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771Y1 -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 Google Patents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771Y1
KR200282771Y1 KR2020020005714U KR20020005714U KR200282771Y1 KR 200282771 Y1 KR200282771 Y1 KR 200282771Y1 KR 2020020005714 U KR2020020005714 U KR 2020020005714U KR 20020005714 U KR20020005714 U KR 20020005714U KR 200282771 Y1 KR200282771 Y1 KR 200282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ntainer
applicator
cov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이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구 filed Critical 이용구
Priority to KR2020020005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7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77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파우더를 저장하고 도포하는 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용 파우더를 내장하여 화장용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개구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파우더를 수용하는 파우더 용기와, 상기 파우더 용기의 개구부를 덮으며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될 수 있도록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미세한 구멍을 갖는 스펀지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더 도포부재와, 상기 파우더 도포부재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파우더 도포부재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파우더 도포용구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파우더 용기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되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로부터 파우더 도포부재 내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초부에는 상기 파우더 용기 내부와 상기 파우더 도포부재 내부를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펀지 시트의 소재는 플로킹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우더는 화장용 파우더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TOILET ARTICLES CONTAINING POWDER CHEMICAL}
본 고안은 파우더를 저장하고 도포하는 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용 파우더를 내장하여 화장용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는 파우더로 이루어진 화학물질(chemical)이 많다. 이러한 파우더 화장품에 관한 종래의 화장용구는 파우더를 담아두는 파우더 용기와 파우더를 얼굴에 바르는 도구인 스펀지 또는 브러시(화장용 솔)로 구성된다. 스펀지나 부러시는 파우더 용기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용기 내에 넣어 두었다가 화장시 꺼내서 사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화장용구를 이용하여 화장을 할 때에는 스펀지 또는 브러시에 파우더를 묻힌 후 다시 이 스펀지 또는 브러시를 피부에 접촉시켜 파우더를 피부에 바른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파우더의 보관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사용자도 파우더를 바르기 위해 두 개의 단계를 거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 등록 제 20-246281호에는 액체 파운데이션을 수용하는 용기에 화장용 브러시가 일체로 결합된 화장용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화장용구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밸브, 펌프의 작용으로 액체 파운데이션이 브러시 쪽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브러시에 묻은 액체 파운데이션을 얼굴 등에 발라 화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용구는 구조가 복잡하며, 파우더 용구로는 적절치 않다. 구조가 복잡하면 제조과정도 복잡해지고 제조비용도 상승한다. 또한 도포구조로서 브러시를 이용하는 구성의 경우 브러시(솔)가 가지고 있는 탄성으로 인해 묻어있던 화장품이 쉽게 날릴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장용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파우더를 담는 파우더 용기와 파우더를 도포하는 도포구가 일체로 결합된 파우더 도포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포구에 스펀지를 적용함으로써 파우더가 날리는 것을 감소시킨 파우더 도포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우더가 적절한 사용량에 맞추어 배출되는 파우더 도포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사시도로서, 본체와 덮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화장용구의 단면도로서, 본체와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의 화장용구의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도1의 화장용구의 덮개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장용구 30 : 파우더 용기
40 : 파우더 도포부재 50 : 고정부재
60 : 지지부재 62 : 기초부
64 : 지지부 90 : 덮개
92 : 커버부재 100 : 프레임
661 : 파우더 통로구멍 641 : 보강리브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개구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파우더를 수용하는 파우더 용기와, 상기 파우더 용기의 개구부를 덮으며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될 수 있도록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미세한 구멍을 갖는 스펀지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더 도포부재와, 상기 파우더 도포부재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파우더 도포부재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파우더 도포용구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파우더 용기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되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로부터 파우더 도포부재 내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초부에는 상기 파우더 용기 내부와 상기 파우더 도포부재 내부를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말단부는 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기초부를 감싸며,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도포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기초부와 상기 측벽 사이에 압착되어 끼워지도록 구성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의 안쪽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파우더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스펀지 시트의 소재는 플로킹 처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고안에 의하면 상기 파우더 도포용구는 상기 파우더 도포부재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는 상기 도포부재를 덮는 형태로 제작된 내부 프레임과, 상기 내부 프레임을 감싸는 커버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프레임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와 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우더는 화장용 파우더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파우더 도포용구의 하나로서 화장용구를 들어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사시도이며 도2는 종단면도이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화장용구(10)는 타원형의 기둥형상으로서, 본체(20)와 본체(20)를 덮는 덮개(90)를 구비한다.
