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282Y1 -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282Y1
KR200285282Y1 KR2020020014546U KR20020014546U KR200285282Y1 KR 200285282 Y1 KR200285282 Y1 KR 200285282Y1 KR 2020020014546 U KR2020020014546 U KR 2020020014546U KR 20020014546 U KR20020014546 U KR 20020014546U KR 200285282 Y1 KR200285282 Y1 KR 200285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rmwork
truss
ground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재
Original Assignee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4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2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282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삼각 트러스 형상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지지 및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서, 지지하중이 지지대의 하부에 집중되는 점에 착안하여 지지대의 구조를 소형으로 개량함으로써 무게가 경량화됨에 따라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고 운송이 용이하며, 장착방법이 간단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과 지지대를 동시에 설치하는 동시타설 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supporting structure for concrete wall}
본 고안은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각 트러스 형상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지지 및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서, 지지하중이 지지대의 하부에 집중되는 점에 착안하여 지지대의 구조를 소형으로 개량함으로써 무게가 경량화됨에 따라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고 운송이 용이하며, 장착방법이 간단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과 지지대를 동시에 설치하는 동시타설 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경우에는 지층에 철근이 배설된 후, 콘크리트 바닥면을 구축한 다음, 거푸집을 상기 바닥면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세워서 시멘트를 충진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건물을 축조하게 된다.
상기 벽체의 타설은 맞벽 또는 합벽이라 불리우는 방식으로 축조되며, 맞벽이라 함은 굴삭된 지하 공간에서 거푸집을 양쪽으로 타설하여, 상기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합벽이란 굴삭된 지하 공간의 지층에 의하여 한쪽이 지지되며, 다른 한 쪽은 지지대에 의하여 고정되는 거푸집을 설치하여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을 말하며 상기 맞벽 방식보다 공정이 단순하여 단기간에 행할 수 있는이점을 갖고 있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합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거푸집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에 박혀있는 H-빔(beam) 파일에 폼타이를 용접하여 와셔와 윙 너트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콘크리트 벽에 폼타이가 묻혀있는 상태이므로 시공 후에 완벽하게 방수 처리를 할 수 없게 되며, 거푸집을 지지해 주는 폼타이를 일일이 용접하여 부착해야 하고, 상기 거푸집에도 대응하는 구멍을 뚫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 삼각 트러스 형상의 지지대를 설치하고 바닥에 앵커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으나, 제작원가가 고가이며 지지대에 사용되는 관의 무게가 무거워 재료비의 증가와 함께 운송의 어려움이 있을뿐 만 아니라 설치 및 해체의 작업이 복잡하여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무게가 중량인 이유로 운송이 어려워 거푸집을 먼저 설치한 후에 거푸집에 지지대를 고정 설치하는 선타설 방법만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시공방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삼각 트러스 형상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지지 및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서, 지지하중이 지지대의 하부에 집중되는 점에 착안하여 지지대의 구조를소형으로 개량함으로써 무게가 경량화됨에 따라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고 운송이 용이하며, 장착방법이 간단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과 지지대를 동시에 설치하는 동시타설 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의 지지트러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상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푸집 3 : 지지파이프
6 : 보강빔 20 : 지지트러스
22 : 수직지지대 24 : 수평지지대
26 : 경사지지대 28 : 보강부재
40 : 지지브라켓트 61 : 매립앙카
62 : 연결너트 63 : 디비닥볼트
64 : 조임판 65 : 조임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합벽용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관이 결합되어 형성된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거푸집의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거푸집의 세로 방향으로 상기 지지파이프와 직교를 이루며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보강빔과;
상기 보강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보강빔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외측면 하부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형성하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 끝단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지면상에 받쳐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제1쟈키베이스 및 제2쟈키베이스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부 일측과 상기 수평지지대의 자유단부 일측에 그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연결 설치되는 경사지지대로 이루어진 지지트러스와;
