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767B1 - 반주기 - Google Patents

반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767B1
KR100499767B1 KR10-2002-0055876A KR20020055876A KR100499767B1 KR 100499767 B1 KR100499767 B1 KR 100499767B1 KR 20020055876 A KR20020055876 A KR 20020055876A KR 100499767 B1 KR100499767 B1 KR 100499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
displayed
lyrics
display devi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315A (ko
Inventor
송룡수
Original Assignee
(주)프로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폼 filed Critical (주)프로폼
Priority to KR10-2002-0055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7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4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5Musical staff, tablature or score displays, e.g. for score reading during a perform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주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악보를 마디별로 분리하여 연주가 진행됨에 따라 다음 마디를 디스플레이하고, 마디의 길이를 연주자의 취향에 따라 조절하므로써 연주를 원활히 하며, 악보와 가사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써 연주뿐만 아니라 반주에 맞춰 노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악보를 마디별로 분리하여 연주가 진행됨에 따라 다음 마디를 디스플레이하므로 연주자가 원활하게 연주를 할 수 있으며, 마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연주자가 자신의 시각에 맞는 악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연주를 할 수 있으며, 이조악기용 악보를 제공하므로써 이조악기를 연주할 때도 조옮김을 계산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악보와 가사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써 연주뿐만 아니라 노래만을 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반주기에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연결하여 일부는 반주용으로 쓰고, 일부는 노래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주기{INSTRUMENTAL ACCOMPANIMENTS}
본 발명은 반주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악보를 마디별로 분리하여 연주가 진행됨에 따라 다음 마디를 디스플레이하고, 마디의 길이를 연주자의 취향에 따라 조절하므로써 연주를 원활히 하며, 악보와 가사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써 연주뿐만 아니라 반주에 맞춰 노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84289호(출원번호 20-2002-13190호, 인용고안)에는 다양한 음악환경에 따라 박자, 소절 반복, 원하는 소절 선택이 조절되는 노래 반주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고안은 노래방용으로 노래만 하는 경우에는 유용하였으나, 반주와 동시에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에게 필요한 다음 마디 디스플레이기능이나, 마디의 길이 조절 등의 기능이 없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악보를 마디별로 분리하여 연주가 진행됨에 따라 다음 마디를 디스플레이하고, 마디의 길이를 연주자의 취향에 따라 조절하므로써 연주를 원활히 하며, 이조악기용 악보도 제공하므로써 이조악기를 연주할 때도 조옮김을 계산하지 않아도 되며, 악보와 가사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써 연주뿐만 아니라, 반주에 맞춰 노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반주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주기는,
입력장치와; 화면디스플레이장치와; 소리디스플레이장치와; 악보가 저장된 악보DB와, 음원이 저장된 음원DB와, 상기 악보DB의 악보를 마디별로 분리하는 분리모듈과, 상기 화면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분리모듈이 분리한 마디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음원DB의 음원을 상기 소리디스플레이장치로 디스플레이하는 소리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갖는다.
상기 악보를 마디별로 분리해 놓은 상태에서는 각각의 마디들을 마디단위로 자유롭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연주자가 이미 연주하거나, 노래부르는 사람이 이미 노래를 부른 마디를 계속 남겨 놓는 것은 연주 또는 부르는 노래의 연속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숙달된 사람도 새로운 악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는 악보를 독출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상기 화면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악보의 n번째마디에 대응되는 음원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되고 일정시간 경과후에, 상기 n번째마디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n+k번째마디(k는, 화면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된 마디수)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n번째 마디의 연주가 완료된 후 3초가 경과된 후에 n번째 마디의 위치에는 n+k번째 마디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n+1번째 마디의 연주가 종료와 동시에 n번째 마디의 위치에 n+k번째 마디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일정시간은 마디마다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으며, 2마디를 1마디로 간주하고 일정시간을 적용시킬 수도 있다.
