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076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076B1
KR102565076B1 KR1020230006161A KR20230006161A KR102565076B1 KR 102565076 B1 KR102565076 B1 KR 102565076B1 KR 1020230006161 A KR1020230006161 A KR 1020230006161A KR 20230006161 A KR20230006161 A KR 20230006161A KR 102565076 B1 KR102565076 B1 KR 102565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tube
lid
circumferential surface
cosm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열
박순실
김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버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0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spreading already applied pa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36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applying contents to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며,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폐색되어 있는 튜브; 상기 튜브의 상단에 결합되며, 화장품이 토출되기 위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헤더; 강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헤더에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에 연통하여 화장품이 토출되기 위한 토출관을 포함하는 숄더; 연성 소재로 형성되고, 둥근 외면을 가지며,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관이 상기 홀에 삽입되는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감싸 보호하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 {COSMETICS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흔히 화장품을 바를 때, 적정한 양을 손이나 도구(퍼프, 브러시 등)에 덜어서 사용하곤 한다. 하지만, 손에 덜어 사용할 경우 위생상 좋지 않거나 화장품이 원하는 부위 외에 손에 묻어 손실되는 문제가 있으며, 도구에 덜어 사용할 경우 매번 도구를 소지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기 자체에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구가 결합된 화장품 용기들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공보 제10-2169677호는 단부에 퍼프가 결합된 화장품 용기를 개시한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2170251호는 단부에 브러시가 결합된 화장품 용기를 개시하기도 한다.
나아가, 기능성 화장품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냉기나 열기를 전달하거나 전동 마사지 기능이 추가된 화장품 용기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을 골고루 도포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며,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폐색되어 있는 튜브; 상기 튜브의 상단에 결합되며, 화장품이 토출되기 위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헤더; 강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헤더에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에 연통하여 화장품이 토출되기 위한 토출관을 포함하는 숄더; 연성 소재로 형성되고, 둥근 외면을 가지며,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관이 상기 홀에 삽입되는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감싸 보호하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는 상기 튜브의 상단을 둘러싸며 결합되는 튜브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튜브 결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숄더는 상기 튜브 결합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헤더 커버부; 및 상기 헤더 커버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뚜껑이 결합되기 위한 뚜껑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관은 상기 뚜껑 결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결합부의 내측에 내주부가 마련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기 뚜껑 결합부와 상기 내주부 사이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결합부의 내주면과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주부의 외주면에 돌기와 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함께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뚜껑 결합부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위에 배치되며, 구형 또는 그보다 상하로 길쭉한 계란형이나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팁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팁부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관의 외주면과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내주면에 돌기와 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함께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토출관의 외주면의 상부에 형성되며,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은 닫혀 있을 때 상기 토출관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홀에 삽입되는 마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연질 TP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토출시키면서, 전체적으로 둥근 외면을 갖는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해 피부에 지긋이 눌러 사용함으로써,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품을 골고루 도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튜브(단, 상부 일부만 도시되어 있음), 헤더, 숄더 및 어플리케이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헤더, 숄더 및 어플리케이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헤더, 숄더 및 어플리케이터를 조립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에서, 튜브(110)(단, 상부 일부만 도시되어 있음), 헤더(120), 숄더(130) 및 어플리케이터(140)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에서, 헤더(120), 숄더(130) 및 어플리케이터(140)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에서, 헤더(120), 숄더(130) 및 어플리케이터(140)를 조립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튜브(110), 헤더(120), 숄더(130), 어플리케이터(140) 및 뚜껑(150)을 포함한다.
튜브(110)는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폐색되어 있다. 단,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상/하'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지, 절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만약 화장품 용기(100)를 도면과 반대로 거꾸로 뒤집어서 본다면, 위에서 언급한 상단과 하단은 각각 하단과 상단이 될 것이다.
이러한 튜브(110)는 튜브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고, 하단이 예컨대 열접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헤더(120)는 튜브(110)의 상단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헤더(120)는 튜브 결합부(121) 및 연장부(122)를 포함한다.
튜브 결합부(121)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튜브(110)의 상단을 둘러싸며 결합된다.
연장부(122)는 튜브 결합부(12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방된다. 따라서, 화장품이 튜브(110)로부터 연장부(12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헤더(120)는 예컨대 PP(Polypropyl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숄더(130)는 헤더(12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숄더(130)는 헤더 커버부(131), 뚜껑 결합부(132) 및 토출관(133)을 포함한다.
헤더 커버부(131)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헤더(120)의 튜브 결합부(121)를 감싸며 결합된다. 헤더 커버부(131)를 포함하여, 숄더(130)는 상대적으로 강성 소재, 예컨대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헤더 커버부(131)를 이용해 튜브(110)의 상단 및 헤더(120)를 일정한 모양(도면의 경우, 원형)으로 지지할 수 있다.