도1, 도2, 도3을 참조하면, 본체(20)는 파우더 용기(30)와, 파우더 도포부재(40)와, 고정부재(50)와, 지지부재(60)와, 용기결합부재(80)와, 파우더 마개(70)를 구비한다. 파우더 용기(30)는 내부가 비어있고 일단부가 개방된 타원 형태의 단면형상을 갖는 기둥모양이다. 파우더 용기(30)는 바닥(32)과, 바닥(32)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측벽(34)을 구비한다. 바닥(32)의 반대편에는 타원형태의 개방부(36)가 마련된다. 바닥(32)은 둥글게 들어가 있다. 개방부(36)가 마련되는 측벽(34)의 끝 부분에는 위쪽으로 연장된 결합벽(341)이 마련된다. 도2 및 도3으로부터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벽(341)의 외측면이 측벽(34)의 외측면보다 안쪽으로 들어가 있다. 결합벽(341)의 외측면과 측벽(34)의 외측면 사이에는 단턱부(38)가 형성된다. 결합벽(341)의 외측면의 중간부분에는 바깥으로 둥글게 돌출된 결합턱(342)이 마련된다. 이 결합턱(342)은 고리모양으로 외측면을 빙 둘러가며 연장된다. 파우더 용기(30)는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 수 있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마개(70)는 파우더 용기(30)의 입구에 끼워지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된 몸체(72)와, 몸체(72)의 중앙에 돌출되어 연장된 손잡이(76)를 구비한다. 몸체(72)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플랜지(78)가 마련된다. 플랜지(78)는 마개(70)를 끼웠을 때 파우더 용기(30)의 결합벽(341)의 바깥으로 돌출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한다(도2 참조). 도2를 참조하면, 이러한 형태의 마개(70)는 파우더 용기(30)의 개방부(36)에 끼워져 개방부(36)를 막는다. 이때, 마개(70)의 몸체(72)의 외측면은 파우더 용기(30)의 내측면과 접한다. 또한, 마개(70)의 플랜지(78)는 파우더 용기(30)의 결합벽(341) 끝단에 걸려 마개(70)가 더 이상 용기(30)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마개(70)는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마개(70)는 최초 사용 전에 파우더가 용기(30)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다. 사용자는 최초 사용시에 이 마개(70)의 손잡이(76)를 잡고 마개(70)를 빼내어 제거한 후 사용한다. 한편, 처음부터 이 마개(70) 없이 판매할 수도 있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용기결합부재(80)는 양단부가 개방된 타원형태의 짧은 관 모양으로서, 내측면이 파우더 용기(30)의 결합벽(341)의 외측면과 마주보도록 결합된다. 용기결합부재(80)의 상단부는 통로의 넓이가 줄어들도록 안쪽으로 연장된 돌출플랜지부(82)를 형성한다. 용기결합부재(80)의 내측면에는 파우더 용기(30)의 결합벽(341)의 결합턱(342)이 끼워질도록 마련된 결합홈(84)이 형성된다. 용기결합부재(80)의 외벽면에는 양단부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원형의 돌기(86)가 외측면 둘레에 걸쳐 촘촘하게 다수 마련된다. 이 돌기(86)는 후술하는 고정부재(50)가 강하게 끼워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지지부재(60)는 기초부(62)와, 기초부(62)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얇은 판 모양의 지지부(64)를 구비한다. 기초부(62)는 파우더 통로구멍(661)들이 마련된 타원형의 평면부(66)와, 평면부(66)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측벽(68)을 구비한다. 측벽(68)의 끝단면은 용기결합부재(80)의 돌출플랜지부(82) 위에 얹어지는데, 바람직하기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68)의 내측의 끝단이 돌출플랜지부(82)의 내측 가장자리와 일치하는 것이 좋다. 평면부(66)에는 다수의 원형 파우더 통로구멍(661)이 마련되는데, 지지부(64)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3개씩 마련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파우더 통로구멍(661)의 모양 및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큰 통로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며 작은 통로구멍을 다수 구비할 수도 있다.