연주자는 자신에게 맞는 마디의 길이가 있다. 예를들면, 화면디스플레이장치의 가로화면이 30cm일때, 어떤 연주자는 한줄에 8마디를 디스플레이하기를 원할 수 있으며, 다른 연주자는 3마디만을 디스플레이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화면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입력장치의 요청에 따라, 화면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마디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반주기는 연주자뿐만 아니라, 노래부르는 사람용(노래방 기기)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노래가사가 크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악보DB의 악보로부터 가사를 추출하는 가사추출모듈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화면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화면디스플레이장치의 일정공간에 상기 가사추출모듈이 추출한 가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주기를 이용하여 반주를 할때는 건반악기등의 정조악기뿐만 아니라 정조악기와 조가 다른 이조악기로 반주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조악기의 연주자가 일반악보를 보고 스스로 조를 옮겨 연주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반주기는, 상기 악보DB의 악보의 조를 바꾸는 조바꿈모듈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화면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화면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조바꿈모듈에 의해 조가 바뀐 악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반주기는 입력장치(10)와, 화면디스플레이장치(20)와, 소리디스플레이장치(30)와, 제어장치(4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40)는, 악보가 저장된 악보DB(41)와, 음원이 저장된 음원DB(42)와, 상기 악보DB(41)의 악보를 마디별로 분리하는 분리모듈(44)과, 상기 화면디스플레이장치(20)에 상기 분리모듈(44)이 분리한 마디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디스플레이모듈(45)과, 상기 음원DB(42)의 음원을 상기 소리디스플레이장치(30)로 디스플레이하는 소리디스플레이모듈(46)과, 상기 악보DB(41)의 악보로부터 가사를 추출하는 가사추출모듈(47)과, 악보DB(41)의 악보의 조를 바꾸는 조바꿈모듈(48)을 갖는다.
입력장치(10)는 키보드(12)와 마이크(14) 그리고 건반악기(16)와 기타 다른악기(18)들을 가리킨다. 건반악기(16)와 기타 다른악기(18)는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며, 마이크(14)를 통하여 소리를 증폭하거나 반주와 혼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마이크(14)도 제거할 수 있다. 키보드(12)는 통상의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키보드(12)는 제어장치(40)가 수행해야할 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한다. 키보드(12)대신에 터치스크린이나 특정명령이 지정된 버튼등의 입력수단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화면디스플레이장치(20)는 통상의 모니터이며, LCD모니터나 TV 또는 빔프로젝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소리디스플레이장치(30)는 통상의 스피커를 사용하지만, 헤드폰이나 이어폰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진동스피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입력장치(10)와 화면디스플레이장치(20)와 소리디스플레이장치(30)들은 제어장치(40)의 입출력포트(도면부호 미표시)를 통하여 제어장치(40)에 연결된다.
제어장치(40)의 악보DB(41)에는 악보가 저장되어 있다. 악보는 음의 높낮이에 대한 정보와 조에 대한 정보와 가사에 대한 정보등을 가지고 있다.
음원DB(42)에는 MIDI음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악보와 MIDI음원은 서로 1:1로 연결되어 있어 호출에 따라 다른 파일을 불러올 수 있다.
분리모듈(44)은 악보DB(41)의 악보를 마디별로 분리한다. 악보를 마디별로 분리하는 것은 악보를 마디별로 핸들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악보와 MIDI음원은 1:1로 대응되어 있으므로, 악보를 마디별로 분해함에 따라 마디에 대응되는 MIDI음원도 각각 핸들링할 수 있다. 분할단위별로 인덱스를 삽입하여 구분하는 것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10-2002-8938호에 개시되어 있다.