상기 지지트러스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앙카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앙카고정수단은 거푸집 설치부위의 지면에 일정 각도 절곡되어 매설되는 매립앙카와, 상기 매립앙카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너트와, 상기 연결너트에 연장 연결되어 지면상으로 돌출 설치되는 디비닥볼트와, 상기 지지트러스의 일측에 접촉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디비닥볼트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조임판과, 상기 조임판을 조여주어 디비닥볼트에 고정시키는 조임너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트러스의 내측 모서리부에 상기 지지트러스가 접촉되어 놓일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가지는 지지브라켓트가 구비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의 지지트러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상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거푸집(1)의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각 보강빔(6)의 하단부에 삼각 트러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러스지지대(20)가 간편하게 결합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거푸집(1)에 가해지는 중량이 상기 트러스지지대(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벽체 타설을 위한 거푸집(1)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며 설치되는데, 상기 거푸집(1)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거푸집(1)의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지지파이프(3)가 접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1)의 세로 방향으로 상기 지지파이프(3)와 직교를 이루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보강빔(6)이 결합되는데, 그 결합구조는 상기 지지파이프(3)에 각각 용접되어 결합되거나, 거푸집(1)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결합부재(볼트와 너트)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현장의 작업상황이나, 편리성 및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사항에 불과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빔(6)은 그 단면이 H 형상으로 이루어진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그 단면이 사각인 경우보다 큰 강성을 견딜 수 있으며 클램프를 이용한 결합구조에 보다 적절하게 대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거푸집(1)에 세로 방향으로 결합된 각 보강빔(6)의 하단부에는 전체적으로 거푸집(1)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삼각 형상의 지지트러스(20)가 설치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트러스(20)는 상기 보강빔(6)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보강빔(6)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는 수직지지대(22)와,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외측면 하부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형성하는 수평지지대(24)와,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상부 일측과 상기 수평지지대(24)의 자유단부 일측에 그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연결 설치되는 경사지지대(2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트러스(20)는 수직지지대(22)와 수평지지대(24) 및 경사지지대(26)가 삼각 형상을 이루면서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그 내측부에는 구조적 강성을 높이기 위한 보강부재(28)가 각 지지대(22,24,26) 사이에 연결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지지대(22)는 그 양 측면에 절곡면(22a)이 형성되어 단면이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 절곡면(22a)의 내측 개방부를 통해 상기 보강빔(6)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대(24)의 양 끝단 하부에는 상기 지지트러스(20)를 지면상에 받쳐주는 제1쟈키베이스(31) 및 제2쟈키베이스(32)가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제1쟈키베이스(31) 및 제2쟈키베이스(32)는 지면에 접촉되는 받침판(34)과 조절볼트(35) 및 조절너트(36)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너트(36)를 풀어주거나 조여줌으로써 상기 지지트러스(20)의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트러스(20)는 상기 거푸집의 크기에 비해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수직지지대(22)의 길이는 상기 보강빔(6)의 길이에 비해 절반 이하의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트러스(20)의 내측 모서리부에는 경사면(41)을 가진 지지브라켓트(40)가 구비되어 상기 경사면(41)을 통해 뒤에 설명할 조임판이 접촉되어 놓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트러스(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수직지지대(22)가 보강빔(6)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된 다음 앙카고정수단(60)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데, 상기 앙카고정수단(60)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거푸집(1)이 설치되는 부위의 지면에 매립앙카(61)가 일정 각도 절곡되어 매설되고, 상기 매립앙카(61)의 일단에는 연결너트(62)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너트(62)에는 디비닥볼트(63)가 연결되어 지면상으로 돌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트러스(20)의 내측 모서리부에 구비된 지지브라켓트(40)의 경사면(41)에 접촉되어 조임판(64)이 수평으로 놓이게 되는데, 상기 조임판(64)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부(66)가 형성되어 상기 디비닥볼트(63)가 관통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조임판(64)에 디비닥볼트(63)가 관통되어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부에 조임너트(65)가 끼워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조임너트(65)를 조여줌으로써 상기 조임판(64)이 지지브라켓트(40)의 경사면(41)측으로 조여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트러스(20)가 디비닥볼트(63)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합벽용 거푸집(1)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거푸집(1)의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지지파이프(3)를 용접 등에 의해 고정시키고, 상기 거푸집(1)의 세로 방향으로 상기 지지파이프(3)와 직교를 이루게 다수개의 보강빔(6)을 일정 간격으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지지트러스(20)를 상기 보강빔(6)의 하단부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트러스(20)의 수직지지대(22)를 보강빔(6)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끼움 설치될 수 있도록 한 다음 앙카고정수단(60)을 통해 상기 지지트러스(20)를 지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트러스(20)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보강빔(6)의 하단부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1)을 통해 가해지는 하중이 결과적으로 보강빔(6)에 결합된 지지대의 하부에 집중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트러스(20)가 