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892Y1 - 유리용융로 - Google Patents

유리용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892Y1
KR200285892Y1 KR2020020015443U KR20020015443U KR200285892Y1 KR 200285892 Y1 KR200285892 Y1 KR 200285892Y1 KR 2020020015443 U KR2020020015443 U KR 2020020015443U KR 20020015443 U KR20020015443 U KR 20020015443U KR 200285892 Y1 KR200285892 Y1 KR 200285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elter
bottom wall
melting furnace
molten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5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892Y1/ko

Links

Landscapes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저부벽 및 측벽을 가지고 용융유리를 형성하는 유리용융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저부벽은 상호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각 단위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이격간격을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용융유리가 저부벽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용융로{GLASS FURNACE}
본 고안은 유리용융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부벽의 구조를 개선한 유리용융로에 관한 것이다.
유리용융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상의 유리원료를 용융하는 멜터와, 멜터 내의 용융유리를 청징하는 리파이너와, 용융유리를 성형장치로 공급시키기 위한유리공급부를 갖는다.
도 4에는 종래의 유리용융로용 멜터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멜터(120)는 버너(미도시)에 의해 용융되는 용융유리를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벽(121), 저부벽(124) 및 측벽(122)으로 이루어진 덕트형상을 갖는다. 상부벽(121), 저부벽(124) 및 측벽(122)은 각기 열전도가 우수한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다.
멜터(120)의 축조시 저부벽(124)은 측벽(122) 및 상부벽(121)에 비해 그 두께가 비교적 두껍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벽돌(이를 "단위부재"라 함)을 이중으로 적층시켜 저부벽(124)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 용융유리가 직접 접촉되는 상측의 단위부재(126)들은 소정의 이격간격(H)을 두고 설치된다. 이는 고온으로 인해 단위부재(126)들이 상호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격간격(H)은 멜터(120)의 축조시 형성되는 것이며, 축조된 후 멜터(120) 내에서 용융유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는 각 단위부재(126)들의 팽창으로 인해 이격간격(H)은 거의 소멸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리용융로에 있어서는, 단위부재들이 팽창될 수 있는 공간을 보상하기 위해 형성한 이격간격이 단위부재의 팽창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소멸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멜터 내의 용융유리가 이격간격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융유리가 저부벽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용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유리용융로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리용융로용 멜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대응하는 종래의 유리용융로용 멜터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리파이너 16 : 유리공급부
20 : 멜터 24 : 저부벽
26 : 단위부재 26a : 단차부
29 : 차폐부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저부벽 및 측벽을 가지고 용융유리를 형성하는 유리용융로에 있어서, 상기 저부벽은 상호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각 단위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이격간격을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격간격에 인접한 상기 각 단위부재는 판면에는 소정 깊이 낮게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단차부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차폐부재는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음극선관과 같은 유리제품을 성형하는 유리용융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상의 유리원료를 공급받아 가열함으로써 액상의 용융유리로 형성시키는 멜터(20)와, 용융유리 속의 불순물을 제거시켜 양질의 용융유리를 만드는 리파이너(12)와, 멜터(20)와 리파이너(12) 사이에 개재되어 멜터(20) 내의 용융유리를 소정의 온도로 냉각시킴으로써 용융유리를 균질화시키는 병목연결부(14)와, 리파이너(12)와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어 성형작업조건에 적합한 유리상태가 되도록 용융유리를 가열, 냉각 및 교반하여 유리제품 성형장치(10)로 제공하는 유리공급부(16)를 갖는다.
멜터(20)의 양측에는 멜터(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열포트(19)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가열포트(19)에는 원료공급부(11)를 통해 멜터(20) 내로 유입된 고상의 유리원료를 가열시키기 위한 버너(15)가 마련되어 있다. 멜터(20)의 양측에는 버너(15)가 점화되었을 경우, 버너(15)로 연소공기를 공급하거나 멜터(20) 내에서 발생된 폐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한 쌍의 축열실(13)이 마련되어 있다.
유리공급부(16)는 리파이너(12)와 결합되어 청징된 용융유리의 유로를 형성하는 피더(17)와, 피더(17)의 단부에 결합되어 일정량의 용융유리(유리 고브(Gob)라 함)를 성형장치(10)로 제공하는 보울(18)을 갖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리용융로 중 멜터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터(20)는 버너(15)에 의해 용융되는 용융유리를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벽(21), 저부벽(24) 및 측벽(22)으로 이루어진 덕트형상을 갖는다. 상부벽(21), 저부벽(24) 및 측벽(22)은 각기 열전도가 우수한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벽(21)은 멜터(20) 내의 온도관리를 위해 거의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멜터(20)의 상부 양측에서 멜터(20)의 중앙영역으로 분사하는 버너(15)의 화염이 중앙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멜터(20)의 상부벽(21)은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측벽(22)은 상부벽(21)의 양측에 수직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측벽(22)의 하부에는 거의 평탄하게 형성되어 멜터(20)의 바닥을 형성하는 저부벽(24)이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부벽(24)은 용융유리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므로상부벽(21) 및 측벽(22)에 비해 그 두께가 두껍게 제조된다.
저부벽(24)은 그 위치에 따라 멜터(20)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1내화벽돌층(25)과, 제1내화벽돌층(25)에 층상으로 결합되는 제2내화벽돌층(27)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내화벽돌층(25,27) 모두는 사각블럭 형상을 갖는 단위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제2내화벽돌층(27)보다는 용융유리가 직접 접촉되는 제1내화벽돌층(25)에 비중을 두어 설명한다. 이에, 제2내화벽돌층(27)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구분 없이 일체로 도시하고 있다.
제1내화벽돌층(25)을 형성하는 각 단위부재(26)에는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낮게 단차진 단차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단위부재(26)에 형성된 단차부(26a)는 이격간격(H)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3a 참조). 그리고, 단차부(26a)에는 내화벽돌로 형성된 블록형상의 차폐부재(29)가 마련되어 이격간격(H)을 차단하고 있다.
즉, 멜터(20)의 저부벽(24)을 형성한 경우, 제1내화벽돌층(25)을 이루는 각 단위부재(26)들은 고온으로 인해 상호 팽창될 수 있다(도 3b 참조). 만일 단위부재(26)들이 팽창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지 않고 각 단위부재(26)들을 상호 접면시켜 제1내화벽돌층(25)을 형성하게 되면 단위부재(26)들의 상호 팽창 압력에 의해 제1내화벽돌층(25)에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제1내화벽돌층(25)을 형성할 경우에는 단위부재(26)들이 팽창될 수 있는 공간을 보상하기 위해 소정의 이격간격(H)을 두고 단위부재(26)들을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이격간격(H)으로 용융유리가 누출되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차폐부재(29)로 이격간격(H)을 적절하게 차단하고 있는 것이다.
만일, 축조 후 단위부재(26)들의 팽창에 의해서도 이격간격(H)이 소멸되지 않더라도 이격간격(H)에는 차폐부재(29)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격간격(H)을 통해 용융유리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단위부재(26)의 팽창에 의해 이격간격(H)이 소멸될 수 있도록 차폐부재(29)의 폭은 이격간격(H)을 제외한 한 쌍의 단위부재(26)의 단차부(26a)를 상호 연결하는 폭(A,B)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단위부재(26)의 상단에 이격간격(H)을 차폐하는 차폐부재(29)를 마련함으로써 용융유리가 이격간격(H)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유리용융로 중 멜터의 저부벽에 국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은 멜터 외에도 병목연결부, 리파이너 및 유리공급부로 확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단위부재에 단차부를 형성한 후 단차부에 차폐부재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단위부재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단위부재의 상단에 차폐부재를 배치하여 이격간격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내화벽돌층(25)의 모두에 차폐부재(29)를 마련하고 있지만, 제1내화벽돌층(25)의 모서리 영역에만 본 고안의 사상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용융유리가 저부벽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용융로가 제공된다.

