 승강부; 및 상기 밸트 이송부가 장착된 프레임을 플라잉 전단기로부터 위치 이동시키는 인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유도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트 유도장치(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연제품 생산라인에서 시트(S)의 생산작업시 플라잉 전단기(105)에서 전단된 시트(S)를 이송 콘베이어(107)까지 유도시키는 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유도장치(1)는 플라잉 전단기(105)와 이송 콘베이어(107)의 사이에 배치된 밸트 이송부(10)를 갖는 바, 상기 밸트이송부(10)는 플라잉 전단기(105)측으로 프레임(12)의 상부에 구동풀리(14)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고, 그 타측으로 종동풀리(16)를 프레임(12)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며, 상기 구동풀리(14)와 종동풀리(16)의 사이에 밸트(20)가 걸려서 무한궤도형으로 회전되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밸트 이송부(10)의 측방에서 플라잉 전단기(105)의 회전동력을 전달하여 밸트(20)를 무한궤도형으로 회전시키는 풀리 구동부(30)가 갖춰지며, 이는 도 5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복수개의 회전 풀리(32a)(32b)(32c)들을 구비하고, 그중 상부의 2개는 V 밸트(34)가 걸려 있는 구조를 갖추며, 맨 하부측의 회전 풀리(32c)는 중간부분의 풀리(32b)와 그 외주면이 연접하고, 동시에 플라잉 전단기(105)의 드럼(105b) 일측에 연접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최상부측의 회전 풀리(32a)는 그 중심축이 밸트 이송부(10)의 구동풀리(14)의 중심축에 연결된 구성을 갖춤으로서, 상기 플라잉 전단기(105)의 드럼(105b)이 회전하면, 이는 가장 하부측의 회전 풀리(32c)가 회전되고, 이는 외주면이 연접하는 중간 풀리(32b)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는 V 밸트(34)를 통하여 상단의 회전 풀리(32a)를 회전시키고, 결과적으로는 풀리 이송부(10)의 구동풀리(14)를 회전시켜서 밸트(20)가 무한궤도형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풀리 구동부(30)는 플라잉 전단기(105)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밸트 이송부(10)의 밸트(20)가 무한궤도형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그 상부측으로 이동되어지는 시트(S)의 유도를 보다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V 밸트(34)의 장력을 조절하고, 동시에 중간 회전 풀리(32b)와 최하단의 회전 풀리(32c)들의 연접상태를 조절 및 보장하기 위하여 중간 회전 풀리(32b)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조가 장착되어지며, 이는 도 5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 회전 풀리(32a)와 중간회전 풀리(32b)의 사이에서 프레임(12)의 일측에 브라켓트(38)가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트(38)에는 수직 나사(40)가 상하 너트(42)를 통하여 장착되어지며, 상기 수직 나사(40)의 하단은 ??형의 요크부재(42)를 통하여 상기 중간 회전 풀리(32b)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최상단의 회전 풀리(32a)와 최하단의 회전 풀리(32c)는 프레임(1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지만, 중간 풀리(32b)는 상하로 위치조정이 가능한 요크부재(42)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서 상기 중간 회전 풀리(32b)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V 밸트(34)의 교환이라던가 장력조절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밸트 이송부(10)가 장착된 프레임(12)을 상하로 높이 조절하는 승강부(50)를 갖추고 있는 바, 상기 승강부(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트 이송부(10)와 풀리 구동부(30)를 지지하는 프레임(12)의 다리부(52) 중간에 각각 쐐기형의 홈(54)을 형성하고, 이들에 결합한 쐐기부재(56)들을 갖추며, 이들 쐐기부재(56)를 상기 쐐기형 홈(54)에서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프레임(1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즉, 승강부(50)는 복수의 쐐기부재(56)가 한 조를 이루어 하나의 축(58)에 전후로 고정되고, 이들 쐐기 부재(56)들은 프레임(12)의 일측 전후 다리부(52)들의 쐐기형 홈(54)에 각각 위치되어지며, 상기 축(58)의 일단부에는 나사부(58a)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58a)는 일측 다리부(52)에 고정된 ?? 형 브라켓(60)을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브라켓(60)의 전후에 너트부재(62)가 상기 축(58)의 나사부(58a)에 고정되어 상기 축(58)의 위치를 전후방향에서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복수의 쐐기부재(56)와 복수의 쐐기홈(54)들이 1조를 이루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다리부(52)에 대하여 2조가 장착되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복수의 너트부재(62)가 회전되어 상기 축(58)을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쐐기 홈(54)으로부터 복수의 쐐기 부재(58)가 인출되어짐으로서 상기 프레임(12)의 상부측은 하강되고, 이와는 반대로 상기 복수의 너트부재(62)가 회전되어 상기 축(58)을 후방으로 밀면 상기 쐐기 홈(54)내로 복수의 쐐기부재(56)가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2)의 상부측을 밀어 올리게 됨으로서 프레임(12)의 높이를 조절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프레임(12)의 다리부(52)에서 쐐기홈(54)을 중간부분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쐐기 홈(54)이 형성되는 다리부(52)들을 외부에서 감싸는 가이드 부재(64)들이 필요하게 된다. 