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951Y1 - 유리용융로 - Google Patents

유리용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951Y1
KR200228951Y1 KR2020010002136U KR20010002136U KR200228951Y1 KR 200228951 Y1 KR200228951 Y1 KR 200228951Y1 KR 2020010002136 U KR2020010002136 U KR 2020010002136U KR 20010002136 U KR20010002136 U KR 20010002136U KR 200228951 Y1 KR200228951 Y1 KR 200228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member
glass
molten glass
feeder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2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9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951Y1/ko

Links

Landscapes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대향하는 양측 변으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어 상기 하부부재와 더불어 용융유리의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재를 갖는 유리용융로에 있어서, 상기 양 측벽부재 사이에 배치된 상기 하부부재의 저부면은 상호 접촉되는 상기 측벽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접촉면에 비해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피더 내로 다시 유입하는 용융유리를 차단하여 피더 내에 수용된 용융유리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유리용융로{GLASS FURNACE}
본 고안은, 유리용융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대향하는 양측 변으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어 상기 하부부재와 더불어 용융유리의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재를 갖는 유리용융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리용융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용융로는 고상의 유리원료를 공급받아 가열용융시키는 멜터(118)와, 용융된 유리물 속의 기포를 제거시켜 양질의 유리를 만드는 리파이너(116)와, 멜터(118)와 리파이너(116) 사이에 배치되어 멜터(118)로부터의 용융된 유리물이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병목연결부(117)와, 리파이너(116)와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어 성형작업조건에 적합한 유리상태가 되도록 유리를 가열, 냉각 및 교반하여 압축성형장치(120)로 제공하는 피더(110)를 갖는다.
멜터(118)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벽의 상부영역에는 원료공급부(121)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유리원료를 가열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열포트(122)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가열포트(122)에는 유리원료를 가열용융시킬 수 있도록 버너(124)가 설치되어 있으며, 멜터(118)의 양측에는 버너(124)의 점화시 가열포트(122)로 예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축열실(126)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유리용융로용 피더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110)는, 용융유리물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도시 않은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112), 측벽부재(114)를 갖는다.
상부부재, 하부부재(112) 및 측벽부재(114) 들은 각기 내침식성이 우수한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부재는, 피더(110) 내의 온도관리를 위해 거의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부재(112)의 저부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부재(114)들은 하부부재(112)의 양측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피더(110)는, 용융유리를 소정의 조건으로 규질화하여 압축성형장치(120)로 제공하게 된다.
그런데, 내화벽돌의 노화로 인해 피더 내에 수용된 용융유리가 하부부재와 측벽부재 사이의 접촉면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외부로 누출되었던 용융유리가 인출량의 변화나 그 밖의 외부요인에 의해 다시 피더 내로 유입되면, 유입된 용융유리로 인해 멜터 내의 용융유리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유리용융로에 있어서는, 이 같이 유입되는 용융유리를 차단하는 별다른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용융유리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밖에 없으며, 결국, 최종적으로 양산되는 유리제품에는 치명적인 유리결점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피더 내로 다시 유입되는 용융유리를 차단하여 피더 내에 수용된 용융유리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용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최종적으로 양산되는 유리제품에 발생가능한 유리결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용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리용융로의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유리용융로용 피더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더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더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더 12 : 하부부재
14 : 측벽부재 16 : 융기단차부
17 : 함몰단차부 21 : 결합선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대향하는 양측 변으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어 상기 하부부재와 더불어 용융유리의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재를 갖는 유리용융로에 있어서, 상기 양 측벽부재 사이에 배치된 상기 하부부재의 저부면은 상호 접촉되는 상기 측벽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접촉면에비해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재는 상기 용융유리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들로 구성되어 있을 때, 상기 각 단위부재들에 의해 형성된 결합선은 적어도 일부구간에서 절곡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때, 상기 결합선은 계단형상 혹은, 요철형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일반적인 유리용융로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피더에 관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더의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피더(10)는, 용융유리물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도시 않은 상부부재, 하부부재(12) 및 측벽부재(14)를 갖는다. 상부부재, 하부부재(12) 및 측벽부재(14) 들은 각기 내침식성이 우수한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단위부재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양 측벽부재(14) 사이에 배치된 하부부재(12)의 저부면은 상호 접촉되는 측벽부재(14)와 하부부재(12)의 접촉면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부재(12)의 설명을 위해, 양 측벽부재(14) 사이에 배치된 하부부재(12)의 저부면을 융기단차부(16)라 하고, 측벽부재(14)들이 접촉하는 하부부재(12)의 연부면을 함몰단차부(17)라 한다.
이에 의해, 내화벽돌의 노화로 인해 피더(10) 내에 수용된 용융유리가 하부부재(12)와 측벽부재(14) 사이의 접촉면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융기단차부(16)와 함몰단차부(17)의 경계면(18)에 의해 누출된 용융유리가 다시 피더(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같은 이유라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부재(12)의 저부면 전체를 단차 융기시킬 필요는 없으며, 측벽부재(14)와 인접한 하부부재(12)의 연부면에 걸림턱(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하부부재(12) 역시, 내화벽돌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임을 감안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16,1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더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는, 전술한 하부부재(12)에 단차부(16,17)를 형성한 것 외에도, 측벽부재(14) 들에도 누출된 용융유리가 피더(10) 내로 다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측벽부재(14) 역시, 용융유리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부재(14a,14b)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각 단위부재(14a,14b)들에 의해 형성된 결합선(21)은 적어도 일부구간에서 절곡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도 5에서는, 결합선(21)이 계단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더(10) 내의 용융유리가 계단형상의 결합선(21)을 통과하거나 재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결합선(21)은, 단지 계단형상이 아닌, 예를 들어 요철형상이거나, 삼각치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상기 양 측벽부재(14) 사이에 배치된 상기 하부부재(12)의 저부면을 상호 접촉되는 상기 측벽부재(14)와 상기 하부부재(12)의 접촉면에 비해 높게 형성함으로써, 피더(10) 내로 다시 유입되는 용융유리를 차단하여 피더(10) 내에 수용된 용융유리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피더의 하부부재 및 측벽부재에 단차부 및 절곡 결합선을 형성하여 용융유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 같은 사상은, 피더 뿐만이 아닌 멜터, 병목연결부 및 리파이너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피더 내로 다시 유입되는 용융유리를 차단하여 피더 내에 수용된 용융유리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용융로를 제공된다.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 양산되는 유리제품에 발생가능한 유리결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대향하는 양측 변으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어 상기 하부부재와 더불어 용융유리의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재를 갖는 유리용융로에 있어서,
    상기 양 측벽부재 사이에 배치된 상기 하부부재의 저부면은 상호 접촉되는 상기 측벽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접촉면에 비해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재는 상기 용융유리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부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단위부재들에 의해 형성된 결합선은 적어도 일부구간에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선은 계단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선은 요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KR2020010002136U 2001-01-30 2001-01-30 유리용융로 KR200228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136U KR200228951Y1 (ko) 2001-01-30 2001-01-30 유리용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136U KR200228951Y1 (ko) 2001-01-30 2001-01-30 유리용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951Y1 true KR200228951Y1 (ko) 2001-07-03

