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144Y1 - 도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144Y1
KR200284144Y1 KR2020020009303U KR20020009303U KR200284144Y1 KR 200284144 Y1 KR200284144 Y1 KR 200284144Y1 KR 2020020009303 U KR2020020009303 U KR 2020020009303U KR 20020009303 U KR20020009303 U KR 20020009303U KR 200284144 Y1 KR200284144 Y1 KR 200284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own rice
milling
mill
b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철수
Original Assignee
신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철수 filed Critical 신철수
Priority to KR2020020009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1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144Y1/ko

Link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도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정시스템은 수직상으로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호퍼, 현미기, 탈피 선별기, 석발기가 어레이된 현미 도정장치와, 현미 도정장치의 석발기를 거쳐 배출되는 현미가 투입될 수 있도록 위치된 투입구에 투입된 현미를 수직상으로 이송시키는 제1 수직 컨베이어와, 제1수직 컨베이어에서 토출되어 호퍼로 투입되는 현미를 수직상으로 배열된 1차 정미기 및 2차 정미기를 통해 순차적으로 정미시키는 정미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도정 시스템에 의하면, 점유 면적을 크게 차지하지 면서도 현미, 정미공정을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정미시 식각과정에 의해 깍여지는 식각 정도를 원하는 정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정 시스템{rice milling system}
본 고안은 도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점유면적을 줄일 수 있으면서, 현미/정미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도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농가에서 재배된 벼를 밥을 지을 수 있는 쌀로 가공하는 도정 과정으로서 현미과정과 정미과정이 있다.
현미과정은 벼의 껍질을 탈피시키는 공정이고, 정미과정은 현미의 일정부분을 원하는 양만큼 식각에 의해 제거하는 공정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정미기는 천공이 형성된 정미망내에 삽입된 정미롤러를 회전시켜 정미망과 정미롤러 사이에 개재된 현미를 마찰에 의해 식각시킬 수 있도록 구조되어 있다.
이러한 정미기에 의한 정미 과정에서 정미롤러, 현미 및 정미망 사이에서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열은 현미의 온도를 높여 품질열화를 발생시킨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도정공장에는 정미시 현미의 마찰열의 상승을 억제하고, 식각된 부분을 흡입에 의해 강제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송풍팬이 설치된 대규모의 정미기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대규모의 도정 설비는 구조가 복잡하고, 넓은 점유면적을 필요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농가 또는 가정용으로 설치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정미기는 정미과정에서 현미에 대한 식각율을 조정하기 위한 식각 조절기의 구조가 너무 복잡하거나 조절 정밀도가 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여서 간단한 구조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식각 조절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현미기 및 정미기가 대부분 별도의 장치로 사용됨으로써, 설비 점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점유공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한 정미 도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대상 곡물에 대한 식각율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단순한 도정 장치용 식각 조절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현미공정 및 정미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설비 점유면적을 줄일 수 있는 구조의 도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미 도정장치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식각 조절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정미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현미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수직 콘베이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현미기의 현미 롤러 구조를 일부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도정 시스템 200: 정미 도정장치
300: 제1수직 콘베이어 400: 현미 도정장치
500: 제2 수직 콘베이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정미 도정장치는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관상 하우징 내에 마련된 정미망과 그 내부에서 회전되는 정미롤러에 의해 그 상부에 마련된 제1호퍼로부터 낙하되는 현미를 1차 정미하여 배출하는 1차 정미기와; 상기 1차 정미기의 배출구 하부에 설치된 제2호퍼로부터 낙하되어 유입되는 1차 정미를 상기 1차 정미기와 수직상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관상 하우징내에 마련된 정미망과 그 내부에서 회전되는 정미롤러에 의해 2차 정미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2차 정미기와; 상기 1차 정미기의 관상 하우징내에 형성된 유로와 상기 2차 정미기의 관상하우징내에 형성된 유로와 각각 연결되어 정미과정에서 식각에 의해 분리된 부분을 흡입에 의해 배출하는 흡입기와; 제1 및 제2구동풀리가 마련된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정미롤러 각각의 회전축, 상기 흡입기의 회전축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수직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흡입기의 회전축에 마련된 흡입 풀리는 상기 제1구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2차 정미기의 회전축에는 상기 제2구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제1중계풀리 및 상기 1차 정미기의 회전축에 마련된 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제2중계풀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정장치의 식각조절기는 관상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곡물을 나선형 스쿠루부분을 갖는 도정롤러의 회전에 의해 전진시키면서 도정망과 상기 도정롤러 사이에 개제되는 상기 가공대상물을 마찰에 의해 식각시켜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도정장치의 식각 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대향되게 설치되되 상기 배출구와 대향되는 간극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관상 하우징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로막이 판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곡물에 대한 저항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 맞은편의 상기 가로막이 판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연장되되, 연장부분내에서 무게추를 슬라이딩 이동 시킬 수 있도록 된 조정 아암과; 상기 가로막이판의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의 이격간격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의 상기 가로막이판으로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상에 설치된 미세 조정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 조정부는 상기 가로막이판 상부 플레이트상에 상기 탄성부재가 소정 길이 삽입지지 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핀과; 상기 돌출핀에 대향되게 진퇴 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되 그 선단부에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지지될 수 있도록 된 조절나사;를 구비한다.
