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108Y1 - 개선된 리트랙터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개선된 리트랙터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108Y1
KR200284108Y1 KR2020020014481U KR20020014481U KR200284108Y1 KR 200284108 Y1 KR200284108 Y1 KR 200284108Y1 KR 2020020014481 U KR2020020014481 U KR 2020020014481U KR 20020014481 U KR20020014481 U KR 20020014481U KR 200284108 Y1 KR200284108 Y1 KR 200284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tube
cap
coupled
cas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병 출 박
Original Assignee
병 출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병 출 박 filed Critical 병 출 박
Priority to KR2020020014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1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108Y1/ko

Links

Landscapes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내부가 관통된 롤러튜브와, 상기 롤러튜브의 일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홀을 가지는 베어링과, 상기 롤러튜브의 타단에 결합되는 막음편과, 상기 롤러튜브 내부에서 상기 베어링과 상기 막음편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인너와, 상기 롤러튜브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반복 권취되는 차양막과,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차양막을 내장하는 케이스와, 중앙부에는 상기 베어링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출단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 일단을 밀봉하는 제 1 캡과, 상기 케이스의 막음편쪽 타단을 밀봉하는 제 2 캡과, 상기 제 1캡의 돌출단과 상기 인너를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차양막의 권취수단으로서 스프링과 함께 필수적으로 요구되던 축심이 없이도 권취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리트랙터의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해주어 부품의 간소화에 따른 생산능률향상 및 중량 감소에 이점을 가져오게 된다.