이들 가이드 부재(64)들은 각각 ??형의 단면을 갖추고, 다리부(52)의 사각 모서리에 위치되는 것으로, 쐐기홈(54)을 형성하는 하부 다리부(52)측은 각각의 가이드 부재(64)들이 용접으로 연결되고, 쐐기홈(54)을 형성하는 상부 다리부(52)들 부분에는 각각의 가이드 부재(64)들이 단순히 다리부(52)의 사각 모서리부들을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서 쐐기홈(54)을 형성하는 다리부(52)들이 서로 그 중심이 어긋나지 않으면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밸트 이송부(10)가 장착된 프레임(12)을 플라잉 전단기(105)로부터 위치 이동시키는 인출부(70)를 갖추며, 이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의 다리부(52) 하부측으로 플라잉 전단기(105)와 이송 콘베이어(107)의 사이에서 플로어상에 플라잉 전단기(105)로부터 이송 콘베이어(107)측으로 향하는 방향(A)으로, 그리고, 상기 방향(A)에 대하여 직각의 방향(B)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72)이 장착되며, 상기 방향(B)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12)의 다리부(52) 하부측에 이동대차(76)가 구비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레일(72)과 접하는 다리부(52)의 슈(78)에는 상기 다리부(52)를 레일(72)에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풀리 구동부(30)의 최하단 회전풀리(32c)가 절단기(105)의 드럼(105b)에 견고히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볼트(80)가 상기 슈(78)를 나사결합으로 관통하여 가이드 레일(72)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냉연제품 생산라인에서 시트(S)의 생산작업시 플라잉 전단기(105)에서 전단된 시트(S)를 이송 콘베이어(107)까지 유도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플라잉 전단기(105)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밸트 이송부(10)의 밸트(20)가 무한궤도형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그 상부측으로 이동되어지는 시트(S)의 유도를 보다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플라잉 전단기(105)의 드럼(105b)이 회전하면, 이는 가장 하부측의 회전 풀리(32c)가 회전되고, 이는 외주면이 연접하는 중간 풀리(32b)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는 V 밸트(34)를 통하여 상단의 회전 풀리(32a)를 회전시키고, 결과적으로는 풀리 이송부(10)의 구동풀리(14)를 회전시켜서 밸트(20)가 무한궤도형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풀리(14)와 종동풀리(16)의 사이에 걸려서 무한궤도형으로 회전되어지는 밸트(20)가 그 상부로 넘어온 스트립 시트(S)를 원활하게 이송 콘베이어(107)측으로 유도시킨다. 이러한 경우, 스트립 시트(S)의 선단은 상기 무한궤도형의 밸트(20)가 회전하는 상태이므로 밸트(20)에 접촉하여도 밸트(20)에 손상된 흠을 발생시키지 않고, 동시에 꺽임등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다. 즉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도 밸트(20)에 회전력이 부여되어 시트(S)의 유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밸트 이송부(10)가 장착된 프레임(12)을 상하로 높이 조절하기 위해서는 승강부(50)가 사용되며, 이는 한조를 이룬 복수의 쐐기부재(56)들을 프레임(12)의 일측 전후 다리부(52)들의 쐐기형 홈(54)에서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프레임(12)의 상부측을 승하강시켜 프레임(12)의 높이를 조절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플라잉 전단기(105)의 나이프(105a)들을 점검 및 교환하기 위해서는, 종래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유도장치(1)를 분해하지 않아도 되며, 이는 단지 인출부(70)를 이용하여 플라잉 전단기(105)와 이송 콘베이어(107)의 사이에서 플라잉 전단기(105)로부터 이송 콘베이어(107)측으로 향하는 방향(A)으로 먼저 이송시키고, 그리고, 상기 방향(A)에 대하여 직각의 방향(B)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플라잉 전단기(105)와 이송 콘베이어(107)의 사이에서 쉽게 취외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플라잉 전단기(105)의 나이프(105a)등을 점검 및 교환하는 경우에, 플라잉 전단기(105) 전방에서의 장탈착이 자유로움으로서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정비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도 밸트 송부에 풀리 구동부(30)를 통하여 플라잉 전단기(105)의 회전력이 부여되어 시트(S)의 유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승강부(50) 및 인출부(70)등을 이용하여 플라잉 전단기(105) 전방에서의 장,탈착이 자유롭도록 구성함으로서 정비 작업성이 우수하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4)

  1. 냉연제품 생산라인에서 시트(S)의 생산작업시 플라잉 전단기(105)에서 전단된 시트(S)를 이송콘베이어(107)까지 유도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잉 전단기(105)와 이송 콘베이어(107)의 사이에 배치된 밸트 이송부(10); 상기 밸트 이송부(10)의 측방에서 플라잉 전단기(105)의 회전동력을 전달하여 밸트(20)를 무한궤도형으로 회전시키는 풀리 구동부(30); 상기 밸트 이송부(10)가 장착된 프레임(12)을 상하로 높이 조절하는 승강부(50); 및 상기 밸트 이송부(10)가 장착된 프레임(12)을 플라잉 전단기(105)로부터 위치 이동시키는 인출부(7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유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트 이송부(10)는 플라잉 전단기(105)측으로 프레임(12)의 상부에 구동풀리(14)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그 타측으로 종동풀리(16)를 