상기 조정 아암은 원기둥 형태의 봉에 일정 간격마다 환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무게추는 상기 봉에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을 갖되, 중공에 수직한 방향에 형성된 홀에 상기 환형 홈에 진퇴될 수 있는 볼 및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상기 볼과 스프링의 상기 홀 외부로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상기 홀에 결합되는 차폐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현미 도정장치는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복수의 롤러의 회전에 의해 투입되는 벼의 피복을 탈피하는 현미기와; 상기 현미기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를 거쳐 낙하되는 벼와 현미의 이송로를 형성하되, 상기 이송로의 일측에 형성된 유로를 통한 공기 흡입에 의해 상기 롤러에 의해 탈피된 겨를 현미로부터 선별하여 분리하는 탈피 선별기와; 상기 탈피 선별기를 거쳐 낙하되는 현미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발진에 의해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겨 분리기 하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하로 발진되게 설치된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 하부에서 상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마련된 석발기;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정 시스템은 수직상으로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호퍼, 현미기, 탈피 선별기, 석발기가 어레이된 현미 도정장치와; 상기 현미 도정장치의 석발기를 거쳐 배출되는 현미가 투입될 수 있도록 위치된 투입구에 투입된 현미를 수직상으로 이송시키는 제1 수직 컨베이어와; 상기 제1수직 컨베이어에서 토출되어 호퍼로 투입되는 현미를 수직상으로 배열된 1차 정미기 및 2차 정미기를 통해 순차적으로 정미시키는 정미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투입구에 투입된 벼를 수직상으로 이송시켜 상기 현미기의 호퍼로 투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 수직 컨베이어;가 더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된 식각 조절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정 시스템(100)은 정미 도정장치(200), 제1 수직 컨베이어(300), 현미 도정장치(400) 및 제2 수직 컨베이어(500)가 병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600은 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제1수직 컨베이어(300) 및 제2 수직 컨베이어(500)는 그 하부에 마련된 투입구(310)(510)를 통해 투입된 가공 대상 곡물을 수직상으로 이송시켜 상부에 마련된 배출구(320)(52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직 컨베이어(300)(500) 구조의 일 예가 도시된 도 6을 참조하면, 수직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부롤러(330)(530) 및 하부 롤러(340)(540), 롤러(330)(530) (340)(540) 사이에서 무한궤도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벨트(350)(550) 및 상기 벨트(350)(450)상에 일정간격으로 곡물을 담을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의 버킷(370)(570)을 구비한다. 상부 롤러(330)(530)와 하부롤러(340)(540)중 하나의 롤러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참조부호 381은 상부롤러(330)를 선회하고 있는 버컷(350)으로부터 투하되는 가공대상 곡물을 제1배출구(320)와 제2배출구(323)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곡물 이송경로를 조정하는 배출경로 선택판이다. 배출경로 선택판(381)의 조작 구조는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경로 선택판(381)은 배출관상의 하부에 뚤린 제2배출구(323)를 회동에 의해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배출관의 측벽을 관통하게 설치된 회동축(382)에 결합시킨다. 또한, 배출관 측벽 외부로 노출된 회동축(38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회동축(382)에 소정길이 연장되게 레버(383)을 형성시키고, 레버(383)의 일측은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배출구(323)를 개방 또는 폐쇄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스프링(384)과 같은 탄성바이어스 수단에 의해 수직 컨베이어(300)의 일측에 지지시키며, 레버(383)의 타측에는 줄(387) 또는 와이어를 연결시켜 사용자가 회동축(382)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배출구(323)와 현미 도정장치(400)의 호퍼(410)내부로 호스(389)와 같은 이송관이 설치된다. 이 경우, 현미 도정장치(400)에서 가공된 현미를 현미 도정장치(400)에서 재가공하고자 할 경우 상기 배출경로 선택판(381)을 조작하면 된다.