지지부(64)는 평면부(66)로부터 돌출되는데 타원형인 평면부(66)의 장축을 따라 놓인다. 지지부(64)는 끝으로 갈수록 더욱 얇아지며 끝은 대체로 반원형이다. 지지부(64)의 양측면에는 평면부(66)의 중심부로부터 지지부(64)를 따라 위로 지지부(64) 중간까지 연장된 보강리브(641)가 마련된다. 도2를 참조하면, 기초부(62)는 용기결합부재(80) 위에 놓여지고 후술하는 고정부재(50)내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지지부(64)는 후술하는 주머니형의 파우더 도포부재(40) 내부에 수용되어 파우더 도포부재(40)가 형체를 유지하도록 파우더 도포부재(40)를 지지한다. 지지부재(60)는 연질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연질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하면지지부(64)의 얇은 끝단부는 양옆으로 어느 정도 휘어질 수 있어, 파우더를 피부에 도포할 때, 딱딱한 느낌을 감소시킨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고정부재(50)는 타원형태의 제1 측벽(521)과, 제1 측벽(521)의 일단부에서 수직으로 안쪽으로 꺾여 연장된 제1 단턱부(522)를 구비한다. 제1 측벽(521)의 크기는 용기결합부재(80)의 외측에 꼭 끼워져 용기결합부재(80)와 결합할 수 있게 정해진다. 고정부재(50)는 제1 단턱부(522)의 끝에서 수직으로 꺾여 연장된 제2 측벽(541)과, 제2 측벽(541)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안쪽으로 꺾여 약간 연장된 제2 단턱부(542)를 구비한다. 제2 측벽(541)은 그 내부에 지지부재(60)의 기초부(62)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도2를 참조하면, 제1 측벽(521)의 안쪽에는 용기결합부재(60)가 수용된다. 제1 측벽(521)은 용기 결합부재(80)의 돌기(86)와 강하게 밀착하여 고정부재(50)와 용기결합부재(80)가 끼워져 고정된다. 제2 측벽(541)의 내부에는 지지부재(60)의 기초부(62)가 수용된다. 기초부(62)의 외측면과 제2 측벽(541) 사이에는 후술하는 파우더 도포부재(40)의 아래쪽 부분이 끼워져 압착된다. 지지부재(60)를 고정부재(50)에 끼웠을 때 지지부(64)는 제2 단턱부(542) 안쪽의 개방부(543)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제2 단턱부(542) 안쪽 구멍(543)을 통하여 파우더 통로구멍(661)이 노출되도록 그 크기가 정해진다. 제2 측벽(541)의 외면은 후술하는 덮개(90)의 프레임(100)과 접한다. 고정부재(5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로 드로우잉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파우더 도포부재(40)는 스펀지 시트를 주머니 형태로 만들어 그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파우더 도포부재(40)는 고정부재(50)의 외부로 노출되며 파우더를 수용할 수 있는 도포부(42)를 구비한다. 도포부재(40)의 하단부(44)는 고정부재(50) 안에 삽입되어 고정부재(50)와 기초부(62) 사이에 끼워져 압착되어 고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하단부(44)는 고정부재(50)의 제2 측벽(541)과 지지부재(60)의 기초부(62) 사이에 끼워져 파우더 도포부재(40)가 고정되는 것이다. 도포부(42) 안에는 지지부재(60)의 지지부(64)가 내장되어 도포부(42)의 형태를 유지해 준다.