프레임(12)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며, 상기 구동풀리(14)와 종동풀리(16)의 사이에 밸트(20)가 걸려서 무한궤도형으로 회전되어지는 구조를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유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구동부(30)는 상기 프레임(1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복수개의 회전 풀리(32a)(32b)(32c)들을 구비하고, 그중 상부의 2개는 V 밸트(34)가 걸려 있으며, 맨 하부측의 회전 풀리(32c)는 중간부분의 풀리(32b)와그 외주면이 연접하고, 동시에 플라잉 전단기(105)의 드럼(105b)일측에 연접한 구조를 갖추고, 상기 플라잉 전단기(105)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밸트 이송부(10)의 밸트(20)가 무한궤도형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그 상부측으로 이동되어지는 시트(S)의 유도를 보다 원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유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50)는 복수의 쐐기부재(56)가 한 조를 이루어 하나의 축(58)에 전후로 고정되고, 이들 쐐기 부재(56)들은 프레임(12)의 일측 전후 다리부(52)들의 쐐기형 홈(54)에 각각 위치되어지며, 상기 축(58)의 일단부에는 나사부(58a)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58a)는 일측 다리부(52)에 고정된 ?? 형브라켓(60)을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브라켓(60)의 전후에 너트부재(62)가 상기 축(58)의 나사부(58a)에 고정되어 상기 축(58)의 위치를 전후방향에서 고정시키도록 구성됨으로서, 상기 복수의 너트부재(62)가 회전되어 상기 축(58)을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쐐기 홈(54)으로부터 복수의 쐐기 부재(56)가 인출되어 상기 프레임(12)의 상부측은 하강되고, 상기 축(58)을 후방으로 밀면 상기 쐐기 홈(54)내로 복수의 쐐기부재(56)가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2)의 상부측을 밀어 올리게 됨으로서 프레임(12)의 높이를 조절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유도장치.
KR10-1999-0039618A 1999-09-15 1999-09-15 시트 유도장치 KR10041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618A KR100411276B1 (ko) 1999-09-15 1999-09-15 시트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618A KR100411276B1 (ko) 1999-09-15 1999-09-15 시트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733A KR20010027733A (ko) 2001-04-06
KR100411276B1 true KR100411276B1 (ko) 2003-12-18

Family

ID=19611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618A KR100411276B1 (ko) 1999-09-15 1999-09-15 시트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2351B (zh) * 2020-12-10 2023-10-20 浙江尼蓬管业有限公司 一种过滤网冲压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1816A (en) * 1975-09-23 1977-08-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otary web chopper
JPS5511763A (en) * 1978-07-12 1980-01-26 Meisan Kk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strip cutter
JPS5537264A (en) * 1978-09-08 1980-03-15 Hitachi Ltd Traveling shearing machine
JPH07124815A (ja) * 1993-11-01 1995-05-16 Kawasaki Steel Corp 鋼板の剪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1816A (en) * 1975-09-23 1977-08-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otary web chopper
JPS5511763A (en) * 1978-07-12 1980-01-26 Meisan Kk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strip cutter
JPS5537264A (en) * 1978-09-08 1980-03-15 Hitachi Ltd Traveling shearing machine
JPH07124815A (ja) * 1993-11-01 1995-05-16 Kawasaki Steel Corp 鋼板の剪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733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22359A (zh) 变压器硅钢片剪叠机
CN112872805B (zh) 一种高效自动拉拔切断一体机
CN110775870A (zh) 一种螺杆升降机
KR100411276B1 (ko) 시트 유도장치
CN114536640B (zh) 一种高效环保eva发泡板材生产装置
CN215393284U (zh) 用于激光切割机的自动上料机构
KR101510275B1 (ko) 형상교정장치
CN219708620U (zh) 板材卷收装置
CN220130836U (zh) 一种带钢的储料装置
CN105329701B (zh) 自动送线器的送线控制装置
CN208561080U (zh) 一种高强度输送带的放料装置
CN214349324U (zh) 一种箍筋送进装置及建筑笼成型机
KR200368857Y1 (ko) 타이어 센터링 정렬장치
CN219188391U (zh) 一种便捷原料放置的滚圆机
CN216757977U (zh) 一种建筑螺纹钢快速自动切断机
CN215697501U (zh) 一种卷板机自动下料结构
CN217072595U (zh) 一种电力保护管切管机用管件夹取工装
CN220348472U (zh) 一种塑料产品切割机
CN215325419U (zh) 一种用于物流分拣生产线的物流分拣转向装置
CN214815778U (zh) 管材上料输送装置
CN219648816U (zh) 一种切割钢条引导机构
CN210162914U (zh) 一种用于电线切断的可扩展输送装置
CN214815777U (zh) 立式管材激光切割机系统
CN211053837U (zh) 一种推纸机构、输送装置和卷筒纸切纸机
CN214236774U (zh) 卧式管材激光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