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663Y1 - 소절 반복기능을 갖는 노래방기구 - Google Patents

소절 반복기능을 갖는 노래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663Y1
KR200283663Y1 KR2020020011976U KR20020011976U KR200283663Y1 KR 200283663 Y1 KR200283663 Y1 KR 200283663Y1 KR 2020020011976 U KR2020020011976 U KR 2020020011976U KR 20020011976 U KR20020011976 U KR 20020011976U KR 200283663 Y1 KR200283663 Y1 KR 200283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measure
data
input
rep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선
Original Assignee
황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광선 filed Critical 황광선
Priority to KR2020020011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6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663Y1/ko

Links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절 반복기능을 갖는 노래방기구에 관한 것으로, 노래연습과정에 있어 연습자의 선택에 의하여 소절별로 노래를 반복 연주하여서 이를 반복 연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노래의 데이터가 소절별로 구분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부(21,22,23)와, 사용자가 곡의 선택 및 소절 반복 등의 기능을 선택 입력할 수 있게 한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조작부(30)와; 상기 조작부(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데이터부(21,22,23)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들여 출력하는 제어부(10)와;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40)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데이터에 의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피커(50)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절 반복기능을 갖는 노래방기구{A SONG SYSTEM}
본 고안은 소절 반복기능을 갖는 노래방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래연습과정에 있어 연습자의 선택에 의하여 소절별로 노래를 반복 연주하여서 이를 반복 연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의 노래방기구는 선택된 곡의 반주와 자막으로 표시되는 가사를 연습자가 보고 노래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노래 연습에 있어 매우 효과적이며, 스트레스 해소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노래방의 노래방기구는 단순 반주와 자막만을 통하여 노래의 연습이 이루어지고 있어, 노래과정에 부족한 부분을 연습하기 위하여는 노래를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하여 불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연습에 효과적이지 못하다.
또한, 가사가 자막으로 표시되어 있어 반주되는 다음 음이 어느 음계에 해당되는지 이를 확인할 수 없어 들려오는 반주음을 쫓아가며 노래를 부르고 있어 노래에 자신이 없는 사람이 긴장으로 인하여 더욱 노래를 잘 못 부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노래연습과정에 있어 소절별로 반복 반주하여 연습자가 노래를 소절별로 반복 연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21 : 반주데이터부 22 : 가사데이터부
23 : 악보데이터부
30 : 조작부 31 : 리모트컨트롤러
40 : 디스플레이 50 : 스피커
110 : 선택곡명입력과정
120 : 소절반복선택과정
130 : 악보 디스플레이 선택과정
140 : 소절 리딩출력과정
150 : 연속 리딩출력과정
160 : 소절반복 확인과정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노래를 소절별로 반복 연습할 수 있도록 하여 노래 연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은 노래의 반주가 소절별로 구분 저장되어 있는 반주데이터부(21)와, 노래의 가사가 소절별로 구분 저장되어 있는 가사데이터부(22)와, 노래의 악보가 저장되어 있는 악보데이터부(23)와, 사용자가 곡의 선택및 소절 반복 등의 기능을 선택 입력할 수 있게 한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조작부(30)와, 상기 조작부(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데이터부(21,22,23)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들여 출력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40)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데이터에 의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5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30)는 별도 구비되는 리모트컨트롤러(31)에 의하여 제어동작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노래를 소절별로 반복 연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노래를 하고자하는 곡명을 입력하는 선택곡명입력과정(110)과, 상기 선택곡명입력과정(110)을 통하여 입력된 노래를 소절별로 반복 연습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소절반복선택과정(120)과, 상기 소절반복선택과정(120)을 통하여 소절반복 선택시 제어부(10)가 데이터부로부터 반주와 가사를 소절별로 리딩하여 디스플레이(40)와 스피커(50)를 통하여 출력하는 소절 리딩출력과정(140)과, 상기 소절 리딩출력과정(140)을 통하여 출력된 노래의 한 소절 완료시 소절반복유무를 확인하는 소절반복 확인과정(160)과, 상기 소절반복선택과정(120)에서 소절반복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0)가 데이터부(21,22,23)로부터 반주와 가사를 연속 리딩하여 디스플레이(40)와 스피커(50)를 통하여 출력하는 연속 리딩출력과정(15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중 악보의 디스플레이를 선택하는 악보 디스플레이 선택과정(130)을 통하여 소절 및 연속 리딩출력과정(140,150)에 있어 악보를 함께 리딩 출력할 수 있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부(21,22,23)와 조작부(30), 제어부(10), 디스플레이(40) 및 스피커(50)로 이루어져, 선택곡명 입력과정(110)과 소절반복 선택과정(120) 및 소절 리딩출력과정(140) 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사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31) 또는 조작부(30)의 직접조작에 의하여 선택곡명 입력과정(110)을 통하여 곡명을 입력하고, 소절반복선택과정(120)을 통하여 소절반복을 선택하게 되면, 소절 리딩출력과정(140)을 통하여 제어부(10)가 데이터부(21,22,23)의 반주와 가사 데이터를 소절별로 리딩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소절 리딩출력과정(140)을 통하여 한 소절의 출력이 완료되면 소절반복 확인과정(160)을 통하여 소절을 반복 연습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으로, 이때, 반복을 선택하면 한 소절의 반주와 가사 데이터가 재차 링딩출력되어 노래를 반복 연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에 있어 악보 디스플레이 선택과정(130)을 통하여 악보를 선택하게되면 소절 리딩출력과정(140)과 연속 리딩출력과정(150)을 통하여 악보를 보며 노래를 부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데이터를 소절별로 구분저장하고 제어과정에 있어 소절반복선택과정을 통하여 소절반복유무를 선택하여 노래를 소절별로 반복 연습할 수 있으므로 노래의 연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노래 실력을 단기간에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악보선택과정을 통하여 악보를 디스플레이하여서 악보를 보며 노래를 부를 수 있게 하므로서 노래과정에 정확한 음정으로 노래를 부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노래의 반주가 소절별로 구분 저장되어 있는 반주데이터부(21)와;
    노래의 가사가 소절별로 구분 저장되어 있는 가사데이터부(22)와;
    노래의 악보가 저장되어 있는 악보데이터부(23)와;
    사용자가 곡의 선택 및 소절 반복 등의 기능을 선택 입력할 수 있게 한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조작부(30)와;
    상기 조작부(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데이터부(21,22,23)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들여 출력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40)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데이터에 의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피커(5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절 반복기능을 갖는 노래방기구.
KR2020020011976U 2002-04-19 2002-04-19 소절 반복기능을 갖는 노래방기구 KR200283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976U KR200283663Y1 (ko) 2002-04-19 2002-04-19 소절 반복기능을 갖는 노래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976U KR200283663Y1 (ko) 2002-04-19 2002-04-19 소절 반복기능을 갖는 노래방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058A Division KR20030024081A (ko) 2001-09-15 2001-09-15 소절 반복기능을 갖는 노래방기구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663Y1 true KR200283663Y1 (ko) 2002-07-27