현미 도정장치용 제2 수직 콘베이어(500)상에도 상기 배출경로 선택판(381)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정미 도정장치(200)는 제1 수직 컨베이어(300)의 제1배출구(320)를 통해 낙하되는 현미가 적재되는 제1 호퍼(210), 1차 정미기(220), 제2호퍼(211), 2차 정미기(250), 흡입기(260) 및 모터(270)가 수직상으로 나란하게 열을 지어 프레임(280)상에 설치되어 있다.
정미 도정장치(200)의 요부를 발췌한 도 2를 참조하면, 1차 정미기(220)는 제1호퍼(210)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관상 하우징(221)(222)과, 관상하우징(221)(222)의 배출구(식각 조절기에 가려짐: 도 3참조)와 대향되게 설치된 식각 조절기(230) 및 회전축에 연결된 풀리(226)를 구비한다.
관상 하우징(221)(222)내에는 유로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천공이 형성된 정미망, 정미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정미기의 내부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하우징(221)(222)의 일부를 분리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중공(223b) 및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홀(223a)이 형성된 회전축(223), 상기 회전축(223) 외부에서 결합되는 정미롤러(224), 정미롤러(224)를 둘러싸게 설치되는 정미망(225) 및 정미망(225)이 지지되는 상부 및 하부 유로 배출 케이스(222a)(222b)를 구비한다. 관상하우징(221)(222)은 상부 및 하부 유로 배출 케이스(222)의 일측에서 결합되며 정미롤러(224)의 나선형 스쿠류부분(224a)이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제1호퍼(210)로부터 낙하되는 현미가 투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마련된 유입 케이스(221)를 포함한다.
유로 배출 케이스(222)의 하부에 V자형으로 형성된 부분 하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는 호스(265)에 의해 후술하는 흡입기(260)의 흡입 연결관(266)과 연결된다.
회전축(223)상에 형성된 중공(223b) 및 관통공(223a), 상부 유로 배출케이스(222)에 형성된 관통공(222c)은 외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1차 정미기(220)의 회전축(223)에는 벨트(275)가 결합될 수 있는 풀리(226)가 마련되어 있다.
2차 정미기(250)는 그 회전축(253)상에 제1 및 제2 중계풀리(256)(257)가 마련되어 있다.
2차 정미기(250)는 1차 정미기(220)를 거쳐 제2호퍼(211)로부터 낙하되는 1차 정미를 2차 정미할 수 있도록 구조 되어 있고, 관상하우징 내의 구조 및 식각조절 장치(230)는 1차 정미기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2차 정미기(250)의 요소중 1차 정미기(220)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대신한다.
흡입기(260)의 흡입관(263)에는 각 유로배출 케이스(222)의 배출구와 각각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연결관(266)(268)을 통해 호스(265)(267)로 연결되어 있다.
흡입기(260) 내부의 팬(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회전축(261)에는 흡입 풀리(264)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기(260)의 배출관(268)은 별도의 호스(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모터(270)의 회전축(271)에는 제1 및 제2구동 풀리(272)(273)가 마련되어 있다.