화면디스플레이모듈(45)은 분리모듈(44)이 분리한 악보를 마디별로 콘트롤하여 화면디스플레이장치(2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2a와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로서, 도2a는 뒷줄의 마디가 표시되기 이전화면이며, 도2b는 이후의 화면이다. 즉, 도2a에서는 10번째 마디가 연주되는 중이다. 연주가 진행되면 도2b의 상태가 된다. 도2b에서는 11번째 마디가 연주되는 중이다. 10번째 마디의 연주가 종료된 후 일정시간(여기서는 약 1초)이 경과하여 도2a에서 10번째 마디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15번째 마디가 디스플레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2a 및 도2b와 같이 특정마디에 대한 연주가 진행된 후 다음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악보가 한줄만 디스플레이된 경우에 특히 유용하나, 악보가 2줄로 디스플레이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디폴트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화면디스플레이모듈(45)은 마디의 길이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도3a와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로서, 도3a는 한줄에 8마디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이며, 도3b는 한줄에 5마디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의 화면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악보를 촘촘하게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고, 하나의 마디가 넓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소리디스플레이모듈(46)은 연주가 진행됨에 따라 음원DB(42)로부터 MIDI파일을 읽어 소리디스플레이장치(30)로 디스플레이한다.
가사추출모듈(47)은 악보DB(41)의 악보로부터 가사를 추출한다. 악보와 가사는 1:1로 대응되어 있으므로, 악보로부터 추출된 가사도 악보의 각 마디처럼 따로 핸들링할 수 있다. 가사추출모듈(47)에 의해 추출된 가사는 화면디스플레이모듈(45)에 의해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디스플레이된다. 도4a와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으로서, 도4a는 디스플레이화면에 악보가 두줄 디스플레이된 상태이며, 도4b는 악보는 한줄만 디스플레이되고, 아래 한줄에는 가사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의 화면이다. 사용자는 악기를 연주하느냐, 노래를 부르느냐에 따라 도4a와 도4b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조바꿈모듈(48)은 악보DB(41)의 악보의 조를 바꿀 수 있다. 조는 본 발명에 의한 반주기에 연결된 악기의 종류(정조악기, 이조악기)에 따라 적당한 조로 바꿀 필요가 있다. 도5a와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4로서, 도5a는 정조악기용으로 다장조로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도5b는 이조악기용 악보이다. 이조악기용 악보는 악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조악기용 악보는 이조악기가 연주하기 위한 것이므로 반주는 도5a의 악보에 맞게 디스플레이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악보를 마디별로 분리하여 연주가 진행됨에 따라 다음 마디를 디스플레이하므로 연주자가 원활하게 연주를 할 수 있으며, 마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연주자가 자신의 시각에 맞는 악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연주를 할 수 있으며, 이조악기용 악보를 제공하므로써 이조악기를 연주할 때도 조옮김을 계산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악보와 가사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써 연주뿐만 아니라 노래만을 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반주기에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연결하여 일부는 반주용으로 쓰고, 일부는 노래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개략도.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에 있어서, 뒷줄의 마디가 표시되기 이전화면.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에 있어서, 뒷줄의 마디가 표시된 화면.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에 있어서, 화면의 한열에 8개의 마디가 표시된 화면.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에 있어서, 화면의 한열에 5개의 마디가 표시된 화면.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에 있어서, 두 파트에 악보가 표시된 화면.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에 있어서, 한 파트에 악보가 표시되고 다른 한 파트에 가사가 동시에 표시된 화면.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4에 있어서, 건반악기용 악보가 표시된 화면.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4에 있어서, 이조악기용 악보가 표시된 화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입력장치 20. 화면디스플레이장치(모니터)
30. 소리디스플레이장치(스피커, 헤드폰) 40. 제어장치
41. 악보DB 42. 음원DB
44. 분리모듈 45. 화면디스플레이모듈
46. 소리디스플레이모듈 47. 가사추출모듈
48. 조바꿈모듈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반주기에 있어서,
    키보드, 마이크, 악기 중의 어느 하나인 입력장치와;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화면디스플레이장치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소리디스플레이장치와;
    음의 높낮이와 조, 가사에 대한 악보정보가 저장된 악보DB와;
    MIDI음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음원DB와;
    상기 악보DB에 저장된 악보정보로부터 가사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가사추출모듈과;
    상기 악보DB에 저장된 악보정보를 마디별로 분리하는 분리모듈과;
    상기 분리모듈이 분리한 마디를 표시하며, 상기 악보의 n번째마디에 대응되는 음원의 디스플레이가 완료되고 일정시간 경과후에, 상기 n번째마디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n+k번째마디(k는, 화면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된 마디수)를 표시하며, 상기 화면디스플레이장치의 일정공간에 상기 가사추출모듈이 추출한 가사를 표시하도록 상기 화면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는 화면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음원DB에 저장된 음원을 표시하도록 상기 소리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는 소리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갖는 반주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입력장치의 요청에 따라, 화면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마디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주기.