뚜껑 결합부(132)는 뚜껑(150)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헤더 커버부(1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도면에서는 뚜껑 결합부(132)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뚜껑(150)도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뚜껑 결합부(132)와 뚜껑(150)의 나사산들이 함께 맞물림으로써, 뚜껑(150)이 뚜껑 결합부(13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다른 실시예(미도시)로, 뚜껑 결합부의 외주면과 뚜껑의 내주면에 돌기와 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이들이 함께 맞물림으로써 뚜껑이 헤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헤더(120)의 연장부(122)가 뚜껑 결합부(132)까지 삽입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뚜껑 결합부(132)의 내측에 내주부(134)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122)가 뚜껑 결합부(132)와 내주부(134) 사이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연장부(122)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뚜껑 결합부(132)의 내주면과 연장부(122)의 외주면에 돌기와 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이들이 함께 맞물릴 수 있다. 도면에서는 뚜껑 결합부(132)의 내주면에 홈이 형성되고 연장부(122)의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미도시)로, 내주부(134)의 외주면과 연장부(122)의 내주면에 돌기와 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이들이 함께 맞물리는 것도 가능하다.
토출관(133)은 뚜껑 결합부(13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방된다. 따라서, 화장품이 튜브(110)로부터 헤더(120)의 연장부(122)를 거쳐, 토출관(13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140)는 전체적으로 둥근 외면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터(140)는 지지부(141), 팁부(142) 및 목부(143)를 포함한다.
지지부(141)는 숄더(130)의 뚜껑 결합부(132)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팁부(142)는 지지부(141) 위에 배치되며, 구형 또는 그보다 상하로 살짝 더 길쭉한 계란형이나 타원형 등으로 형성된다.
목부(143)는 지지부(141)와 팁부(142) 사이에 배치되며, 이들보다 오목하게 형성되어 지지부(141)와 팁부(142)를 연결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터(140)는 상대적으로 연성 소재, 예컨대 연질 TPE(Thermoplastic Elastomer)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터(140)를 이용해 화장품을 도포할 때 자극 없이 부드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터(140)는 전체적으로 상하로 관통하는 홀(14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숄더(130)의 토출관(133)이 어플리케이터(140) 아래에서 홀(140a)에 삽입됨으로써 어플리케이터(140)가 토출관(133)에 결합될 수 있다. 단, 토출관(133)이 홀(140a)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다시 말해, 지지부(141)가 숄더(130)의 뚜껑 결합부(132)의 상면에 접촉되었을 때, 토출관(133)의 상단이 팁부(142)의 상단 너머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토출관(133)의 상단이 팁부(142)의 상단보다 약간 아래(즉, 안쪽)에서 끝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어플리케이터(140)가 숄더(130)의 토출관(133)에 보다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토출관(133)의 외주면과 어플리케이터(140)의 내주면에 돌기와 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함께 맞물릴 수 있다. 도면에서는 토출관(133)의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어플리케이터(140)의 내주면에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토출관(133)은 상측 돌기(133a) 및 하측 돌기(133b)를 갖고, 어플리케이터(140)는 상측 홈(140b) 및 하측 홈(140c)을 가질 수 있다.
상측 돌기(133a)와 상측 홈(140b)은 각각 토출관(133)의 외주면의 상부와 어플리케이터(140)의 내주면의 상부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토출관(133)과 어플리케이터(140)가 상측 돌기(133a)와 상측 홈(140b)에 의해 그 상부에서 고정됨으로써, 어플리케이터(140)의 상부를 이용해 마사지하듯 화장품을 도포할 때 어플리케이터(140)의 상부가 원치 않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측 돌기(133a)는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140)의 홀(140a)에 토출관(133)을 삽입할 때 보다 수월하게 삽입할 수 있는 한편, 어플리케이터(140)가 토출관(13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구조는 어플리케이터(140)의 상부가 하방으로 눌리거나 찌그러지는 것에 대해 저항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터(140)의 상부를 이용해 마사지하듯 화장품을 도포할 때 어플리케이터(140)의 상부가 하방으로 눌리거나 찌그러져 토출관(133)의 상단이 어플리케이터(140)의 상단 너머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토출관(133)에 의해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측 돌기(133b)와 하측 홈(140c)은 각각 토출관(133)의 외주면의 하부와 어플리케이터(140)의 내주면의 하부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토출관(133)과 어플리케이터(140)가 하측 홈(140c)과 하측 돌기(133b)에 의해 그 하부에서 한 번 더 고정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뚜껑(150)은 어플리케이터(140)를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뚜껑(150)은 보관 중 화장품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150)이 숄더(130)의 뚜껑 결합부(132)에 결합되었을 때, 숄더(130)의 토출관(133) 또는 어플리케이터(140)의 홀(140a)에 삽입될 수 있는 마개(151)를 가질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뚜겅(150)을 열고 튜브(110)를 누르면, 화장품이 튜브(110)로부터 헤더(120)의 연장부(122)와 숄더(130)의 토출관(133)을 거쳐, 어플리케이터(140)의 팁부(142)의 상단에 있는 홀(140a)로 토출되는데, 제형이나 양에 따라 팁부(142)의 상단에 맺히거나 팁부(140)의 상부로 약간 흘러내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팁부(142)를 이용해 원하는 부위에 이 화장품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팁부(142)를 피부에 지긋이 눌러 사용함으로써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둥근 외면을 통해 화장품을 골고루 도포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화장품 용기(1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위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까지 모두 포함한다.