제1구동풀리(272)는 흡입기(260)의 흡입풀리(264)와 벨트(277)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제2구동풀리(273)는 2차 정미기(250)의 제1중계 풀리(256)와 벨트(27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중계풀리(257)는 1차 정미기(220)의 풀리(226)와 벨트(27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정미 도정장치(200)는 각 기기 즉, 1차 정미기(220), 2차 정미기(250), 흡입기(260) 및 모터(270)의 회전축(223)(253)(261)(271)은 수직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고, 하나의 모터(270)에 의해 나머지 기기로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해 지면서 바닥면에 대한 점유공간을 줄일 수 있다.
각 정미기(220)(250)의 배출구상에 설치된 식각 조절기(230)는 정미롤러(224)의 회전에 의해 전진력을 받는 현미가 하우징(222)을 이탈할려고 할 때 받는 저항력을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구조되어 있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식각 조절기(230)는 지지프레임(231), 가로막이판(232), 조정 아암(234), 무게추(237) 및 미세조정부를 구비한다.
지지프레임(231)은 유로배출 케이스(222)의 배출구측에 결합되며, 개략적으로는 "ㄴ"자 형태가 2단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구조되어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231)의 배출구와 대향되는 면에는 배출구 크기 정도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프레임(231)과 가로막이판(232)의 상방 플레이트(231a)(232a) 상호간은 충분한 유격을 갖도록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관통된 나사(233)로 스프링(239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프레임(231) 외측으로 연장된 나사(233)와 너트 사이에는 스프링(239a)과 와셔(240a)가 삽입되어 가로막이 플레이트(232)의 지지프레임(231)에 대한 이격정도 및 회동 제한력을 너트의 조정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미세조정부는 배출구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지지프레임(231)의 상면 플레이트(231b)를 관통하여 진퇴될 수 있게 설치된 나사(238)와, 상면 플레이트(231b) 하부에 돌출된 나사(238)부분과 대향되는 가로막이 판 부분(232b)에 돌출된 돌출핀(232d)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239b)을 구비한다. 스프링(239b)은 나사(238)에 설치된 와셔(240b)에 의해 유격범위가 제한된다. 따라서 나사(238)의 수직방향으로의 진퇴에 의해 가로막이 판(232)에 대한 배출구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스프링(239b)에 의해 가변된다.
또한, 가로막이판(232)의 배출구 맞은편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아암(234)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234)의 수평부분(234a)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된 부분(234b)에는 일정 간격으로 환형 홈(234c)이 형성되어 있다.
무게추(237)는 상기 아암(234)에 삽입될 수 있는 중공(237a)이 마련되어 있고, 중공(237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내에는 볼(237b)과, 스프링(237c) 및 홀 차폐용 볼트(237d)가 설치된다.
아암(234)에 무게추(237)를 삽입한 다음 볼(237d)과, 스프링(237c)을 홀을 통해 삽입한 다음 차폐용 볼트(237d)를 결합시킨다. 무게추(237)를 원하는 높이 만큼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무게추(237)에 소정의 힘을 가해 슬라이딩 시켜 볼(237c)이 원하는 위치의 환형홈(234c)에 끼워지도록 조정하면 된다.
이러한 식각 조절기(230)는 무게추(237)를 아암(23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시킬수록 토오크가 커져 가로막이판(232)의 배출구 방향으로의 저항력이 높아진다. 또한, 미세 조정부의 나사(238)를 하방으로 전진시킬수록 가로막이판(232)의 배출구 방향으로의 저항력이 높아진다. 바람직하게는무게추(237)의 환형홈 사이 단위 간격에 의해 결정되는 저항력 조정 범위 정도를 상기 미세 조정부의 나사 조절에 의해 다시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각 요소의 물리적 특성이 결정된다.
이러한 식각 조절기(230)는 벼 이외의 곡물 예컨대 보리 밀 또는 그 밖의 도정장치의 식각 조절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수직 컨베이어(300) 우측에 마련된 현미 도정장치(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상으로 어레이된 호퍼(410), 현미기(420), 탈피 선별기(450), 석발기(470)를 구비한다.
