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404Y1 -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구멍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금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구멍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404Y1
KR200283404Y1 KR2020020014100U KR20020014100U KR200283404Y1 KR 200283404 Y1 KR200283404 Y1 KR 200283404Y1 KR 2020020014100 U KR2020020014100 U KR 2020020014100U KR 20020014100 U KR20020014100 U KR 20020014100U KR 200283404 Y1 KR200283404 Y1 KR 200283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pring
coupled
core pins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수
Original Assignee
(주)삼광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광정밀 filed Critical (주)삼광정밀
Priority to KR2020020014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4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404Y1/ko

Links

Landscapes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구멍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밀 주조품(자동차용 브레이크 케이블 부품)에 형성되는 구멍의 직진도와 진원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바리(Burr)로 인한 후가공이 없도록 한 정밀 주조품용 금형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상.하판(2)(3)에 고정되는 상.하형(4)(5)에 조각부(6)를 형성하여 주조품(A)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고, 하형(5) 양측으로는 상판(2)에 결합되어 있는 경사형 가이드핀(7)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 하는 이송구(8)(8')를 마련하며, 이송구(8)(8')에는 상.하형(4)(5)이 결합되었을 때 조각부(6)의 중심에 양 끝단이 서로 면접상태로 위치되도록 직경이 서로 다른 코어핀(9)(10)을 결합한 주조용 금형(1)에 있어서, 양측 이송구(8)(8')에 결합되어 있는 코어핀(9)(10)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하고, 코어핀(9)(10) 중 일측 코어핀(10)은 이송구(8')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내입홈(13)에 내장된 스프링(14)에 탄지되어 타측 코어핀(9) 측으로 밀착되도록 하며, 스프링 내입홈(13)의 하부에는 스프링(14)의 탄성을 감지할 수 있는 파워센스(15)를 위치시키고, 금형(1)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 표시장치(16)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스프링(14)의 탄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구멍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금형{Investment casting metal mould for car to prevent hole―clogging}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구멍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밀 주조품(자동차용 브레이크 케이블 부품)에 형성되는 구멍의 직진도와 진원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바리(Burr)로 인한 후가공이 없도록 한 정밀 주조품용 금형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경우 필요한 주조형상에 완전히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기계 가공된 강제(鋼製)의 금형(金型)에 용융금속(熔融金屬:아연 ·알루미늄 ·주석 ·구리 ·마그네슘 등의 합금)을 주입하여 금형과 똑같은 주물을 얻는 정밀 주조법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주조법으로 내부에 단턱이 형성된 깊은 구멍이 관통되게 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밀 주조용 금형(1)을 이용하게 된다.
즉, 상.하판(2)(3)에 고정되는 상.하형(4)(5)에는 주조품(A)의 외형이 성형될 수 있게 음각으로 조각부(6)를 형성하여 주입되는 용융금속으로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형(5) 양측으로는 상판(2)에 결합되어 있는 경사형 가이드핀(7)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 하는 이송구(8)(8')를 마련하고, 이송구(8)(8')에는 금형(1)의 상.하형(4)(5)이 결합되었을 때 조각부(6)의 중심에 양 끝단이 서로 면접상태로 위치되도록 직경이 서로 다른 코어핀(9)(1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금형(1)을 이용하여 용융금속으로 주조품(A)을 주조할 경우 처음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양측 이송구(8)(8')에 결합되어 있는 코어핀(9)(10) 간의 간극이 넓어져 구멍이 막히게 되는 현상(이하 이바리(Burr)라 약칭함.)