Claims (10)

  1. 화장품을 수용하며, 상단은 개방되고 하단은 폐색되어 있는 튜브;
    상기 튜브의 상단에 결합되며, 화장품이 토출되기 위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헤더;
    강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헤더에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에 연통하여 화장품이 토출되기 위한 토출관을 포함하는 숄더;
    연성 소재로 형성되고, 둥근 외면을 가지며,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관이 상기 홀에 삽입되는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감싸 보호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헤더는
    상기 튜브의 상단을 둘러싸며 결합되는 튜브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튜브 결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방되며,
    상기 숄더는
    상기 튜브 결합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헤더 커버부; 및
    상기 헤더 커버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뚜껑이 결합되기 위한 뚜껑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관은 상기 뚜껑 결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개방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뚜껑 결합부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위에 배치되며, 구형 또는 그보다 상하로 길쭉한 계란형이나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팁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팁부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전체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결합부의 내측에 내주부가 마련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기 뚜껑 결합부와 상기 내주부 사이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결합부의 내주면과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주부의 외주면에 돌기와 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함께 맞물리는 화장품 용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의 외주면과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내주면에 돌기와 홈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함께 맞물리는 화장품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토출관의 외주면의 상부에 형성되며,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닫혀 있을 때 상기 토출관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홀에 삽입되는 마개를 갖는 화장품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연질 TPE 재질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230006161A 2023-01-16 2023-01-16 화장품 용기 KR102565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161A KR102565076B1 (ko) 2023-01-16 2023-01-16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161A KR102565076B1 (ko) 2023-01-16 2023-01-16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076B1 true KR102565076B1 (ko) 2023-08-09

Family

ID=8756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161A KR102565076B1 (ko) 2023-01-16 2023-01-16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0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849Y1 (ko) * 2007-07-19 2008-09-11 (주)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KR101411990B1 (ko) * 2014-03-14 2014-06-26 (주)연우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KR101463786B1 (ko) * 2012-12-10 2014-11-21 (주)연우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1556652B1 (ko) * 2013-04-10 2015-10-01 (주)연우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849Y1 (ko) * 2007-07-19 2008-09-11 (주)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KR101463786B1 (ko) * 2012-12-10 2014-11-21 (주)연우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1556652B1 (ko) * 2013-04-10 2015-10-01 (주)연우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KR101411990B1 (ko) * 2014-03-14 2014-06-26 (주)연우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02480T3 (es) Conjunto de envasado y de aplicación de un producto
KR101858427B1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JP2004337614A (ja) アプリケータ、並びにアプリケータを含む包装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CN111246771B (zh) 化妆品容器
JPH01221105A (ja) 液体化粧品の塗布具
JP2017510388A (ja) 二重ブラシスティックタイプマスカラ化粧容器
JP2007136200A (ja) ブラシ式塗布具
JP7181384B2 (ja) 製品、特に化粧品を塗布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
US20050244209A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including a member for reshaping an applicator surface thereof and a method of reshaping an applicator surface
US7494295B2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US6065477A (en) Manicure container
US20030161675A1 (en) Cosmetic powder applicator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2565076B1 (ko) 화장품 용기
KR101237448B1 (ko) 연질 브러시를 갖는 튜브형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92726Y1 (ko) 내용물 용기
KR20170125175A (ko) 사선 브러시를 구비한 아이라이너 용기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160017005A (ko) 튜브타입 화장품용기
WO2012161111A1 (ja) 塗布容器
JP6366500B2 (ja) 塗布容器
KR102554717B1 (ko) 마스카라 용기
KR101946993B1 (ko) 화장품 도포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4218797B2 (ja) 簡易塗布容器及び該容器の液の充填方法
JP7487343B2 (ja) 内容物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