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145U -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145U
KR19980022145U KR2019960035480U KR19960035480U KR19980022145U KR 19980022145 U KR19980022145 U KR 19980022145U KR 2019960035480 U KR2019960035480 U KR 2019960035480U KR 19960035480 U KR19960035480 U KR 19960035480U KR 19980022145 U KR19980022145 U KR 199800221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coupled
coil
shaf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85484Y1 (ko
Inventor
전남수
남식
최대식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35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48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21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1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4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Abstract

본 고안은 냉연 공정에서 생산된 코일 내경부의 파손 및 찌그러진 부위를 자동으로 교정하여 생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고 품질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코일 내경 자동 교정 장치는, 양 장착대(21, 22)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외주에 스크류가 형성된 이송축(6)과, 이 이송축(6)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7)와, 이송축(6) 양측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설치되며, 장착대(21, 22)에 결합 고정된 지지바(5a, 5b)로 이루어지는 이송부(30)와; 축(2b)의 구멍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코일 내경 불량부를 교정하기 위하여 가압실린더(3)에 의해 교정을 위한 가압력을 부여 받는 한쌍의 스틸롤(1), 축(2b)과 몸체(2a)로 이루어지고 일측부에서 브라켓을 통해 가압 실린더(3)에 연결되며 하단부가 지지대(3a, 3b) 사이에서 지지바(5a)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각도 조정용 실린더(4)에 의해 회전각이 조정되는 스핀들(2), 일단부는 지지대(3a, 3b) 사이에서 지지바(5b)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스핀들축(2a) 일측의 브라켓에 장착된 직경 조정 및 가압 실린더(3), 지지대(3a)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스핀들몸체(2a)에 결합되어 스핀들(2)을 회전시키도록 작동되는 각도 조정용 실린더(4)로 이루어진 교정부(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
본 고안은 냉연 공정에서 생산된 코일 내경부의 파손 및 찌그러진 부위를 자동으로 교정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고 품질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 제품은 냉각 압연후에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열처리 공정을 거치는 데, 열처리 공정은 연속 소둔 공정과 BAF(Batch Annealing Furnace) 공정의 두가지로 구분된다. 그런데, BAF 공정에서는 코일을 열처리 작업시 2, 3개씩 적치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데, 코일의 권취가 불량하거나 기타 다른 원인에 의하여 코일의 내경부가 찌그러지게 되거나 파손이 발생하고, 소둔 작업후의 냉각중에 온도 차이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며, 크레인 작업시 리프터에 찍히거나 하여 코일 내경이 손상되는 바, 이러한 내경부가 손상된 코일을 페이오프릴(Pay Off Reel)에 삽입하면 고무슬리브가 뒤로 밀리거나 코일이 밀리면서 코일카에서 떨어져 설비사고가 발생하며, 코일 내경 불량부에 의해 고무 슬리브가 조기 마모하고 파손되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코일 내경의 찌그러진 부분이나 손상된 부분을 쇠망치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교정 작업을 실시하는 바, 작업자가 자동화된 설비에 접근함에 따라 안전상의 문제가 존재하며, 코일 내경부의 불량으로 통판후 코일의 밀착현상이 발생하여 품질 결함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손상된 코일의 내경을 교정할 수 있는 자동화된 코일 내경 불량부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 장착대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외주에 스크류가 형성된 이송축과, 이 이송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와, 이송축 양측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설치되며, 장착대에 결합 고정된 지지바로 이루어지는 이송부와; 축의 구멍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코일 내경 불량부를 교정하기 위하여 가압실린더에 의해 교정을 위한 가압력을 부여 받는 한쌍의 스틸롤, 축과 몸체로 이루어지고 하단부가 지지대 사이에서 지지바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각도 조정용 실린더에 의해 회전각이 조정되는 스핀들, 일단부는 지지대 사이에서 지지바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스핀들축 일측의 브라켓에 장착된 직경 조정 및 가압용 실린더, 지지대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스핀들몸체에 결합되어 스핀들을 회전시키도록 작동되는 각도 조정용 실린더로 이루어진 교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릴롤2:스핀들3:직경조정 및 가압용 실린더
4:각도조정용 실린더5a,5b:지지바6:이송축
7:이송모터8:코일감지 센서9:직경 감지용 PLG 센서
10, 11, 16, 18:센서12:스핀들회전가 PLG 센서
20:교정부30:이송부
이하에서는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도시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그 측면도이다.
도 1도시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는 코일의 크기 및 내경부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위치를 설정하여 스티롤(1)이 교정 작업을 수행 하도록 작동되는 교정부(20), 및 이 교정부(20)를 코일의 폭에 따라 좌우로 이송시켜주는 이송부(30)로 이루어진다.