현미기(420)는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복수의 현미 롤러(422)(423) 및 호퍼(410)에 적재된 벼가 현미 롤러(422)(423)사이로 투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투입구(426)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개폐기(427) 및 벼의 투입구 내로의 투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교반 롤러(424)를 구비한다.
현미 롤러(422)(423) 및 교반 롤러(424)는 하나의 모터에 의해 그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나의 벨트에 의해 그 풀리들이 상호 접촉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현미기(420)는 바람직하게는 현미롤러(422)(423) 사이의 간극을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조된다.
예컨대, 현미롤러(422)(423)가 사용에 의해 마모되어 외경이 축소될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현미 롤러(422)(423)의 축이 타 현미롤러의 축방향으로 이동 될 수 있도록 구조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28)상에 저속용 풀리와 연결된 현미 롤러(423)가 결합되는 베어링부가 관통되되 위치 이동을 조정할 수 있도록 타 현미롤러(422)의 베어링부(425)와의 축 이격거리 조정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장공(428a)이 마련되어 있다. 현미롤러의 베어링부(425)는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플레이트(428)에 결합된다.
또한, 장공(428a)에 삽입된 베이링부와 결합되되 플레이트(428)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판(427)의 하단은 회동조정용 핸들(429)로부터 연장된 봉의 선단과 결합되어 있다. 참조부호 428c는 핸들(429)의 봉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되어 봉의 진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링이다. 따라서, 핸들(429)의 회전에 의해 진퇴되는 봉에 의해 현미 롤러(422)(423)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탈피 선별기(450)는 하부가 열린 V자 형태로 형성된 격벽(451)(452)과, 그 하부에 수직상으로 형성된 철망(453)과 대향되는 방향을 따라 하부 격벽(451)과 상부 격벽(452)사이로 유로를 형성시킨 유로관(456)과, 유로관(456)을 통해 탈피된 껍질을 외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460)가 마련되어 있다.
송풍기(460)에 의해 소위 왕겨라고 부르는 벼의 껍질은 유로관(456) 및 송풍기(460)를 거쳐 외부로 토출된다.
참조부호 457은 흡입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판이다.
석발기(470)는 철망(453) 하부로 형성된 현미 이송경로를 거쳐 낙하되는 현미를 상하 진동에 의해 돌과 같은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도록 소정각도로 상방으로 경사지게 철망과 같은 다공성 판으로 형성된 진동판(471)과, 진동판(271)의 하부에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롤러(474), 상기 롤러(474)와 접촉하되 편심을 갖는 캠(476) 및 진동판(471) 하부에서 상부로 바람을 송출시키는 송풍팬(478)을 구비한다.
참조부호 472는 진동판(471)의 상하 진동이 자유롭도록 석발기 케이스에 관통되도록 설치된 회동축(473)과 진동판(471)의 프레임에 결합된 링크부재 이고, 참조부호 480은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 483은 수거통(480)의 바닥 측면에 형성된 홀과 연력된 호스(482)를 통해 흡입에 의해 수거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된 식각 조절기에 의하면, 점유 면적을 크게 차지하지 면서도 현미, 정미공정을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정미시 식각과정에 의해 깍여지는 식각 정도를 원하는 정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복수의 롤러의 회전에 의해 투입되는 벼의 피복을 탈피하는 현미기와;
    상기 현미기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를 거쳐 낙하되는 벼와 현미의 이송로를 형성하되, 상기 이송로의 일측에 형성된 유로를 통한 공기 흡입에 의해 상기 롤러에 의해 탈피된 겨를 현미로부터 선별하여 분리하는 탈피 선별기와;
    상기 탈피 선별기를 거쳐 낙하되는 현미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발진에 의해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겨 분리기 하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하로 발진되게 설치된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 하부에서 상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마련된 석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도정장치.
  2. 수직상으로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호퍼, 현미기, 탈피 선별기, 석발기가 어레이된 현미 도정장치와;
    상기 현미 도정장치의 석발기를 거쳐 배출되는 현미가 투입될 수 있도록 위치된 투입구에 투입된 현미를 수직상으로 이송시키는 제1 수직 컨베이어와;
    상기 제1수직 컨베이어에서 토출되어 호퍼로 투입되는 현미를 수직상으로 배열된 1차 정미기 및 2차 정미기를 통해 순차적으로 정미시키는 정미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투입구에 투입된 벼를 수직상으로 이송시켜 상기 현미기의 호퍼로 투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 수직 컨베이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정 시스템.