Description

개선된 리트랙터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블라인드{Car Blinder having improved structure of retractor}
본 고안은 롤러타입의 차량용 블라인드(blind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트랙터의 내부 구조를 개선한 차량용 롤러블라인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 내부로 내려 쬐는 태양광선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햇빛가리개를 장착하게 되는데, 현재 시판중인 햇빛가리개는 운전석 및 조수석의 윈도우 상단 일부만을 커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측방향이나 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햇빛을 다 가리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태양빛이 강한 계절에는 별도의 블라인드를 장착시켜서 사용하고 있다. 블라인드의 종류는 전동식 블라인드 및 롤러식 블라인드가 있으나, 본 고안은 롤러식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롤러식 블라인드(이하 블라인드라 칭한다)를 도 1,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 블라인더는 기본적으로 햇빛을 가리기 위한 차양막(90)과, 상기 차양막(90)이 감겨져 있는 리트랙터(10)와, 상기 리트랙터(10)를 자동차의 내부 벽면에 부착하기 위해 결합수단(미도시)을 가지는 캡(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리트랙터(10)는 도 2와 같이 내부가 관통된 롤러튜브(70)와, 상기 롤러튜브(70) 일단에 결합되는 부시(bush, 30)와, 상기 롤러튜브(70) 타단에 결합되는 막음편(34)과, 상기 롤러튜브(70) 내부에서 상기 부시(30)와 상기 막음편(34) 사이에 위치하는 인너(inner, 32)와, 상기 부시(30)와 상기 인너(32)를 연결하며 상기부시(30)를 관통하는 축심(40)과, 상기 축심(40)을 감싸는 스프링(50)과, 상기 스프링(50)을 감싸는 소음방지관(60)과, 상기 롤러튜브(70)에 감겨지는 차양막(90)과, 상기 부시(30)를 관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된 축심(40)을 고정시키는 고정편(2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블라인드는 차양막(90)의 손잡이(도 1 참조)를 잡아서 아래로 당기면 축심(40)의 일단은 고정편(20)에 의해 케이스(8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스프링(50)이 반발하면서 롤러튜브(70)에 반복 권취된 차양막(90)이 풀리면서 햇빛을 가릴 수가 있게 되는 작동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블라인드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조립성이 좋지 않아 생산단가를 높이는 원인이 되고, 아울러 금속재질인 축심(40)은 블라인드 전체구조를 복잡하게 할 뿐 아니라, 전체 중량면에서도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블라인드 내부에 장착되는 축심구조를 생략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리트랙터를 가지는 블라인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기타 목적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 및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블라인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자동차용 블라인드의 내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인 블라인드의 내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블라인드의 내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리트랙터 20 : 고정편
30 : 부시 40 : 축심
50 : 스프링 60 : 소음방지관
70 : 롤러튜브 80 : 케이스
90 : 차양막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차양을 위한 차량용 블라인드로서, 내부가 관통된 롤러튜브와; 상기 롤러튜브의 일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홀을 가지는 베어링과; 상기 롤러튜브의 타단에 결합되는 막음편과; 상기 롤러튜브 내부에서 상기 베어링과 상기 막음편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인너와; 상기 롤러튜브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반복 권취되는 차양막과;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차양막을 내장하는 케이스와; 중앙부에는 상기 베어링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출단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 일단을 밀봉하는 제 1 캡과; 상기 막음편이 위치한 상기 케이스 타단을 밀봉하는 제 2 캡과; 상기 제 1 캡의 돌출단과 상기 인너를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상기 롤러튜브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을 감싸는 소음방지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2 캡의 바깥쪽으로는 자동차 실내에 부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캡부터 상기 인너까지를 리트랙터라 불리우며, 상기 리트랙터가 상기 롤러튜브의 타단쪽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도면부호만 달리할 뿐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인 블라인드의 내부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는 기본적으로 롤러튜브(170)와, 차양막(200)과, 케이스(180)와, 제 1, 2 캡(100, 1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튜브(170)는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튜브(170) 일단에는 롤러튜브(170)와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홀을 가지는 베어링(120)이 있으며, 타단에는 막음편(140)이 있다. 상기 롤러튜브(170) 내부에서 상기 베어링(120)과 상기 막음편(14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롤러튜브(170) 내부에 밀착 고정되는 인너(130)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인너(130)를 상기 롤러튜브(170) 내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수단은 접착 및 패킹 등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인너(130)의 밀착 고정은 롤러튜브(170)의 회전시 상기 인너(130)의 헛회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차양막(200)은 일측이 상기 롤러튜브(17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튜브(170)를 반복해서 권취한다.
상기 케이스(180)는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롤러튜브(170)와, 상기 차양막(200)을 내장하며, 상기 제 1, 2 캡(100, 110)은 상기 케이스(180) 양단을 밀봉한다.
제 1 캡(100)은 상기 베어링(120)의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돌출단(102)을 가지고 있으며, 제 2 캡(110)은 돌출단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1, 2캡(100, 110) 바깥쪽에는 고리 또는 접착제, 또는 기타 기구적 방법으로 자동차실내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캡(100)의 돌출단(102)과 상기 인너(130)는 스프링(150)이 개재되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150)은 소음방지관(160)이 더욱 부가되어 감싸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의 작동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롤러튜브(170)를 강제로 수회 반복해서 회전시키면 차양막(200)이 상기 롤러튜브(170)에 반복 권취되는데 이 상태에서 케이스(180)에 삽입된다.
차양막(200)이 롤러튜브(170)에 반복 권취되어 케이스(18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차양막(200)이 완전히 상기 케이스(180) 내부로 모두 감긴 상태이므로 상기 케이스(180) 외부에는 도 1과 같이 차양막지지대 및 손잡이부분만이 돌출 되게 된다.
손잡이부분을 아래로 당기면 인너(130)는 롤러튜브(170) 내부에 밀착 고정된 상태이므로 스프링(150)이 반발하면서 롤러튜브(170)에 권취되어 있던 차양막(200)이 풀리고 이에 따라 차양이 가능하며, 차양을 위해 자동차 내부에 결합되어 있던 손잡이를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차양막(200)이 상기 롤러튜브(170)에 감기게 되어 원상태로 회복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드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내부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에 의하면 롤러튜브(170) 양단에는 중앙부에 돌출단을 가지는 한 쌍의 캡(100, 100´)이 결합되며, 상기 롤러튜브(170) 내부에는 한 쌍의 인너(130, 130´)가 밀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캡의 돌출단과 상기 인너는 각각 스프링으로 결합된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실시예는 도 3과 달리 롤러튜브(170) 양단에 각각 별개의 권취수단을 분배함으로서 차양막(200)이 상기 롤러튜브(170)에 권취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면서도 균일하게 될 수 있도록 해준다.
아울러, 차양막(200)이 모두 감긴 상태에서 어느 한 쪽이 덜 감겨질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양 쪽에 리트랙터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어느 한쪽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도 4에 의한 블라인드의 작동구성 역시 도 3에 도시된 블라인드의 작동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의 권리에 속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차양막의 권취수단으로서 스프링과 함께 필수적으로 요구되던 축심이 없이도 권취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리트랙터의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해주며 그 중량을 줄일 수 있게 해주며, 이러한 간단한 구조는 생산비용 및 제조공정을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더욱이 본 고안은 권취수단을 양단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차양막의 처짐 및 편심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차양을 위한 차량용 블라인드로서,
    내부가 관통된 롤러튜브와;
    상기 롤러튜브의 일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관통홀을 가지는 베어링과;
    상기 롤러튜브의 타단에 결합되는 막음편과;
    상기 롤러튜브 내부에서 상기 베어링과 상기 막음편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인너와;
    상기 롤러튜브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반복 권취되는 차양막과;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차양막을 내장하는 케이스와;
    중앙부에는 상기 베어링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출단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 일단을 밀봉하는 제 1 캡과;
    상기 케이스 타단을 밀봉하는 제 2 캡과;
    상기 제 1 캡의 돌출단과 상기 인너를 연결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차량용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튜브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을 감싸는 소음방지관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라인드.
KR2020020014481U 2002-05-13 2002-05-13 개선된 리트랙터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블라인드 KR200284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481U KR200284108Y1 (ko) 2002-05-13 2002-05-13 개선된 리트랙터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481U KR200284108Y1 (ko) 2002-05-13 2002-05-13 개선된 리트랙터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108Y1 true KR200284108Y1 (ko) 2002-07-31

