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283Y1 - 거푸집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283Y1
KR200285283Y1 KR2020020014547U KR20020014547U KR200285283Y1 KR 200285283 Y1 KR200285283 Y1 KR 200285283Y1 KR 2020020014547 U KR2020020014547 U KR 2020020014547U KR 20020014547 U KR20020014547 U KR 20020014547U KR 200285283 Y1 KR200285283 Y1 KR 200285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eam
fixing
formwork
fixed
bea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철
Original Assignee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4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2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283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을 에워싸는 고정밴드를 설치 또는 분리가 쉽도록 하고 장기간의 설치로 전단력에 의한 체결구의 파손을 줄이며 거푸집의 다양한 형상에 제한을 적게 받으면서 설치될 수 있는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외형을 감싸는 다수개의 거푸집 고정밴드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고정밴드는 서로 다른 높이의 대고정빔과 소고정빔으로 형성되어 다각 구조로 연속 배열되도록 측면에 삽입공이 통공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부 상면에 다수개의 고정공이 수직으로 구비되며 타단부 일측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고정홈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빔부와, 상기 고정빔부의 고정공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일치시켜 상기 고정빔부의 일단부를 서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 삽결하는 힌지핀과, 상기 고정빔부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일치시켜 상기 고정빔부의 타단부를 서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 삽설하는 조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푸집 고정장치{a fixing device of a mold unde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을 에워싸는 고정장치의 설치 및 분리를 간편하게 하고 거푸집의 다양한 형태에 따른 크기 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거푸집에 대한 조임력을 크게 유지할 수 있는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기둥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다수의 목재 판넬의 틀로 이루어진 일정형상의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시 충진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한 배불림 현상을 막고 거푸집의 원형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거푸집의 둘레를 사각형상의 목재로 감싸도록 맞추어 지지하는 고정밴드가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고정밴드로 목재가 사용될 경우 외부 물기에 의해 목재가 썩어 거푸집에 대한 조임력을 약화시키게 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상기 고정밴드의 재질로 철제를 주로 사용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밴드는 다수의 볼트 등 체결장치에 의해 체결되어 거푸집에 대한 조임력을 크게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고정밴드를 철제로 사용한 경우 거푸집을 체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고정밴드는 거푸집의 형상에 따라 반복 사용이 불가능하여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를 수직하게 체결하고 있는 체결구는 장기간의 체결로 전단력에 의해 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은 조립 설치 또는 분리가 용이하고 다양한 크기나 형상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며 장기간의 사용에도 체결구의파손을 방지고자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임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가 설치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빔부 12: 대고정빔
14: 소고정빔 16: 고정공
18: 고정홈 20: 힌지핀
30: 조임부 32: 고정편
34: 유동편 36: 볼트
38: 너트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외형을 감싸는 다수개의 거푸집 고정밴드에 있어서, 서로 다른 높이의 대고정빔과 소고정빔으로 형성되어 다각 구조로 연속 배열되도록 측면에 삽입공이 통공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부에 다수개의 고정공이 설치되며 타단부 일측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고정홈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고정빔부와, 상기 고정빔부의 고정공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일치시켜 상기 고정빔부의 일단부를 서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 삽결하는 힌지핀과, 상기 고정빔부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일치시켜 상기 고정빔부의 타단부를 서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 삽설하는 조임부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임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가 설치된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외형을 감싸는 다수개의 거푸집 고정밴드에 있어서, 서로 다른 높이의 대고정빔(12)과 소고정빔(14)으로 형성되어 다각 구조로 연속 배열되도록 측면에 삽입공(19)이 통공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부에 다수개의 고정공(16)이 설치되며 타단부 일측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고정홈(18)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고정빔부(10)와, 상기 고정빔부(10)의 고정공(16)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일치시켜 상기 고정빔부(10)의 일단부를 서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 삽결하는 힌지핀(20)과, 상기 고정빔부(10)의 고정홈(18)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일치시켜 상기 고정빔부(10)의 타단부를 서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 삽설하는 조임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빔부(10)는 한 쌍의 대고정빔(12)과 소고정빔(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고정빔부(10)는 거푸집의 형상에 따라 한 쌍 이상의 대고정빔(12)과 한 쌍 이상의 소고정빔(14)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대고정빔(12)의 높이는 소고정빔(14)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빔부(10)의 일단부에는 상·하 방향(도면에서 봤을 때)으로 통공된 고정공(16)이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빔부(10)의 타단부에는 측면에 하향 경사진 다수개의 고정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18)이 하향 경사진 이유는 대고정빔(12)과 소고정빔(14)이 교차한 상태에서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고정홈(18)은 고정빔부(10)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작상의 편의를 위해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소고정빔(14)을 대고정빔(12)에 삽입시킬 때 상기 고정홈(18)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삽입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대고정빔(12)과 소고정빔(14)을 포함하는 고정빔부(10)의 측면은 통공되어 삽입공(19)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대고정빔(12)의 삽입공(19) 내부로 소고정빔(14)이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는 대고정빔(12)의 삽입공(19)의 높이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고정빔(14)의 측면은 중실(中實)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중실인 소고정빔(14)의 측면에 고정홈(18)이 형성되어 있다면 후술할 고정편(32) 또는 유동편(34)이 삽입될 때 마찰력을 비롯한 간섭이 많이 발생된다.
