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638Y1 - 음향기기의 방진장치 - Google Patents

음향기기의 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638Y1
KR200282638Y1 KR2020020009660U KR20020009660U KR200282638Y1 KR 200282638 Y1 KR200282638 Y1 KR 200282638Y1 KR 2020020009660 U KR2020020009660 U KR 2020020009660U KR 20020009660 U KR20020009660 U KR 20020009660U KR 200282638 Y1 KR200282638 Y1 KR 200282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upper body
body portion
pedestal
plat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곤
Original Assignee
유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곤 filed Critical 유진곤
Priority to KR2020020009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6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638Y1/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향기기의 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음향기기등과 같이 받침대의 진동에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기기에서 방진을 신뢰성 있게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일측이 받침대(5)의 받침면을 형성하는 받침유니트(11), 상몸체를 형성하는 방진상몸체(12)와,판스프링받침유니트(13),판상에 다수의 소용돌이홈(14a)을 갖고 있는 진동흡수판스프링(14),부쉬(15)들과 이들을 차례로 결합/분리 할 수 있는 고정나사(16)로 이뤄져 있는 상몸체부(1)와; 이 상몸체부(1)와 하몸체부(3)와의 사이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2)과; 상기 상몸체부(1)와 나사 결합되며 코일스프링(2)의 탄성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하몸체부(3)로 이뤄져 있는 방진장치를 제공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음향기기, 반도체 제조장비등의 방진을 요하는 기기의 받침대의 방진장치로 제공되어 음향기기 등에서 발생되는 미소 진동을 지면과 완전 차단함으로서 소음등으로 인한 음악감상 등의 신뢰성을 양호히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기기의 방진장치{Protecting device for vibration of music machine}
본 고안은 음향기기의 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음향기기등과 같이 미세한 진동에도 소리의 영향을 미치는 기기에서 방진을 신뢰성 있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급형 음향기기등의 전형적 형태는 진공관으로 소리음을 증폭하는 유형이 있고 또한 턴테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진공관형 증폭기나 턴테이블이 사용되는 장치에서는 진공관의 구동으로 웅웅 거리는 소리 잡음이 발생되며, 턴테이블 구동시에도 모터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모터 구동에 따른 소음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이들을 받치고 있는 받침대에서는 이러한 진동을 음향기기 및 지면에 대하여 진동의 차단을 하지 못하므로 음향기기에 소리음의 간섭등이 일어나서 고품위의 음질을 얻기가 힘들다.
또, 스피커의 경우에도 받침면에 대한 소리음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기기에 대한 방진 받침대가 요구되고 있다.
종전에는 상기와 같이 턴테이블등의 음향기기를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하고 받침대의 다리에는 방진을 위한 완충용 고무부쉬를 구비하거나 받침다리의 끝을 지면과 면접촉 면족을 줄이도록 뾰족하게 하는등의 수단을 강구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수단으로는 음향기기에서 발생되는 소리 잡음 및 모터의 진동등을 받침대에서 신뢰성 있게 방진할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되어져 있지 않아 바람직한 것이 못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음향기기등 진동체의 받침면에서 발생되는 소리음등의 미세 진동을 수직방향은 물론 각방향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진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진동 요인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방진장치를 제공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이러한 방진장치가 부착된 방진테이블은 그 받침대 크기를 가변시켜서 운용할 수 있는 방진테이블을 제공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참고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진동흡수판스프링의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고안을 턴테이블에 적용한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을 스피커에 적용한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의 방진테이블을 또다르게 실시한 일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상몸체부 11. 받침유니트
12. 방진상몸체 13. 판스프링받침유니트
14. 진동흡수판스프링 15. 판스프링부쉬
16. 고정나사 17. 받침대부쉬
2. 코일스프링
3. 하몸체부 31. 중앙몸체
32. 코일스프링탄성조절구 33. 스프링안치구
34. 하몸체
이하에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봄으로서 본 고안의 보다 상세한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방진장치를 분해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로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일측이 받침대(5)의 받침면을 형성하는 받침유니트(11)와, 상몸체를 형성하는 방진상몸체(12)와, 받침유니트(11)를 완충 시키는 고무부쉬(17)와, 진동흡수판스프링(14)을 받침하는 판스프링받침유니트(13)와, 미세한 진동파를 흡수하기 위한 다수의 소용돌이홈 (14a)을 판상에 갖고 있는 진동흡수판스프링(14)과,진동흡수판스프링(14)을 완충하는 완충용 부쉬(15)들과 이들을 차례로 결합/분리 할 수 있는 고정나사(16)로 이뤄져 있는 상몸체부(1)와; 이 상몸체부(1)와 하몸체부(3)와의 사이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2)과; 상기 상몸체부(1)와 나사 결합되며 코일스프링(2)의 탄성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하몸체부(3)로 이뤄져 있다.