코일 내경의 불량부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부(20)는 코일 내경의 불량부를 교정하도록 작동되는 한쌍의 스틸롤(1)과, 이 스틸롤(1)을 고정 및 지지하는 직립의 몸체(2a)와 축(2b)으로 이루어진 스핀들(2)과, 코일 크기에 따라 스틸롤(1)의 상하를 조절하며, 코일 내경의 불량부를 교정하기 위한 누르는 힘을 제공하는 직경 조정 및 가압용 실린더(3), 및 일단부는 스핀들 몸체(2a)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가압용 실린더(3)의 지지대(3a)에 결합되어 스틸롤(1) 및 스핀들(2)을 회전시켜 각도를 조정하도록 작동되는 각도 조정용 실린더(4)로 이루어진다. 또한, 스핀들 축(2b)의 양 측면에는 코일 감지 센서(8)가 장착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교정부(20)를 이송시켜 주는 이송부(30)는 코일의 폭에 따라 좌우로 교정부(20)를 이송하도록 이송 모터(7)에 의해 좌우로 이동 되도록 작동되며, 양 장착대(21, 22)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외주에 스크류가 형성되고 가압용 실린더 지지대(3a, 3b)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이송축(6)과, 이송축 이송 모터(7)로 이루어진다.
스핀들(2)과 직경 조정 및 가압용 실린더(3)는 지지대(3a, 3b)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두개의 지지바(5a, 5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실치되며, 이 지지바들(5a, 5b)은 양단부에서 장착대(21, 22)에 결합되어 토대 위에 장착 고정된다.
또한, 장착대(21, 22)의 내측에는 각각 교정부(2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1) 및 위치 이탈 감지 센서(18)가 장착되며, 지지대(3a, 3b)에는 터치바(17a, 17b)가 장착된다.
그리고, 지지대(3b) 일단부 위에는 스핀들(2)의 각도를 감지하도록 PLG 센서(12)가 설치되어 센서 축의 톱니부가 스핀들 몸체(2a)에 구비된 톱니부와 결합하여 스핀들 몸체(2b)이 회전 각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스핀들 몸체(2a) 측면에는 브라켓을 통해 직경 감지용 PLG 센서(9)가 설치되어 센서축의 톱니부가 스핀들 몸체(2a) 로부터 신축가능한 스핀들(2b)의 일면에 형성된 톱니부와 결합하며, 코일 내경 중심부와 스틸롤(1)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그 차이를 검출하며, 중심을 일치시키도록 스핀들축(2b)은 직경 조정 및 가압실린더(3)의 작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며, 센서(9) 하측에는 스핀들(2) 정위치 센서(16)가 장착된다. 지지대(3b)에는 또한 터치바(17c)를 장착하고 스핀들 몸체(2a)에는 위치 센서(10)를 장착하여 스핀들(2)의 정위치 여부를 검지하도록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내경의 불량부를 가지는 코일이 교정 장치의 위치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외경을 측정하며, 이후 정위치에 있던 교정부(20)의 스틸롤(1)이 코일 내경 중심부를 향하도록 각도 조정용 실린더(4)가 작동되어 PLG 센서(12)로 측정한 회전각 만큼 코일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각도를 조정한다.
또한, 각도가 조정된 스틸롤(1)을 코일의 높이에 일치하게 직경 조정 및 가압용 실린더(3)를 작동시켜 직경 감지용 PLG센서(9)의 측정값 만큼 밀어주면 코일의 내경 중심부와 스틸롤(1)의 중심이 일치하게 된다.
이후, 스틸롤(1)로 교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송부(30)의 이송 모터(7)를 구동시켜 이송축(6)을 이동시키면 코일 감지 센서(8)가 코일을 감지시 정지되고 직경 조정 및 가압용 실린더(3)가 축소 작동되면서 스틸롤(1)에 일정한 가압력을 형성하여 작업 준비를 완료한다.
이 때, 크래들롤을 작동시키면, 코일이 회전하게 되고 스틸롤(1)은 코일 내경의불량부를 계속 가압하면서 회전하여 코일을 자동으로 수 바퀴(예컨대, 2바퀴) 회전시켜 불량부를 교정한다.