소형으로 제작되어 보강빔(6)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거푸집(1)의 하부만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더라도 거푸집(1)에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트러스(20)가 소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무게가 대폭 경량화됨에 따라 운반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트러스(20)의 수직지지대(22)를 보강빔(6)의 외측에 끼운 다음 앙카고정수단(60)에 의해 지면에 고정하여 설치하면 되므로 설치 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되며, 상기 지지트러스(20)를 일체로 제작하여 운반한 다음 현장에서 바로 조립이 가능하게 되므로 거푸집(1)의 설치와 동시에 바로 지지대를 설치하는 동시타설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에 의하면,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고 운송이 용이하며, 그 설치방법이 간단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과 지지대를 동시에 설치하는 동시타설 방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합벽용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관이 결합되어 형성된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거푸집의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거푸집의 세로 방향으로 상기 지지파이프와 직교를 이루며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보강빔과;
    상기 보강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보강빔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외측면 하부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형성하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 끝단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지면상에 받쳐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제1쟈키베이스 및 제2쟈키베이스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부 일측과 상기 수평지지대의 자유단부 일측에 그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연결 설치되는 경사지지대로 이루어진 지지트러스와;
    상기 지지트러스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앙카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앙카고정수단은, 거푸집 설치부위의 지면에 일정 각도 절곡되어 매설되는 매립앙카와, 상기 매립앙카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너트와, 상기 연결너트에 연장 연결되어 지면상으로 돌출 설치되는 디비닥볼트와, 상기 지지트러스의 일측에 접촉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디비닥볼트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조임판과, 상기 조임판을 조여주어 디비닥볼트에 고정시키는 조임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트러스의 내측 모서리부에 상기 지지트러스가 접촉되어 놓일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가지는 지지브라켓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KR2020020014546U 2002-05-13 2002-05-13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KR200285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546U KR200285282Y1 (ko) 2002-05-13 2002-05-13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546U KR200285282Y1 (ko) 2002-05-13 2002-05-13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282Y1 true KR200285282Y1 (ko) 2002-08-13

Family

ID=7312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546U KR200285282Y1 (ko) 2002-05-13 2002-05-13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2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500B1 (ko) 2005-10-18 2006-08-08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철근을 이용한 가설재 고정장치
KR101009489B1 (ko) 2010-10-22 2011-01-18 (주)블루폼 합벽지지대용 앵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합벽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500B1 (ko) 2005-10-18 2006-08-08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철근을 이용한 가설재 고정장치
KR101009489B1 (ko) 2010-10-22 2011-01-18 (주)블루폼 합벽지지대용 앵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합벽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140B1 (ko) Pc부재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05256341A (ja) 波形鋼板ウエブuコンポ橋
KR200285282Y1 (ko)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KR20040101919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프리캐스트 보와의 접합방법
JP4398876B2 (ja) 構造物の橋脚構造
JPH10331436A (ja) 既存構築物における柱梁の耐震補強構造
KR102330481B1 (ko) 분절된 pc 격자보를 이용한 반도체 공장 구조물
JP7339865B2 (ja) 壁パネルの建て込み方法
KR100343369B1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 및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보의접합방법
KR20100018877A (ko) 건축물의 수직 골조부와 피씨거더부재의 연결구조 및 그시공 방법
JP2001064978A (ja) 建物基礎の構造
KR20190123408A (ko) 합벽지지대 고정장치
AU2018202577B2 (en) A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ost
JP2004116124A (ja) 鉄塔の基礎構造
JP2003049407A (ja) 橋梁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85281Y1 (ko)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JP2860491B2 (ja) 鉄骨を用いたべた基礎
KR20040051182A (ko)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가설 흙막이 공법 및 그 파일
KR101657628B1 (ko) 강관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JP2002256516A (ja) 床版補強構造
KR102466352B1 (ko) 외벽 보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보강공법
KR102372473B1 (ko) 가설브라켓을 이용한 pc기둥과 pc거더의 접합부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H09203053A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基礎構造
JPH08253912A (ja) 橋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