상기 받침유니트(11)는 일측이 받침면을 이루면서 타측 중앙에는 끼움돌봉(11a)이 형성 되어져 있고 끼움돌봉(11a) 중앙에는 고정나사(16)의 나사봉(16a)이 결합되기 위한 나사홈(11b)이 형성 되어져 있다.
상기 상몸체(12)에는 끼움돌봉(11a)이 삽입되는 중앙홀과 함께 고무부쉬(17) 안치턱(12a)이 형성되어 있고, 판스프링받침대(13)의 안치를 위한 받침대안치홈 (12b)과 중앙몸체(31)의 외나사산을 수용하는 내나사홈과함께 판스프링안치홈(12c)이 제각기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진동흡수판스프링(14)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판상에 형성된 나사홀을 중심으로 외곽까지 소용돌이 모양의 다수의 소용돌이홈(14a)이 형성 되어져 있다.
상기 고정나사(16)는 일측이 나사봉(16a)으로 이뤄져 있고 타측은 코일스프링(2)의 일측을 수용하는 고정부(16b)를 갖고 있다.
또, 상기 상몸체부(1)와 나사 결합되는 하몸체부(3)는 코일스프링(2)의 압력조절 수단을 갖는 중앙몸체(31)와, 이 중앙몸체(31)의 하측으로 나사 결합되면서 높낮이 조절수단을 갖는 하몸체(34)로 이뤄져 있으며, 상기 중앙몸체(31)는 상몸체(12)의 내나사홈과 결합되는 외나사산을 갖는 상나사부(31a)와, 하몸체(34)의 내측에 형성한 내나사홈(34a)과 결합되는 외나사산을 갖는 하나사부(34b)와, 탄성조절나사링(32)의 결합용 중앙나사홈(31c)가 제각기 형성되어져 있다.
또, 상기 중앙나사홈(31c)에 결합되는 탄성조절나사링(32)은 그 내부 상측에 코일스프링(2) 받침구(33)가 안치 되어져 있고 외측에는 중앙나사홈(31c)과 결합되는 외나사홈(32a)이 형성 되어져 있다.
또, 상기 하몸체(34)에는 중앙몸체(33)의 하나사부(34b)와 결합되는 내나사홈(34a)이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방진장치를 다리로한 제 6도예의 방진테이블(6)은 지지봉(62)과 가이드봉(61)에 의하여 가로/세로 신축조절 가능한 신축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몸체부(1)를 조립한다.
상기 상몸체부(1)의 조립은 상몸체(12)의 중앙홀에 받침유니트(11)의끼움돌봉(11a)을 끼우게 되면 끼움돌봉(11a)의 외경보다 약간작은 고무부쉬(17)의 내경에 의하여 받침유니트(11)는 상몸체(12)의 중앙에 긴착되어 결합된다.