또한, 고정부(20)는 역순으로 원위치로 돌아가서 다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 작업을 실시하고 작업을 마치게 되면, 역순으로 모든 작동이 이루어져 최종적으로 센서(11)가 터치바(17b)를 접촉하게 되면, 자동으로 한 사이클의 교정 작업이 종료하게 된다. 또한, 한 사이클의 교정 작업으로 불량부의 교정이 미비한 경우 교정 사이클을 작업자가 다시 개시시켜 교정 작업을 실시하며, 이로써 코일의 내경 파손 및 찌그러짐의 발생을 확실하게 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본 고안의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에 의하면, 코일 내경의 불량부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교정 작업을 실시하여 교정하던 것을 자동화된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며, 수동 작업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밀착에 의한 제품 품질의 결함 발생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실용상의 큰 효과가 얻어지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양 장착대(21, 22)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외주에 스크류가 형성된 이송축(6)과, 이 이송축(6)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7)와, 이송축(6) 양측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설치되며, 장착대(21, 22)에 결합 고정된 지지바(5a, 5b)로 이루어지는 이송부(30)와;
    스핀들축(2b)의 구멍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코일 내경 불량부를 교정하기 위하여 가압용 실린더(3)에 의해 교정을 위한 가압력을 부여 받는 한쌍의 스틸롤(1), 스핀들축(b)과 몸체(2a)로 이루어지고 하단부가 지지대(3a, 3b) 사이에서 지지바(5a)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각도 조정용 실린더(4)에 의해 회전각이 조정되는 스핀들(2), 일단부는 지지대(3a, 3b) 사이에서 지지바(5b)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스핀들축(2a) 일측의 브라켓에 장착된 직경 조정 및 가압용 실린더(3), 지지대(3a)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스핀들몸체(2a)에 결합되어 스핀들(2)을 회전시키도록 작동되는 각도 조정용 실린더(4)로 이루어진 교정부(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
KR2019960035480U 1996-10-25 1996-10-25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 KR200185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480U KR200185484Y1 (ko) 1996-10-25 1996-10-25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480U KR200185484Y1 (ko) 1996-10-25 1996-10-25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145U true KR19980022145U (ko) 1998-07-15
KR200185484Y1 KR200185484Y1 (ko) 2000-07-01

Family

ID=1947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480U KR200185484Y1 (ko) 1996-10-25 1996-10-25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48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318B1 (ko) * 2008-12-24 2011-05-23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코일 형상복원 방법
CN117144376A (zh) * 2023-09-06 2023-12-01 惠州市冠业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生产涂碳铝箔用清洗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144376B (zh) * 2023-09-06 2024-05-10 惠州市冠业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生产涂碳铝箔用清洗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148A (ko) * 2000-11-23 2002-05-30 이구택 코일내경부 처짐방지장치
KR100860321B1 (ko) * 2002-09-12 2008-09-2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내경부 밀착 스트립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318B1 (ko) * 2008-12-24 2011-05-23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코일 형상복원 방법
CN117144376A (zh) * 2023-09-06 2023-12-01 惠州市冠业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生产涂碳铝箔用清洗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144376B (zh) * 2023-09-06 2024-05-10 惠州市冠业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生产涂碳铝箔用清洗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484Y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8076A (en) Automatic process and align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aligning stations
AU690196B2 (en) Circular saw leveling and tensioning machine
KR200185484Y1 (ko) 코일 내경 불량부 자동 교정 장치
KR100958001B1 (ko) 선재 압연롤의 편경차 측정장치
CN114799653B (zh) 一种直缝焊管生产线用焊缝导向辊
US6430793B1 (en) Machine for opening dies for extruding aluminum and alloys thereof
CN205085183U (zh) 齿圈淬火变形检测静压校正装置
KR101060955B1 (ko) 지석 자동 센터링 교정장치
JP3578951B2 (ja) リング部材の自動歪み矯正装置
CN211443855U (zh) 一种锻造毛坯精确运输装置
KR20010065349A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스트립 교정장치
JPH07243947A (ja)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機のランナウト装置
KR20000010113U (ko) 권취코일의 외권교정장치
JP2865008B2 (ja) ベンディングロールの鋼板搬入装置
KR100423872B1 (ko) 코일 내경 그립부 교정장치
CN217200560U (zh) 一种大吨位半轴全自动生产线
KR200285925Y1 (ko) 스트립센터유도장치
KR200178766Y1 (ko) 스트립 자동 벤딩 장치
JP2608656B2 (ja) 鋼管矢板の管端部真円矯正装置
KR100742889B1 (ko) 열연코일 오작재 처리장치
KR200235012Y1 (ko) 수직형코일테레스코프수정장치
KR100343114B1 (ko)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부 보정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13461A (ko) 추진축 용접부 및 튜브의 런아웃 측정 및 교정 방법
JPS63288653A (ja) ロ−ルの表面加工方法
JP3176648B2 (ja) リング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