Family

ID=7312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481U KR200284108Y1 (ko) 2002-05-13 2002-05-13 개선된 리트랙터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1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192B1 (ko) 2012-05-10 2012-09-24 이환길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의 샤프트 구조
KR101271947B1 (ko) 2011-06-29 2013-06-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선루프용 롤러블라인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947B1 (ko) 2011-06-29 2013-06-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선루프용 롤러블라인드
KR101185192B1 (ko) 2012-05-10 2012-09-24 이환길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의 샤프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45683A1 (en) Awning roller with internal motor
US7243699B2 (en) Window shade with conical winding shaft
JP2001121958A (ja) 自動車の換気機能付きサイドバイザ
KR200284108Y1 (ko) 개선된 리트랙터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블라인드
KR101185192B1 (ko)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의 샤프트 구조
CN210591342U (zh) 汽车天窗遮阳帘机构及汽车天窗系统
CN212242928U (zh) 一种车用天窗遮阳帘卷轴结构及汽车
JP4102470B2 (ja) 車両用ライニング
KR20060107609A (ko) 차량용 어닝
JP3716924B2 (ja) 車両用巻取り装置
KR100433800B1 (ko) 자동차용 전면 윈도우의 햇빛 차단 장치
KR101271947B1 (ko) 자동차의 선루프용 롤러블라인드
JP2002174085A (ja) シート巻取装置及びトノカバー装置
KR200309415Y1 (ko)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JP4137217B2 (ja) 車両用ライニング
KR0133376Y1 (ko) 자동차의 방충망 겸용 햇빛가리개
FR2925103A1 (fr) Module d'occultation avec un support pour une surface vitree ou un panneau transparent,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N214189254U (zh) 一种棘轮下棘爪静音汽车遮阳帘
FR2925102A1 (fr) Dispositif d'occultation presentant un enrouleur galbe pour vitre ou panneau transparent,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2415133B1 (ko) 차량용 자동햇빛차단장치
CN219172536U (zh) 充电口盖总成和具有其的车辆
CN214189253U (zh) 一种棘轮正面棘爪静音汽车遮阳帘
KR200280288Y1 (ko) 자동차용 차양막
KR0131030Y1 (ko) 좌우 동일 형상의 햇빛 가리개
KR200270418Y1 (ko) 자동차용 햇빛 가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