이후, 끼움돌봉(11a)의 단부에 판스프링받침유니트(13)를 중앙에 맞추어 올려 놓은후 다시 지동흡수판스프링((14)과 완충부쉬(15)를 차례로 올려놓고 고정나사(16)의 나사봉(16a)을 완충부쉬(15)의 나사공(15a), 진동흡수판스프링(14)의 나사공, 판스프링받침유니트(13)의 나사공(13a), 받침유니트(11)의 나사홈(11b)에 제각기 끼움하고 나사 결합 시키면 이들이 도 2와 같은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또, 상기 하몸체부(3)는 받침구(33)가 설치된 탄성조절나사링(32)의 외나사홈(32a)과 중앙몸체(31)의 내나사홈(31c)을 이용 하여 이들을 상호 나사 결합하고, 다시 중앙몸체(31)의 하나사부(31b)와 하몸체(34)의 내나사홈(34a)을 이용하여 중앙몸체(31)와 하몸체(34)를 상호 나사결합 한다.
이후, 상기 조립된 상몸체부(1)의 고정나사(16)에 형성된 코일스프링(2) 고정부(16b)에는 코일스프링(2)의 일측을 받치고, 코일스프링(2)의 타측은 하몸체부(3)의 받침구(33)에 안치 시켜서 상몸체부(1)와 하몸체부(3)를 상호 나사결합 시킨다.
이때의 나사결합은 상몸체(12)의 네측 외곽에 형성한 나사홈과 중앙몸체(31)의 상나사부(31a)에 형성한 외나사산을 상호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이렇게 조립된 방진장치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은 받침대(5)에 부착하고 그 받침대(5) 위에는 음향기기의 턴테이블(71), 스피커유니트(72)등을 올려놓아 사용한다.
상기 도 4와 같은 턴테이블(71) 받침대(5)로 이용하면 턴테이블(71)이 구동될 때 모터에서 발생되는 웅웅거리는 진동이 받침대(5)로 전달되고 받침대(5)와 지면 사이의 방진장치로 전달된다.
상기 방진장치에서는 모터의 구동으로 인하여 수직으로 발생되거나 편심되는 진동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몸체부(1)의 받침유니트(11)와 상몸체(12) 사이에 개입시킨 고무부쉬(17)와 상몸체부(1)와 하몸체부(3)에 개입시킨 코일스프링(2)의 작용으로 1차 방진한다.
그러나, 상기 고무부쉬(17)와 코일스프링(2)의 방진작용이 미치지 못하는 미세진동은 진동흡수판스프링(14)에 의하여 제거된다.
상기 진동흡수판스프링(14)은 받침유니트(11)와 판스프링받침유니트(13)를 타고 내려오는 미세진동을 다수의 소용돌이홈(14a)에서 받게되고 소용돌이홈(14a)에서는 미세진동 주파수를 흡수하여 미세진동을 제거하며, 그러므로, 받침대(5)에서 발생된 모든 진동은 미세진동 까지 지면으로 전달되지 않고 방진장치에 의하여 완전히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도 5와 같은 스피커(72) 받침대(5)의 경우에도 스피커(72)의 소리음에 의하여 받침대(5)에 진동이 이러나고, 받침대(5)에 전달된 진동은 지면으로 전해지게 되어 받침대(5)의 진동은 계속 증가되며, 이때, 받침대(5)와 지면 사이의 방진장치는 상기 도 4의 예와 같은 작용을 하여 이들 사이의 모든 진동을 제거한다.
한편, 도 6과 같은 방진받침대(6)의 경우에는 방진장치 사이에 신축조절수단이 구비되어져 있어 받침대(5)의 크기를 음향기기 크기에 맞추워서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는 가로/세로 방진장치 사이에 지지봉(62)과 가이드봉(61)을 구비시킨후 가이드봉(61) 내로 지지봉(62)이 미끄러지게 출입 할 수 있도록 하면 지지봉(62)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신축조절수단은 상기와 같은 형태 외에도 다양히 있을 수 있으며, 도면에는 장방형 받침대(5)를 예로 하고 있으나, 이를 세모형으로도 구축할 수 있고,방진장치의 가로/세로 크기가 결정되면 이에 맞추어서 받침대(5) 크기를 결정한다.