파우더 도포부재(40)는 스펀지 시트 2장을 재단하여 아래쪽이 열리도록 그 끝을 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스펀지 시트로는 그 내부에 미세한 기포구멍을 갖는 발포 스펀지 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미세 기포구멍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스펀지 시트를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는 오픈셀 구성이다. 스펀지 시트는 예를 들면, 망상의 폴리우레탄 폼 시트(Reticulated Polyurethane Foam Sheet)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스펀지 시트의 피부와 닿는 외부면은 미세한 섬유로 덮여있는 통상 플로킹(flocking)이라고 하는 처리가 이루어진 것이 좋다. 이 섬유는 예를 들면 나이론 소재의 미세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본체(20)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주머니 형태의 도포부재(40)에 지지부재(60)를 넣고 고정부재(50)의 상부구멍(543) 사이로 도포부재(40)를 통과시키면서 고정부재(50)와 지지부재(60)를 결합한다. 이때, 고정부재(50)의 제2 측벽(541)과 지지부재(60)의 기초부(62) 사이에는 스펀지 시트가 압착되어 끼워진다. 그 후 결합부재(80)를 고정부재(50)의 제1 측벽(521) 안쪽으로 강하게 밀어 넣어 압입하면 본체의 상부가 완성된다. 이 본체의 상부를 파우더를 놓고 마개(70)로 막은 용기(30)와 결합하면 본체가 완성되는 것이다.
도1, 도2, 도4를 참조하면, 덮개(90)는 커버부재(92)와 커버부재(92) 안에 고정되는 프레임(100)을 구비한다. 알루미늄과 같은 얇은 금속의 커버부재(92)는 내부가 비어있고 일단부가 개방된 타원형태의 기둥모양이다. 커버부재(92)는 편평한 타원형태의 평면부(921)와, 평면부(921)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측벽(922)을 구비한다. 커버부재(92)는 덮개(90)를 덮었을 때 측벽(922)의 외측면이 파우더 용기(30)의 측벽(34) 외측면의 연장선 상에 있도록 그 크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부재(92)의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2와 도4를 참조하면, 내부 프레임(100)은 타원모양의 고리형태인 기초부(105)와, 기초부(105)에서 위로 연장되는데 위로 올라갈수록 안쪽으로 모아져 그 끝에서는 둥글게 형성되는 뚜껑부(106)를 구비한다. 기초부(105)는 그 외측면이 커버부재(92)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그 형상이 결정된다. 내부 프레임(100)과 커버부재(92)는 프레임(100) 기초부(105)의 외측면과 커버부재(92)의 내측면이 강하게 밀착하여 고정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사이를 접착제로 접합할 수도 있다. 뚜껑부(106)에는 기초부(105)로부터 수직으로 위쪽으로 연장된 외부 리브(102)가 구비된다. 이 외부 리브(102)는 커버부재(92)의 내측면과 접하여 프레임(100)이 커버부재(92) 안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뚜껑부(106)의 끝 부분에는 원형인관통구멍(107)이 구비된다. 이 관통구멍(107)을 통해 내부 프레임(100) 안의 공기와, 내부 프레임(100)과 커버부재(92) 사이의 공간(108)에 존재하는 공기가 서로 통할 수 있어, 덮개(90)를 용기(30)로부터 열고 닫을 때 그 공기압으로 인해 파우더가 날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대체로 도포부재(40)의 형상과 상응하는 공간이 마련된다. 다수의 내부 리브(101)가 기초부(105)의 밑단으로부터 뚜껑부(106)의 중간부분까지 연장되어 마련된다. 덮개(90)가 파우더 도포부재(40)를 덮도록 본체(20)의 상부에 끼워질 때, 이 내부 리브(101)와 고정부재(50)의 제2 측벽(541)이 강하게 밀착하여 본체(20)와 덮개(90)를 결합시킨다. 프레임(100)은 플라스틱 수지로 사출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상기 화장용구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 전에 파우더 용기(30)에서 파우더 마개(70)를 제거한다. 용기(30)를 거꾸로 하면 화장용 파우더는 지지부재(60)에 마련된 통로구멍(661)을 통해 파우더 도포부재(40) 안으로 이동한다. 이때, 파우더는 도포부재(40)의 미세한 기포구멍을 통해 바깥으로 조금식 배출되어 표면에 묻게 되고 사용자는 이 도포부재(40)를 피부에 접촉시켜 자연스럽게 파우더를 피부에 바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덮개와 본체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결합되는 각종 부재들의 형상이 타원형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각 부재들이 그 기능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면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하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장용구인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화장용구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은 파우더형의 의약품의 도포용기로도 사용될 수 있음을 본 명세서로부터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용도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도포용구로서 화장용구를 사용하면 파우더와 화장용 스펀지가 일체로 구성되므로, 파우더 용기와 파우더를 피부에 바르기 위한 별도의 브러시 혹은 스펀지를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구성에 따르면 화장(파우더를 도포)할 때나 덮개를 열고 닫을 때 파우더가 많이 날리지 않아 위생적이다. 아울러,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개구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파우더를 수용하는 파우더 용기와,