Family

ID=7309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136U KR200228951Y1 (ko) 2001-01-30 2001-01-30 유리용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9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0964B (zh) Electric heating method of platinum - made composite pipe structure
KR200228951Y1 (ko) 유리용융로
JPH08290918A (ja) 溶解炉の構造
KR20050034611A (ko) 용융물 출탕통
JP4415179B2 (ja) 溶融ガラス供給装置
KR200285890Y1 (ko) 유리용융로
KR200174268Y1 (ko) 유리용융로
JP4968631B2 (ja) 溶融ガラス供給装置及びガラス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414175B1 (ko) 유리용융로
KR200285892Y1 (ko) 유리용융로
KR200228950Y1 (ko) 유리용융로용 피더
CN113677636A (zh) 玻璃板制造装置以及玻璃板制造方法
KR100340463B1 (ko) 글라스용융로용 축열실의 변경방법
JP2010090028A (ja) 溶融ガラス供給装置及びガラス成形品の製造方法
JP7392910B2 (ja) ガラス溶融装置、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KR200285891Y1 (ko) 유리용융로
KR200285888Y1 (ko) 유리용융로
CN111268890A (zh) 一种玻璃熔窑料道
SU1604757A1 (ru) Стекловаренна ванна печь
KR200285894Y1 (ko) 유리용융로
KR200285893Y1 (ko) 유리용융로
KR100400689B1 (ko) 용융유리 피더용 냉각장치
JP4505720B2 (ja) 溶融ガラス供給装置及びガラス成形品並びにガラス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2060226A (ja) ガラス溶解窯
KR200285895Y1 (ko) 유리용융로용 멜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