Claims (3)

  1.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저부벽 및 측벽을 가지고 용융유리를 형성하는 유리용융로에 있어서,
    상기 저부벽은 상호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각 단위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이격간격을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간격에 인접한 상기 각 단위부재는 판면에는 소정 깊이 낮게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단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KR2020020015443U 2002-05-21 2002-05-21 유리용융로 KR200285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43U KR200285892Y1 (ko) 2002-05-21 2002-05-21 유리용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43U KR200285892Y1 (ko) 2002-05-21 2002-05-21 유리용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892Y1 true KR200285892Y1 (ko) 2002-08-16

Family

ID=7312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443U KR200285892Y1 (ko) 2002-05-21 2002-05-21 유리용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8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34112A1 (en) Melting of glass
KR930006372A (ko) 유리용융 교차가열 축열로의 보조산소 버너
US9505645B2 (en) Vacuum degassing apparatus, apparatus for producing glassware,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ware
WO2019230277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KR200285892Y1 (ko) 유리용융로
JP6958105B2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溶融炉
JP7459624B2 (ja) ガラス溶解炉、ガラス製造装置及びガラス製造方法
US3511630A (en) Glass melting and refining furnace with glass level control means
CN115536242B (zh) 一种通路空间结构、使用方法及池窑
KR100414175B1 (ko) 유리용융로
KR100340463B1 (ko) 글라스용융로용 축열실의 변경방법
KR200228950Y1 (ko) 유리용융로용 피더
KR100836578B1 (ko) 용융로 장치
KR200285894Y1 (ko) 유리용융로
KR200174268Y1 (ko) 유리용융로
JP6579116B2 (ja) ガラス溶解用バーナ、ガラス溶解炉、ガラス溶解方法及びガラス製造方法
JP2003165726A (ja) ガラス溶融炉
KR200228951Y1 (ko) 유리용융로
US2735229A (en) honiss
SU996338A1 (ru) Печь дл получени силикатного расплава
JPH1054667A (ja) るつぼ炉
KR100414174B1 (ko) 유리용융로
KR860001271Y1 (ko) 유리섬유 제조용 용융로
US1670098A (en) Continuous tank furnace
KR200285890Y1 (ko) 유리용융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