Family

ID=73121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976U KR200283663Y1 (ko) 2002-04-19 2002-04-19 소절 반복기능을 갖는 노래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6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892B1 (ko) * 2002-08-22 2006-01-23 신종표 멀티미디어 자동 반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892B1 (ko) * 2002-08-22 2006-01-23 신종표 멀티미디어 자동 반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4625B2 (en) Digital sight-singing piano with a fixed-solfège keyboard, continuous keys and adjustable tones by kneading piano keys
US647259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with music composition capability
JP5169328B2 (ja) 演奏処理装置及び演奏処理プログラム
US7288711B2 (en) Chord presenting apparatus and storage device storing a chord presenting computer program
JP4752425B2 (ja) 合奏システム
CN108028040B (zh) 音乐演奏辅助装置和方法
JP2006030692A (ja) 楽器演奏教習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GB2279493A (en) Electronic music book
JP4692189B2 (ja) 合奏システム
JPS62502778A (ja) 作曲の分野における全アフイン変換を行なう装置
US74795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usic on a computer device
KR102175257B1 (ko) 전자악보 제공장치
KR200283663Y1 (ko) 소절 반복기능을 갖는 노래방기구
JP2008089975A (ja) 電子楽器
KR20030024081A (ko) 소절 반복기능을 갖는 노래방기구 및 그 제어방법
WO2018198379A1 (ja) 歌詞表示装置
KR20140065953A (ko) 키보드 연주화면 제공방법
JP2002318579A (ja) 演奏用楽譜、表示装置および演奏用楽譜の記譜法
KR100206369B1 (ko) 전자건반악기용 연주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093001B2 (ja) 楽譜表示データを記憶した記憶媒体、その楽譜表示データを用いた楽譜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9980076711A (ko) 가사와 악보의 동시 화면출력방법 및 영상노래반주장치
KR100499767B1 (ko) 반주기
JPH06214583A (ja) カラオケ装置
WO2018198382A1 (ja) 歌詞表示装置及び方法
KR200284289Y1 (ko) 노래 반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