    상기 파우더 용기의 개구부를 덮으며,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될 수 있도록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미세한 구멍을 갖는 스펀지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더 도포부재와,
    상기 파우더 도포부재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파우더 도포부재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파우더 도포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파우더 용기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되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로부터 파우더 도포부재 내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초부에는 상기 파우더 용기 내부와 상기 파우더 도포부재 내부를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파우더 도포용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말단부는 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우더 도포용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기초부를 감싸며, 측벽을 구비하여 상기 도포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기초부와 상기 측벽 사이에 압착되어 끼워지도록 구성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파우더 도포용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안쪽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파우더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파우더 도포용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 시트의 소재는 플로킹 처리된 파우더 도포용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도포부재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는 상기 도포부재를 덮는 형태로 제작된 내부 프레임과, 상기 내부 프레임을 감싸는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파우더 도포용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와 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구비되는 파우더 도포용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화장용 파우더인 파우더 도포용구.
KR2020020005714U 2002-02-26 2002-02-26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KR200282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714U KR200282771Y1 (ko) 2002-02-26 2002-02-26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714U KR200282771Y1 (ko) 2002-02-26 2002-02-26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011A Division KR100454385B1 (ko) 2002-02-25 2002-02-25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771Y1 true KR200282771Y1 (ko) 2002-07-23

Family

ID=7307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714U KR200282771Y1 (ko) 2002-02-26 2002-02-26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7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07Y1 (ko) 2012-06-11 2013-09-17 양향우 튜브형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07Y1 (ko) 2012-06-11 2013-09-17 양향우 튜브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4385B1 (ko)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JP6046317B2 (ja) カプセル化粧品詰め替え構造及び気密機能を持つコンパクトケース
JP2008502415A (ja) 化粧用パウダー容器
JP2000342328A (ja) 物質、特に化粧品の収納および塗布用器具
WO2009123380A1 (en) Cap for cosmetic container and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US20050087475A1 (en) Cosmetics case
CN111246771B (zh) 化妆品容器
KR20090104593A (ko) 화장품 용기
JP2019522518A (ja) テンション部が一体に形成されたコンパクト容器
KR20150001147U (ko) 스퀴즈가 가능한 퍼프 일체형 화장품용기
JP4248247B2 (ja) 形態転換可能な表面接触器具
KR101214048B1 (ko) 샘플 립스틱 용기
KR200282771Y1 (ko)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KR20190071291A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KR101560343B1 (ko) 퍼프 손잡이 돌출형 화장품 콤팩트
AU777099B2 (en) A surgical scrub appliance
US7917987B2 (en) Air-injection type tool for scrubbing off the dirt on a body
JP2004154557A (ja) 2つの受け器を一体化できる結合部材を備えた包装兼塗布器具
JP2017119068A (ja) 化粧料製品を施与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ー
KR101669241B1 (ko) 손잡이를 갖는 퍼프
KR101774371B1 (ko) 브러시 겸용 퍼프
KR102554717B1 (ko) 마스카라 용기
KR200316059Y1 (ko) 파우더 파운데이션 내장형 화장용 브러시 케이스
KR102565076B1 (ko) 화장품 용기
KR20200127571A (ko)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