KR2020020009303U 2002-03-28 2002-03-28 도정 시스템 KR200284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303U KR200284144Y1 (ko) 2002-03-28 2002-03-28 도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303U KR200284144Y1 (ko) 2002-03-28 2002-03-28 도정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336U Division KR200273765Y1 (ko) 2001-11-16 2001-11-16 정미 도정장치 및 이에 적용된 식각 조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144Y1 true KR200284144Y1 (ko) 2002-07-27

Family

ID=7307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303U KR200284144Y1 (ko) 2002-03-28 2002-03-28 도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14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677Y1 (ko) * 2010-10-29 2011-07-19 임재하 도정장치
KR101271643B1 (ko) * 2013-01-03 2013-06-11 임충섭 정미장치
KR101912943B1 (ko) * 2018-01-10 2018-10-31 농업회사법인 청주농산 도정기
KR20190004590A (ko) * 2017-07-04 2019-01-14 주식회사미래이앤지 석발기
KR20190116633A (ko) * 2018-04-05 2019-10-15 안희대 낟알 탈피구조가 개선된 정미기
KR102194917B1 (ko) * 2020-06-08 2020-12-24 경기도 3단 도정방식의 도정기
KR102507985B1 (ko) * 2022-09-30 2023-03-09 이석진 정미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677Y1 (ko) * 2010-10-29 2011-07-19 임재하 도정장치
KR101271643B1 (ko) * 2013-01-03 2013-06-11 임충섭 정미장치
KR20190004590A (ko) * 2017-07-04 2019-01-14 주식회사미래이앤지 석발기
KR101988351B1 (ko) 2017-07-04 2019-09-30 주식회사미래이앤지 석발기
KR101912943B1 (ko) * 2018-01-10 2018-10-31 농업회사법인 청주농산 도정기
KR20190116633A (ko) * 2018-04-05 2019-10-15 안희대 낟알 탈피구조가 개선된 정미기
KR102126114B1 (ko) * 2018-04-05 2020-06-23 안희대 낟알 탈피구조가 개선된 정미기
KR102194917B1 (ko) * 2020-06-08 2020-12-24 경기도 3단 도정방식의 도정기
KR102507985B1 (ko) * 2022-09-30 2023-03-09 이석진 정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4144Y1 (ko) 도정 시스템
KR200273765Y1 (ko) 정미 도정장치 및 이에 적용된 식각 조절기
KR101418531B1 (ko) 종자의 탈피방법 및 탈피장치
JP5694680B2 (ja) 精米装置
KR200416455Y1 (ko) 곡물탈곡기
JP4725528B2 (ja) 脱ぷ風選機における籾殻排出装置
CN105344409A (zh) 一种荞麦剥壳工艺
JP2014527798A (ja) 脱穀装置
CN105521848A (zh) 一种荞麦剥壳装置及荞麦脱壳工艺
WO2006041053A1 (ja) 脱ぷ機における摺り出し米の均分装置
KR200290408Y1 (ko) 도정 시스템
JP2009106883A (ja) 籾摺選別装置
JP4466286B2 (ja) 籾摺選別機の組立方法
JP6916467B2 (ja) 籾摺設備
CN206760069U (zh) 花生收获机及其清选除杂装置
KR102458453B1 (ko)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CN201127896Y (zh) 小区种子磨光机
JP2005111460A (ja) 砕米分離装置
KR200209572Y1 (ko) 곡물 조선기
CN115156023B (zh) 一种谷物清洗筛分机
CN214638132U (zh) 一种具有多级回收的谷糙分离设备
CN221317958U (zh) 除杂的螺旋输送装置
KR20210054279A (ko) 도정 커터가 자동조절되는 도정장치
JP5489526B2 (ja) 精穀装置
JP2009072674A (ja) 脱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