이 발생하게 되고, 또 코어핀(9)(10)이 주입되는 용융금속의 압력에 의해 뒤틀려져 직진도 및 진원도의 불량이 발생하게 되므로 정밀주조의 장점을 활용하기가 어려웠고, 전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써 현재까지는 후 가공을 통하여 주조품(A) 내부의 이바리와 직진도 및 진원도를 수정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금형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의 정밀 주조용 금형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양측 이송구에 결합되어 있는 코어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일측 코어핀을 적당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코어핀과 이웃하는 코어핀 간의 간극이 없도록 하여 주조 작업 시 이바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주조품의 직진도 및 진원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여 주조품을 완성한 단계에서 별도로 후가공을 행하는 번거로움을 일소하여 정밀한 고품질의 주조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한 금형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금형 구성을 보인 일부 파절 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금형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파절 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금형 분리상태를 보인 일부 파절 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금형 구성을 보이기 위한 상판이 분리된 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종래기술)
1:(정밀 주조용) 금형 2:상판
3:하판 4:상형
5:하형 6:조각부
7:경사형 가이드핀 8,8':이송구
9,10:코어핀 A:주조품
(본 고안)
11:결합홈 12:결합돌기
13:스프링 내입홈 14:스프링
15:파워센스 16:표시장치
도 2는 본 고안의 금형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파절 상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금형 분리상태를 보인 일부 파절 상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금형 구성을 보이기 위한 상판이 분리된 상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 종래 기술과 동일부재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동일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상.하판(2)(3)에 고정되는 상.하형(4)(5)에 주조품(A)의 외형이 성형될 수 있게 음각으로 조각부(6)를 형성하여 주입되는 용융금속으로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고, 하형(5) 양측으로는 상판(2)에 결합되어 있는 경사형 가이드핀(7)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 하는 이송구(8)(8')를 마련하고, 이송구(8)(8')에는 금형(1)의 상.하형(4)(5)이 결합되었을 때 조각부(6)의 중심에양 끝단이 서로 면접상태로 위치되도록 직경이 서로 다른 코어핀(9)(10)을 결합한 주조용 금형(1)을 적극적으로 개량 고안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상기 양측 이송구(8)(8')에 결합되어 있는 코어핀(9)(10)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를 형성하고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주조 작업시 주입되는 용융금속에 의해 코어핀(9)(1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조품(A)의 진원도 및 직진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코어핀(9)(10) 중 일측 코어핀(10)은 이송구(8')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내입홈(13)에 내장된 스프링(14)에 탄지되어 타측 코어핀(9) 측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주조품(A)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양측 코어핀(9)(10)간의 간극이 없도록 하여 이바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내입홈(13)의 하부에는 스프링(14)의 탄성을 감지할 수 있는 파워센스(15)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고, 금형(1)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 표시장치(16)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스프링(14)의 탄성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상이 있을 때 스프링(14)을 즉시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은 조각부(6)로 용융금속을 주입하기 위해 형성한 안내홈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주로 내부에 단턱이 형성되는 깊은 구멍이 관통되는 주조품(A)을 제조하는 정밀 주조용 금형(1)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써, 주조품(A)을 성형하기 위해서 상.하형(4)(5)을 밀착시키게되면 하형(5) 양측의이송구(8)(8')가 상판(2)에 결합되어 있는 경사형 가이드핀(7)에 의해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송함에 따라 이송구(8)(8')에 결합되어 있는 양측 코어핀(9)(10)이 상.하형(4)(5)에 음각되어 있는 조각부(6) 내측으로 내입되면서 서로 면접되게 한 상태에서 용융금속을 압입하게 되는 바,
본 고안에 의하면 서로 면접하는 양측 코어핀(9)(10)의 단부에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가 형성되어 있어 코어핀(9)(10)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상호 면접결합 되며, 또 일측 코어핀(10)이 이송구(8')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14)에 의해 탄지 상태로 있게되므로 용융금속을 압입할 때 코어핀(9)(10)의 흔들림이 없고, 양측 코어핀(9)(10) 간의 간극이 없게되므로 종래의 금형(1)에 의해 주조 완성되는 주조품(A)에 비해 진원도 및 직진도로 인한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코어핀(9)(10) 간의 면접부에 발생하는 이바리의 생성도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일측 코어핀(10)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4)의 하측으로 금형(1) 외부의 표시장치(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파워센스(15)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표시장치(16)를 통하여 상시 스프링(14)의 탄성력을 