그래서, 상기 대고정빔(12)과 소고정빔(14)의 측면은 관통되어 삽입공(19)이 형성되고 고정빔부(10)의 측면 상·하 가장자리에는 소정두께의 고정홈(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고정빔(14)에 삽입공(19)이 형성되는 것은 소고정빔(14)의 중량을 줄여 취급을 간편하게 하기 위함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빔부(10)의 삽입공(19)에는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지지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5)는 측면이 관통된 고정빔부(10)가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핀(20)은 상기 대고정빔(12)의 삽입공(19) 내부에 소고정빔(14)을 삽입하고 나서 각각의 고정공(16) 중 어느 하나를 일치시킨 후 삽입된다.
이때, 상기 힌지핀(20)은 고정공(16)에서 이탈되어 빠지지 않도록 힌지핀(20)의 두부 직경은 삽입공(19)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한다.
이때, 상기 대고정빔(12)과 소고정빔(14)은 고정공(16)에 삽입된 힌지핀(20)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힌지핀(20)의 크기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핀(20)은 고정공(16)에 하방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이탈되지 않겠지만 힌지핀(20)의 하부에 체결구(도시하지 않음)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도 상기 대고정빔(12)과 소고정빔(14)은 고정공(16)에 삽입된 힌지핀(20)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부(30)는 볼트(36), 볼트(36) 일단에 부착되어 고정된 고정편(32), 볼트(36)의 주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유동편(34) 및 유동편(34)을 볼트(36)의 외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너트(3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36)는 주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대고정빔(12)의 삽입공(19) 내부로 소고정빔(14)이 삽입되어 교차되는 안쪽 모서리에서 대고정빔(12)과 소고정빔(14)을 관통하여 양단이 외부로 돌출 되도록 충분히 길어야 한다.
상기 볼트(36)는 인장력이 작용하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이유는 단면적이 길이보다 훨씬 적은 볼트(36)가 수직으로 체결되면 전단력에 의해 잘 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32)은 볼트(36)의 일단에 고정되는데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편(32)의 크기는 대고정빔(12) 또는 소고정빔(14)의 고정홈(18) 중 어느 하나에 세로로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소정 두께와 일정 면적으로 이루어짐이 당연하다.
또한, 상기 유동편(34)은 볼트(36)의 주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상기 유동편(34)의 크기도 대고정빔(12) 또는 소고정빔(14)의 고정홈(18)에 세로로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소정 두께와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너트(38)는 볼트(36)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편(34)을 대고정빔(12) 또는 소고정빔(14)의 고정홈(18)에 삽입시킨 후 고정시키기 위하여 체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너트(38)는 일반적인 육각너트 일수도 있지만 기계공구로 쉽게 돌려 체결하거나 풀 수 있도록 윙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2)이 형성되기 위해 콘크리트를 투석할 수 있도록 사각기둥 형상으로 골재(4)를 쌓아 올린다.
상기 사각형상의 골재(4) 내부에 콘크리트를 투석할 경우 골재(4)가 배흘림 형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빔부(1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고정빔부(10) 중 소고정빔(14)은 대고정빔(12)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공(19)에 삽입하면서 이를 연속 배열하여 사각 형상을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거푸집(2)의 둘레에 고정빔부(10)를 설치하면서 먼저 대고정빔(12)과 소고정빔(14)의 고정공(16) 중 어느 하나를 일치시킨 후 힌지핀(20)을 꼽는다.