이외에도, 본 고안은 음향장치에 적용한 예를 보이고 있으나 이를 반도체를 생산하는 장비과 같이 방진이 중요하게 요구되는 유형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품위 음질을 요하는 음향기기나 미세 방진이 요구되는 반도체 장비 등에서 진동원이 되는 기기의 받침대와 지면사이에서 미세방진 까지 완전 차단하게 됨으로서 진동방지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특히 음향기기등에 적용할 경우에는 고품위의 음질을 보장 가능케 한다.

Claims (2)

  1. 일측이 받침대(5)의 받침면을 형성하는 받침유니트(11)와, 상몸체를 형성하는 상몸체(12)와, 판스프링받침유니트(13)와, 미세진동 흡수를 위해 판상에 다수의 소용돌이홈(14a)을 갖고 있는 진동흡수판스프링(14)과, 진동흡수판스프링(14)의 완충을 위한 완충부쉬(15)들과 이들을 차례로 결합/분리 할 수 있는 고정나사(16)로 이뤄져 있는 상몸체부(1)와; 이 상몸체부(1)와 하몸체부(3)와의 사이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2)과; 상기 상몸체부(1)와 나사 결합되며 코일스프링(2)의 탄성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수단을 갖는 하몸체부(3)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방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장치로 형성되는 방진테이블(6)은 이것의 다리를 이루는 방진장치가 가로/세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축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방진장치
KR2020020009660U 2002-04-01 2002-04-01 음향기기의 방진장치 KR200282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60U KR200282638Y1 (ko) 2002-04-01 2002-04-01 음향기기의 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60U KR200282638Y1 (ko) 2002-04-01 2002-04-01 음향기기의 방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638Y1 true KR200282638Y1 (ko) 2002-07-19

Family

ID=7307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660U KR200282638Y1 (ko) 2002-04-01 2002-04-01 음향기기의 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63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645B1 (ko) * 2002-12-11 2005-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소음차단수단
KR101266473B1 (ko) 2011-10-21 2013-05-23 송영일 스프링 내장형 진동스피커
KR101745285B1 (ko) 2016-12-01 2017-06-08 김미애 방진기능을 갖는 중장비용 마운팅 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645B1 (ko) * 2002-12-11 2005-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소음차단수단
KR101266473B1 (ko) 2011-10-21 2013-05-23 송영일 스프링 내장형 진동스피커
KR101745285B1 (ko) 2016-12-01 2017-06-08 김미애 방진기능을 갖는 중장비용 마운팅 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922B1 (ko) 수음 장치
JPH01272295A (ja) マイクロホンのための弾性的な保持体
US4955578A (en) Resiliently fastened support device for a microphone
JPH03345A (ja) 振動を遮断するためのマウント機構
KR102291604B1 (ko) 음향기기 받침대
KR200282638Y1 (ko) 음향기기의 방진장치
KR20040091136A (ko) 베이스 리플렉스형 스피커 장치, 스피커 장치의 부착 구조및 부착 방법
US5691516A (en) Tunable vibration absorber
KR101328791B1 (ko) 방진 장치
KR200228560Y1 (ko) 방진용 천장구조물 고정 장치
JPH03263810A (ja) 半導体露光装置の振動制御方法
US6364077B1 (en) Conservative broadband passive mass damper
KR20030000061A (ko) 다방향 충격 진동 마운트
KR101421725B1 (ko) 방진고무 및 이를 이용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장착되는하드 디스크의 방진기구
KR100550451B1 (ko) 스피커 진동방지 장치 및 진동방지 받침대
CN211018452U (zh) 一种外转子电机的基座
JP7382624B2 (ja) 振動出力装置取り付け部材および振動出力装置取り付け機構
CN211605042U (zh) 一种继电器的安装机架
CN219832181U (zh) 一种一体式电唱机
JP2007071308A (ja) 防振装置
KR200279570Y1 (ko) 스피커 진동방지 장치
JPH0518437A (ja) 除振装置
WO2022038742A1 (ja) 振動出力装置取り付け部材および振動出力装置取り付け機構
JPH0735429Y2 (ja) 防振装置付棚板
KR20240000660U (ko) 제진 모듈 및 제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