점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주조품(A)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스프링(14)의 탄성력이 떨어질 경우 즉시 스프링(14)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송구(8)(8')에 의해 슬라이드 이송하는 양측 코어핀(9)(10)의 단부에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를 형성하고, 일측 코어핀(10)은 이송구(8')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14)에 의해 탄력 지지되게 기존의 정밀 주조용 금형(1)을 적극적으로 개량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주조품(A)의 진원도 및 직진도를 획기적으로 개량함과 아울러 이바리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주조품(A)을 후가공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제작단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또 기존 사용하고 있는 정밀 주조용 금형(1)에도 간편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가 제공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상.하판(2)(3)에 고정되는 상.하형(4)(5)에 조각부(6)를 형성하여 주조품(A)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고, 하형(5) 양측으로는 상판(2)에 결합되어 있는 경사형 가이드핀(7)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 하는 이송구(8)(8')를 마련하며, 이송구(8)(8')에는 상.하형(4)(5)이 결합되었을 때 조각부(6)의 중심에 양 끝단이 서로 면접상태로 위치되도록 직경이 서로 다른 코어핀(9)(10)을 결합한 주조용 금형(1)에 있어서,
    상기 양측 이송구(8)(8')에 결합되어 있는 코어핀(9)(10)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코어핀(9)(10) 중 일측 코어핀(10)은 이송구(8')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내입홈(13)에 내장된 스프링(14)에 탄지되어 타측 코어핀(9) 측으로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구멍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내입홈(13)의 하부에는 스프링(14)의 탄성을 감지할 수 있는 파워센스(15)를 위치시키고, 금형(1)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 표시장치(16)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스프링(14)의 탄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구멍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금형.
KR2020020014100U 2002-05-08 2002-05-08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구멍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금형 KR200283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100U KR200283404Y1 (ko) 2002-05-08 2002-05-08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구멍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100U KR200283404Y1 (ko) 2002-05-08 2002-05-08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구멍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404Y1 true KR200283404Y1 (ko) 2002-07-26

Family

ID=7312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100U KR200283404Y1 (ko) 2002-05-08 2002-05-08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구멍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4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25B1 (ko) 2011-11-23 2013-11-18 (주)엘라켐 소구경 튜브 성형용 금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25B1 (ko) 2011-11-23 2013-11-18 (주)엘라켐 소구경 튜브 성형용 금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0646B2 (ja) 鋳造金型装置
CN101570042B (zh) 轮胎用模具
CN103501937B (zh) 铸造模具组
CN201960085U (zh) 用于开有侧孔的套筒的模具
JPH09271924A (ja) クローズドデッキタイプシリンダブロック鋳造装置と該装置に用いられる砂中子との組合せ
CN102513447B (zh) 一种用于航空发动机的u形件侧向收口模具
KR200283404Y1 (ko)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구멍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금형
JP2009221900A (ja) 内燃機関用ピスト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47381B1 (ko) 다이캐스팅 금형용 코어 이젝팅장치
KR100710989B1 (ko) 알루미늄 휠의 성형용 금형
JP7394945B2 (ja) ダイカスト用金型
JP2010137233A (ja) 成型用金型および成型用金型の組立方法
JP2010131926A (ja) 成型用金型および成型用金型の固定方法
KR101028109B1 (ko)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CN105562651A (zh) 一种设有球面凹陷部的端盖模具
CN202180192U (zh) 汽车锁锁芯模具
KR100852788B1 (ko) 금형조립체의 웰드라인 방지구조
KR100427310B1 (ko) 금형의 주조방법
CN218983119U (zh) 一种多型腔压铸模具
KR100579306B1 (ko) 실린더 블록 금형
CN211165090U (zh) 一种带有行位压块的模具
CN216465917U (zh) 一种主线护套注射模具
CN112808968B (zh) 一种组合式型芯及压铸模具
CN202845586U (zh) 一种压弯机箱盖压形模凹模结构
JP5076778B2 (ja) 真空ダイカスト用金型および真空ダイカスト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