그리고,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꼭지부분에 위치한 대고정빔(12)과 소고정빔(14)의 고정공(16)도 힌지핀(20)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대고정빔(12)과 소고정빔(14)의 타단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18)은 각각 대향하지 않는 반대 방향으로 삽입되어 먼저 볼트(36)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편(32)을 대고정빔(12) 또는 소고정빔(14)의 고정홈(18)의 어느 하나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볼트(36)의 고정편(32)은 가능한 한 고정홈(18)의 안쪽에 삽입하여 고정빔부(10)가 거푸집(2)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36)의 유동편(34)을 움직여 다른 고정홈(18)에 삽입하고 너트(38)를 죄여 유동편(34)을 고정한다.
또한,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모서리부에서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볼트(36)로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빔부(10)를 분리할 땐 두 개의 너트(38)를 풀고 볼트(36)를 고정빔부(1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쉽게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장치는 볼트를 인장력을 크게 받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전단력에 의한 볼트의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트에 체결된 너트만 죄거나 풀면 고정장치를 설치 또는 분리할 수가 있어 고정장치가 설치 또는 분리되는데 종래 보다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거푸집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고정장치의 크기도 조절할 수가 있어서 거푸집에 따라 사용에 제한이 종래 보다 적은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외형을 감싸는 다수개의 거푸집 고정밴드에 있어서,
    서로 다른 높이의 대고정빔과 소고정빔이 연속 배열되도록 측면이 통공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고정공이 설치되며 타단부 일측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고정홈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고정빔부와;
    상기 고정빔부의 고정공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일치시켜 상기 고정빔부의 일단부를 서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 삽결되는 힌지핀과;
    상기 고정빔부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일직선상에 위치시켜 상기 고정빔부의 타단부를 서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해 삽설하는 조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빔부의 삽입공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지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빔부의 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받으며 상기 고정빔부를 고정하기 위해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기 고정빔부의 고정홈의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일단에 고정편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이동 가능한 유동편이 설치되며 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유동편을 상기 대고정빔 또는 소고정빔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유동편을 삽입 고정시키는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KR2020020014547U 2002-05-13 2002-05-13 거푸집 고정장치 KR200285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547U KR200285283Y1 (ko) 2002-05-13 2002-05-13 거푸집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547U KR200285283Y1 (ko) 2002-05-13 2002-05-13 거푸집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283Y1 true KR200285283Y1 (ko) 2002-08-13

Family

ID=7308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547U KR200285283Y1 (ko) 2002-05-13 2002-05-13 거푸집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2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62Y1 (ko) * 2008-06-03 2011-02-14 권태웅 시멘트 기둥용 유로폼 고정밴드
KR101059571B1 (ko) 2009-07-13 2011-08-26 최은수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20160003777U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동신텍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62Y1 (ko) * 2008-06-03 2011-02-14 권태웅 시멘트 기둥용 유로폼 고정밴드
KR101059571B1 (ko) 2009-07-13 2011-08-26 최은수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20160003777U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동신텍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200482085Y1 (ko) 2015-04-23 2016-12-13 주식회사 동신텍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03493A1 (en) Hollow post anchoring systems for decking and related methods
CA2650667A1 (en) Composite wall and floor system
KR200285283Y1 (ko) 거푸집 고정장치
US6564524B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KR100763886B1 (ko) 커튼월 고정장치
JP2007016544A (ja) 法面保護工及びネット固定装置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JP4669955B2 (ja) アンカーフレーム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JPH072828Y2 (ja) 中空コンクリート版の取付構造
KR200334801Y1 (ko) 난간동자용 쐐기형 조립식 앵커
KR102516806B1 (ko) 레일형 프레임을 구비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장치
KR200317282Y1 (ko)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용 간격 유지구
KR200149720Y1 (ko) 콘크리트 거푸집 간격유지타이 고정용 받침지지대
KR200251518Y1 (ko) 거푸집의 고정장치_
JPH0849306A (ja) アンカーボルト定着装置
KR200345032Y1 (ko) 거푸집 고정장치
JPH0420889Y2 (ko)
JPS5820043Y2 (ja) フエンスのレ−ルと支柱の連結装置
JPH0647080Y2 (ja) 足場ブラケット
JP7015646B2 (ja) ブラケット
KR970062201A (ko) 낙석방지용 방지책의 설치방법 및 장치
KR100507433B1 (ko) 복스
KR20240107631A (ko) 거푸집용 안전 난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