  5. 삭제
KR10-2002-0055876A 2002-09-13 2002-09-13 반주기 KR100499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876A KR100499767B1 (ko) 2002-09-13 2002-09-13 반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876A KR100499767B1 (ko) 2002-09-13 2002-09-13 반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315A KR20040024315A (ko) 2004-03-20
KR100499767B1 true KR100499767B1 (ko) 2005-07-07

Family

ID=3732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876A KR100499767B1 (ko) 2002-09-13 2002-09-13 반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7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920U (ko) * 1997-09-23 1998-03-30 김기성 음악 반주기 화면의 악보 표시장치
KR19980041647A (ko) * 1996-11-28 1998-08-17 김승영 협주와 악보표시가 가능한 디지탈피아노
KR0144939B1 (ko) * 1994-11-18 1998-08-17 김광호 악보출력기능을 갖는 영상노래반주장치
KR20020051896A (ko) * 2002-03-05 2002-06-29 황명옥 이조악보 표시용 반주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939B1 (ko) * 1994-11-18 1998-08-17 김광호 악보출력기능을 갖는 영상노래반주장치
KR19980041647A (ko) * 1996-11-28 1998-08-17 김승영 협주와 악보표시가 가능한 디지탈피아노
KR980004920U (ko) * 1997-09-23 1998-03-30 김기성 음악 반주기 화면의 악보 표시장치
KR20020051896A (ko) * 2002-03-05 2002-06-29 황명옥 이조악보 표시용 반주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315A (ko) 200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9328B2 (ja) 演奏処理装置及び演奏処理プログラム
JPH10161672A (ja) 歌唱音声信号切換装置
JP4692189B2 (ja) 合奏システム
Dannenberg New interfaces for popular music performance
JP4038836B2 (ja) カラオケ装置
KR100499767B1 (ko) 반주기
JP2003288077A (ja) 曲データ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3015672A (ja) 声域告知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JP3962114B2 (ja) カラオケ装置
JP4180548B2 (ja) 声域告知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CN208014363U (zh) 一种弹奏音高可调且唱名恒定的键盘视唱琴
JPH11338480A (ja) カラオケ装置
JP2008187549A (ja) 楽器演奏アシストシステム
JPS59204095A (ja) 楽音ピツチ可変装置
CN110998708A (zh) 差分提示装置、差分提示方法及差分提示程序
KR100817475B1 (ko) 음표입력방식에 의한 메트로놈 출력 신호 설정 및 재생기능을 가지는 전자메트로놈
Moelants et al. Pitch and tempo precision in the reproduction of familiar songs
KR200283663Y1 (ko) 소절 반복기능을 갖는 노래방기구
KR20200056637A (ko) 노래반주 기기
KR200281861Y1 (ko) 이퀄라이저 기능을 갖는 디지탈 피아노의 조작판넬
KR200284289Y1 (ko) 노래 반주기
JP5510903B2 (ja) 楽音演奏装置
JPH11338479A (ja) 音楽演奏装置
JP2023133602A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9980041647A (ko) 협주와 악보표시가 가능한 디지탈피아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